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180222 조간 (보도) 민간주도 우주개발을 위한 청년들의 꿈 응원(큐브위성 경연대회 시상식).hwp

닫기

보도일시

2018. 2. 22.(목) 조간(온라인 2. 21. 16:00)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배포일시

2018. 2. 21.(목) 09:00

담당부서

거대공공연구정책과

담당과장

김성규(02-2110-2430)

담 당 자

이영호 사무관(02-2110-2425)

과기정통부, 민간주도 우주개발을 위한 청년들의 꿈 응원

- 제1회 큐브위성 경연대회 시상식 및 간담회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제1회 큐브위성 경연대회(이하 경연대회’) 시상식을 2월 21일(수) 과천정부종합청사(생각나눔방)에서 개최했다.

과기정통부 장관상위성 제작, 발사 및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 카이스트(2012팀)가 수상하였다. 본 위성은 이온층의 질량 분석 및 열전자 온도, 밀도를 측정하는 임무를 수행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상위성 제작을 완료하고, 발사까지 성공적으로 수행한국항공대(2012팀), 연세대(2012팀), 경희대(2013팀), 조선대(2013팀), 충남대학교(2013팀)이 수상다.

큐브위성 경연대회는 대학(원)들이 직접 큐브위성 설계, 제작, 발사 및 운영 등 개발 전체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주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우주문화를 확산하고자 ’12년부터 추진되고 있다.

`12년, `13년 경연대회 참여 학생 72명 중 37명은 큐브위성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우주분야 산업체 및 연구소에 취업하고 2개의 벤처기업((주)나라스페이스, 인투룰)을 창업다.

- 또한, 30명의 학생들은 우주분야 심화된 연구를 위해 국내 대학 및 미국 MIT ·박사 과정에 진학하는 등 실무경험과 학문지식을 갖춘 우주분야 핵심 인재로 활약하고 있다.

2012, 2013 경연대회 선정 총 6팀은 서류심사 및 1·2차 경연 등을 거쳐 약 4.2대 1의 경쟁률을 뚫고 큐브위성 제작 기회를 가졌으며,

1년여의 제작 과정과 6개월간의 우주환경시험 과정을 거쳐 큐브위성을 완성했다.

- 1개 위성팀(카이스트)‘17년 4월 18일, 5개 위성팀(연세대, 항공대, 경희대, 조선대, 충남대)’18년 1월 12일에 발사까지 최종 성공하였다.

시상식이 끝난 직후 수상팀과 과기정통부 유영민 장관과의 간담회 자리도 함께 진행하였다.

대회에 참여한 학생들과 교수들이 장관과의 대화를 통해 제작 과정 중의 경험 및 창업 사례 등을 자유롭게 논의다.

이날 유영민 장관청년들이 우주라는 미지의 세계에 용기를 갖고 도전하는 모습을 응원하며, 더 많은 년들이 참여하여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우주개발 프로그램과 정책을 마련하려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영호 사무관(☎ 02-2110-2425)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1

큐브위성 시상식 및 간담회 개요

시상식 계획(안)

일시/장소 : ‘18. 2. 21(수), 16:00~17:10(70분) / 생각나눔방(518호)

참석자 : 장관, 항우연 원장, 상자(교수 및 대학생) 등 약 50여명

ㅇ 수상자 : 총 6팀(`12년 3팀 / `13년 3팀)

- (장관상) 1팀 (KAIST, ’12선정) / ’17.4월 발사 및 미션수행 성공)

- (항우연 원장상) 5팀 (’12~’13 선정 / 18.1월 발사 성공)

행사 일정(안)

시 간

내 용

비 고

16:00~16:05(5‘)

개 회

사회자(거대공공연구정책과장)

16:05~16:08(3‘)

큐브위성 경연대회 동영상 시청

-

16:08~16:11(3‘)

축 사

장관

16:11~16:21(10‘)

우수상 시상

(항우연 원장상, 5팀)

항우연 원장

(상장, 상패 수여)

16:21~16:23(2‘)

최우수상 시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1팀)

과기정통부 장관

(상장, 상패 수여)

16:23∼16:30(8‘)

단체 기념촬영

-

16:30∼17:10(40‘)

장관과 참가팀의 대화*

다같이

* 참가팀과의 대화는 40분간 다과회 형태로 진행

붙임2

큐브위성 개요

큐브위성 개념

큐브위성은 초소형 위성* 중에서 1999년 미국 Cal Poly 대학에서 제시한 표준에 따라 규격화**된 형태의 위성

* 위성을 무게 기준으로 구분 할 때 1kg 이상 100kg 이하의 위성을 의미

** 1U(unit)당 10x10x10cm3의 1.3kg 이하의 정육면체로 규격화

큐브위성의 규격화로 제작기간의 단축 및 저비용 개발이 가능하게 되어 큐브위성 개발 활성화에 기여

※ 1U, 3U, 6U, 12U등 다양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

< 큐브위성의 형태 >

큐브위성의 특징 및 현황

ㅇ (특징) 저렴한 개발발사비용으로 대학 등에서 위성제작 실무교육 인력 양성용으로 활용되며, 우주과학, 신기술개발 등으로 역할 확대

ㅇ (현황) 전세계 큐브위성의 발사는 2013년 이후 매년 80기 이상 급증하고 있으며, 상업적 활용성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

※ 2021년까지 세계 초소형위성(Nanosatellite) 시장은 6.35 billion USD(한화 7조 6천억원)로 전망 By BIS Research 2017.6.21)

- NASA‘10년부터 CSLI(NASA CubeSat Launch Initiative)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기관 및 비영리 기관들을 대상으로 과학, 우주탐사, 기술 개발, 교육 및 운영 경험 제공

붙임3

큐브위성 경연대회 개요

추진 목적

대학(원)생들에게 위성 개발 제작·발사 기회를 제공하여 위성 개발 경험을 갖춘 실무인력 양성*우주개발에 대한 국민 관심도 제고

* 2012, 2013 대회 참가 총 72명 중 30명 우주분야 전문 대학원(석·박사) 진학, 25명 산업체 및 연구기관 취업, 2개팀 큐브위성 회사 창업

추진 경과

`12년 시범 프로그램으로 시작, `13년부터 격년으로 총 4회 개최

총 11개팀(110명) 참여, 6기 제작·발사 완료, 5기(‘15년 3기, ‘17년 2기) 제작 중

<큐브위성 임무 수행 개요>

추진 체계

(주최) 과기정통부/(주관) 항우연

프로그램

ㅇ 지원 대상 : 전국 대학(원)생(팀당 지도교수 1명, 팀원 10명 내외)

ㅇ 선정 기준 : 임무 독창성, 기술적 구현가능성, 결과 활용성

ㅇ 진행 절차

- 1·2차 경연을 거쳐 매 대회 3팀 선정

- 선정팀에 개발비 1.7억원 지원 및 발사기회, 기술 지원

- 해당 팀은 1년 반 동안 위성 개발 후 해외 탑재체를 통해 발사

붙임4

수상팀 큐브위성 설명자료

수상팀(발사성공) 개요

구분

2017년 발사성공

2018년 발사성공

발사체

Atlas V

PSLV

발사업체

ULA

ISLO/ANTRIX(인도)

대상위성

1기

(12‘ 카이스트)

5기

(‘12 연세대, 항공대,

’13 경희대, 조선대, 충남대)

발사일

‘17,4.18

15:11(UTC)

‘18.1.12

09:29(인도현지시간),

12:59(한국시간)

발사장소

미국 버지니아

Mid-Atlantic Regional Spaceport

인도 사티시 다완 우주 센터

발사시기

’17.4

’18.1*

궤도

고도 : 404.062km

고도 : 505.563 km

발사대행

-

ISL(네델란드)

* 보도자료 기배포 큐브위성으로 꿈을 우주로 쏘아올리다” (2018. 1. 12.(금) 15:00)

□ 2012 선정팀

개발기관

위성명/형상

임무 및 제원

비고

KAIST

LINK

임무: 이온층 질량분석 및 열전자 온도 및 밀도 측정

ㆍ임무수명: 약 6개월

ㆍ고도/궤도경사각: 404.062km

ㆍ크기/무게: 2U, 2.3kg

ㆍ자세제어: 회전안정화 방식

ㆍ생산/소비전력 4.16W, 3.3W

ㆍ통신: 상향링크: VHF (145.885 MHz)

하향링크: UHF (436.030 MHz)

탑재체: 이온/중성자질량 분광기, Langmuir probe

’17.4월발사

+

미션 수행 성공

한국항공대학교

KAUSAT-5

ㆍ임무: 지구관측 및 지구 저궤도 방사선 측정

임무수명: 1년

고도/궤도경사각: 505.536km , 약 97.44˚

크기/무게: 3U, 4kg

자세제어: CMG, Magnetic Torquer

생산/소비전력: 7W, 55W

통신: 상향링크: 145.84 MHz(VHF)

하향링크: 437.265 MHz(UHF)

2.413 GHz(S-band)

탑재체: IR 카메라, 방사능 측정 장치

’18.1발사

연세

대학교

Tom & Jerry

ㆍ임무: 분리형 우주망원경의 기술검증

ㆍ임무수명: 3개월

ㆍ고도/궤도경사각: 505.536km , 약 97.44˚

ㆍ크기/무게: 2U/1U, 2.25/0.81kg

ㆍ자세제어: Reaction Wheel, Magnetic Torquer

ㆍ생산/소비전력: 13/2.5(Tom), 2/1.8(Jerry)

ㆍ통신: 상향링크: 435.000 MHz (UHF, Tom)

435.020 MHz (UHF, Jerry)

하향링크: 435.000 MHz(UHF, Tom)

435.020 MHz(UHF, Jerry)

ㆍ탑재체: 카메라, Laser Diodes

’18.1발사

□ 2013 선정팀

개발기관

위성명

임무

비고

경희

대학교

KHUSAT-03

ㆍ임무: 우주방사선 및 자기장 측정

ㆍ임무수명: 3개월

ㆍ고도/궤도경사각: 505.536km , 약 97.44˚

ㆍ크기/무게: 3U, 2.95kg

ㆍ자세제어: Nadir Pointing, Magnetic Torquer

ㆍ생산/소비전력: 4W. 2-3W

ㆍ통신: 상향링크: 145.210 MHz (VHF)

하향링크: 435.780 MHz (UHF)

ㆍ탑재체: 조직 등가 비례 계수기,

magnetometer

’18.1발사

충남

대학교

CNUSAIL-

ㆍ임무: 태양돛 전개 및 운용

ㆍ임무수명: 3개월

ㆍ고도/궤도경사각: 505.536km , 약 97.44˚

ㆍ크기/무게: 3U, 3.5kg

ㆍ자세제어: 3축 안정화 방식

ㆍ생산/소비전력: 4W, 3W

ㆍ통신: 상향링크: 145.840 MHz(VHF)

하향링크: 437.100 MHz(UHF)

ㆍ탑재체: 태양돛 전개 장치, 카메라

’18.1발사

조선

대학교

STEP Cube Lab.

ㆍ임무: 우주 핵심 기술 개발 및 검증

임무수명: 1년

ㆍ고도/궤도경사각: 505.536km , 약 97.44˚

크기/무게: 1U, 0.92kg

자세제어: 영구자석과 히스테리시스 댐퍼를

이용한 수동 안정화 방식

생산/소비전력: 2.13W, 1.74W

통신: 상향링크: 437.485 MHz

하향링크: 437.485 MHz

탑재체: 가변방사율 라디에이터,MEMS기반 고체추력기,집광형 태양전력 시스템,상변화 물질,무충격 구속분리장치

’18.1발사

붙임5

수상팀 서면 인터뷰

KAIST (과기정통부 장관상 수상) 대표학생 임이랑 인터뷰

LINK가 궤도진입한 날 직접 신호를 받아보기까지 종일 기다리며 설레었던 기분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분들께도 무언가를 우주에 보낼 기회는 쉽게 오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큐브위성 경연대회라는 좋은 계기를 만나, 학생의 신분으로 내 손으로 직접 만든 위성을 궤도에 올려 운용하고 상까지 받게 되어 영광입니다.

일일이 말할 수 없이 고생한 팀원들과 옆에서 조언을 아끼지 않으신 지도교수님이 없었다면 이런 결실을 맺지 못했을 겁니다. 앞으로도 이런 기회가 많아져서 우주탐사가 마냥 멀기만 한 가상의 미래가 아니라 충분히 도전해봄직한 가까운 목표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조선대학교 (항우연 원장상 수상) 대표학생 권성철 인터뷰

우주하면 막연히 수많은 별들만 떠올렸던, 위성분야는 무지하던 저희들이 이제는 위성의 설계/제작/시험평가/발사 및 궤도운용 전반에 이르는 위성시스템 일련의 개발과정을 경험하였습니다.

말로는 형용 못 할, 수많은 팀원들의 땀방울로 이루어진 결실이 이제는 우주상공 어딘가 비행하고 있다는 사실이 아직도 마음 벅차게 다가옵니다.

이제는 국내 위성분야 전문 인력으로 성장하여 국가 우주개발에 일조하게 될 저희 팀원 모두의 건승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