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우주정책연구 vol.8.pdf

닫기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8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윤나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략기획본부

정책팀 선임연구원

법학(우주법) 박사

nayoungy@kari.re.kr

1. 서 론

초  록

1. 조선일보, “한국, 2032년 무인 달 탐

사선  달에  착륙  계획”,  2023.08.22., 
https://www.chosun.com/econo-
my/science/2023/08/22/UJSYP-
FLRHNHPJKWZVINM4R5JJE/  (last 
visited 2023.08.22.)

2. 한겨레,  “‘달  탐사  경쟁’  뜨겁다,  미

중러  이어  인도까지  ‘찬드라얀’  띄
워”,  2023.08.20.,  https://v.daum.
net/v/20230820180002324  (last 
visited 2023.08.22.); 한국경제, “달
의  남극에  뭐가  있길래...  미・중・러・
인도  ‘각축’”,  2023.08.18.,  https://
www.hankyung.com/internation-
al/article/2023081811165 

(last 

visited 

2023.08.22.); 

조선일

보,  “찬드라얀  3호,  2주간  물・얼
음・헬륨3  탐사...  모디  ”인도  14
억명의  자부심“”,  2023.08.24., 
h t t p s : //w w w . c h o s u n . c o m /
economy/science/2023/08/23/
XX7MXW3TZRGFNIF5MW4VN-
Z6LQE/?utm_source=naver&utm_
medium=referral&utm_cam-
paign=naver-news  (last  visited 
2023.08.24.)


background image

9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3. Fabio  Tronchetti,  The  Space 

Resource Exploration and Utili-
zation Act: A move forward or 
a  step  back?,  Space  Policy  34 
(2015) p.8.

4. ‘우주현지활용(ISRU)’란,  ‘In-Situ 

Resource  Utilization의  약자로, 
무인 및 유인 탐사와 지속적 체류
를 위한 제품 및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로컬 그리고 현지 자원을 연
계하고  이용하는  모든  하드웨어 
또는 운영을 포함한다.

5. Racael  O’Grady,  Space  Law: 

Where  No  One  Is  Real-
ly  Sure  of  the  Rules,  LAW.
COM  (June  17,  2020),  https://
www.law.com/internation-
a l - e d i t i o n / 2 0 2 0 / 0 6 / 1 7/
space-law-where-no-one-is-
really-sure-of-the-rules/?slre-
turn=20210802101029;  Laura 
C.  Byrd,  Soft  Law  in  Space:  A 
Legal  Framework  for  Extrater-
restrial  Mining,  71  Emory  L.  J. 
801 (2022) p. 804.

6. Treaty on Principles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including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610 UNTS 205, adopted on 27 
January 1967, entered into force 
on 10 October 1967 (the ‘Outer 
Space  Treaty’);  Agreement  on 
the  Rescue  of  Astronauts,  the 
Return  of  Astronauts  and  the 
Return  of  Objects  Launched 
into Outer Space, 672 UNTS 119, 
adopted on 22 April 1968, en-
tered into force on 3 December 
1968 (the ‘Rescue Agreement’); 
Convention  on  International 
Liability for Damage Caused by 
Space  Objects,  961  UNTS  187, 
adopted on 29 March 1972, en-
tered into force on 1 September 
1972 (the ‘Liability Convention’); 
Convention  on  Registration  of 
Objects  Launched  into  Outer 
Space, 1023 UNTS 15, adopted 
on 14 January 1975, entered into 
force  on  15  September  1976 
(the  ‘Registration  Convention’); 
Agreement  Governing  the  Ac-
tivities  of  States  on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1363  UNTS  3,  adopted  on  18 
December  1979,  entered  into 
force on 11 July 1984 (the ‘Moon 
Agreement’).


background image

10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2. 우주 자원의 정의

terra nullius

res communis omnium

terra nullius

res communis omnium

res communis

res nullius

7. “In  using  frequency  bands  for 

radio  services,  Member  States 
shal   bear  in  mind  that  radio 
frequencies  and  any  associated 
orbits,  including  the  geosta-
tionary-satellite  orbit,  are  lim-
ited  natural  resources  and  that 
they  must  be  used  rational y, 
efficiently  and  economical y,  in 
conformity  with  the  provisions 
of the Radio Regulations, so that 
countries or groups of countries 
may  have  equitable  access  to 
those  orbits  and  frequencies, 
taking  into  account  the  spe-
cial  needs  of  the  developing 
countries  and  the  geographical 
situation of particular countries.”

8. Stephan Hobe, Space Law, No-

mos; C.H. Beck; Hart Publishing, 
Germany (First Ed., 2019) p. 99.

9. U.S  Commercial  Space  Launch 

Competitiveness  Act,  51  USC 
10101.

10. Stephan Hobe, supra note 8.

11. Fabio  Tronchetti,  supra  note 

3, p. 7.

12. J.  Klabbers,  International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Second  ed.,  2017);  Martin 
Svec,  Outer  Space,  an  Area 
Recognised  as  Res  Communis 
Omnium:  Limits  of  National 
Space Mining Law, Space Policy 
60 (2022).

13. Art  136-137,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adopted  10  December 
1982,  entered  into  force  16 
November  1994)  1833  UNTS 
3 (UNCLOS).


background image

11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corpus iuris spatialis

res communis doctrine

14. Ibid

15. Ibid

16. Christol,  Carl  Q.,  Evolution 

of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Principle,  Western 
State  University  International 
Law Journal, vol. 1, no. 1, Spring 
(1981) p. 68.

17. Christol,  Carl  Q.,  Evolution 

of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Principle,  Western 
State  University  International 
Law Journal, vol. 1, no. 1, Spring 
(1981) p. 68.

18. United Nations Convention of 

the Law of the Sea, 1833 UNTS 
136, adopted on 10 December 
1982, entered into force on 16 
November  1994  (hereinafter, 
‘UNCLOS’).

19. Convention on the High Seas, 

Geneva,  29  April  1958,  entry 
into force 30 September 1962, 
United  Nations,  Treaty  Series, 
Vol. 450, p. 11.

20. Antarctic Treaty, Dec. 1, 1959, 

[June  23,  1961]  12  U.S.T. 
794,  T.I.A.S.  No.  4780,  402 
U.N.T.S. 71.

21. Article 89 of the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22. Christol,  Carl  Q.,  Evolution 

of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Principle,  Western 
State  University  International 
Law Journal, vol. 1, no. 1, Spring 
(1981) p. 65.

23. The Preamble, Article I of the 

Outer Space Treaty.


background image

12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24. UNGA Res. 51/122, The Dec-

laration  on  International  Co-
operation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for 
the  Benefit  and  in  the  Inter-
est  of  al   States,  Taking  into 
Particular Account the Needs 
of  Developing  Countries,  13 
December  1996  (hereinafter, 
‘Space Benefits Declarations’).

25. Stephan  Hobe,  International 

Space  Law  in  its  First  Half 
Century,  in:  Proceedings  of 
the  49th  Col oquium  of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f Space 
Law (2006) pp. 376-377.

26. Defined  in  Article.  1  of  the 

UNCLOS  as  “The  seabed 
and  ocean  floor  and  subsoil 
thereof,  beyond  the  limits  of 
national jurisdiction.”

27. Article  31(3)(c)  of  the  VCLT 

stipulates  as  “There  shal   be 
taken  into  account,  together 
with the context any relevant 
rules of international law appli-
cable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parties.”

28. Martin Svec, supra note 12.

29. Ibid.

30. Ibid.

31. Stephan  Hobe,  Art.  I,  in: 

Hobe/Schmidt-Tedd/Schrogl 
(eds.),  Cologne  Commentary 
on Space Law, Vol. I, Carl Hy-
manns, Cologne (2009) p. 35; 
Stephan  Hobe,  supra  note 
8, p. 93; Fabio Tronchetti, su-
pra note 3, p. 7.

32. Stephan Hobe, supra note 8, 

p. 94.

33. Sergio  Marchisio,  Art.  IX,  in: 

Hobe/Schmidt-Tedd/Schrogl 
(eds.),  Cologne  Commentary 
on  Space  Law,  Vol.  I,  Carl 
Hymanns,  Cologne  (2009)  p. 
176; Ibid.


background image

13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3. 국제법에서의 우주 자원

Corpus Iuris Spatialis

jus cogens

   3.1 경성법(Hard Law)

   3.1.1 Outer Space Treaty (1967)

34. UNGA Res. 1962 (XVIII), Decla-

ration of Legal Principles Gov-
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in  the  Exploration  and  Uses 
of Outer Space, 13 December 
1963;  UNGA  Res.  37/92,  The 
Principles  Governing  the  Use 
by  States  of  Artificial  Earth 
Satellites for International Di-
rect  Television  Broadcast,  10 
December  1982;  UNGA  Res. 
41/65,  The  Principles  Relating 
to  Remote  Sensing  of  the 
Earth  from  Outer  Space,  3 
December  1986;  UNGA  Res. 
47/68, The Principles Relevant 
to the Use of Nuclear Power 
Sources  in  Outer  Space,  14 
December  1992;  UNGA  Res. 
51/122, The Declaration on In-
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for  the  Benefit  and 
in  the  Interest  of  al   States, 
Taking into Particular Account 
the  Needs  of  Developing 
Countries, 13 December 1996 
(hereinafter,  ‘Space  Benefits 
Declarations’).

35. Melissa de Zwart, Stacey Hen-

derson,  Michel e  Neumann, 
Space  resource  activities  and 
the  evolution  of  international 
space  law,  Acta  Astronautica 
211 (2023) p. 156.


background image

14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36. Stephan  Hobe,  supra  note 

8, p. 95.

37. Ibid.

38. Ibid.

39. Ibid., p. 96.

40. Ibid.

41. Ibid.

42. Ibid.

43. Martin Svec, supra note 12.

44. Louis  de  Gouyon  Matignon, 

supra note 17.


background image

15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3.1.2 Moon Agreement (1979)

45. Article  I   of  the  Outer  Space 

Treaty

46. Melissa de Zwart, Stacey Hen-

derson,  Michel e  Neumann, 
supra note 35, p. 157.

47. Ibid., p. 158.


background image

16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48. Stephan  Hobe,  supra  note 

8, p. 97.

49. bid., p. 98.

50. bid., p. 99.

51. Ibid.


background image

17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3.2 연성법(Soft Law)

52. Ibid.

53. Ibid.

54. Martin Svec, supra note 12.

55. Ian A. Christensen & Christo-

pher  D.  Johnson,  Putting  the 
White House Executive Order 
on  Space  Resources  in  an 
International  Context,  SPACE 
REV.  (April  27,  2020),  http://
www.thespacereview.com/
article/3932/1.

56. Laura  C.  Byrd,  Soft  Law  in 

Space:  A  Legal  Framework 
for  Extraterrestrial  Mining,  71 
Emory L. J. 801 (2022) 821p.

57. Jennifer  Ann  Urban,  Soft 

Law:  The  Key  to  Security  in 
a  Globalized  Outer  Space,  43 
TRANSP. L. J. 33, 46 (2016).

58. Laura C. Byrd, supra note 56, 

831p.

59. Ibid., 832p..

60. Ibid.

61. Ibid.

62. Long-Term  Sustainability  of 

Outer  Space  Activities,  Unit-
ed  Nations  Office  for  Outer 
Space  Affairs,  https://www.
unoosa.org/oosa/en/ourwork/
topics/long-term-sustainabil-
ity-of-outer-space-activities.
html  (last  visited  2023.10.10) 
(“The Guidelines provide guid-
ance on the policy and regu-
latory  framework  for  space 
activities;  safety  of  space 
operations;  international  co-
operation,  capacity-building 
and  awareness;  and  scientific 
and  techn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63. Peter  Martinez,  The  U.N. 

COPUOS  Guidelines  for  the 
Long-Term 

Sustainability 

of  Outer  Space  Activities, 
SECURE  WORLD  FOUND. 
(November  2019),  https://
swfound.org/media/206891/
swf_un_copuos_lts_guidelinds_
fact_sheet_november-2019-1.
pdf..


background image

18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64. The  Hague  Int’l  Space  Res. 

Governance  Working  Group, 
Building  Blocks  for  the  De-
velopment of an International 
Framework  on  Space  Re-
source Activities 1 (2019).

65. Ibid.

66. Article  8,  10(a),  11.1-11.2  of 

the  Hague  Int’l  Space  Res. 
Governance  Working  Group, 
Building  Blocks  for  the  De-
velopment of an International 
Framework  on  Space  Re-
source Activities 1 (2019).

67. Letter from the Outer Space 

Institute  to  Tijjani  Muham-
mad-Bande, President,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August  2020),  http://www.
outerspaceinstitute.ca/docs/
InternationalOpenLetterOnS-
paceMining.pdf.

68. The  Canadian  Press,  Cana-

da  Joins  U.S.-Led  Artemis 
Accords  to  Send  Human 
Explorers  Back  to  Moon  and 
Beyond,  CBC  (October  14, 
2020),  https:/ www.cbc.ca/
news/technology/artemis-ac-
cords-1.5761456.  Laura  C. 
Byrd, supra note 56, 825p.


background image

19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4. 향후 한국의 발전 방향 제언 및 결론

69. Members  of  the  Commit-

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United  Nations 
Office for Outer Space Affairs, 
https://unoosa.org/oosa/en/
members/index.html (last vis-
ited 2023.10.10.).

70.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An-
notated  provisional  agenda 
on  its  Fifty-ninth  Session, 
U.N.  Doc.  A/AC.105/C.2/L.312 
(2020),  https://www.unoosa.
org/res/oosadoc/data/doc-
uments/2020/aac_105c_2l/
aac_105c_2l_312_0_html/
V2001359.pdf.

71. The  United  States,  U.S. 

Commercial  Space  Launch 
Competitiveness  Act,  Pub. 
L.  No.  114-90,  129  Stat.  704 
(2015).  https://www.congress.
gov/114/plaws/publ90/PLAW-
114publ90.pdf  (last  visited 
2023.10.16.).

72. The  Law  on  the  Exploration 

and  Use  of  Space  Resources, 
https://legilux.public.lu/eli/
etat/leg/loi/2017/07/20/a674/
jo/en (last visited 2023.10.16.).

73. Federal  Law  No.  12  on  the 

Regulation  of  the  Space 
Sector, 

https://space.gov.

ae/Documents/Publication-
PDFFiles/SpaceSectorFed-
eralLaw_EN.pdf  (last  visited 
2023.10.16.).

74. Act  on  the  Promotion  of 

Business  Activitie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  Resources,  https://
www8.cao.go.jp/space/en-
glish/resource/documents/
act83_2021.pdf  (last  visited 
2023.10.16.).

75. Melissa de Zwart, Stacey Hen-

derson,  Michel e  Neumann, 
supra note 35, p. 159.

76. Fabio  Tronchetti,  supra  note 

3, p. 7.

77. Martin Svec, supra note 12


background image

20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78. 2020년  미국에서  제시한  달 

탐사  활동  규범의  기본  원칙인 
아르테미스  약정(Artemis  Ac-
cords)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참여 조건으로 현재(2023년 10
월) 29개국이 서명하였다. 정치
적인 선언이며 법적 구속력은 없
지만, 향후 대다수의 국가가 서
명하여 참여하게 된다면, 새로운 
달 탐사 활동 규범으로 자리잡힐 
가능성이 있다. 관련 내용으로는 
지속  가능한  우주  탐사를  위해 
달, 화성, 소행성 자원의 이용이 
필요하며, 우주조약에 근거하여 
우주자원의 추출 및 이용이 가능
하다는 점, 그리고 분쟁 방지를 
위한 ‘안전지대(Safety Zone)’을 
설정한다는 점 등이 있다.

79. Insight-Encouraging 

the 

Recovery  and  Use  of  Space 
Resources: Recommendations 
for  Governmental  Policies 
and  Engagement,  SECURE 
WORLD FOUNDATION (Octo-
ber 8, 2020), https://swfound.
org/news/all-news/2020/10/
insight-encouraging-the-re-
covery-and-use-of-space-re-
s o u r c e s - r e c o m m e n d a -
tions-for-governmental-pol-
icies-and-engagement  (last 
visited 2023.08.22.)

80. Ibid.


background image

21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참고 문헌


background image

22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background image

23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background image

24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background image

25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background image

26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I. 들어가며

윤인숙

한국법제연구원 
글로벌법제전략팀 
연구위원

<그림 1> 우주쓰레기 궤도잔해 추이


background image

27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27

1)

1.  United  Nations,  ‘Our 

Common 

Agenda 

Policy  7,  For  All  Hu-
manity-the  Future  of 
Outer 

Space 

Gov-

ernance’,  2023  May, 
참고

2.  The 

Global 

Le-

gal 

Landscape 

of 

Space:  Who  Writes 
the  Rules  on  the  Fi-
nal  Frontier?,  Sophie 
Goguichvili, 

Alan 

Linenberger  &  Am-
ber  Gillett, 

Wilson 

Center,  2021  Octo-
ber, 참고

3.  유엔  우주규제기관에  관

한  내용은  UNOOSA의 
홈페이지에  기재된  문서 
및 정보를 참고하여 작성
함. 

https://www.un-

o o s a . o r g / o o s a / e n /
a b o u t u s / r o l e s - r e -
sponsibilities.html(
최종방문  2023.  11월 
20일)

4.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하

여  총  100개의  회원국, 
45개  옵서버가  참여하고 
있는 등 우주활동을 하는 
모든 국가가 가입되어 있
어 실질적인 우주분야 국
제기구의 역할을 수행 중
임. 매년 6월경에 오스트
리아 빈에서 본회의를 개
최함

Ⅱ. 현행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2)

1.  유엔 우주 규제 기관3)

   (1) 외기권위원회 (UN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COPUOS)4)


background image

28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2) 법률소위원회와 과학기술소위원회

5)

   (3) 유엔우주업무사무소(UN Office of Outer Space Affairs, UNOOSA)

5.  매년  과기소위(2월),  법

률소위(4월)가  비엔나에
서 각각 1회씩 개최됨

소위원회


background image

29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6.  국제  우주법의  기초를 

형성하는  다자간  조약으
로  UN의  후원으로  협상 
및 초안이 작성되었으며, 
1967년  10월  10일  발
효됨.  2020년  11월  현
재  111개국이  비준하고 
23개국이 서명함

7.  COPOUS  작업을  통하

여  1967년  12월  UN 
총회  결의로  채택되어 
1968년 12월 발표됨

8.  UN총회에서  1971년  채

택되고,  1972년  9월  발
효됨

2.  유엔 우주 조약

   (1) 우주조약

6)

   (2) 구조협정

7)

   (3) 책임협약

8)


background image

30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4) 등록협약

9)

10)

   (5) 달조약

11)

9.  1975년  1월  UN총회  결

의로  채택되어  1976년 
발효됨

10.  2023년  LSC  등록협

약,  Mega  Constel-
lation관련  주요  쟁점
이었음

11.  유엔  총회에서  1979

년  12월에  채택,  1984
년  7월에  발표됨.  2023
년  11월  현재  25개국이 
비준함

12.  UN  전게서  23p  내용

을 바탕으로 저자 번역

3.  유엔 5가지 원칙과 가이드라인

<표 1> 외기권 원칙과 선언12)

외기권의 탐사와 활용에 있어서 국가 활동을 규율하는 법적 원칙 선언
Declaration of Legal Principles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인공위성에 의한 국제 직접 텔레비전 방송을 규율하는 원칙 (방송 원칙)
Principles Governing the use by States of Artificial Earth Satellites for 
International Direct Television Broadcasting 

외기권에서 지구의 원격 감지에 관한 원칙(원격감지원칙)
Principles Relating to Remote Sensing of the Earth from Outer Space 

1963

1982

1986


background image

31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우주공간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국제협력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General Assembly resolution 1721 (XVI))

TU 결의안 ITU-R S.1003 – 정지위성 궤도의 환경보호
ITU recommendation ITU-R S.1003 
– Environmental protection of the geostationary-satellite orbit

“발사국가” 개념의 적용(총회 결의안 59/115)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the “launching State”
(General Assembly resolution 59/115)

1961

1993

2004

13.  UN  전게서  24p  내용을 

바탕으로 저자 번역

<표 2> 외기권 결의안과 가이드라인(OUTER SPACE RESOLUTIONS AND GUIDELINES13)

외기권평화적이용위원회의 우주잔해물 저감 가이드라인 
Space Debris Mitigation Guidelines of the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외기권의 평화적 탐사 및 이용에 관련된 국내 법제에 관한 권고사항(총회 결의안 68/74) 
Recommendations on national legislation relevant to the peaceful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General Assembly resolution 68/74)

외기권평화적이용위원회의 외기권 활동의 장기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침  Guidelines 
for the Long-term Sustainability of Outer Space Activities of the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외기권에서의 원자력 이용을 위한 안전 프레임워크 
Safety Framework for Nuclear Power Source Applications in Outer Space

우주 물체 등록에 관한 국가 및 정부간국제기구의 관행 개선에 관한 권고 사항 
(총회 결의안 62/101)
Recommendations on enhancing the practice of States and international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registering space objects
(General Assembly resolution 62/101)

투명성 및 신뢰구축 조치의 실질적인 이행을 촉진하기 위한 권고사항 
Recommendations to promote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ransparency 
and confidence-building measures in outer space activities of the Group of 
Governmental Experts on Transparency and Confidence-Building Measures in 
Outer Space Activities

2007

2013

2019

2009

2007

2013

개발도상국의 필요를 특별히 고려하여 모든 국가의 이익을 위한 외기권의 탐색 및 이용
에 관한 국제 협력에 관한 선언 
Declaration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for the Benefit and in the Interest of All States, Taking into Particular 
Account the Needs of Developing Countries

외기권에서 원자력 발전원 사용과 관련된 원칙(원자력발전원 원칙)
Principles Relevant to the Use of Nuclear Power Sources in Outer Space

1992

1996


background image

32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스페이스2030” 의제 : 지속가능한 발전 동력으로서의 우주 (총회 결의안 76/3) 
The “Space2030” Agenda: space as a driver of sustainable development (General 
Assembly resolution 76/3)

ITU 결의안 218 - “스페이스2030” 의제 : 지속가능한 발전 동력으로서의 우주 이행 관
한 ITU의 역할과 후속조치 및 검토 과정 
ITU resolution 218 – ITU’s rol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Space2030” Agenda: 
space as a driver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ts fol ow-up and review 
process

2021

2022

14.  https://www.hani.

co.kr/arti/science/
s c i e n c e _ g e n e r -
al/1068659.html

III. 새로운 거버넌스 필요성과 관련 논의-우주자원을 중심으로-

1.  새로운 거버넌스의 필요성

14)


background image

33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15.  NASA, 

‘Artemis’, 

available  at  https://
w w w . n a s a . g o v /
specials/artemis/.

16.  2023년  11월  현재  서

명국은  31개  국가임
(Argentina, 

Austra-

lia,  Bahrain,  Brazil, 
Canada, 

Colombia, 

Czech  Rep.,  Edu-
ador,  France,  Ger-
many,  Iceland,  India, 
Israel,  Italy,  Japan, 
Luxembourg, 

Mex-

ico, 

Netherlands, 

New  Zealand,  Nige-
ria,  Poland,  Repub-
lic  of  Korea,  Roma-
nia,  Rwanda,  Saudi 
Arabia, 

Singapore, 

Spain, 

Ukraine, 

United  Arab  Emir-
ates,  United  King-
dom,  United  States 
of  America).  대한민
국도  2021년  5월  24
일  아르테미스  약정에 
서명함

17.  오시진,  ‘국제우주법체

계상  아르테미스  약정
의 함의’, 국제법평론, 제
60호,  36페이지,  2021
년 10월 

18.  오시진,  전게서,  41페

이지

2.  아르테미스 약정(Artemis Accord)

15)

16)

17)

18)


background image

34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19)

19.  오시진,  전게서,  42~43 

페이지 참조

20.  김영주,  2021년  “일본 

우주자원법의  입법구
조와  적용  논점”,  사법, 
2023년  제1권64호,  4
페이지

21.  “달과 기타 천체를 포함

한  외기권의  탐색과  이
용은  그들의  경제적  또
는  과학적  발달의  정도
에  관계없이  모든  국가
의  이익을  위하여  수행
되어야  하며  …  국제법
에 따라 모든 국가가 자
유로  이  탐색하고  이용
하며  천체의  모든  영역
에  대한  출입을  개방한
다.”

22.  이하의  논의는  제62

차  외기권위원회  법
률소위원회 

논의와 

보고서(Report 

of 

the  Legal  Sub-
committee 

on 

its 

sixty-sec-

ond 

session, 

held  in  Vienna 
from  20  to  31 
March  2023,  A/
A C . 1 0 5 / 1 2 8 5 ) 를 
바탕으로 작성함

3.  우주자원의 사유화를 둘러싼 논의

   (1) 국제법적 논의

20)

21)

   (2) 제62차 외기권위원회 법률소위원회 논의22)


background image

35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23.  러시와와  중국  등  국가

들은  현  국제우주법  체
계에는 천체의 천연자원
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
여 이러한 활동을 규제하
는 구체적인 조항이 포함
되어 있지 않다고 하면서
도,  외기권우주조약  제2
조의 비전용원칙 조항은 
법적 구속력이 있으며 우
주 공간에서 수행되는 모
든 활동에 적용되어야 한
다고 하며, 국가, 단체 또
는 개인이 행하는 어떠한 
행위도 달 및 기타 천체
를 포함한 우주 공간 전
체 또는 일부에 대한 소
유권을 확립하는 법적 근
거가 될 수 없다고 주장
하고 있음

24.  위에서  기술한  제62차 

외기권위원회  법률소위 
논의에서  알  수  있듯이, 
캐나다,  룩셈부르크,  뉴
질랜드,  독일  등은  아르
테미스  약정  서명국이
라도 아르테미스 약정을 
주도한 미국 등과 의견을 
전적으로 같이 하고 있지
는 않음

23)

IV. 나아가며

24)


background image

36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참고 문헌


background image

37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40

백기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략기획본부

정책팀 선임연구원

bkt@kari.re.kr

1. 서 론

초  록

* 본 논문은 2023년 10월 11일 개

최된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추계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토론을  통해  발표 

내용의 한계를 짚어주신 분들과 논

문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신 익명의 

심사위원께 감사드린다.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

산업 구조 및 생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
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background image

41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41

1. 조현구.  (2018).  통계와  정책의 

연계  강화방안  연구:  ‘통계기반
정책평가제도’에  대한  게임이론
적  접근.  인문사회과학연구,  61, 
117-136..

2. 박민규 & 김대진. (2021). 증거기

반 정책형성제도로서 통계기반 정
책관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정책개발연구, 21(1), 1-39.


background image

42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3. OECD  (2022),  OECD  Hand-

book  on  Measuring  the  Space 
Economy,  2nd  Edition,  OECD 
Publishing,  Paris,  https://doi.
org/10.1787/8bfef437-en.


background image

43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2. 정부의 우주산업 정책 변화

출처: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

<그림 1>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의 우주정책 범위 확장


background image

44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표 1> 주요 우주산업 정책 목표와 우주산업 실태조사 비교

4. 전자공시시스템(DART),  K-RE-

PORT,  비즈노  3개  사이트를  이
용하여 조사.


background image

45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표 2> 해외 주요기관들이 분석한 우주산업 밸류체인의 예

3. 국내 우주산업의 구조

기관

기관

호주 우주국

ESA

우주산업

통신위성 산업

PwC

Geo Awesome

우주산업

지구관측 위성 산업

영국 사업・에너지・ 

산업전략부(BEIS)

Frost and 

Sullivan

제조 및 핵심 투입물, 

우주 운영 등 4개 요소

R&D, 우주산업

등 4개 요소

위성 제조, 발사체 

등 8개 요소

업, 미드, 다운스트림 

등 5개 요소

위성제조, 발사서비스 

등 6개 요소

제조, 발사서비스 

등 5개 요소

위성 제조, 발사서비스 

등 5개 요소

우주시스템 개발 및 

발사 등 4개 요소

우주산업

소형위성 산업

Euroconsult

PwC

우주산업

항법 위성 산업

산업

산업

구성

구성

예시

예시

5. 임대현 & 이호신.(2015).기업데이

터를 활용한 밸류체인 정보 분석 
방안.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
회, 525-530.


background image

46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6. 0원: 백만원 미만을 의미


background image

47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자료: 2022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조사기준년도 2021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

   <그림 2> 우주산업 매출액 비중별 기업 분포(기업체수, %)

<그림 3> 국내 우주산업의 수요구조


background image

48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그림 4> 국내 우주기기제작 산업의 수요 및 공급구조

주) 점선 화살표로 표시한 R&D협약은 ’상업적‘ 거래가 아니며, 공급계약의 경우에만 ’상업적‘ 거래에 해당

7. 한국의  정부  우주개발  프로그램

은  주계약자(Prime  Contractor)
와의 R&D 협약으로 추진되고, 이
후 실제 개발과정에서의 하부 계약
은 기업들과의 공급계약으로 이루
어지는 경우가 많다. 미국, 유럽 등 
국가들의 우주 프로그램이 주계약
자와의 공급계약으로 추진되는 경
우가 많은 것과 다소 차이가 있다.


background image

49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그림 6> 국내 사용자 단말기 제조 산업의 수요 및 공급구조

<그림 5> 국내 위성 서비스 산업의 수요 및 공급구조


background image

50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4. 국내 우주산업 생태계 현황

  <그림 7>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 기업 규모(기업체 수)

8. 전자공시시스템(DART),  K-RE-

PORT, 비즈노 3개 사이트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하나의 기업이 다수
의 업종을 보유할 수 있으나 대표 
업종만 조사가 가능하였고 사이트
별로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일부 기업의 경우 한국표준산업분
류표상  대분류까지만  조사가  가
능하였다.


background image

51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그림 8> 2021년 우주산업 분야별 업종 현황(기업체 수)

<그림 9> 2021년 우주산업 분야별 업종 현황(매출액)


background image

52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구분

구분

위성체 제작

원격탐사

제조업(49)

정보통신업(17)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5)

제조업(4)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1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

정보통신업(1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4)

도매 및 소매업(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3)

-

정보통신업(4)

도매 및 소매업(5)

-

-

-

발사체 제작

위성항법

제조업(69)

제조업(41)

정보통신업(5)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3)

도매 및 소매업(8)

도매 및 소매업(6)

건설업(2)

-

지상국 및 시험시설

위성방송통신

정보통신업(8)

정보통신업(13)

제조업(16)

제조업(46)

도매 및 소매업(2)

건설업(4)

건설업(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1)

발사대 및 시험시설

우주보험

제조업(33)

금융 및 보험업(8)

건설업(5)

-

도매 및 소매업(10)

-

정보통신업(2)

-

업종

업종

<표 3> 우주산업 분야별 업종 현황(매출액 규모 순, 괄호: 참여기업 수)

<그림 10> 2021년 우주산업 분야별 업종 현황(평균 매출액)


background image

53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구분

완성품

장비

소재・부품

73.0%

4

기타

합계

비중(%)

4.8%

6.3%

15.9%

100.0%

기업수(개)

3

46

10

63

<표 4> 위성체 제작 분야 소재・부품・장비 기업 현황

9.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  시행규칙  [별표 
1]의  소재・부품・장비의  범위와  대
상 업종 기준에 따라 구분하였다. 

10. 초소형  위성  등  완성품의  기준

에 따라 기업의 수가 다르게 판
단될 수 있음. 


background image

54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5. 결론 및 시사점


background image

55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그림 11> 우주산업 실태조사 분류체계 개선방향


background image

56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참고 문헌


background image

57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background image

58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신상우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swshin@stepi.re.kr 

초  록

1.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의 중요성

1.1 지구관측 데이터

윤나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략기획본부 정책팀
nayoungy@kari.re.kr

김은정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략기획본부 연구혁신팀
ejkim@kari.re.kr


background image

59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59

<그림 1> 다목적실용위성 데이터로 관찰한 지구시스템의 변화

리비아 데르나 홍수(2023년 9월 13일)

미국 하와이 화재(2023년 8월 11일)

스페인 화재(2023년 9월 19일)

스위스, 이탈리아 마테호른(2022년 7월 31일)


background image

60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1.2 국제협력의 중요성


background image

61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2. 지구관측그룹(GEO) 

2.1 개요


background image

62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2.2 GEO 전략계획


background image

63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표 1> GEO 전략계획(2016-2025) 주요내용


background image

64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2.3 전지구관측시스템(GEOSS) 

<그림 2> 전지구관측시스템(GEOSS)에 참여하는 정부, 연구기관, 산업체

3. 주요 프로그램

3.1 GEO 작업 프로그램(GEO Work Programme) 2023-2025


background image

65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3.2 GEO 워킹그룹(GEO Working Group)

<표 2> GEO 워킹그룹 리스트

워킹그룹명

활동 내용

역량개발에 대한 GEO의 노력을 촉진하고, 공동 창조의 원칙을 촉진하며, 다양한 수
준의 개입에서 역량개발 활동의 설계, 개발, 실행 및 평가에 대한 개념적 지원 제공

지구관측 활용 발전 관련 포괄적인 GEO 기후 변화 대응 전략 개발 및 실행으로 기
후 적응 및 완화를 지원. 기후 변화에 관한 파리 협정과 관련된 조치 포함. 기후 변화
와 관련된 GEO 작업 프로그램 활동의 조정 및 활용을 개선하고, 유엔기후변화협약
(UNFCCC) 및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내에서 각국의 행동을 지원하
며, 기후 영역에서 GEO의 파트너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임무임

지구관측 활용을 발전시켜 GEO 내에서 일관성 있고 교차적인 접근법을 개발하고 실
행하여 국가 재난위험 경감 및 복원력을 지원. 유엔 재난위험경감사무국(UNDRR)의 
2015-2030 재난위험경감 센다이 체제와 같은 관련 글로벌 정책 체제에 대한 인식
을 증진하는 한편, UNDRR의 주요 GEO 연락 담당자 역할을 수행

역량개발 워킹그룹

(Capacity 

Development WG)

기후 변화 워킹그룹

(The Climate 

Change WG)

재난위험 경감 

워킹그룹

(The Disaster Risk 

Reduction WG)

지구관측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 정책, 데이터 라이선스 및 데이터 거버넌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EO 커뮤니티 및 외부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여 의사결정을 
위한 지구관측 활용 개선

데이터 워킹그룹

(The Data WG)


background image

66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3.3.1 지구관측그룹 글로벌 농업 모니터링(GEOGLAM)

3.3 GEO 플래그십(Flagships) 및 이니셔티브(Initiatives) 

워킹그룹명

활동 내용

지구관측의 활용을 발전시켜 GEO 내에서 일관되고 교차적인 접근 방식을 개발하고 
구현하여 인간 거주지, 도시, 국가의 도시 회복력과 지속 가능한 도시화 노력을 지원. 
다자간 협정 조항과 관련된 노력이 포함되며, 현재 유엔 차원에서 체제 역할을 하는 
신도시 의제를 강조하고 목표로 삼고 있음

회복력 있는 도시와 

인간 거주지 워킹그룹

(Resilient Cities 

and Human 

Settlement WG)


background image

67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3.3.3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를 위한 지구관측(EO4SDG)

   3.3.2 글로벌 숲 관측 이니셔티브(GFOI)


background image

68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3.3.4 GEO 블루 플래넷(GEO-BLUE-PLANET)


background image

69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3.3.5 글로벌 도시 관측 및 정보(GUOI)

4. 미국의 대응 USGEO


background image

70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4.1 USGEO 설립 과정 및 운영 목표

<그림 3> USGEO 운영 목표 및 주요 기능


background image

71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4.2 USGEO 운영 현황

   4.2.1 워킹그룹

   4.2.2 테스크팀


background image

72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표 3> USGEO 워킹그룹 운영 현황

워킹그룹명

활동 내용

• 지구관측 데이터 관리 원칙과 방법, 아키텍처, 표준, 정책, 이행 프레임워크 수립 

담당

• 국내외 이해관계자와의 조율, 데이터 수집/관리/전달 혁신 촉진, 국제데이터 표준 

개발 관련 미국의 리더십 역할 지원

•지구관측 데이터 사용자 요구사항 대비 지구관측 데이터・서비스 평가
•이를 기반으로 지구관측 시스템 계획 제안
•정부 지구관측 시스템 포트폴리오 평가를 위한 절차 수립

데이터 관리

• 글로벌 지구관측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국내 기관들을 조율 및 GEO 참여를 위해 

GEO 문서 검토 및 미국 이해와 입장 정리

• 국내 기관 간 또는 미국과 GEO 회원국 간 지구관측 활동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GEO 프로젝트 참여 방향에 대해 협의

• 지구관측 이슈에 대한 미국의 이해를 높이고자 국제기구, 사용자그룹, 민간기업과

의 다양한 협의 회의를 진행

국제협력

평가

• NASA의 위성시스템 엔지니어링과 예산 프로세스의 한 부분으로서 격년 주기로 

정부기관들의 위성 관측수요 조사 업무 진행. 2021년에 세 번째 위성 수요 조사 프
로세스가 완료되었고, 2022년에 네 번째 프로세스에 착수

위성 수요

<표 4> USGEO 테스크팀 운영 현황

테스크팀명

활동 내용

• 새로운 관측시스템 설계 시 지구관측 산업계 커뮤니티의 피드백 제공 기회 마련
•지구관측 커뮤니티 조율 장애 요소 완화 계획 수립

•국토 영상정보 관련 정부기관 수요 조사, 대안의 예산 대비 최적화 방안 마련
•국가 계획을 반영한 국토 촬영 아키텍처 연구 수행

참여

• USGEO 정부기관 간 조율 프레임워크 개발

프레임워크

• 향후 2~3년 이내 위험성 높은 지구관측시스템 우선순위 리스트 작업

지구관측 위험

국토영상

• 엑셀러레이터, 산업 클러스터 활동 등을 통한 지구관측 산업 생태계 발전 타당성 

연구 

• 성공사례 조사 지표 개발 및 혁신적인 지구관측 데이터 확보 등을 위한 열린 경쟁 

프로그램 마련

• 상업용 데이터 정부 구매 방법에 대해 상업용 데이터 공급/분석 업체들과 논의
•중소기업과 창업기업 비즈니스 개발을 위한 정책과 이슈 논의
• 문서 발간(환경 및 공간 데이터 획득을 위한 러퍼런스 가이드, 비연방정부 환경 데

이터 구매/확보 리스트, 미국 정부 상업용 지구관측 데이터 구매)

• 지구관측 분야 경제성 분석 자료 조사
• 지구관측 사회경제적 가치 정량화 방법 개발 및 지구관측 이익의 정성적/정량적 

예시 수집 및 발간

혁신

상업화

GEO 가치


background image

73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4.3 USGEO 발간 문서

   4.3.1 2013년 국가 지구관측 전략 및 2014년 국가 지구관측 계획 주요 내용


background image

74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4.3.2 2019 국가 지구관측 계획 주요 내용

5. 시사점


background image

75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background image

76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참고 문헌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80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I. 서 론

황진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책팀 책임연구원
과학기술정책학박사
cyhwang@kari.re.kr


background image

81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Ⅱ. 미국의 우주관련 법 및 우주정책체계


background image

82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정책・전략

행정명령・지침

법・규정

우주정책(Space Policy)
- National Space Policy(2006, 2010, 2020)
- US Space Priorities Framework(2021)
- A Strategic Framework for Space Diplomacy(2023) 등

우주전략(Space Strategy)
- National Security Space Strategy(2011)
- National Space Strategy(2018)
- Defense Space Strategy(2020) 등

미국법전(U.S Code)
- Title 51, National And Commercial Space Programs
- Title 52, Foreign Relations and Intercourse
- Title 50, War and National Defense

연방규정(CFR)
- Title 14, chapter III (상업우주발사), chapter V (NASA) 
- Title 22, ITAR (국제무기 거래규정)
- Title 15 EAR (수출관리규정) 등

행정명령(Executive Order)
- 국가우주위원회 부활(2017)
- 미국 우주사령부 설치(2018)
- 우주자원활용관련 국제사회 지지모색(2020) 등

우주정책지침(Space Policy Directive, SPD)
- SPD-1 (미국의 유인프로그램 활성화, 2017)
- SPD-2 (우주의 상업적 이용에 대한 효율화, 2018)
- SPD-3 (국가우주교통관리 정책, 2018)
- SPD-4 (미국 우주군 창설, 2019) 등

<그림 1> 미국의 우주법 및 우주 정책 체계(예)


background image

83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III. 트럼프 행정부의 우주정책

1. 총괄


background image

84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표 1> 미국 트럼부 행정부의 우주정책

테스크팀명

[Executive Order- 13803] Reviving the 
National Space Council

일자

발표주체

2017/06/30

트럼프

National Security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17/12

트럼프

[SPD-1] Reinvigorating America’s Human 
Space Exploration Program

2017/12/12

핵심내용

거버넌스

국가안보

유인 우주탐사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Protecting & Preserving Apol o Program 
Lunar Landing Sites & Artifacts

2018/03

우주탐사

대통령실, 과학기술정책실

(OSTP)

[Fact Sheet] America First National Space 

Strategy

2018/03/23

우주전략

트럼프

[SPD-2] Streamlining Regulations on 
Commercial Use of Space

2018/05/24

우주상업화, 

규제완화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National Near-Earth Object Preparedness 
Strategy and Action Plan, 

2018/06

지구근접물체

NSTC

[SPD-3] National Space Traffic 
Management Policy

2018/06/18

거버넌스, 조직, 

안보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e

Developing a Sustainable Spectrum 
Strategy for America’s Future

2018/12/25 전파주파수 안보

트럼프

[Executive Order- 13894] Establishing 
the United States Space Command as a 
Unified Combatant Command

2018/12/18

안보, 거버넌스, 

조직

트럼프


background image

85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테스크팀명

[SPD-4] Establishment of the United 

States Space Force 

일자

발표주체

2019/02/19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National Space Weather Strategy and 

Action Plan

2019/03/26

OSTP, NSTC

Driving Space Commerce Through 

Effective Spectrum Policy

2019/05

핵심내용

안보, 조직,

거버넌스

전략

우주상업화, 

주파수

OSTP

Launch of Spacecraft Containing Space 
Nuclear Systems

2019/08/20

우주원자력

트럼프

[Executive Order 13905] Strengthening 

National Resilience Through Responsible 

Use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Services

2020/02/12

항법, 안보

트럼프

[Amending Executive Order 13803] – 

Reviving the National Space Council

A New Era for Deep Spac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2020/02/13

2020/07/30

거버넌스, 조직

유인우주탐사, 

상업적 활용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Executive Order- 13914] Encouraging 

International Support for the Recovery 

and Use of Space Resources

2020/04/06

우주탐사, 
우주자원,  

국제협력

트럼프

Defense Space Strategy-Summary

2020/06/17

안보

트럼프

[Executive Order- 13961] Promoting 
Small Modular Reactors for National 
Defense and Space Exploration

2021/01/05

원자력, 안보, 

우주탐사

[SPD-5] Cybersecurity Principles for 
Space Systems

2020/09/04

안보, 인프라, 

통신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National Space Polic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20/12/09 우주프로그램의 우

선순위, 정책방향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SPD-6] National Strategy for Space 
Nuclear Power and Propulsion

2020/12/16

원자력, 

우주탐사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SPD-7] United States Space-Based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Policy 

2021/01/15

항법,

위성프로그램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National Orbital Debris Research
and Deveopment Plan

2021/01

우주쓰레기 

NSTC

National Strategy for Planetary Protection 2020/12/30

우주탐사 

National Space Council

자료: Space Policy Archive, The Center for Space and Strategy, The Aerospace Corp. 2023에서 일부 수정

2. 트럼프행정부의 우주정책지침


background image

86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background image

87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표 2> 트럼프 행정부의 우주정책지침

우주정책지침

(SPD)

주요 내용

NASA가 국제 또는 상업적 파트너와 협력하여 화성 유인우주미션을 수행하기 전에 
달에 우주비행사를 먼저 착륙시킬 것을 지시

SPD-1 (’17)

유인우주탐사

SPD-2 (’18)

상업우주

상업적 우주규제 수정을 통한 상업적 우주활동 장려: 발사 및 원격 감지 규제 완화, 
우주 상업화를 위한 ‘원스톱 쇼핑’ 사무실 조성, 주파수 수출 및 허가 정책 검토

SPD-4 (’19)
우주군 창설

공군 산하에 제 6 번째 군으로서 우주군 창설을 위한 법안 개발을 국방부 장관에 
지시

SPD-5 (’20)

우주 사이버보안

급증하는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국가 우주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사이버보안 원칙 
확립

SPD-6 (‘20)

우주 원자력

우주탐사와 국가안보를 위해 우주 핵추진 및 에너지 시스템의 개발과 사용을 지원하
는 전략으로 핵 안전, 보안, 그리고 비확산에 대한 기준 설정을 포함

SPD-7 (‘21)

위성항법(GPS)

GPS 및 이에 상응하는 PNT 서비스의 관리와 발전에 관한 정책으로 서비스의 안전
성과 신뢰성 강화방법에 대한 지침

SPD-3 (’18)

우주교통관리

우주상황인식(SSA) 및 우주교통관리(STM)를 위한 역할 및 책임 설정: 상무부는 미
국의 민간・상업적 파트너 및 국제파트너에 우주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데이터와 서
비스를 운용할 책임을 지님

1)

2)

1.  UN  우주조약(1967)  제

2조)  달과  천체를  포함
한  외기권은  주권의  주장
에 의해 또는 이용과 점유
에 의하여 또는 기타 모든 
수단에 의한 국가 전용(專
用,  appropriation)의  대
상이 되지 않는다.

2.  UN달협정(1979) 

11조  3  달의  표면  또는 
그  지하,  달의  어느  부분
이나 달에 위치한 천연자
원은 어느국가, 정부간 또
는 비정부간 국제기구, 국
가기관, 비정부간 기관 또
는 어떠한 자연인의 재산
이 될수 없으며 달의 표면
이나  그  지하에  요원,  우
주차량,  장비,  시설물,  기
지 및 설비들은 달의 표면
이나 그 지하를 연결하는 
구조물과 함께 달의 표면
이나 지하 또는 어느 지역
에 대한 소유권도 창설하
지  않는다고  하고,  이  항
의  규정은  제11조  제5항
에  언급된  ‘국제제도(In-
ternational 

Regime)’

를 손상하지 않는다.


background image

88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표 3> 아르테미스 약정의 주요내용

IV. 바이든 행정부의 우주정책


background image

89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3)

US Space Priorities Framework

(2021년, 국가우주위원회)

•미국의 우주 필요성 : 기술혁신 & 경제적 기회, 미국의 
   리더십과 국력의 원천

•미국의 우선순위 : 위미국의 우주우위, 기업경쟁력 
   유지, 우주안보, 우주의 장기지속성

견고하고 책임감 있는 미국 우주 기업 유지

1. 우주 탐사와 우주 과학 분야에서 리더십을 유지
2. 기후 변화에 대한 조치를 지원하는 우주 기반의 지구  
    관측 능력의 개발과 사용
3. 경쟁력이고 급성장하는 미국 상업 우주 분야를 
    가능하게 하는 정책과 규제 환경을 조성
4. 우주와 관련된 중요한 인프라를 보호하고 미국의 우주 
    산업 기반의 안보를 강화
5. 우주와 반-우주 위협의 범위와 규모가 커지는 것으로 
    부터 국가 안보 이익을 방어
6. 다음 세대에 투자

현재와 미래 세대를 위해 우주를 보존

1. 우주 활동의 글로벌 거버넌스를 강화하는 데 앞장
2. 우주 상황 인식(SSA) 공유와 우주 교통 관리(STM) 
    조정력을 강화
3. 우주의 지속 가능성과 행성 보호를 우선시

A Strategic Framework for Space

(2023년, 국무부)

•국무부 임무 : 우주분야 리더십을 유지하고, 우주탐사    
   와 평화적 이용을 통해 미국과 동맹국의 안보를 진전
   - 우주활동 질서 강화, 미국의 리더십 강화, 우주탐사 

      지원, 우주활용 확산

     - 민간 및 상업적 우주응용 분야에서 국제 협력 및 
        파트너십 강화
     - 양자/다자간 노력을 통해 미국과 동맹국의 안보증진
     - 우주산업, 우주과학 및 탐사 발전 : 아르테미스 협약은 
        미국의 민간 우주외교의 핵심
     - 수출통제 유지 및 개선 : 외교정책과 국가 안보 이익을 
        고려 등
     - 우주상황인식 및 국제적 대비

   *3개 전략 프레임워크와 54개 조치

3개 전략 프레임워크

1. 우주 외교 : 미래세대의 이익을 위한 우주정책 발전

     - 더 광범위한 외교 목표를 위해 미국의 우주활동 활용

2. 외교를 위한 우주

3. 우주외교를 위한 국무부의 인력 역량강화

<그림 2> 바이든 행정부의 포괄적 우주정책

3.  미국은 파괴적 직접 상승 

대위성(ASAT)  요격  미
사일 시험을 하지 않겠다
고 선언


background image

90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DoD Directive 3100.10 Space Policy
(2022.08, U.S. DoD)

•근거: 국가 우주 정책, 미국 우주 우선순위 프레임워크, 
   국가 방위 전략, 국방 우주 전략 및 미국법률(USC 10,    
   50, 51)

•국방부(DoD) 우주 관련 활동에 대한 정책 수립 및 
   역할분담

국방부의 역할

1. 우주를 국가 군사력의 우선순위 영역으로 인식, 다영역의 
    합동 및 군사작전 지원
2. 우주의 안전, 보안, 안정, 지속 가능성, 접근성 강화
3. 우주 영역에서의 접근과 자유로운 작전을 유지
4. 미국의 국가 안보 목적, 미국 경제, 그리고 미국의 동맹국들을         
    위한 우주의 사용을 보호하고 방어
5. 우주에서, 우주를 통해, 그리고 우주로의 작전을 수행,
    갈등 억제 능력을 제공 및 실패시 대응
6. 우주 환경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촉진하기 위한
    행동 규범을 수립, 시연, 유지하기 위해 국내외 협력
7. 미국 국방부와 정보 커뮤니티의 파트너십 강화
8. 우주 동맹을 강화하고 새로운 파트너십 구축
9. 국내 민간 및 상업 우주산업 활용 촉진

10~20 등

U.S. Space Force Vision for Digital
Service(2021. 05, U.S. Space Force)

•비전: Interconnected, Innovative, Digitally 
   Dominant Force

•집중분야: ① Digital Engineering, ② Digital Work Force, 
   ③ Digital Headquarters, and ④ Digital Operations

   *세계 최초의 완전한 디지털 서비스 군대를 추구

Combined Space Operations Vision 
2031(2022. 02, U.S. Space Command)

•비전: 국가안보 우주작전에서 주도적인 파트너로서 
   책임있는 행동을 하며 적용 가능한 국제법에 따라 
   적대적인 우주 활동에 대비하고 보호하며 방어

•임무: 우주에서의 행동의 자유를 유지, 임무 보장과 
   회복력을 강화, 충돌 방지를 위해 협력, 조정, 상호 
   운용성 기회를 생성하고 개선

•지침: ①우주의 자유로운 사용, ②책임있고 지속가능한 
   우주사용, ③주권을 존중하는 파트너십, ④국제법 준수

•목표: ①충돌방지, ②통일적 노력, ③우주임무보장, 
   ④방위 및 보호

<그림 3> 바이든 행정부의 국방우주정책


background image

91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background image

92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표 4> 바이든 행정부의 우주정책

제목

U.S. Space Force Vision for a Digital 

Service

일자

발표주체

2021/05/06

U.S. Space Force

[EO 14056] National Space Council

2021/12/01

조 바이든

[Policy Directive] United States Space 
Priorities Framework

2021/12/01

핵심내용

디지털 안보, 

인력양성

거버넌스, 조직

미국의 우주프로

그램 우선순위

National Space Council

Combined Space Operations Vision 2031

2022/02

우주 및 국방안보 U.S. Space Command

In-Space Servicing, Assembly, And 
Manufacturing National Strategy

2022/04/04

우주산업, 우주

에서의 제조

대통령실 과학기술정책실

(OSTP)

[Policy Directive] “Memorandum for 
Component Leaders” DHS Space Policy

2022/04/14

사이버, 안보, 

인프라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DHS)

[Fact Sheet] U.S. Commitment on 
Destructive Direct-Ascent ASAT Missile Test

2022/04/18

안보, 

우주요격무기

The White House

National Orbital Debris Implementation 
Policy

2022/07/28

우주폐기물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Council,

대통령실 과학기술정책실

(OSTP)

[DoD Directive 3100.10.] Space Policy

2022/08/30

안보, 정보, 조직, 

국방우주예산 

우선순위

미 국방부

National Low Earth Orbit Research and 
Development Strategy

2023/03/31 저궤도, 과학기술, 

R&D, STEM교육

대통령실 과학기술정책실

(OSTP)

A Strategic Framework for Space 
Diplomacy

2023/05/30

우주외교, 국제
협력, 거버넌스 

미 국무부

자료: Space Policy Archive, The Center for Space and Strategy, The Aerospace Corp. 2023에서 일부 수정


background image

93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V. 시사점 


background image

94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background image

95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참고 문헌


background image

96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background image

97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background image

98

우주개발과 인문학

임창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책팀 책임연구원

경영학 박사

changho@kari.re.kr

서언(

)


background image

 

99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1. 하재근,  “마션  신드롬,  한국인이

SF에 열광하는 이유”, 

     데일리안,2015.10.17

우주탐사에 속 인문학 이야기

   가. 중국

<그림 1> 예의 모습

자료: 위키피디아


background image

100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그림 2> 항아의 모습

자료: 위키피디아

<그림 3> 굴원의 모습

자료: 위키피디아

2. 문소영,  “[문소영의  문화  트렌

드]  달  탐사와  절묘하게  어울리
는  ‘항아분월’  신화”,  중앙선데이, 

2013.12.22.


background image

101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모습

명칭

첫 임무

신화, 설화

임무

선저우(神舟)

창어(嫦娥)

텐궁(天宮)

위투(玉兎)

췌차오(鵲橋)

텐원(天問)

주릉(祝融)

신의 배

달의 여신

하늘궁전

달 토끼

우랑직녀

하늘에 묻다

불의 신

유인우주선

달 착륙선

유인우주정거장

달 탐사로버

통신중계위성

화성탐사선

화성탐사로버

1999년

2007년

2011년

2013년

2018년

2021년

2021년

2003년 첫 유인우주비행

2019년 창어4호 달 뒷면착륙

2011년 선저우8호와 도킹성공

2019년 창어4호 탑재, 탐사활동

창어4호 달 뒷면 통신중계

미, 러에 이어3번째 화성착륙

텐원에 실려발사 후 사진전송 성공

특이사항

<표 1> 중국 우주탐사선 이름과 설화

자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블로그

3. 중국  전국시대  초나라  시인이

자 정치가

4. 조선시대  윤선도가  1651년(효

종2년)에  보길도를  배경으로  지
은 연시조

   나. 미국

<그림 4> 아폴로11호버즈올드린 실험장면

자료: NASA


background image

102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background image

103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다. 유럽

<그림 5> 아르테미스 계획

자료: NASA


background image

104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그림 6> 바쿠스와 아리아드네

자료: 위키백과

   라. 인도, 일본


background image

105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그림 7> 찬드리안3호

자료: ISRO

   마. 우리나라 우주개발 프로그램 명칭

5. United Nations Office for Outer 

Space  Affairs,  UN  COPUOS회원
국들은  우주물체  등록협약에  따
라  우주물체를  UN에  등록하도록 
되어 있음.


background image

106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결언(

)


background image

107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그림 8> 아르테미스 2호 우주인들

자료: NASA


background image

108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참고 문헌


background image

109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우주정책연구 8권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방대학교 교수

방위사업청 전문관

김지희

장태진

박상중

임상민

편 집 위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