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양식1_【별표 제1호_상용화 대상 기술 조사표】_UTM.pdf

닫기

background image

【별표 제1호_상용화 대상 기술 조사표】

상 용 화 대 상 기 술 조 사 표

연구자

배중원 / 항공연구소 무인기연구부

기술명(국문)

드론 원격식별장치 및 드론교통관리시스템(UTM) 활용 감시 기술

기술명(영문)

Surveillance using Remote ID and Unmanned Aircraft System (UAS)
Traffic Management (UTM) System

기술개요

상용 네트워크(LTE) 기반의 원격식별(Remote ID) 장치는 드론에 부착하여
드론의 종류, 위치, 속도 정보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장치이다. 드론교통관
리시스템(UTM)은 원격식별장치로부터 전송된 감시 정보 등을 처리하여 드
론 교통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충돌 방지 경보 등 드론교통관리 서비스를 제
공한다.

기술동향

국내

드론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지상고도 150m 미만의 공역에서 드론 교통
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드론교통관리(UTM) 시스템이 국책
연구과제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드론의 비가시권 비행의 확대, 유인기 등 타
비행체와의 충돌 방지, 불법 드론 비행 감시 등을 위해 드론 원격식별 장치
와 UTM 시스템이 향후 구축·활용될 전망이다.

해외

미국에서는 공항 등 관제권 인근에서 UTM 초기 버전인 LAANC(Low
Altitude Authorization and Notification Capability)가 구축 활용되고 있
으며, 방송 방식의 원격식별장치의 드론 의무 장착이 법제화되었다. 유럽에서
는 U-space로 명명된 UTM 시스템의 연구와 시범 운용이 각지에서 활발하
게 추진되고 있으며 네트워크 방식의 원격식별 방안을 U-space에 적용할
계획이다.

시장동향

국내

국내 드론시장은 `16년 704억 원에서 `26년 4조 4,000억 원까지 빠르게 성
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국내 UTM 시장 역시 드론 시장 활성화에 따라 연평
균 18.83%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25년 698만 달러까지 성장할 전망된다.

해외

해외 드론 시장은 군수용 시장 중심으로 성장해 왔으나, 최근 상업용 시장의
성장이 두드러지는 추세로 `25년에는 약 428억 달러까지 연평균 13.8% 성
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 세계 드론교통관리(UTM) 시장은 `25년 19억
6,065만 달러까지 연평균 20.28%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활용방안

네트워크 방식의 드론 원격식별 장치는 우리나라 UTM 공역에서 감시 정보
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수단으로 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
는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다. 드론교통관리시스템에 적용되는 교통관리 소프
트웨어는 드론을 추적하여 현시하고 타 비행체와의 충돌 방지, 지오펜스 침
범 방지 경보 기능을 제공하여 다수의 드론을 운용하거나 모니터링해야하는
자동화된 정보처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관련 연구과제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UTM) 시스템 설계 및 구축(GR22110)

실투입

연구개발비

1,626,000,000

특허정보

기술이전범위

(세부 대상)

- 네트워크 식별장치를 활용한 드론 식별 및 감시 정보 처리 기술
- 드론교통관리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베드 제작 기술
- UTM 기반 드론 추적 및 감시 소프트웨어 설계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