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323 조간 (보도) 「달 착륙선」의 과학임무 및 기술개발 참여기관 모집.hwp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보 도 자 료 |
![]() |
보도 일시 |
2022. 3. 22.(화) 12:00 (2022. 3. 23.(수) 조간) |
배포 일시 |
2022. 3. 22.(화) 09:00 |
담당 부서 |
거대공공연구정책관 |
책임자 |
팀 장 |
윤미란 |
(044-202-4671) |
<총괄> |
뉴스페이스정책팀 |
담당자 |
사무관 |
장동수 |
(044-202-4642) |
「달 착륙선」의 과학임무 및 기술개발 참여기관 모집 |
-「달 궤도선(올해 8월 발사)」후속 「달 착륙선」기획연구 착수 - |
<유관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책임자 |
부 장 |
천이진 |
(042-860-2757) |
담당자 |
- |
- |
- |
붙임 1 |
달 착륙선 사업 기획연구 개요 |
□ 달 착륙선 사업 개요
ㅇ 달 궤도선을 통해 확보된 탐사선 기술을 기반으로 1.5톤급 이상의 달 착륙선을 개발 및 차세대 한국형발사체를 통해 자력으로 발사하는 사업
□ 기획연구 목적
ㅇ 기술·일정·비용 측면에서 실현가능하고 구체적인 임무를 기반으로 한 달 착륙선 개발 추진계획 수립
□ 추진전략
ㅇ 차세대 한국형 발사체(1.5톤급 이상의 착륙선을 달 궤도에 투입가능)를 활용한 2030년대 자력 발사
ㅇ 각국의 달 탐사 계획과 글로벌 트렌드를 감안하여 2030년대 기술·임무 수준을 반영한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임무 및 기술개발 계획 도출
ㅇ 달 탐사 과학적 임무와 함께 미래 우주 현지자원활용 등 산업생태계 형성을 목표로 ‘뉴스페이스’ 시대 산업화·기술변화를 반영한 임무 도출
ㅇ 산학연 전문가 가운데 ‘실무자 중심’의 기획 실무단(Working Group) 구성
【실무단 명】Korean Lunar Lander Project Formulation Tiger Team
임무·프로그램 그룹 (기획연구 총괄) (Mission & Program Group) |
|||||||
기획연구 총괄 정책적·기술적 기준 제시 |
|||||||
과학기술 임무수립 워킹그룹 (Science & Technology Mission Formulation Working Group) |
착륙선 시스템·아키텍쳐 설계 워킹그룹 (Lunar Lander Systems & Architecture Design Working Group) |
||||||
실현가능한 구체적 임무 도출 임무 기술트리·예산·일정 계획 수립 |
달 착륙선 시스템 설계 시스템 기술트리·예산·일정 계획 수립 |
□ 주요일정
ㅇ ’22. 3월 ~ 4월 : 임무수요조사 및 기술개발 참여기관 조사
ㅇ ’22. 5월 ~ 8월 : 달 착륙선 개발 추진전략 및 세부계획 도출
붙임 2 |
2000년 이후 주요국 달 착륙임무 추진현황 및 계획 |
국가 |
달 탐사선 |
주관기관 |
발사일 |
발사체 |
임무(기타) |
미국 |
Artemis-1 (EM-1) |
NASA |
2022.3 이후(예정) |
SLS |
·유인 화성탐사선 지구-달 궤도 시험(무인) ·13개의 큐브위성을 달에 보냄 |
Lunar Gateway PPE |
NASA |
2024(예정) |
Falcon Heavy |
·지구-달 궤도 비행 Gateway의 첫 번째 모듈 ·태양전지 기반 50kW급 전력계 ·12.5kW급 전기 추력기 기술 시연 ·지구-달 궤도 상 탐사 등 유인 탐사 대비 |
|
상용 착륙선 (CLPS) |
민간기업 (NASA지원) |
2022~ |
상용 발사체 |
·민간개발 착륙선으로 달에 탑재체 보내는 서비스 제공(NASA의 지원 예정) |
|
중국 |
창어 3호 |
CNSA (China National Space Administration) |
2013.12.1 |
LM 3B |
·달지하구조 분석(GPR) ·달토양 화학조성 분석 ·로버(Yutu) : 달 지형관측 |
창어 4호 |
CNSA |
2018.5.20 (중계위성) 2018.12 (착륙선,로버) |
LM 4C LM 4C |
·달 뒷편(far side) 착륙 ·중계위성 이용, L2지점 통신구현 ·달이온층조사 ·중성자 및 방사선피폭조사 ·부화시험 ·로버(Yutu-2) -지표투과레이다 -가시및근적외선선 분광계 -중성자분석(물생성 근거조사) |
|
창어 5호 |
CNSA |
2020.11.23 |
LM 5 |
·구성 : 궤도선, 착륙선, 상승선, 귀환선 ·암석분광계, 지층투과레이더 ·드릴 및 샘플채취 장비 |
|
창어 6호 |
CNSA |
2024(예정) |
LM 5 |
·창어-5호 예비용 모델 발사 ·창어-5호와 유사한 임무 예정 |
|
러시아 |
LUNA 25 (Luna-Glob) |
ROSCOSMOS |
2022.7(예정) |
Soyuz 2.1b w/ Fregat |
·달 남극 지역 착륙 ·착륙기술 시연 ·로봇팔, 굴착기(약 30kg) |
Luna-Resurs (LUNA 27) |
ROSCOSMOS (ESA협력) |
2025(예정) |
Angrara A5 |
·달 남극 지역 착륙 ·달샘플채취용 드릴, 분석장비 |
|
인도 |
챤드라얀 2호 |
ISRO (Indian Space Research Organization) |
2019.7.22 |
GSLV |
·궤도선, 착륙선, 로버로 구성 ·착륙실패 ·착륙선 탑재체 -지진계(ILSA) -열물리시험장치(ChaSTE) -표면플라즈마측정기 -레이저반사판(LRA) ·로버 탑재체 -레이저분광계(LIBS) -X선분광계(APXS) |
챤드라얀 2호 |
ISRO |
2023(예정) |
GSLV Mk III |
·착륙선와 로버로 구성 |
|
일본 |
SLIM |
JAXA/ ISAS |
2022(예정) |
H-IIA |
·달 착륙 기술 시연 (100m 이내) |
LUPEX |
JAXA/ ISRO |
2024(에정) |
H-III |
·달 극지역 탐사 ·일본은 발사·로버, 인도는 착륙선 담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