PDF문서상용화 대상 기술 조사표_정재헌.pdf

닫기

background image

【별표 제1호_상용화 대상 기술 조사표】

상 용 화 대 상 기 술 조 사 표

연구자

정재헌 /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 (사업단/센터/실) 지상국기술연구부

기술명(국문)

K3/K3A 자료처리 기반 고속처리기술 설계

기술명(영문)

Design of High-speed Processing Technology based on K3/K3A
Image Processing

기술개요

최근 위성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의 대용량화 및 고해상도화가 진행
됨에 따라 지상에서의 Latency를 감소시키기 위한 준실시간급 처리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지상국기술연구부는 위성영상 고속처리시스템 개발
사업(‘18)을 수행하며 고속병렬처리 기술을 검증 및 확보하였으며, K7/K7A
등 향후 계획된 고기동 위성의 데이터 처리를 위해 멀티코어, 매니코어,
GPGPU 등 다양한 고속화 방안에 대해 연구 중이다.

기술동향

국내

국내 위성영상 고속처리는 항우연에서 위성영상 고속처리시스템 개발사업
(‘18, K3/K3A)으로 20~30여분 소요되던 처리시간을 병렬처리를 통해 6분
내외로 단축하였고, 해양과학기술원에서 정지궤도 해양위성 2호 지상시스템
의 GPU 병렬처리를 도입(’19)한바 있으며, ADD의 분산병렬처리 시스템
(FAST, ‘22년) 설계와 같이 대용량 위성영상 처리를 위한 기술이 연구/개발
되고 있다.

해외

공공부분의 경우 대규모 슈퍼컴퓨팅 센터 구축 및 운영, 민간부분은 클라우
드를 활용하는 등 대규모 노드를 네트워크로 연결한 클러스터 형태로 발전하
고 있는 추세로, 위성영상 병렬처리를 위한 GPU가속기 노드를 활용하고 수
평적 확장을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하드웨어를 구성
하고 있다.

시장동향

국내

위성영상 고속처리 관련하여 정량적인 시장규모를 판단할 수 없으나 글로벌
시장의 위성증가 전망*과 위성영상 데이터 및 활용부문의 경제 전망**를 통해
간접적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글로벌시장 위성증가 전망 : ‘12~21년 5,519기 Ø ‘22~31년 24,468기

* Euroconsult(Satellites to be Built & Launched by 2030, 2021)

▪위성영상 데이터

시장 : ‘22년 19억불 Ø ’31년 27억불(CAGR : 4%)

▪위성영상 데이터활용시장 : ‘22년 31억불 Ø ’31년 52억불(CAGR : 6%)

** Euroconsult(Earth Observation Data and Service Market, 2022)

해외

활용방안

본 기술은 위성의 원시데이터 수신 이후 방사보정, 기하보정, 공간보정 등 위
성영상 전처리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현재 대두되고 있는 ARD(Analysis
Ready Data) 및 대용량 데이터가 집적되는 위성영상 활용 및 분석분야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관련 연구과제

실투입

연구개발비

특허정보

기술이전범위

(세부 대상)

▪K3/K3A 기반 고해상도 위성영상 고속처리기술 설계

- K3/K3A 영상에 적용한 전처리 알고리즘 별 고속화 기술 설계 내용
- 최적 하드웨어 선정 및 아키텍처 설계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