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222 조간 (보도) 민간주도 우주개발을 위한 청년들의 꿈 응원(큐브위성 경연대회 시상식).hwp
보도일시 |
2018. 2. 22.(목) 조간(온라인 2. 21. 16:00)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
||
배포일시 |
2018. 2. 21.(목) 09:00 |
담당부서 |
거대공공연구정책과 |
담당과장 |
김성규(02-2110-2430) |
담 당 자 |
이영호 사무관(02-2110-2425) |
과기정통부, 민간주도 우주개발을 위한 청년들의 꿈 응원 - 제1회 큐브위성 경연대회 시상식 및 간담회 개최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제1회 큐브위성 경연대회」(이하 ‘경연대회’) 시상식을 2월 21일(수) 과천정부종합청사(생각나눔방)에서 개최했다.
□과기정통부 장관상은 위성 제작, 발사 및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카이스트(2012팀)가 수상하였다. 본 위성은 이온층의 질량 분석 및 열전자 온도, 밀도를 측정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ㅇ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상은 위성 제작을 완료하고, 발사까지 성공적으로 수행한 한국항공대(2012팀), 연세대(2012팀), 경희대(2013팀), 조선대(2013팀), 충남대학교(2013팀)이 수상했다.
□ 큐브위성 경연대회는 대학(원)생들이 직접 큐브위성 설계, 제작, 발사 및 운영 등 개발 전체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주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우주문화를 확산하고자 ’12년부터 추진되고 있다.
ㅇ `12년, `13년 경연대회 참여 학생 72명 중 37명은 큐브위성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우주분야 산업체 및 연구소에 취업하고 2개의 벤처기업((주)나라스페이스, 인투룰)을 창업했다.
- 또한, 30명의 학생들은 우주분야 심화된 연구를 위해 국내 대학 및 미국 MIT 석·박사 과정에 진학하는 등 실무경험과 학문지식을 갖춘 우주분야 핵심 인재로 활약하고 있다.
□ 2012, 2013 경연대회에 선정된 총 6팀은 서류심사 및 1·2차 경연 등을 거쳐 약 4.2대 1의 경쟁률을 뚫고 큐브위성 제작 기회를 가졌으며,
ㅇ 1년여의 제작 과정과 6개월간의 우주환경시험 과정을 거쳐 큐브위성을 완성했다.
- 1개 위성팀(카이스트)은 ‘17년 4월 18일, 5개 위성팀(연세대, 항공대, 경희대, 조선대, 충남대)은 ’18년 1월 12일에 발사까지 최종 성공하였다.
□시상식이 끝난 직후 수상팀과 과기정통부 유영민 장관과의 간담회 자리도 함께 진행하였다.
ㅇ 대회에 참여한 학생들과 교수들이 장관과의 대화를 통해 제작 과정 중의 경험 및 창업 사례 등을 자유롭게 논의했다.
□이날 유영민 장관은 “청년들이 우주라는 미지의 세계에 용기를 갖고 도전하는 모습을 응원하며, 더 많은 청년들이 참여하여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우주개발 프로그램과 정책을 마련하려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영호 사무관(☎ 02-2110-2425)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붙임1 |
큐브위성 시상식 및 간담회 개요 |
□ 시상식 계획(안)
ㅇ 일시/장소 : ‘18. 2. 21(수), 16:00~17:10(70분) / 생각나눔방(518호)
ㅇ 참석자 : 장관, 항우연 원장, 수상자(교수 및 대학생) 등 약 50여명
ㅇ 수상자 : 총 6팀(`12년 3팀 / `13년 3팀)
- (장관상) 1팀 (KAIST, ’12선정) / ’17.4월 발사 및 미션수행 성공)
- (항우연 원장상) 5팀 (’12~’13 선정 / 18.1월 발사 성공)
□ 행사 일정(안)
시 간 |
내 용 |
비 고 |
16:00~16:05(5‘) |
개 회 |
사회자(거대공공연구정책과장) |
16:05~16:08(3‘) |
큐브위성 경연대회 동영상 시청 |
- |
16:08~16:11(3‘) |
축 사 |
장관 |
16:11~16:21(10‘) |
우수상 시상 (항우연 원장상, 5팀) |
항우연 원장 (상장, 상패 수여) |
16:21~16:23(2‘) |
최우수상 시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1팀) |
과기정통부 장관 (상장, 상패 수여) |
16:23∼16:30(8‘) |
단체 기념촬영 |
- |
16:30∼17:10(40‘) |
장관과 참가팀의 대화* |
다같이 |
* 참가팀과의 대화는 40분간 다과회 형태로 진행
붙임2 |
큐브위성 개요 |
□ 큐브위성 개념
ㅇ 큐브위성은 초소형 위성* 중에서 1999년 미국 Cal Poly 대학에서 제시한 표준에 따라 규격화**된 형태의 위성
* 위성을 무게 기준으로 구분 할 때 1kg 이상 100kg 이하의 위성을 의미
** 1U(unit)당 10x10x10cm3의 1.3kg 이하의 정육면체로 규격화
ㅇ 큐브위성의 규격화로 제작기간의 단축 및 저비용 개발이 가능하게 되어 큐브위성 개발 활성화에 기여
※ 1U, 3U, 6U, 12U등 다양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
< 큐브위성의 형태 >
□ 큐브위성의 특징 및 현황
ㅇ (특징) 저렴한 개발‧발사비용으로 대학 등에서 위성제작 실무교육 및 인력 양성용으로 활용되며, 우주과학, 신기술개발 등으로 역할 확대
ㅇ (현황) 전세계 큐브위성의 발사는 2013년 이후 매년 80기 이상 급증하고 있으며, 상업적 활용성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
※ 2021년까지 세계 초소형위성(Nanosatellite) 시장은 6.35 billion USD(한화 7조 6천억원)로 전망 By BIS Research 2017.6.21)
- NASA는 ‘10년부터 CSLI(NASA CubeSat Launch Initiative)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기관 및 비영리 기관들을 대상으로 과학, 우주탐사, 기술 개발, 교육 및 운영 경험 제공
붙임3 |
큐브위성 경연대회 개요 |
□ 추진 목적
ㅇ 대학(원)생들에게 위성 개발 제작·발사 기회를 제공하여 위성 개발 경험을 갖춘 실무인력 양성*과 우주개발에 대한 국민 관심도 제고
* 2012, 2013 대회 참가 총 72명 중 30명 우주분야 전문 대학원(석·박사) 진학, 25명 산업체 및 연구기관 취업, 2개팀 큐브위성 회사 창업
□ 추진 경과
ㅇ `12년 시범 프로그램으로 시작, `13년부터 격년으로 총 4회 개최
※ 총 11개팀(110명) 참여, 6기 제작·발사 완료, 5기(‘15년 3기, ‘17년 2기) 제작 중
<큐브위성 임무 수행 개요> |
|
□ 추진 체계
ㅇ (주최) 과기정통부/(주관) 항우연
□ 프로그램
ㅇ 지원 대상 : 전국 대학(원)생(팀당 지도교수 1명, 팀원 10명 내외)
ㅇ 선정 기준 : 임무 독창성, 기술적 구현가능성, 결과 활용성
ㅇ 진행 절차
- 1·2차 경연을 거쳐 매 대회 3팀 선정
- 선정팀에 개발비 1.7억원 지원 및 발사기회, 기술 지원
- 해당 팀은 1년 반 동안 위성 개발 후 해외 탑재체를 통해 발사
붙임4 |
수상팀 큐브위성 설명자료 |
□ 수상팀(발사성공) 개요
구분 |
2017년 발사성공 |
2018년 발사성공 |
발사체 |
Atlas V |
PSLV |
발사업체 |
ULA |
ISLO/ANTRIX(인도) |
대상위성 |
1기 (12‘ 카이스트) |
5기 (‘12 연세대, 항공대, ’13 경희대, 조선대, 충남대) |
발사일 |
‘17,4.18 15:11(UTC) |
‘18.1.12 09:29(인도현지시간), 12:59(한국시간) |
발사장소 |
미국 버지니아 Mid-Atlantic Regional Spaceport |
인도 사티시 다완 우주 센터 |
발사시기 |
’17.4월 |
’18.1월* |
궤도 |
고도 : 404.062km |
고도 : 505.563 km |
발사대행 |
- |
ISL(네델란드) |
* 보도자료 기배포 “큐브위성으로 꿈을 우주로 쏘아올리다” (2018. 1. 12.(금) 15:00)
□ 2012 선정팀
개발기관 |
위성명/형상 |
임무 및 제원 |
비고 |
KAIST |
LINK
|
ㆍ임무: 이온층 질량분석 및 열전자 온도 및 밀도 측정 ㆍ임무수명: 약 6개월 ㆍ고도/궤도경사각: 404.062km ㆍ크기/무게: 2U, 2.3kg ㆍ자세제어: 회전안정화 방식 ㆍ생산/소비전력 4.16W, 3.3W ㆍ통신: 상향링크: VHF (145.885 MHz) 하향링크: UHF (436.030 MHz) ㆍ탑재체: 이온/중성자질량 분광기, Langmuir probe |
’17.4월발사 + 미션 수행 성공 |
한국항공대학교 |
KAUSAT-5
|
ㆍ임무: 지구관측 및 지구 저궤도 방사선 측정 ㆍ임무수명: 1년 ㆍ고도/궤도경사각: 505.536km , 약 97.44˚ ㆍ크기/무게: 3U, 4kg ㆍ자세제어: CMG, Magnetic Torquer ㆍ생산/소비전력: 7W, 55W ㆍ통신: 상향링크: 145.84 MHz(VHF) 하향링크: 437.265 MHz(UHF) 2.413 GHz(S-band) ㆍ탑재체: IR 카메라, 방사능 측정 장치 |
’18.1월 발사 |
연세 대학교 |
Tom & Jerry
|
ㆍ임무: 분리형 우주망원경의 기술검증 ㆍ임무수명: 3개월 ㆍ고도/궤도경사각: 505.536km , 약 97.44˚ ㆍ크기/무게: 2U/1U, 2.25/0.81kg ㆍ자세제어: Reaction Wheel, Magnetic Torquer ㆍ생산/소비전력: 13/2.5(Tom), 2/1.8(Jerry) ㆍ통신: 상향링크: 435.000 MHz (UHF, Tom) 435.020 MHz (UHF, Jerry) 하향링크: 435.000 MHz(UHF, Tom) 435.020 MHz(UHF, Jerry) ㆍ탑재체: 카메라, Laser Diodes |
’18.1월 발사 |
□ 2013 선정팀
개발기관 |
위성명 |
임무 |
비고 |
경희 대학교 |
KHUSAT-03
|
ㆍ임무: 우주방사선 및 자기장 측정 ㆍ임무수명: 3개월 ㆍ고도/궤도경사각: 505.536km , 약 97.44˚ ㆍ크기/무게: 3U, 2.95kg ㆍ자세제어: Nadir Pointing, Magnetic Torquer ㆍ생산/소비전력: 4W. 2-3W ㆍ통신: 상향링크: 145.210 MHz (VHF) 하향링크: 435.780 MHz (UHF) ㆍ탑재체: 조직 등가 비례 계수기, magnetometer |
’18.1월 발사 |
충남 대학교 |
CNUSAIL- |
ㆍ임무: 태양돛 전개 및 운용 ㆍ임무수명: 3개월 ㆍ고도/궤도경사각: 505.536km , 약 97.44˚ ㆍ크기/무게: 3U, 3.5kg ㆍ자세제어: 3축 안정화 방식 ㆍ생산/소비전력: 4W, 3W ㆍ통신: 상향링크: 145.840 MHz(VHF) 하향링크: 437.100 MHz(UHF) ㆍ탑재체: 태양돛 전개 장치, 카메라 |
’18.1월 발사 |
조선 대학교 |
STEP Cube Lab.
|
ㆍ임무: 우주 핵심 기술 개발 및 검증 ㆍ임무수명: 1년 ㆍ고도/궤도경사각: 505.536km , 약 97.44˚ ㆍ크기/무게: 1U, 0.92kg ㆍ자세제어: 영구자석과 히스테리시스 댐퍼를 이용한 수동 안정화 방식 ㆍ생산/소비전력: 2.13W, 1.74W ㆍ통신: 상향링크: 437.485 MHz 하향링크: 437.485 MHz ㆍ탑재체: 가변방사율 라디에이터,MEMS기반 고체추력기,집광형 태양전력 시스템,상변화 물질,무충격 구속분리장치 |
’18.1월 발사 |
붙임5 |
수상팀 서면 인터뷰 |
□ KAIST (과기정통부 장관상 수상) 대표학생 임이랑 인터뷰 |
|
LINK가 궤도진입한 날 직접 신호를 받아보기까지 종일 기다리며 설레었던 기분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분들께도 무언가를 우주에 보낼 기회는 쉽게 오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큐브위성 경연대회라는 좋은 계기를 만나, 학생의 신분으로 내 손으로 직접 만든 위성을 궤도에 올려 운용하고 상까지 받게 되어 영광입니다. 일일이 말할 수 없이 고생한 팀원들과 옆에서 조언을 아끼지 않으신 지도교수님이 없었다면 이런 결실을 맺지 못했을 겁니다. 앞으로도 이런 기회가 많아져서 우주탐사가 마냥 멀기만 한 가상의 미래가 아니라 충분히 도전해봄직한 가까운 목표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 조선대학교 (항우연 원장상 수상) 대표학생 권성철 인터뷰 |
|
우주하면 막연히 수많은 별들만 떠올렸던, 위성분야는 무지하던 저희들이 이제는 위성의 설계/제작/시험평가/발사 및 궤도운용 전반에 이르는 위성시스템 일련의 개발과정을 경험하였습니다.
말로는 형용 못 할, 수많은 팀원들의 땀방울로 이루어진 결실이 이제는 우주상공 어딘가 비행하고 있다는 사실이 아직도 마음 벅차게 다가옵니다.
이제는 국내 위성분야 전문 인력으로 성장하여 국가 우주개발에 일조하게 될 저희 팀원 모두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