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210122_석간_(보도)_차세대중형위성 1호 발사장 이동.hwp

닫기

보도일시

2021. 1. 22.(금) 석간(온라인 1. 22. 07:00)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배포일시

2021. 1. 21.(목) 14:00

담당

부처

부서

담당과장

담당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주기술과

황성훈(044-202-4640)

박성동 서기관(4643)

국토교통부

공간정보진흥과

김형철(044-201-3469

손찬호 사무관(3470)

차세대중형위성 1호(국토위성) 발사장으로 출발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약 2개월간 발사 준비 과정을 거친 후 3월 20일 발사 예정

발사 후 효율적인 국토·자원 관리, 재해·재난 대응 등 국민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정밀지상관측영상을 적기에 신속하게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와 국토교통부(장관 변창흠, 이하 국토부’)차세대중형위성 1호 3월 20일(토) 12시 7분경 (한국기준 3월 20일 15시 7분경)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발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1월 22일(금)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 임철호, 이하 항우연’) 출발해 현지기준 1월 24일(일) 발사장인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 도착할 예정이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발사일 전까지 상태 점검, 연료주입, 발사체 결합 등 발사 준비 과정을 거쳐, 러시아 JSC 글라브코스모스소유즈 2.1a 발사체로 발사하게 된다.

발사 후 고도 497.8km의 궤도에서 약 2개월의 초기운영 과정 거쳐 2021년 6월 이후부터 본격적인 정밀지상관측영상을 제공 예정이다.

차세대중형위성 개발사업은 1단계와 2단계로 추진되며, 1단계는 500kg급 표준형 위성 플랫폼 확보 및 정밀지상관측용(흑백0.5m급, 칼라 2.0m급) 중형위성 2기(1호, 2호)국내 독자 개발하고, 2단계는 1단계 사업으로 확보된 500kg 표준 플랫폼 기술을 활용하여 형위성 3기(3호 우주과학·기술검증, 4호 광역농림상황 관측, 5호 C-밴드영상레이다 수자원관측)국산화하여 개발하는 사업이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21.3월 발사 예정), 차세대중형위성 2호(’22년초 발사 예정)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중형급 위성 표준플랫폼의 활용을 통해 양한 탑재체의 개발과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공공분야의 관측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위성개발 기술의 산업화*위해 주관부처인 과기정통부와 주활용부처인 국토부의 지원받아 국내 독자 개발정밀지상관측용 저궤도 실용급 위성이다.

* 500kg급 위성 표준플랫폼 개발로 후속 위성 개발비용 절감, 개발기간 단축

주관기관인 항우연은 차세대중형위성 1호 개발사업을 통해 중형위성급 시스템표준본체(플랫폼) 기술을 확보하고, 국내 산업체에 성공적으로 이전*하여, 해외 기술에 의존해왔던 정밀 광학탑재체를 국내 독자 모델로 국산화하였다.

* 1호 개발과정부터 항우연과 국내 산업체가 공동설계팀을 구성/운영하면서 항우연의 위성개발 경험과 확보한 시스템/본체, 탑재체 개발기술을 산업체로 기술 이전

특히, 국산화된 정밀지상용 광학탑재체는 국내 독자모델로 다목적실용위성 3A* 대비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면서 100kg이상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차세대 기술인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방식의 영상자료처리장치를 채용함으로써 무게 및 비용을 감하고 저장용량을 증대하였다.

* 해상도 흑백 0.55m급, 칼라 2.2m급 지구정밀관측 위성(‘15.3월 발사 운영중)

** 기존 SDRAM 방식이 아닌 비휘발성 메모리 방식으로 3A호 대비 저장용량 6배 증가, 전력사용량과 무게는 1/3 수준으로 감소

또한, 대부분의 핵심 구성품을 국내 산업체 및 연구기관을 통하여 개발함으로써 높은 국산화를 달성하였다.

과기정통부 이창윤 거대공공연구정책관차세대중형위성 1호가 발사되면, 효율적인 국토·자원 관리, 재해·재난 대응국민 삶의 향상과 관련된 정밀지상관측영상을 적기에 신속하게 제공능할 것이라면서,

특히, “1호 개발을 통해 항우연이 확보한 기술의 산업체 이전을 통해 후속 중형위성(2∼5호)의 전체 시스템을 국내 산업체가 관하여 개발하게 됨으로써 국내위성 산업화의 기반을 마련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붙임 1. 차세대중형위성 1호 개요 2. 차세대중형위성 1호 사진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박성동 서기관( 044-202-4643), 국토교통부 손찬호 사무관(☎ 044-201-3470)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차세대중형위성 1호 개요

사업목표

500kg급 차세대중형위성 표준 플랫폼 확보 및 정밀 지상관측용 (해상도 : 흑백 0.5m급, 칼라 2m급) 중형위성 1호 국내독자 개발

추진체계

주관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참여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주관부처), 국토교통부(활용부처)

사업기간 및 예산 : 15.3~21.6, 1,579.2억원*

* 과기정통부 1,128억원, 국토부 451.2억원

발사예정일 : 21년 3월 20일(예정)

발사장 및 발사체 :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카자흐스탄), 소유즈 2.1a

주요임무

- 국토자원관리, 재해재난 대응 관련 공공부문 수요 대응 및 국가공간정보 활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밀지상관측 영상 제공

- 국가 위성산업 육성 및 수출 산업화에 기여

주요제원

궤도 : 497.8 km 태양동기 원궤도

무게 : 500kg±10%

크기 : 직경 1.86m x 높이 2.89m

[가로1.4×세로1.55×높이2.89m]

운용 수명 : 4년

해상도 : 흑백: 0.5m급, 컬러: 2m

관측폭 : 12 km 이상

붙임 2

차세대중형위성 1호 사진

[시스템 음향시험(‘20.3)]

[시스템 열진공시험(‘20.1)]

< 차세대중형위성 1호, 지상시험 모습 >

< 차세대중형위성 1호 상상도, 우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