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처 및 권리현황
적용처
출원(등록)번호
비고
1222431
한국
기술 수요
발명의 명칭
· 발사체 개발/제조社
· 국내외 항공 우주社
· 국내외 위성 개발 분야
· 국내외 발사체 장비 분야
정밀치수 제어 기반의 격자보강
복합재료 패널 제조장치
기술수준
■ 기술개념확립
□ 연구실환경검증
□ 시제품제작
□ 실제환경검증
□ 신뢰성평가
□ 상용품 제작
□ 사업화
시장전망
* 세계 위성제조 산업 매출액
: 146억불(2012년 기준)
기술문의
주 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성과확산실
조문희 선임, 김일태 선임
042-860-2272, 042-870-3673
moonyxp@kari.re.kr
magickit@kari.re.kr
이주훈 박사
개발현황
기술내용
수요처
추가기술정보
권리현황
2013.01.09 국내 특허등록 완료
격자보강 복합재료 패널 제조장치의 구성
• 복합재료 1~3은 레진 등의 수지재에 고분자 물질인 파이버가 일방향으로 분포된 프리프레그로
구성되며 툴링블럭들의 상면과 그 사이의 갭 및 단턱부에 적층된 복합재료들에 포함되어 있는
파이버의 분포방향을 각기 다르게 하여 가압 성형함
→ 격자보강 복합재료 패널의 무게 절감 및 강도 향상 가능
격자보강 복합재료 패널
패널본체
격벽
프레스 플레이트
툴링블럭
갭
베리어
슬립
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
핀
툴링블럭
단턱부
모서리부
툴링블럭 단턱부
복합재료1
갭
복합재료3
복합
재료
2
<패널 제조장치의 구성>
<툴링블럭들의 사이에 형성된 갭과 상부에
복합재료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격자보강 복합재료 패널의 구성>
정밀치수 제어 기반의 격자보강 복합재료 패널 제조장치
기/술/개/요
정밀한 설계 치수대로 격자보강 복합재료 패널을 제조하여, 발사체 무게를 절감하면서도
강도를 향상시키며, 우주 항공체 발사 비용 절감이 가능한 정밀치수 제어 기반의 격자보강
복합재료 패널 제조장치
기존 기술의 문제점
차별성 및 효과
차별성
기술적 효과
경제적 효과
복합재료에 함침된 파이버의 분포방향 및 툴링블럭의 배열된 상태를 제어
정밀한 설계 치수대로 격자보강 복합재료 패널 제조 가능
정밀한 패널 제조 가능
우주 항공체 발사 비용 절감
• 소재로써 금속재를 배제하고 복합재료를 이용하여
격자상의 격벽이 일체로 형성된 패널을 제조
→ 패널의 무게를 절감 가능하여, 이를 통해 우주
항공체의 발사 비용 절감 가능
• 인공위성 또는 우주선의 경우, 전체적인 무게를
저감시키는 기술이 막대한 발사비용을 최대한
절감시킬 수 있음
→ 몸체를 구성하는 패널의 무게를 줄이는 것이
발사비용을 절감하는데 가장 효율적
• 복합재료에 함침된 파이버의 분포방향 및
툴링블럭의 배열된 상태를 제어
→ 정밀한 설계 치수대로 격자보강 복합재료
패널을 제조
• 툴링블럭들 사이에 형성된 갭과 그 상면에 적층
되는 복합재료들을 고온, 고압하에서 동시에 가압
→ 패널의 성형을 보다 정밀하고 용이하게 제조 가능
무게 절감 및 강도 향상
• 툴링블럭에 단턱부를 형성하여 적층된 복합재료를
통해 패널에 일체로 형성된 격벽의 강도를 보강 가능
→ 발사체 무게 절감 및 강도 향상 가능
복합재료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 위성 또는 우주선의 몸체 구성 패널의 무게를 줄이고자 메탈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중량이
가벼운 신소재인 복합재료를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을 제작
→ 종래 메탈을 이용한 패널에 비해 전체적인 무게 절감의 효과가 크지 않음
복합재료를 이용하여 격벽을 일체로 형성한 패널
- 복합재료를 고온, 고압으로 성형함에 있어서 열팽창 및 변형 등 제조상의 문제점 발생 및
최종 제조 패널의 굽힘 등으로 인해 설계치수에 부합되는 패널을 제조 어려움
- 29 -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