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38. 발사체_임하영_발사체 연료 정제 장치 및 이를 주입하는 동축 전단형 인젝터.pdf

닫기

background image

• 액체추진제의친환경적연료로사용되는메탄을고순도로정제하는장치및이를포함한추진제연료

를연소기에주입하는동축전단형인젝터에관한기술

기술개요

KARI Sales Material Kit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술소개자료

기술분류 : 발사체 분야

거래유형 : 추후 협의 기술 가격 : 별도 협의

연구자 정보 : 임하영 / 기술사업화실

기술활용분야

시장동향

• 세계항공우주산업은2020년 6,469억불규모에서연평균3.4%로성장하여2025년7,641억

불규모에이를전망

• 부문별시장점유율을살펴보면, 민항기생산증가에따라부품/장비분야의동반성장이예

상되며, MRO 분야역시글로벌운용항공기증가및군용항공기노후화에따른군용MRO 수
요증가등을바탕으로꾸준한성장예상

• 최근스페이스X, 블루오리진등의주요업체를필두로국가가주도해왔던우주개발이민간

주도로바뀌는추세

• 개발이용이한소형발사체개발에나서는스타트업업체증가추세이며, 소형위성, 큐브샛

수요가증가함에따라소형발사체시장규모는점차증가될전망

TRL6

기술완성도

※TRL3 : 연구실규모성능검증완료

TRL1

TRL2

TRL3

TRL4

TRL5

TRL7

TRL8

TRL9

기초이론/

실험

실용목적

아이디어/

특허 등

개념 정립

연구실

규모의

성능 검증

연구실

규모의

부품/시스템

성능평가

시제품 제작

/성능평가

Pilot 단계

시작품

성능평가

Pilot 단계

시작품

신뢰성 평가

시작품 인증

/표준화

사업화

• 발사체,항공기등항공우주분야

• 고순도정제장치활용하는화학및제약산업분야

[세계 항공우주산업 시장규모 및 전망]

(출처: 경남지역 항공우주산업 현황 및 발전과제, 한국은행 경남본부, 2019 )

기술이전 상담 및 문의 : 기술사업화실 | 원유선 선임 | 042-870-3639  | yswon@kari.re.kr

6,469.8 

6,688.7 

6,915.1 

7,149.1 

7,391.0 

7,641.1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CAGR

3.4 %

(단위 : 억 불)

세계 항공우주산업 시장 규모 및 전망

[세계 항공우주산업 부문별 시장점유율 전망]


background image

기술구현

• 고순도메탄정제장치는정제단계를최소화할수있도록단순한장치를이용한구성을가져설치

및보수가용이

• 액화천연가스를구성하는성분중메탄의끓는점을이용해정제하므로고순도의메탄을저비용및

고효율로정제가능

• 동축전단인젝터는파일론이포스트의전면을차지하도록길게설치하여진동발생을최소화

• 액체연료가공급되는홀의형상을다각형으로하여액체연료에회전을보다효율적으로제공

• 3D프린터를이용하여복잡한형태를하나의부품으로제작하여안전성을높임

개발기술 특성

기존기술 한계

• 종래의액화천연가스를정제하는장치는구성요소가복합하여설치및보수가어려움

• 정제방법에따른메탄의순도함량에제한이있어일정이상의순도를가지는메탄을생산하기어려움

• 종래의동축전단인젝터는강한압력으로분사되는액체및기체와부딪히는포스트벽면에외팔보진동

이크게발생하여인젝터내구성하락및장기간사용의어려움

• 외팔보진동으로인한인젝터의미립화효율하락

개발기술 특성

지식재산권 현황

No.

특허명

특허(출원)번호

1

고순도메탄정제장치및정제방법

10-2019-0170597

2

동축전단형인젝터

10-2019-0100917

KARI Sales Material Kit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술소개자료

발사체 연료 정제 장치 및 이를 주입하는 동축 전단형 인젝터

본기술의고순도메탄정제장치및정제방법

• 액화천연가스(LNG)를구성하는성분들의끓는점 차이를이용하여

액화천연가스로부터순수한메탄을분리

• 이를포집해사용하거나다시액화시키는과정을통해고순도액체

메탄으로정제하는장치

본기술의동축전단형인젝터

파일론

파일론이 포스트의 전

면을 차지하도록 길게

설치하여 진동발생을

최소화

액체연료를 미립화 시

키기 위해 액체연료와

기체가 일정한 축을 기

준으로 동일한 방향으

로 유동

종래 복잡한 형태의 전

단형 인젝터를 3D프린

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제작해 부품

안정성을 높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