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다누리 달에서 임무 수행 이상無!.hwp

닫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3. 4. 12.(수) 12시

(2023. 4. 13.(목) 조간)

배포

2023. 4. 12.(수) 09:00

다누리, 달에서 임무 수행 이상無!

- 다누리, 달 뒷면의 생생한 크레이터 영상 등 공개

- 다누리 홈페이지에서 다누리 관측자료, 실시간 위치 공개 서비스 시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이하 항우연’)은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의 고해상도 영상을 공개했다.

다누리는 3월 22일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지역, 3월 24일 슈뢰딩거 계곡 지역과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지역을 촬영했다. 이는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달 뒷면을 촬영한 사진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한 3월 24일에 촬영한 사진들은 다누리가 달 궤도를 1,000회 공전한 날에 찍은 사진이라는 점에서도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 다누리의 달 뒷면 촬영 결과 >

[3월 22일,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사진]

[3월 24일, 슈뢰딩거 계곡 사진]

[3월 24일,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우측 크레이터) 사진]

모든 영상은 다누리에 탑재된 고해상도카메라(LUTI)가 촬영한 것으로 달 지표의 크레이터, 크레이터 내 우뚝 솟은 봉우리 등의 자세한 형상까지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같은 고해상도 영상은 향후 달 지표의 구성 성분이나 크레이터 내 봉우리의 형성 과정 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과기정통부와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영득, 이하 천문연’)은 광시야편광카메라 촬영 영상도 공개했다. 광시야편광카메라는 달 표면 토양의 입자크기와 조성에 따라 빛을 반사하는 특징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 달 표면 편광영상으로 표토입자 크기 및 조성을 알아내기 위해 개발한 탑재체이다. 이번 촬영 영상에서는 파장, 편광 필터의 종류에 따라 밝기가 뚜렷하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향후 달 표면의 입자, 조성 분포 연구를 위한 충분한 역량을 확보했음을 알 수 있다.

< 광시야편광카메라가 관측한 비흐만 크레이터의 6개 채널 편광영상 >

[320nm 파장, 편광필터 없이 촬영한 영상]

[430nm 파장, 60도 방향 편광 필터로 촬영한 영상]

[430nm 파장, 120도 방향 편광 필터로 촬영한 영상]

[430nm, 0도 방향 편광 필터로 촬영한 영상]

[750nm, 0도 방향 편광 필터로 촬영한 영상]

[750nm, 90도 방향 편광 필터로 촬영한 영상]

자기장측정기(경희대 개발)와 감마선분광기(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개발)도 정상적으로 관측 데이터를 획득 중이다. 자기장 변화자료는 달의 구조 및 이상 자기장 영역 연구와 향후 달 탐사를 위한 우주환경 자료 제공에 활용할 계획이며, 감마선분광기 측정자료는 달 표면의 감마선, 엑스선, 중성자 환경 등의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다.

다누리 탑재체의 달 관측자료를 통한 달 과학연구성과도 ‘24.1월부터 공개할 계획이다. 고해상도카메라의 촬영영상은 보정작업을 거쳐 ’24.1월부터 순차적으로 일반에 공개할 계획이며, 광시야편광카메라의 관측자료로 만든 세계 최초의 달 전면 편광지도도 ‘24.1월에 공개할 계획이다. 또한 자기장측정기의 자기장 분석자료와 감마선분광기의 달 표면 감마선 스펙트럼 자료도 ‘24.1월에 공개할 계획이다.

한편 다누리 홈페이지(www.kari.re.kr/kplo)를 통해 다누리가 정상임무를 수행하면서 촬영한 영상 등 관측 자료를 지속적으로 공개하고, 4월 12일부터 달 궤도 상 다누리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할 것이다. 또한 탑재체를 개발한 각 기관에서도 향후 자체 보도자료를 통해 구체적인 달 과학연구 성과를 공개해 나갈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조선학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다누리가 달에서 순조롭게 관측 영상과 데이터를 보내오고 있다. 올해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달 과학연구 성과를 공개할 계획이니, 다누리의 임무 종료까지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지지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붙임1. 고해상도카메라 -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영상

붙임2. 고해상도카메라 - 슈뢰딩거 계곡 영상

붙임3. 고해상도카메라 -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영상

붙임4. 광시야편광카메라 비흐만 크레이터 영상

붙임5. 자기장측정기 달 주변 우주공간 자기장 관측자료

붙임6. 감마선분광기 달 표면 감마선 분광자료

붙임7. 다누리 홈페이지 상 실시간 위치 확인 예시

담당 부서

거대공공연구정책관

책임자

팀 장

전승윤

(044-202-4671)

뉴스페이스정책팀

담당자

사무관

장동수

(044-202-4642)

유관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운영책임

업무리더

조영호

(042-860-2748)

고해상도카메라 책임자

책임연구원

김동규

(042-870-3925)

한국천문연구원

편광카메라 책임자

책임연구원

최영준

(042-865-3266)

경희대학교

자기장측정기 책임자

교수

진호

(031-201-386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감마선분광기 책임자

센터장

김경자

(042-868-3669)

붙임1

고해상도카메라 -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영상

* 달의 반대쪽 면에 위치한 대형 충돌구로 러시아 과학자 콘스탄틴 치올콥스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러시아 루나 3호에서 처음 발견한 이래 여러 미국 달 궤도선과 아폴로 계획의 우주비행사에 의해 촬영된 바 있음.

촬영 시작시간

2023-03-22 06:19:10 (KST)

2023-03-21 21:19:10 (UTC)

달표면 좌표

남위 20.379°, 동경 128.971°

촬영 소요시간

40 초

달표면 명칭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Tsiolkovskiy Crater and Peaks)

촬영 환경

달의 남극북극 이동 중 서쪽동쪽으로 자세기동하여 촬영

다누리가 촬영한 전체 영상 (영상폭 ~220 km)

상세 영상(ABCD 위치별)

A (영상폭 ~50 km)

B (영상폭 ~10 km)

C (영상폭 ~40 km)

D (영상폭 ~45 km)

달에서의 위치(출처: quickmap.lroc.asu.edu)

달 뒷면

영상폭 ~280 km

붙임2

고해상도카메라 - 슈뢰딩거 계곡* 영상

* 슈뢰딩거 계곡은 달 뒷면의 슈뢰딩거 충돌구 주변의 길이 320km, 폭 8~10km의 계곡이며 슈뢰딩거 충돌구 생성 시 함께 부가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됨. 이와 같은 긴 계곡 형태의 지형은 달의 조석력 등에 의해 여러 개로 쪼개진 작은 운석 무리가 줄지어 동시에 충돌하면서 생성된 것으로 사슬형 충돌구 (Crater Chain)으로 불림.

촬영 시작시간

2023-03-24 07:14:16 (KST)

2023-03-23 22:14:16 (UTC)

달표면 좌표

남위 66.423°, 동경 104.884°

촬영 소요시간

40 초

달표면 명칭

슈뢰딩거 계곡

(Vallis Schrödinger)

촬영 환경

달의 남극북극 이동 중 동쪽서쪽으로 자세기동하여 촬영

다누리가 촬영한 전체 영상 (영상폭 ~130 km)

확대 영상 (영상폭 ~50 km)

달에서의 위치 (출처: quickmap.lroc.asu.edu)

영상 폭 ~130 km

달 뒷면

붙임3

고해상도카메라 -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영상

* 달 뒷쪽의 북위 31도 부근에 위치한 직경 약 23km의 분화구로서 주변 테두리는 후속 충격에 의해 모양이 변형된 것으로 추정. 제2차 세계대전 중 핵 연쇄반응을 이론화 한 레오 실라르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함.

촬영 시작시간

2023-03-24 07:40:50 (KST)

2023-03-23 22:40:50 (UTC)

달표면 좌표

북위 31.247°, 동경 106.712°

촬용 소요시간

40 초

달표면 명칭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Szilard M Crater)

촬영 환경

달의 남극북극 이동 중 서쪽동쪽으로 자세기동하여 촬영

다누리가 촬영한 전체 영상 (영상폭 ~200 km) 우측 크레이터가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확대 영상 (영상폭 ~55 km)

달에서의 위치 (출처: quickmap.lroc.asu.edu)

영상폭 ~180 km

달 뒷면

붙임4

광시야편광카메라 비흐만 크레이터* 영상

* 작은 원형 그릇 모양의 달 충돌 분화로 최대 직경 약 62km로서 독일 천문학자 모리츠 비흐만의 이름을 따서 명명함.

촬영 시작시간

2023-01-12 01:22:10 (KST)

2023-01-11 16:22:10 (UTC)

달표면 좌표

남위 7.536°, 서경 38.130°

촬영 소요시간

54 초

달표면 명칭

비흐만 크레이터 지역

(Wichmann crater region)

촬영 환경

달의 남극북극 이동 중 촬영

광시야편광카메라가 관측한 비흐만 크레이터의 6개 채널 편광 영상

[320nm 파장, 편광필터 없이 촬영한 영상]

[430nm 파장, 60도 방향

편광 필터로 촬영한 영상]

[430nm 파장, 120도 방향 편광 필터로 촬영한 영상]

[430nm, 0도 방향

편광 필터로 촬영한 영상]

[750nm, 0도 방향

편광 필터로 촬영한 영상]

[750nm, 90도 방향

편광 필터로 촬영한 영상]

달에서의 위치 (출처: quickmap.lroc.asu.edu)

 뒷면

붙임5

자기장측정기 달 주변 우주공간 자기장 관측자료

자기장측정기 관측 개요

자기장측정기는 달의 자기장을 측정하여 달 표면 자기이상 관측, 달 우주환경 조사, 달 구조 연구 등에 활용하기 위한 탑재체

- 달 궤도상에서 24시간 내내 매 1초에 10번씩 자기장 관측자료를 수집 중이며, 이번에 공개한 자료는 ‘23년 2월 4일 18시부터 24시까지 수집한 자료임

관측 결과

2월 4일, 다누리 자기장측정기 관측자료를 확인해보면 지구 자기장 영향권(뱃머리 충격파 영역, 자기꼬리 영역)에 들어가는 20시에서 22시 사이에 달 궤도에서의 자기장 세기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미국에서 운용 중인 달 과학위성(테미스) 관측자료와 다누리 자기장측정기의 관측자료가 유사한 파형을 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누리 자기장측정기가 정상적으로 관측 중인 것을 알 수 있음

[다누리의 자기장측정기 관측자료]

붙임6

감마선분광기 달 표면 감마선 분광자료

감마선분광기 관측 개요

감마선분광기는 달 표면에서 나오는 감마선을 측정하는 탑재체로,

- 달 표면의 방사선원소별로 고유한 에너지준위(keV)의 감마선을 방출하는 것을 이용하여 달 표면원소를 구별하는데 활용하고, 달의 우주방사선 환경지도 등을 작성하는데 활용 예정

다누리의 감마선분광기는 달 궤도상에서 24시간 내내 매 10초마다 달의 감마선 관측자료를 수집 중

- 이번에 공개한 자료는 ‘23년 1월 1일부터 1월 9일까지 9일간 수집한 자료임

관측 결과

감마선분광기 측정자료(스펙트럼)를 보면, 특정에너지(keV)에서 스펙트럼이 봉우리를 이루는 피크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이는 감마선분광기로 관측한 지역에 특정에너지(keV)의 감마선을 방출하는 특정원소가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냄

중국 창어-2의 감마선 관측자료는 300keV 이상의 영역부터 유의미한 관측값을 보이나, 다누리의 감마선분광기는 30keV 이상의 영역부터 유의미한 관측값을 보임

- 이는 다누리의 감마선분광기가 창어-2보다 더 낮은 에너지준위(keV)감마선을 방출하는 원소도 검출할 수 있음을 나타냄

[다누리 감마선분광기 관측 자료]

[중국 창어-2 감마선 관측 자료]

붙임7

다누리 홈페이지 상 실시간 위치 확인 예시

[다누리 현재위치 확인 서비스 화면(기본 화면)]

[다누리 현재위치 확인 서비스 화면(촬영지점 클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