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126 조간 (보도) 달탐사명칭공모.hwp
보도일시 |
2022. 1. 26.(수) 조간(온라인 1. 25. 12:00)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
||
배포일시 |
2022. 1. 25.(화) 09:00 |
담당부서 |
뉴스페이스정책팀 |
담당과장 |
윤미란(044-202-4671) |
담 당 자 |
최임영 사무관(044-202-4642) |
주관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홍보실 노형일 실장(042-860-2206), 정훈 연구원(042-870-3611) |
||
우리나라 최초 달 탐사선(달 궤도선), 국민 여러분께서 이름을 지어주세요 ◈ 달 탐사선(달 궤도선) 발사(8월) 앞두고 전국민 대상으로 명칭공모 실시 ◈ 대상 당선자에게‘달 탐사선 발사참관(美, 플로리다)’특전 제공 등 풍성한 혜택을 통해 의미 있는 명칭선정 및 공모전 참여 유도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이하 ‘항우연’)과 함께 대한민국 최초 우주탐사선인 달 탐사선(궤도선)의 이름을 정하기 위한 대국민 명칭공모전을 1월 26일(수) 오전 10시부터 2월 28일(월) 오후 6시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ㅇ 달 궤도선은 2016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현재는 우주환경시험 등을 진행하며 올해 8월 발사 일정에 맞추어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으며, 달 탐사선에는 임무수행을 위한 5개의 탑재체와 NASA의 ShadowCam이 탑재되어 있다.
< 참고 : 달 탐사선(달 궤도선) 관련 주요 내용 >
구분 |
주요 내용 및 달 탐사선 임무 |
||||
본체 |
(임무기간) 1년 (운용궤도) 원형궤도(100Km×100Km) (전이궤도) BLT* |
||||
탑 재 체 (6개) |
고해상도카메라 (항우연) |
한국 달 착륙선 착륙 후보지 탐색 |
감마선분광기 (지자연) |
달 표면의 자원 유무 탐사 |
|
광시야편광카메라 (천문연) |
달 표면입자 분석 |
우주인터넷 (ETRI) |
심우주탐사용 우주인터넷 시험 |
||
자기장측정기 (경희대) |
달의 생성원인 연구 |
ShadowCam** (NASA) |
미국의 달 남극 유인착륙 후보지 검색 |
* BLT(Ballistic Lunar Transfer) : 지구와 태양 등의 중력을 이용하여 달 궤도선 전이
** 달 100㎞고도에서 최적화된 탑재체로 NASA의 유인 달 남극 착륙(’24) Artemis미션의 착륙후보지 탐색을 위해 달 극지방 고위도 영구음영지역을 촬영
□ 우리나라는 1992년 ‘우리별 1호’를 통해 우주를 향한 첫 걸음을 시작한 이래 30년 만에 달 탐사에 이르는 역사적인 시간을 맞이하고 있다.
□ 달 궤도선은 올해 8월 스페이스 X사(社)의 팔콘-9 발사체에 실어 미국에서 발사될 예정이며, 4개월여 간의 궤도비행을 거쳐 같은 해 12월 달 궤도에 도착하고, 2023년 1년 간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 이번 공모전은 대한민국 우주탐사의 첫 장을 여는 달 탐사선(궤도선)에 어울리는 이름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발사성공 염원과 우리나라 최초 우주탐사라는 의미와 함께 참신하고 기억하기 쉬운 명칭을 응모할 수 있다.
ㅇ 본 공모전은 1월 26일(수)부터 2월 28일(월)까지 진행될 예정으로, 모바일이나 PC 홈페이지(www.kari.re.kr/kplo)를 통해 응모가 가능하다.
ㅇ 응모 종료 이후, 전문가 심사를 거쳐 대상 1명(과기정통부장관상), 우수상 2명(항우연원장상/각 상금 100만원), 장려상 2명(항우연원장상/각 상금 50만원)을 시상하고, 국민 선호도조사 참여자 중 추첨으로 100명에게 상품권 1만원도 증정할 예정으로, 결과는 4월 말 응모 홈페이지( 통해 발표할 계획이다.
- 특히, 대상작 제안자 1명에게는 과기정통부장관상 이외 미국에서 발사 예정인 달 궤도선의 발사장 현장 참관 또는 상금 300만원의 특전 기회가 제공될 예정이며, 대상작은 달 궤도선의 대내․외 공식명칭으로 사용되게 된다.
□ 과기정통부 권현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달 궤도선은 성공 시 우리나라는 세계 7번째 달 탐사 국가로서 우주탐사 역사에 첫 발을 내딛게 될 것”이라고 밝히면서 “이번 명칭 공모전에 큰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임영 사무관(☎ 044-202-4642) 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노형일 실장(042-860-2206)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붙임 1 |
달 탐사선 명칭공모전 추진 계획 |
추진 개요
◦ (목적) 우리나라 최초 달 탐사선에 어울리는 참신하고 기억하기 쉬운 명칭을 국민 공모를 통해 선정하고 향후 공식명칭으로 활용
◦ (주최/주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공모내용
◦ 공모 공고문(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주최)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주관)은 국내 최초로 개발한 달 탐사선의 발사(‘22년 8월 예정)를 앞두고 의미 있고 국민이 부르기 쉬운 명칭을 발굴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달 탐사선 명칭공모전’을 진행합니다. 관심 있는 국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 (공모주제) 우리나라 최초 달 탐사선 명칭
- 국내 최초의 달 탐사 프로젝트에 어울리는 이름
- 우주개발 강국으로 도약하는 이미지를 상징할 수 있는 이름
- 참신하며 발음과 기억이 쉬운 이름
◦ (응모자격) 대한민국 국적의 국민(응모 횟수 제한 없음)
◦ (응모기간) 2021. 1. 26.(수) 오전 10시 ~ 2. 28.(월) 오후 18시
◦ (응모방법) 온라인 웹페이지(www.kari.re.kr/kplo)를 통한 응모 접수
- 접수 내용 : 제안 명칭, 제안 설명(200자 이내), 응모자 이름 및 전화번호
응모작 심사(안)
◦ (심사 기준) 주제 적합성, 상징성, 참신성, 발음·기억 용이성 각 25%
◦ (심사/선정) 2단계 심사(블라인드 심사)를 통해 후보작 선정 후 국민투표 및 전문가 평가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명칭 결정
- 최종 명칭의 응모자가 여러 명인 경우, 최종 심사에 참여하는 확대 전문가가 제안 설명을 평가하여 평가점수가 가장 높은 제안자를 결정
- 만약, 평가점수까지 동일한 경우에는 응모한 순으로 제안자 선정
심사 |
심사방법 |
1차 |
관계기관(과기정통부, 항우연, 천문연, 지질연, ETRI, 경희대) 합동 심사 |
2차 |
전문가 평가(네이미스트, 카피라이터, 언론 등) |
최종 |
국민 선호도 조사 50% + 확대 전문가 평가 50% 합산 |
※ 전문가 심사는 최저점과 최고점을 배제한 나머지 인원의 평균점수 활용
※ 확대 전문가 평가 시 ‘저작권 협상 결과’를 심사기준에 추가
시상(안)
ㅇ (시상 계획) 대상 1명(발사참관 또는 상금 300만원) 포함 총 5명 시상
구분 |
시상 |
부상 |
대상(1명) |
과기정통부 장관상 |
발사 참관 기회*(미국) 또는 상금 300만원 중 택일 |
우수상(2명) |
항우연 원장상 |
상금 100만원 |
장려상(2명) |
항우연 원장상 |
상금 50만원 |
※ 제세공과금은 수상자 부담
* 발사 참관은 주최 측의 사정에 따라 취소 또는 내용이 변경될 수 있음
ㅇ (공개 검증) 각급 수상 후보작을 10일 동안(게시일 제외) 응모 홈페이지(www.kari.re.kr/kplo)에 게시하여 부정행위에 대한 신고나 제보를 받는 공개 검증 실시
ㅇ (결과 발표) ‘22년 4월 말(예정), 온라인 웹사이트(www.kari.re.kr/kplo) 공지
붙임 2 |
달 탐사선 명칭공모전 포스터 |
붙임 3 |
달 탐사선(달 궤도선) 사업 현황 및 향후 계획(안) |
□ 개 요
ㅇ (사업목표) 달 궤도선(KPLO*)을 개발하고 해외발사체로 발사, 달 궤도에서 1년 임무를 수행하여 우주탐사 기반기술을 확보‧검증
* 달 궤도선(KPLO) :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ㅇ (사업기간/예산) ’16.1월~’22.7월(6.5년) / 약 2,367억원
ㅇ (주요내용) 달 궤도선 본체‧탑재체 개발, NASA와 국제협력*
* 우리 궤도선에 NASA 탑재체(ShadowCam)를 탑재하고, NASA는 심우주항행기술, 심우주네트워크 무상사용 등을 지원
< 달 탐사선(달 궤도선) 관련 스펙 >
구 분 |
주요 내용 |
||||
본체 |
(임무기간) 1년 (운용궤도) 원형궤도(100Km×100Km) (전이궤도) BLT* |
||||
탑 재 체 (6개) |
고해상도카메라 (항우연) |
한국 달 착륙선 착륙 후보지 탐색 |
감마선분광기 (지자연) |
달 표면의 자원 유무 탐사 |
|
광시야편광카메라 (천문연) |
달 표면입자 분석 |
우주인터넷 (ETRI) |
심우주탐사용 우주인터넷 시험 |
||
자기장측정기 (경희대) |
달의 생성원인 연구 |
ShadowCam** (NASA) |
미국의 달 남극 유인착륙 후보지 검색 |
* BLT(Ballistic Lunar Transfer) : 지구와 태양 간 중력을 이용하여 달 궤도선 전이
** 달 100㎞고도에서 최적화된 탑재체로 NASA의 유인 달 남극 착륙(’24) Artemis미션의 착륙후보지 탐색을 위해 달 극지방 고위도 영구음영지역을 촬영
□ 향후 계획
ㅇ 우주환경 모사시험(열진공, 진동‧소음 시험 등)(’21.10월~‘22.4월)
ㅇ 달 궤도선 발사를 위한 초기운영 준비 및 리허설(~‘22.7월)
ㅇ 달 궤도선 발사*(’22.8.1~9.9) 및 달 궤도 전이(~‘22.12월)
* 발사체 : 스페이스 X사 Falcon-9 / 장소 :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캐너배럴 공군기지
ㅇ 달 궤도선 시운전(‘23.1월)및 정상 운영(~‘23.12월)
붙임 4 |
주요국 달 탐사 추진 현황(주요 내용) |
국가 |
달 탐사선 |
발사연도 |
임무(기타) |
|
미국 |
Apollo 11 |
1969 |
·세계 최초 유인 달 착륙선 |
|
LADEE |
2013 |
·달 먼지 및 환경 관측 |
||
Artemis-1 |
2021 |
·유인 화성탐사선 지구-달 궤도 시험(무인) ·13개의 큐브위성을 달에 보냄(Secondary payload) |
||
중국 |
창어 1호 |
2007 |
·중국 최초 달 궤도선 |
|
창어 4호 |
2018.5.20 (중계위성) 2018.12 (착륙선,로버) |
·달 뒷편(far side) 착륙 ·로버 이용, 주변부 지형정보 획득 ·저주파 대역 자연방사 특성 확인 |
||
창어 5호 |
2020 |
·달표면 2M 깊이 드릴링 ·달 샘플 채취 및 귀환(약 2kg) |
||
러시아 |
루나 10호 |
1966 |
·러시아 최초 달 궤도선 |
|
루나 16호 |
1970 |
·달 샘플 리턴 |
||
유럽 |
SMART-1 |
2003 |
·유럽 최초 달 궤도선 |
|
인도 |
찬드라얀 1호 |
2008 |
·인도 최초 달 궤도선 |
|
챤드라얀 2호 |
2019 |
·달토양 분석 ·궤도선, 착륙선, 로버 구성 |
||
일본 |
Hilten |
1990 |
·일본 최초 달 궤도선 |
|
SLIM |
2022 (예정) |
·달 착륙 기술 시연 (100m 이내) |
붙임 5 |
우리나라 인공위성 개발 현황 |
구분(총37기) |
임무종료 (9기) |
임무수행중 (8기) |
|||||||||||||||||||||||||||||||||||||||||
정지궤도 |
- |
|
|||||||||||||||||||||||||||||||||||||||||
저 궤 도 |
다목적 실용위성 |
|
|
||||||||||||||||||||||||||||||||||||||||
차세대 중형위성 |
- |
|
|||||||||||||||||||||||||||||||||||||||||
소형 / 초소형 위성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