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우주정책연구 Vol.9.pdf

닫기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22

08


background image

54

40


background image

 . 우주정책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8

우주정책연구2024 Vol.9

이금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연구소 
소형발사체연구부
책임연구원
kol@kari.re.kr 

초  록

1. 서론


background image

9

I. 우주정책

SpaceX가 가져온 

우주 정책의 변화

<그림 1> Falcon Heavy의 발사

2. 뉴스페이스 정책


background image

10

I. 우주정책

SpaceX가 가져온 
우주 정책의 변화

우주정책연구2024 Vol.9

<그림 2> Falcon 9 v1.2 발사체의 드론십 착륙 장면


background image

11

I. 우주정책

SpaceX가 가져온 
우주 정책의 변화

<그림 3> LandSpace가 개발하여 메탄 발사체로는 세계최초로 궤도 진입에 성공한 주췌-2


background image

12

I. 우주정책

SpaceX가 가져온 
우주 정책의 변화

우주정책연구2024 Vol.9


background image

13

I. 우주정책

SpaceX가 가져온 
우주 정책의 변화

3. 재사용 발사체 정책


background image

14

I. 우주정책

SpaceX가 가져온 
우주 정책의 변화

우주정책연구2024 Vol.9

<표 1> Falcon 9의 재사용에 따른 누적 비용과 누적 탑재량의 비교 

발사 횟수

(# Launch)

Falcon 9

비용 

(Cost)

누적 비용

(Acc. cost)

탑재량 

(Payload)

누적 탑재량

(Acc. payload)

1

2

3

4

5

6

100%

35%

35%

35%

35%

35%

100%

135%

170%

205%

240%

275%

65%

65%

65%

65%

65%

65%

65%

130%

195%

260%

325%

390%


background image

15

I. 우주정책

SpaceX가 가져온 
우주 정책의 변화

<그림 4> 중국의 발사체 스타트업 Landspace의 첫 번째 수직 이륙, 수직 착륙 시험 장면 


background image

16

I. 우주정책

SpaceX가 가져온 
우주 정책의 변화

우주정책연구2024 Vol.9

4. 군집위성(Satellite Constellation) 정책


background image

17

I. 우주정책

SpaceX가 가져온 
우주 정책의 변화

<그림 5> 스택되어있는 SpaceX의 최초의 스타링크 위성 60개(2019년 5월 23일) 


background image

18

I. 우주정책

SpaceX가 가져온 
우주 정책의 변화

우주정책연구2024 Vol.9


background image

19

I. 우주정책

SpaceX가 가져온 
우주 정책의 변화

5. 결 론


background image

20

I. 우주정책

SpaceX가 가져온 
우주 정책의 변화

우주정책연구2024 Vol.9

참고문헌


background image

21

I. 우주정책

SpaceX가 가져온 
우주 정책의 변화


background image

22 우주정책연구2024 Vol.9

김은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연구소

위성우주탐사체계연구부

책임연구원

eunhyeuk@kari.re.kr

초  록

1. 서 론


background image

23

I. 우주정책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임무 

제안: 국제협력을 중심으로


background image

24

I. 우주정책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임무 
제안: 국제협력을 중심으로

우주정책연구2024 Vol.9

2. 대한민국 우주항공청의 조직과 임무

2.1 우주항공청 조직도


background image

25

I. 우주정책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임무 
제안: 국제협력을 중심으로

<그림 1> 대한민국 우주항공청의 조직도 (https://kasa.go.kr)

<그림 2>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왼쪽 그림)과 한국천문연구원(KASI, 오른쪽 그림)의 조직도


background image

26

I. 우주정책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임무 
제안: 국제협력을 중심으로

우주정책연구2024 Vol.9

2.2 우주항공청의 예상 임무


background image

27

I. 우주정책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임무 
제안: 국제협력을 중심으로


background image

28

I. 우주정책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임무 
제안: 국제협력을 중심으로

우주정책연구2024 Vol.9

3. 우주 선진국의 우주청 조직과 우주 예산 규모

3.1 주요국의 우주 예산


background image

29

I. 우주정책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임무 
제안: 국제협력을 중심으로

<그림 3>  2023년 세계 각국의 우주 관련 예산

<그림 4> 2022~2023년 주요국 우주 예산 규모

<그림 5> 2023년 주요국의 GDP 대비 우주 예산


background image

30

I. 우주정책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임무 
제안: 국제협력을 중심으로

우주정책연구2024 Vol.9

3.2 미국 우주청 (NASA)의 조직도와 임무

<그림 6> 미국우주청(NASA)의 조직도 (좌: 2023년, 우:1968년)


background image

31

I. 우주정책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임무 
제안: 국제협력을 중심으로

3.3 중국우주청 (CNSA)의 조직도와 임무

<그림 7> 중국우주청(CNSA)의 조직도

<그림 8> 일본항공우주개발기구의 조직도


background image

32

I. 우주정책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임무 
제안: 국제협력을 중심으로

우주정책연구2024 Vol.9

3.4 일본항공우주개발기구 (JAXA)의 조직도와 임무

3.5 캐나다 우주청 (CSA)의 조직도와 임무


background image

33

I. 우주정책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임무 
제안: 국제협력을 중심으로

<그림 9>  캐나다우주청(CSA)의 조직도


background image

34

I. 우주정책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임무 
제안: 국제협력을 중심으로

우주정책연구2024 Vol.9

4. 결론


background image

35

I. 우주정책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임무 
제안: 국제협력을 중심으로


background image

36

I. 우주정책

대한민국 우주항공청 임무 
제안: 국제협력을 중심으로

우주정책연구2024 Vol.9

참고 문헌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 이슈분석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40 우주정책연구2024 Vol.9

윤나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략기획본부 
정책팀 선임연구원
법학(우주법) 박사
nayoungy@kari.re.kr

초  록

1.  U.S.  Commercial  Space 

Launch  Competitiveness 
Act, 51 USC 10101.

2.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
er  Space,  Report  of  the 
Legal 

Subcommittee 

on  its  fifty-fifth  session, 
held  in  Vienna  from  4  to 
15 April 2016, U.N. Doc. 
A/AC.105/1113  (2016) 
Para. 23-35.

3.  Committee on the Peace-

ful Uses of Outer Space, 
Annotated 

provisional 

agenda  on  its  Fifty-ninth 
Session,  U.N.  Doc.  A/
A C . 1 0 5 / C . 2 / L . 3 1 2 
(2020).

4.  Committee on the Peace-

ful Uses of Outer Space, 
Proposal  for  the  estab-
lishment  of  a  working 
group  for  the  develop-
ment  of  an  international 
regime  for  the  utilization 
and exploitation of space 


background image

41

II. 이슈분석

UNCOPUOS에서 

논의 중인 우주 자원의 
주요 논점 분석

1)

2)

3)

4)

5)

6)

7)

8)

1. 서론

resources,  U.N.  Doc. 
A/AC.105/C.2/L.311 
(2019).

5.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Report  of  the 
Legal  Subcommittee 
on its sixtieth session, 
held  in  Vienna  from 
31  May  to  11  June 
2021,  U.N.  Doc.  A/
AC.105/1243  (2021) 
Para. 251-258.

6.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
er  Space,  Report  of 
the  Legal  Subcom-
mittee on its sixty-first 
session,  held  in  Vi-
enna  from  28  March 
to  8  April  2022,  U.N. 
Doc.  A/AC.105/1260 
(2022) Annex II.

7.  United  Nations  Office 

for  Outer  Space  Af-
fairs,  Working  Group 
on  Legal  Aspects  of 
Space  Resource  Ac-
tivities,  https://www.
unoosa.org/oosa/en/
ourwork/copuos/lsc/
s p a c e - r e s o u r c e s /
index.html  (last  ac-
cessed 2024.02.26.).

8.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
er  Space,  Responses 
to  the  invitation  by  the 
Chair  and  Vice-Chair 
for  Submissions  from 
States  members  and 
organizations 

having 

permanent 

observer 

status with the Commit-
tee  on  Legal  Aspects 
of  Space  Resource 
Activities,  U.N.  Doc.  A/
AC.105/C.2/2023/
CRP.  7~32;  U.N.Doc. 
A/AC.105/C.2/2024/
CRP.5


background image

42

II. 이슈분석

UNCOPUOS에서 
논의 중인 우주 자원의 

주요 논점 분석

우주정책연구2024 Vol.9

9)

10)

11)

12)

13)

14)

15)

3. 각국이 제출한 의견서를 바탕으로 본 회원국의 견해

2. 우주 자원 워킹그룹

9.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supra 
note 4.

10.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supra 
note 5.

11.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Re-
port  of  the  Scien-
tific  and  Technical 
Subcommittee 

on 

its  sixtieth  session, 
held  in  Vienna  from 
6  to  17  February 
2023,  U.N.  Doc. 
A / A C . 1 0 5 / 1 2 7 9 
(2023) Annex II

.

12.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Sum-
mary by the Chair and 
Vice-Chair  of  views 
and 

contributions 

received on the man-
date  and  purpose  of 
the  Working  Group 
on  Legal  Aspects 
of  Space  Resource 
Activities,  U.N.  Doc. 
A/AC.105/C.2/120 
(2023).

13.  그리스,  노르웨이,  뉴질랜

드,  독일,  대한민국,  러시
아,  룩셈부르크,  모로코, 
미국,  바레인,  벨기에,  벨
라루스,  아제르바이잔,  영
국, 요르단, 일본, 중국, 캐
나다, 프랑스, 호주.

14.  ESA,  For  All  Moon-

kind,  Hague  Institute 
for  Global  Justice, 
Moon Village Associ-
ation, National Space 
Society,  Open  Lunar 
Foundation,  Space 
Generation  Advisory 
Council.


background image

43

II. 이슈분석

UNCOPUOS에서 
논의 중인 우주 자원의 

주요 논점 분석

16)

17)

3.1 질의 1에 대한 각국의 의견

15.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supra 
note 8.

16.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Under U.S. domestic 
law, a space resource 
has  been  defined  as 
“an  abiotic  resource 
in situ in outer space” 
and  includes  water 
and 

minerals.”라고 

하였으며, 

룩셈부르크

는  “According  to  the 
Luxembourg  legisla-
tor,  space  resources 
are  now  commonly 
defined  as  abiotic 
resources  that  are  in 
situ  in  outer  space 
and can be extracted. 
This  notion  includes, 
for  example,  mineral 
resources and water”, 
일본은 “Under Japan’s 
Space 

Resources 

Act,  “space  resourc-
es”  means  water, 
minerals  and  other 
natural 

resources 

that  exist  in  outer 
space,  including  the 
Moon  and  other  ce-
lestial  bodies.”라고  표
기하여  의견서를  제출하
였다.

17.  The Hague Int’l Space 

Res. 

Governance 

Working 

Group, 

Building  Blocks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national 
Framework on Space 
Resource  Activities  1 
(2019).


background image

44

II. 이슈분석

UNCOPUOS에서 
논의 중인 우주 자원의 

주요 논점 분석

우주정책연구2024 Vol.9

18.  Treaty  on  Principles 

Governing  the  Ac-
tivities  of  States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including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610  UNTS 
205,  adopted  on  27 
January  1967,  en-
tered  into  force  on 
10 October 1967 (the 
‘Outer Space Treaty’).

19.  국제법에서 우주조약만 언

급한 국가는 그리스, 일본, 
미국이다.

20.  Agreement  Govern-

ing  the  Activities  of 
States  on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1363  UNTS 
3,  adopted  on  18 
December 

1979, 

entered  into  force 
on 11 July 1984 (the 
‘Moon Agreement’).

21.  Article 6 of the Moon 

Agreement.

22.  Outer  Space  Treaty; 

Agreement  on  the 
Rescue  of  Astro-
nauts,  the  Return  of 
Astronauts  and  the 
Return  of  Objects 
Launched  into  Outer 
Space,  672  UNTS 
119,  adopted  on 
22  April  1968,  en-
tered  into  force  on 
3  December  1968 
(the  ‘Rescue  Agree-
ment’);  Convention 
on  International  Li-
ability  for  Damage 
Caused  by  Space 
Objects,  961  UNTS 
187,  adopted  on  29 
March 1972, entered 
into  force  on  1  Sep-
tember  1972  (the 
‘Liability 

Conven-


background image

45

II. 이슈분석

UNCOPUOS에서 
논의 중인 우주 자원의 

주요 논점 분석

18)

19)

20)

21)

22)

23)

3.2 질의 4에 대한 각국의 의견

tion’); Convention on 
Registration  of  Ob-
jects  Launched  into 
Outer  Space,  1023 
UNTS  15,  adopted 
on 14 January 1975, 
entered into force on 
15  September  1976 
(the 

‘Registration 

Convention’);  Moon 
Agreement.

23.  2020년 미국에서 제

시한  달  탐사  활동  규

범의  기본  원칙인  아

르테미스  약정(Ar-

temis  Accords)

은 아르테미스 프로그

램  참여  조건으로  현

재(2023년  10월) 

29개국이  서명하였

다.  정치적인  선언이

며  법적  구속력은  없

지만,  향후  대다수의 

국가가  서명하여  참

여하게  된다면,  새로

운  달  탐사  활동  규범

으로 자리잡힐 가능성

이  있다.  관련  내용으

로는  지속  가능한  우

주 탐사를 위해 달, 화

성,  소행성  자원의  이

용이  필요하며,  우주

조약에 근거하여 우주

자원의  추출  및  이용

이  가능하다는  점,  그

리고  분쟁  방지를  위

한 ‘안전지대(Safety 

Zone)’을  설정한다

는 점 등이 있다.


background image

46

II. 이슈분석

UNCOPUOS에서 
논의 중인 우주 자원의 

주요 논점 분석

우주정책연구2024 Vol.9

3.3 질의 5에 대한 각국의 의견


background image

47

II. 이슈분석

UNCOPUOS에서 
논의 중인 우주 자원의 

주요 논점 분석

3.4 질의 6에 대한 각국의 의견

24)

25)

24.  예를  들어,  질의  6

에서  캐나다  및  영

국이  우주자원  워

킹그룹에서  제정할 

‘a  set  of  initial 

r e c o m m e n d e d 

principles 

for 

the  exploration, 

exploitation  and 

utilization 

of 

space  resources 

(우주자원  활동  원칙 

권고(안)  초안)’에  따

른 이점 및 도전 과제 

중  도전  과제로  정보 

수집  및  확보를  언급

하였다.

25.  러시아의  의견  제출

서  원문을  보면  아

래와  같다:  “(The 

n o n - a p p r o p r i -

ation  of  outer 

space  issue)  the 

Working  Group 

needs  to  define 

the 

boundary 

between 

“use” 

and 

“appropri-

ation  by  use” 

of  outer  space 

and  to  establish 

the  legal  status 

of  mined  space 

resources. 

⋯ 

(Benefit-sharing 

issue) The Work-

ing  Group  there-

fore  needs  to 

determine 

how 

to  ensure  the 

equal  and  eq-

uitable  sharing 

of  the  benefits 

arising  from  the 

exploitation 

of 

space  resourc-

es.  ⋯  (The  issue 

of  limited  space 

resources) 

it 

is 

necessary 

for  the  Working 

Group  to  deter-

mine  a  mecha-


background image

48

II. 이슈분석

UNCOPUOS에서 
논의 중인 우주 자원의 

주요 논점 분석

우주정책연구2024 Vol.9

26)

27)

   3.5 소결론

nism for prioritiz-

ing  missions  and 

the  number  of 

admissible  mis-

sions  in  the  light 

of  the  physical 

c h a r a c t e r i s t i c s 

of  the  celestial 

body and to con-

sider  the  issues 

of  the  avoidance 

of  the  depletion 

of 

extraterres-

trial 

resources 

and 

conserva-

tion of the space 

e n v i r o n m e n t , 

among  other  is-

sues.  ⋯  (The 

issue  related  to 

the 

placement 

of  infrastructure 

on  the  territo-

ry  of  a  celestial 

body)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le-

gal  basis  for  the 

use  of  the  terri-

tories  of  celes-

tial  bodies  and 

also  to  deter-

mine whether the 

principle  of  “free 

access  to  all  ar-

eas  of  celestial 

bodies”  applies 

in  the  context  of 

the 

placement 

of  space  infra-

structure  of  the 

participants 

in 

such  activities. 

⋯  (Issue  relat-

ed  to  the  place-

ment  and  use  of 

m u l t i - s a t e l l i t e 

systems  of  small 

spacecraft)  We 

consider that the 

Working  Group 

should  focus  its 

efforts  on  the 

rational  use  of 

the  orbital-fre-


background image

49

II. 이슈분석

UNCOPUOS에서 
논의 중인 우주 자원의 

주요 논점 분석

quency  resource 

within  the  exist-

ing  legal  frame-

work.”

26.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supra 

note 12. 

27.  Ibid. 

28.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Anno-

tated  provision-

al  agenda  on 

its 

Fifty-ninth 

Session, 

U.N. 

Doc.  A/AC.105/

C . 2 / L . 3 1 2 

(2020).

28)

4. 결론


background image

50

II. 이슈분석

UNCOPUOS에서 
논의 중인 우주 자원의 

주요 논점 분석

우주정책연구2024 Vol.9


background image

51

II. 이슈분석

UNCOPUOS에서 
논의 중인 우주 자원의 

주요 논점 분석

참고문헌


background image

52

II. 이슈분석

UNCOPUOS에서 
논의 중인 우주 자원의 

주요 논점 분석

우주정책연구2024 Vol.9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54 우주정책연구2024 Vol.9

임창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책팀 책임연구원

경영학 박사

changho@kari.re.kr

1. 서 론

<그림 1 > 세계 주요국 정부의 우주개발 예산 2023

자료: Euroconsul

t

1. Euroconsult,  “New  historic 

high  for  government  space 

spending  mostly  driven  by 

defense expenditures”


background image

55

II. 이슈분석

세계 우주항(Spaceport)의 

현황과 전망

55

<그림 2 > 미래 우주발사체 수요 전망 (‘17~-’23)

자료:  조동현, 유일상, “우주발사체 발사 용량별 발사 현황 및 수요 분석 (2010년~2023년)”, 항공우주학회 2017년 추계

학술대회


background image

56

II. 이슈분석

세계 우주항(Spaceport)의 
현황과 전망

우주정책연구2024 Vol.9

Ⅱ. 본론

1. 우주항(Spaceport)이란 무엇인가?

<그림 3> Peenem nde 로켓 발사시설

자료: The national Archives UK 홈페이지

2.  Mark  Smith,  “What  are 

spaceports?”, Space.com, 

2022.12.5.

3.  임창호,  유용재,  “Airport(

공항)와  Spaceport(우주

항)에  대한  비교  고찰”,  항

공우주시스템공학회  춘계

학술대회, 2017.

4.  Thomas  G.  Robers, 

“Spaceports 

of 

the 

World”, CSIS, 2019.3.

5.  위키백과, https://ko.wiki-

pedia.org/wiki/우주기지, 

2024.5.10. 검색


background image

57

II. 이슈분석

세계 우주항(Spaceport)의 
현황과 전망

2. 우주항(Spaceport)의 태동과 변화

<그림 4>  U-2 정찰기가 찍은 바이코노루 기지

자료: CIA, 위키백과에서 재인용

6.  위키백과, The national 

Archives  UK  홈페이지

2024.5.10. 검색


background image

58

II. 이슈분석

세계 우주항(Spaceport)의 
현황과 전망

우주정책연구2024 Vol.9

3. 주요국의 우주항(Spaceport) 운영 현황

가. 세계 우주항(Spaceport) 현황

<그림 5>  KSC와 반덴버그 우주항의 발사 방위각

자료: CSIS, 「Spaceports of the World」, 2019.3

7.  Thomas  G.  Robers, 

“Spaceports  of  the 

World”, CSIS, 2019.3.


background image

59

II. 이슈분석

세계 우주항(Spaceport)의 
현황과 전망

<그림 6>  세계 우주항 현황

자료:  Bryce TechNick, Routley, “All of the World’s Spaceports on One Map”, Visualcapitalist.com, 2022.10.18. 로

부터 재인용


background image

60

II. 이슈분석

세계 우주항(Spaceport)의 
현황과 전망

우주정책연구2024 Vol.9

우주항

케이프 캐너버럴 우주군 기지

스페이스 플로리다 발사 콤플렉스 46

스페이스 플로리다 발사&착륙시설

케네디 우주센터

세실필드 우주항

스페이스 코스트 리전널 공항

콜로라도 우주공항

반덴버그 공군기지

모하비 우주공항

오클라오마 우주공항(Air&Space Port)

포커플랫 연구발사장

퍼시픽 우주항 복합시설

우주항 아메리카

원 웨스트 텍사스(블루오리진)

휴스턴 우주항(앨링턴 공항)

미드랜드 우주공항(Air&space port)

스페이스 X 우주개발 시험시설

스페이스 X 스타베이스

캠덴 우주항

미드 아틀란틱 우주항

월럽 우주발사장

카푸스틴 발사장

플레체스크 발사장

보스토크니 발사장

야스니 발사기지

안헴 우주센터

웨일러 웨이 복합발사시설

쿠니바 시험발사장

래간 시험발사장

보웬 우주발사장

로켓랩 발사장 1

바이코노루

플로리다주

플로리다주

 플로리다주

플로리다주

플로리다주

플로리다주

콜로라도주

캘리포니아주

캘리포니아주

오클라호마주

알래스카주

알래스카주

뉴멕시코 주

텍사스주

텍사스주

텍사스주

텍사스주

텍사스주

조지아주

버지니아주

버지니아주

아스트라칸주

아칸첼스크 주

아머주

오렌버그주

노던테러토리

사우스오스트렐리아

사우스오스트렐리아

콰잘렌 환초

퀸즈랜드

와이로아

바이코노루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미국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러시아

호주

호주

호주

마샬군도

호주

뉴질랜드

카자흐스탄

수직/수평

 

수평/재진입

수직/수평

수평

수평

수평

수직/수평

수평

수평

 

 

수직/수펑

 

수평

수평

 

 

 

 

 

 

 

 

 

 

 

 

 

 

 

 

비고

위치

국가

<표 1 > 세계 우주항 현황


background image

61

II. 이슈분석

세계 우주항(Spaceport)의 
현황과 전망

우주항

나로 우주센터

서해위성 발사장

오이타 우주항

타네가시마 우주센터

우치노우라 우주센터

타이키 항공우주연구 단지

훗카이도 우주항

리오리 발사장

손미아니 위성발사장

오디샤 조립시험장

썸바적도 로켓발사장

사티쉬 다완 우주센터

기아나 우주센터

바레이라 두 인페르노 발사센터

알칸타라 우주센터

스타시운 펠운쿠란 로켓

지취안 위성발사센터

타이위안 위성발사센터

원창 우주발사장

시창위성 발사센터

팔마침 공군기지

이만 호메이니 우주발사장

쿰 발사장

엘 아레노실로 시험센터

우주항 스웨덴

에스라 우주항

색사보드 우주항

수더랜드 우주항

웨스턴군도 우주항

외나로도

평안북도

오이타

가고시마

가고시마

홋카이도

홋카이도

이와테

발로키스타

오디샤

커랄라

스리하리코타

쿠르

리오그란데 도노르테

마란하오

서 자바

간수성

산시성

하이난

시창성

중부구

셈만

쿰주

우엘바

라플랜드

라플랜드

셰틀랜드군도

수더랜드

북서부군도

대한민국

북한

일본

일본

일본

일본

일본

일본

파키스탄

인도

인도

인도

프랑스령 기아나

브라질

브라질

인도네시아

중국

중국

중국

중국

이스라엘

이란

이란

스페인

스웨덴

스웨덴

영국

영국

영국

 

 

 

비고

위치

국가

주: 비고란의 수직/수평은 우주비행체의 수평(Horizontal), 수직(Vertical) 발사가 이뤄지는 우주항을 말하며 표기가 되지 
않은 우주항의 경우, 수직 발사를 하는 우주항을 나타냄.
자료: Nick Routley,“All of the World’s Spaceports on One Map”,Visual capitalist.com, 2022.10.18. 재구성


background image

62

II. 이슈분석

세계 우주항(Spaceport)의 
현황과 전망

우주정책연구2024 Vol.9

나. 미국

<그림 7>  미국의 우주항 현황

자료: FAA


background image

63

II. 이슈분석

세계 우주항(Spaceport)의 
현황과 전망

<그림 9>  휴스턴 우주항 야간 조감도

자료: Houston Airport System

<그림 10> Spaceport America 모습

자료: Spaceport America

<그림 8>  콜로라도 우주항 조감도

자료: Colorado Air and  spaceport 홈페이지


background image

64

II. 이슈분석

세계 우주항(Spaceport)의 
현황과 전망

우주정책연구2024 Vol.9

다. 러시아

<그림 11>  바이코누르 발사 현황(1957-2017)

자료: THOMAS G. ROBERTS, 「Spaceport of the world」, CSIS, 2019.3

<그림 12> 보스토치니 우주항

사진: Space News

8.  이다현  “세계  주요우주

항  운영  현황”  한공우주

산업기술동향  20권1호, 

2022


background image

65

II. 이슈분석

세계 우주항(Spaceport)의 
현황과 전망

라. 프랑스

<그림 13> 기아나 우주센터 발사 현황(1957-2018)

자료: THOMAS G. ROBERTS, 「Spaceport of the world」, CSIS, 2019.3


background image

66

II. 이슈분석

세계 우주항(Spaceport)의 
현황과 전망

우주정책연구2024 Vol.9

마. 중국

<그림 14> 시창위성발사센터 발사 현황(1957-2018)

자료: THOMAS G. ROBERTS, 「Spaceport of the world」, CSIS, 2019.3----


background image

67

II. 이슈분석

세계 우주항(Spaceport)의 
현황과 전망

바. 일본

<그림 16> 사티쉬 다완 우주센터 발사현황 (1957-2018)

자료: THOMAS G. ROBERTS, 「Spaceport of the world」, CSIS, 2019.3

<그림 15>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모습

자료: THOMAS G. ROBERTS, 「Spaceport of the world」, 
CSIS, 2019.3

사. 인도


background image

68

II. 이슈분석

세계 우주항(Spaceport)의 
현황과 전망

우주정책연구2024 Vol.9

아. 우리나라 우주항(Space port) 현황

<그림 17> 누리호와 나로 우주센터 모습

자료: KARI

<그림 18>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발사 장면

자료: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background image

69

II. 이슈분석

세계 우주항(Spaceport)의 
현황과 전망

4. 우주항(Spaceport)의 발전 전망

<그림 19> 헌트빌 우주항의 발전개념

자료: FAA

국가/지역

러시아

유럽

미국

중국

일본

•  군사적 목적으로 가장 먼저 구축, 운영
•  시설 노후로 인해 시설개선과 활용 계획중

•  ESA를 중심으로 프랑스의 우주항을 많이 활용
•  최근 영국과 북유럽 국가들의 우주항 건설을 추진중

•  가장 많은 우주항을 운영중
•  상용 우주항 건설과 운용으로 활성화 기대
•  우주항, 우주공항의 운영과 활성화가 전망

•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우주항을 운영중
•  군사적 목적의 활용이 강함
•  유·무인 우주프로램을 지원할 수 있는 우주항 보유
•  지리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일찍부터 구축, 운영
•  저궤도 및 정지궤도, 우주정거장 지원에 이르는 다양한 우주프로그램

을 지원

주요 특징

< 표2 > 권역별 우주항 특징 비교


background image

70

II. 이슈분석

세계 우주항(Spaceport)의 
현황과 전망

우주정책연구2024 Vol.9

 Ⅲ. 결론 및 시사점


background image

71

II. 이슈분석

세계 우주항(Spaceport)의 
현황과 전망

참고 문헌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우주정책연구 9권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방대학교 교수

방위사업청 전문관

김지희

장태진

박상중

임상민

편 집 위 원


background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