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회 국가우주위원회 개최.hwp
|
보 도 자 료 |
|
||
http://www.msit.go.kr |
||||
보도일시 |
2017. 8. 9.(수) 14:00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
|||
배포일시 |
2017. 8. 9.(수) |
담당부서 |
거대공공연구정책과 |
|
담당과장 |
김성규(02-2110-2430) |
담 당 자 |
윤미란 사무관(02-2110-2428) |
정부, 달 탐사 개발기간 현실화한다 - 시험용 달 궤도선 개발기간 2년 연장하여 기술개발 내실화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달 탐사 1단계 사업의 개발기간을 2년 연장한다(’16~’18,3년→’16~’20,5년)고 밝혔다.
o 달 탐사 1단계 사업은 우리나라의 첫 우주탐사 R&D(연구개발) 사업으로, 시험용 달 궤도선 개발을 통해 달 탐사 기술역량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2016년부터 착수하였다.
※ 1단계: 시험용 달 궤도선을 국제협력으로 개발‧발사(총1,978억원, ’16~’18년) 2단계: 달 궤도선과 착륙선을 자력 개발하여 한국형발사체로 발사
□ 과기정통부가 2016년 1차년도 연구개발 현황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부품개발 및 조립시험 소요기간을 고려할 때 일정조정이 필요하다는 연구현장의 의견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전문가 점검위원회(위원장: KAIST 방효충 교수)를 구성하여 기술개발 현황과 위험요인, 일정조정 여부 등 사업 전반에 대한 세밀한 점검을 진행하였다.(’17.2~’17.4월)
o 궤도선의 시스템 및 본체는, 설계과정에서 목표중량(550kg)을 약 100kg 초과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임무설계 보완 및 경량화 재설계를 통해 해결하였고, 이 과정에서 기본설계가 3개월 늦어졌다.(’17.3월완료)
※ 1단계 시험용 궤도선의 목표중량은 2단계 한국형발사체의 발사용량을 감안하여 550kg으로 설정함
o 달 궤도선의 신규 개발부품인 대용량 추진시스템, 경량 본체 전장품 등은 국내 기술개발 역량을 고려할 때, 충분한 개발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점검되었다.
※ 추진시스템: 달 궤도선이 지구에서 달까지 이동하고 달 궤도 진입에 필요한 핵심부품
※ 경량 본체 전장품: 탑재컴퓨터 등 5개 부품을 통합하여 무게와 전력을 절감한 전기전자부품
o 또한, 궤도선의 임무수명과 탑재체 수가 늘어나고 신규개발 품목이 추가되면서 기술개발 난이도가 높아져, 기능검증 및 우주환경 안정성 확보를 위해 추가 조립‧시험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임무수명 3개월→1년, 탑재체 4→6개, 국산화 부품추가(추력기,전장품 등) 등
□ 이러한 점검결과를 바탕으로, 점검위원회는 당초 계획된 2018년 시험용 달 궤도선 발사는 무리한 일정으로 현실적으로 달성이 어려운 것으로 진단하였다.
o 점검위원회는 달 탐사에 필요한 핵심기술(추력기, 항행유도제어, 심우주통신 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당초 계획이 통상적인 위성개발 기간(5~8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개발일정(3년)으로 되어 있음을 지적하면서,
o 촉박한 개발일정에 맞추어 개발하기 보다는, 충분한 설계 보완과 철저한 기능점검을 통해 성공 가능성을 높이면서 국내 우주개발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개발기간 2년 연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 핵심부품 개발(+12개월), 부품 기능점검(+3개월) 및 총조립‧시험 검증(+9개월)
□ 과기정통부는 점검위원회의 의견을 수용하여, 2020년 12월 발사를 목표로 개발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2년 연장하는 것으로 국가우주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하였다.
o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향후 추가적인 일정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업체계를 개선해 나가기로 하였다. 외부 전문가의 상시적인 점검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진도관리 회의체를 신설하여 사업 진행상황과 위험요소를 관리하고, 연구기관의 사업 책임성을 강화하는 등 사업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할 예정이다.
o 또한 달 탐사 1단계 종료시점이 늦어짐에 따라, 달 탐사 2단계의 착수여부 및 추진시기는 전문가 의견수렴‧공청회 등을 통해 종합 검토하고,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17.12월)에 반영할 계획이다.
<붙임 1> 당초계획과 현재계획 비교
<붙임 2> 시험용 달 궤도선 주요 구성요소
<붙임 3> 시험용 달 궤도선 임무 궤적
|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윤미란 사무관(☎ 02-2110-2428)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붙임 1 |
당초계획(’14.9 예타기준)과 현재계획(’17.8월) 비교 |
구 분 |
당초계획(’14.9 예타기준) |
현재계획(’17.8월) |
|||||||||||||||||||||
< 달 탐사 1단계 > |
|||||||||||||||||||||||
개발목표 |
550kg급 시험용 달 궤도선을 국제협력 기반으로 개발‧발사(해외발사체)하여 달 탐사 핵심기술 확보 |
||||||||||||||||||||||
사업기간 |
’16 ~ ’18, 3년 |
’16 ~ ’20, 5년 |
|||||||||||||||||||||
발사시기 |
2018년 12월 |
2020년 12월 |
|||||||||||||||||||||
소요예산 |
총 1,978.2억원
|
||||||||||||||||||||||
주요 변경내용 |
‣궤도선 시스템 및 본체 ․임무수명: 3개월 ․대용량 추진계: 해외구매 ․전장품: 해외구매 또는 국내개발(기존 위성의 개별 전장품) ‣탑재체: 4개 ‣심우주지상국: 기존 안테나 개보수 ‣발사체: 1차년도 선정‧계약 |
‣궤도선 시스템 및 본체 ․임무수명: 1년 ․대용량 추진계: 국내개발 ․전장품: 국내 신규개발 (저전력‧경량화 통합 전장품) ‣탑재체 : 6개 ‣심우주지상국: 신규구축 포함 입찰 ‣발사체: 2차년도 선정‧계약 |
|||||||||||||||||||||
※궤도선 임무수명, 추진계/전장품 국내개발, 탑재체 증가, 발사체는 ’16.1월부터 변경된 사항임 |
|||||||||||||||||||||||
< 달 탐사 2단계 > |
|||||||||||||||||||||||
개발목표 |
달 궤도선과 착륙선을 개발하여 한국형발사체로 발사 |
미정 (검토 중) |
|||||||||||||||||||||
사업기간 |
’18 ~ ’20, 3년 |
||||||||||||||||||||||
소요예산 |
약 5,378.8억 (예타 필요) |
||||||||||||||||||||||
개발방식 |
독자 개발 |
붙임 2 |
시험용 달 궤도선 주요 구성요소 |
□ 시험용 달 궤도선 형상 및 제원
|
- 총 중량 : 약 550kg - 크기 : 1.87×1.75×2.23 (m) - 전력 : 760W (임무종료시) - 임무수명 : 약 1년 - 운용궤도 : 100km (±30km) - 탑재체 (6개, 총 40.5kg) 과학탑재체(3), 고해상도카메라, 우주인터넷탑재체, NASA 과학탑재체 |
□ 과학/기술 탑재체
탑 재 체 |
형 상 |
주요 기능 |
고해상도카메라 (항공우주연구원) |
|
달 착륙선 착륙 후보지 탐색을 위하여 달 표면 주요지역 촬영 |
광시야편광카메라 (천문연구원) |
|
달 표면 입자 및 우주선 등의 영향 분석을 위하여 달 표면 편광영상 촬영 |
자기장측정기 (경희대학교) |
|
달의 생성 원인 연구를 위하여 달 주변의 자기장 세기 측정 |
감마선분광기 (지질자원연구원) |
|
달 표면의 자원탐사를 위하여 감마선 분광 측정 |
우주인터넷탑재체 (전자통신연구원) |
|
심우주 탐사용 우주 인터넷(DTN) 시험 (DTN: Disruption Tolerant Network) |
ShadowCam (NASA) |
|
달의 휘발성 물질 연구를 위하여 달 극지방의 영구음영지역 영상 촬영 |
□ 주요 신규 개발부품
명 칭 |
형 상(안) |
설 명 |
대용량 추진시스템 |
![]() |
▪달 궤도 진입용 고출력 추력기(30N급)를 신규개발(4기) ※ 기존 위성 자세제어용 추력기: 5N급 ▪가압식 추진시스템을 채택하여 국내 자체 개발 ※ 해외 우주탐사의 경우도, 추진시스템은 자국 기술로 자체 개발함 |
경량 본체 전장품 |
|
▪80kg 이상의 기존 전장품 무게를 전기접속 형상 설계를 통해 50kg 수준으로 경량화 개발 ▪110W급의 기존 전장품에 대비하여 신호 및 전원 분배시스템을 65W 수준으로 저전력화 신규개발 ※전장품 구성 : 탑재컴퓨터, 전력제어장치, 전력분배장치, 탑재자료 처리장치, 하니스 |
심우주지상국 |
|
▪달까지의 통신거리 확장을 위한 대형 안테나(27m이상) 신규개발 ※ 심우주통신을 위해 고출력 송신, 고이득 안테나, 저잡음 수신기 필요 |
붙임 3 |
시험용 달 궤도선 임무 궤적 |
□ 달 궤도선의 지구→달까지의 이동경로
‣① : 발사 및 타원궤도 진입 (고도 300km × 27만 km)
‣②,③,④ : 첫 번째, 두 번째 및 세 번째 달 궤도 접근 (궤도선의 자체 추력기 가동, 원지점 고도 상승 38만km)
‣⑤,⑥,⑦,⑧,⑨: 지구-달 전이궤도에서 달 궤도 접근 및 연속적인 기동을 통해 달 궤도에 안착(궤도선의 자체 추력기 가동, 임무 궤도 100km)
□ 달 궤도선의 시간별 이동경로
No. |
날짜 |
Event |
내 용 |
① |
발사일(D) |
발사 및 페어링 분리 후 위상전이궤도 투입 |
상단 페어링 안에 적재된 달 궤도선이 발사장에서 발사되어, 고도가 27만km인 위상전이궤도에 투입시킴 |
②~④ |
+19.5일 |
세 번째 위상전이 궤도까지 항행 |
달 궤도선의 추력기를 이용하여 궤도선의 고도를 조금씩 올리면서 달에 근접하기 위한 위상전이궤도로 항행 |
⑤~⑦ |
+27일 |
지구-달 전이궤도 항행 |
달 궤도선의 추력기를 이용하여, 달 궤도로 이동하기 위한 지구-달 전이궤도로 항행 |
⑧~⑨ |
+33일 |
달 궤도 진입 기동 및 안착 |
달 궤도선을 달 궤도에 진입시키기 위해서 여러 번의 달 궤도 진입 기동을 수행한 후 달 임무 궤도에 안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