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405 조간 (보도) 달 탐사선 명칭 후보 톱10 선정.hwp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보 도 자 료 |
![]() |
보도 일시 |
2022. 4. 4.(월) 12:00 (2022. 4. 5.(화) 조간) |
배포 일시 |
2022. 4. 4.(월) 09:00 |
담당 부서 |
거대공공연구정책관 |
책임자 |
팀 장 |
윤미란 |
(044-202-4671) |
<총괄> |
뉴스페이스정책팀 |
담당자 |
사무관 |
장동수 |
(044-202-4642) |
「달 탐사선」 명칭 후보 톱10 선정 |
- 공모전 62,719건 접수, 국민 선호도 조사 등을 거쳐 5월초 확정 - |
<유관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책임자 |
실 장 |
노형일 |
(042-860-2206) |
붙임 1 |
달 탐사선 명칭 후보 10건 |
순번 |
명칭 |
의미 |
1 |
다가온 |
ㅇ‘달’과 ‘가온’의 합성어로, 달이 국민에게 새롭게 ‘다가올 것’이란 의미 ㅇ우리에게 다가오는 멋진 미래를 열어줄 달 탐사선을 의미 |
2 |
다누리 |
ㅇ‘달’과 누리다의 ‘누리’가 더해진 이름 ㅇ달을 남김없이 모두, 많이 누리고 오길 바라는 마음 |
3 |
다래온 |
ㅇ‘달에+온‘을 합친 뜻으로, 달에 도착한 달 탐사선을 의미 ㅇ우리나라의 달 탐사를 ON(시작)한다는 의미 |
4 |
다산 |
ㅇ다산 정약용 선생의 과학기술 업적을 기리고, 뜻을 이어 받자는 의미 ㅇ우주개발강국 도약의 첫 장인 달 탐사선을 상징 |
5 |
달마루지 |
ㅇ‘달+마루(최고)/마루지(이정표)’를 합친 뜻으로, 달로 향하는 최고의 이정표가 되어달라는 의미 |
6 |
달마주 |
ㅇ‘달’과 서로 똑바로 향하여 라는 의미의 ‘마주’를 합친 말 ㅇ대한민국이 우주강국들과 나란히 마주 설 염원을 담음 |
7 |
달수리 |
ㅇ달과 독수리를 합성하여 만든 단어 ㅇ독수리의 뛰어난 시각처럼 달 탐사선도 달을 자세히 관찰한다는 의미 |
8 |
미리온 |
ㅇ‘미리내(은하수)’와 ‘가온(중심)’을 합쳐 은하수의 중심을 의미 ㅇ넓은 우주 가운데 서서 우주 연구에 한 발짝 나아간다는 의미 |
9 |
별마루 |
ㅇ‘별’과 높다, 최고라는 의미의 ‘마루’를 합친 말 |
10 |
최순달 |
ㅇ우리별 1·2·3호 등의 개발을 주도한 고(故)최순달 박사를 기리는 의미 |
※ 순서는 가나다순
붙임 2 |
달 탐사선 명칭 공모전 추진경과 및 향후 일정 |
추진 개요
◦ (목적) 우리나라 최초 달 탐사선에 어울리는 참신하고 기억하기 쉬운 명칭을 국민 공모를 통해 선정하고 향후 공식명칭으로 활용
◦ (주최/주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공모내용
◦ 공모 공고문(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주최)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주관)은 국내 최초로 개발한 달 탐사선의 발사(‘22년 8월 예정)를 앞두고 의미 있고 국민이 부르기 쉬운 명칭을 발굴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달 탐사선 명칭공모전’을 진행합니다. 관심 있는 국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 (공모주제) 우리나라 최초 달 탐사선 명칭
- 국내 최초의 달 탐사 프로젝트에 어울리는 이름
- 우주개발 강국으로 도약하는 이미지를 상징할 수 있는 이름
- 참신하며 발음과 기억이 쉬운 이름
◦ (응모자격) 대한민국 국적의 국민(응모 횟수 제한 없음)
◦ (응모기간) 2021. 1. 26.(수) 오전 10시 ~ 2. 28.(월) 오후 18시
◦ (응모방법) 온라인 누리집(www.kari.re.kr/kplo)을 통한 응모 접수
- 접수 내용 : 제안 명칭, 제안 설명(200자 이내), 응모자 이름 및 전화번호
응모작 심사(안)
◦ (심사 기준) 주제 적합성, 상징성, 참신성, 발음·기억 용이성 각 25%
◦ (심사/선정) 2단계 심사(블라인드 심사)를 통해 후보작 선정 후 국민투표 및 전문가 평가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명칭 결정
- 최종 명칭의 응모자가 여러 명인 경우, 최종 심사에 참여하는 확대 전문가가 제안 설명을 평가하여 평가점수가 가장 높은 제안자를 결정
- 만약, 평가점수까지 동일한 경우에는 응모한 순으로 제안자 선정
심사 |
심사방법 |
1차 |
관계기관(과기정통부, 항우연, 천문연, 지질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경희대) 합동 심사 |
2차 |
전문가 평가(네이미스트, 카피라이터, 언론 등) |
최종 |
국민 선호도 조사 50% + 확대 전문가 평가 50% 합산 |
※ 전문가 심사는 최저점과 최고점을 배제한 나머지 인원의 평균점수 활용
※ 확대 전문가 평가 시 ‘저작권 협상 결과’를 심사기준에 추가
시상(안)
ㅇ (시상 계획) 대상 1명(발사참관 또는 상금 300만원) 포함 총 5명 시상
구분 |
시상 |
부상 |
대상(1명) |
과기정통부 장관상 |
발사 참관 기회*(미국) 또는 상금 300만원 중 택일 |
우수상(2명) |
항우연 원장상 |
상금 100만원 |
장려상(2명) |
항우연 원장상 |
상금 50만원 |
※ 제세공과금은 수상자 부담
* 발사 참관은 주최 측의 사정에 따라 취소 또는 내용이 변경될 수 있음
ㅇ (공개 검증) 수상 후보작을 10일 동안(게시일 제외) 응모 누리집(www.kari.re.kr/kplo)에 게시하여 부정행위에 대한 신고나 제보를 받는 공개 검증 실시
ㅇ (결과 발표) ‘22년 5월 초(예정), 온라인 누리집(www.kari.re.kr/kplo) 공지
붙임 3 |
달 탐사 사업 현황 및 향후계획 |
□ 개 요
ㅇ (사업목표) 달 궤도선(KPLO*)을 개발하고 해외발사체로 발사, 달 궤도에서 1년 임무를 수행하여 우주탐사 기반기술을 확보‧검증
* 달 궤도선(KPLO) :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ㅇ (사업기간/예산) ’16.1월~’22.12월(7년) / 약 2,367억원
ㅇ (주요내용) 달 궤도선 본체‧탑재체 개발, 미 항공우주국과 국제협력*
* 우리 궤도선에 미 항공우주국(NASA) 탑재체(ShadowCam)를 탑재하고, 미 항공우주국은 심우주항행기술, 심우주네트워크 무상사용 등을 지원
< 달 탐사선(달 궤도선) 관련 스펙 >
구 분 |
주요 내용 |
||||
본체 |
(임무기간) 1년 (운용궤도) 원형궤도(100Km×100Km) (전이궤도) BLT* |
||||
탑 재 체 (6개) |
고해상도카메라 (항우연) |
한국 달 착륙선 착륙 후보지 탐색 |
감마선분광기 (지자연) |
달 표면의 자원 유무 탐사 |
|
광시야편광카메라 (천문연) |
달 표면입자 분석 |
우주인터넷 (ETRI) |
심우주탐사용 우주인터넷 시험 |
||
자기장측정기 (경희대) |
달의 생성원인 연구 |
ShadowCam** (NASA) |
미국의 달 남극 유인착륙 후보지 검색 |
* BLT(Ballistic Lunar Transfer) : 지구와 태양 간 중력을 이용하여 달 궤도선 전이
** 달 100㎞고도에서 최적화된 탑재체로 NASA의 유인 달 남극 착륙(’24) Artemis미션의 착륙후보지 탐색을 위해 달 극지방 고위도 영구음영지역을 촬영
□ 향후 계획
ㅇ 달 궤도선 총 조립시험 완료(’22.5)
ㅇ 달 궤도선 발사*(’22.8.1) 및 달 궤도 전이(~‘22.12월)
* 발사체 : 스페이스 X사 Falcon-9 / 장소 :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캐너배럴 공군기지
ㅇ 달 궤도선 시운전(‘23.1월)및 정상 운영(~‘23.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