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기반의 지형 맵을 이용하여 등고선을 생성하
고 생성된 등고선을 기초로 안전 착륙 지점을 탐색하는 기술
기술개요
KARI Sales Material Kit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술소개자료
기술분류 : 인공위성 분야
거래유형 : 추후 협의 기술 가격 : 별도 협의
연구자 정보 : 정유연 / SSA연구실
기술활용분야
시장동향
• 세계 우주탐사분야 정부 예산 투자 규모는 2027년에 200억 달러로 증가할 전망
→ 미국, 중국, 러시아, 유럽, 일본, 인도 등 우주 선진국 우주탐사 활동 확대와 UAE 및
우리나라와 같은 신규 국가의 우주 탐사 활동 참여도 증가할 추세
• 유로컨설트 자료에 따르면, 2027년까지 우주/행성 탐사선 80기가 발사 예정이며
이 중 30기는 상업 목적으로 민간에 의해 개발 중
• 우주 탐사(천체 탐사)산업에 활용
기술이전 상담 및 문의 : 기술사업화실 | 원유선 선임 | 042-870-3639 | yswon@kari.re.kr
TRL5
(출처: 미항공우주국)
TRL6
기술완성도
※ TRL3 : 연구실 규모의 성능 검증
TRL1
TRL2
TRL3
TRL4
TRL7
TRL8
TRL9
기초이론/
실험
실용목적
아이디어/
특허 등
개념 정립
연구실
규모의
성능 검증
연구실
규모의
부품/시스템
성능평가
시제품 제작
/성능평가
Pilot 단계
시작품
성능평가
Pilot 단계
시작품
신뢰성 평가
시작품 인증
/표준화
사업화
TRL5
(출처: Euroconsult, 2018)
분야
2017년
2027년
수송시스템
77억 달러
88억 달러
궤도인프라
35억 달러
53억 달러
달 탐사
5억 달러
28억 달러
화성 탐사
15억 달러
13억 달러
기타 심우주 탐사
14억 달러
19억 달러
분야
2008~2017년
2018~2027년
달 탐사선
8기
50기
화성 탐사선
6기
10기
기타
5기
18기
< 세계 우주탐사 분야 정부 예산 투자 규모 >
< 세계 우주탐사선 발사 현황 >
기술구현
No.
특허명
특허(출원)번호
1
지형맵에 대한 등고선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 착륙 지점을
탐색하는 안전 착륙 지점 탐색 장치, 및 안전 착륙 지점 탐색 방법
10-2019-143976
KARI Sales Material Kit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술소개자료
안전 착륙 지점 탐색 장치를 통해 생성된 등고선 그룹들에 포함된 LEC들의 반경 정보 및 방법
지식재산권 현황
• 지형 맵에 대한 등고선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 착륙 지점을 탐색할 수 있음
- 안전 착륙 지점 탐색 장치가 지형 맵을 획득하는 단계 → 지형 맵을 이용하여 기준
최저 높이 값 및 높이 간격 값을 기준으로 등고선들을 생성하는 단계 → 등고선 지도
에서 하한 반경 이상의 반경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LEC를 검색하는 단계 → 하나
이상의 LEC 중에서 가장 큰 반경을 가지는 안전 착륙 지점을 출력하여 무인 탐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안전 착륙 지점 탐색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 가능 및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제공
개발기술 특성
기존기술 한계
• 일반적인 무인기 착륙 방법은 추가의 인력 유지 및 시설 확보, 장비 장착 등에
많은 비용이 소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파 방해에 의한 교란 문제에 쉽게 노출
• 움직이는 착륙 지점에 관한 비행체 유도의 한계 → 유동성을 가진 경우에는 착륙
지점의 위치를 실시간 전달해야 하는 문제점 발생
• 착륙 지점의 착륙 표적을 추적하는 동안 모든 영상 처리가 실시간 처리되어야 하
는 부담이 있으며 비행 자세 정보의 전달이 매우 취약하여 비행체의 즉각적인 반
응을 지연시키고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 발생
개발기술 특성
(안전 착륙 지점 탐색 장치)
(안전 착륙 지점 탐색 장치를 통해 생성된 등고선 그룹들에
포함된 LEC들의 반경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