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처 및 권리현황
적용처
출원(등록)번호
비고
2014-0052064
한국
기술 수요
발명의 명칭
· 항행안전시설 제조 社
· 감시 장비 제조 社
· GPS/위성 항법 장비
제조社
· 항행안전시설 분야
· 항공관제 분야
· LBS(Location Based Serive)분야
신호 입력시간 측정 장치
기술수준
□ 기술개념확립
■ 연구실환경검증
□ 시제품제작
□ 실제환경검증
□ 신뢰성평가
□ 상용품 제작
□ 사업화
시장전망
* ’11~’25년 까지 통신, 항행, 감시
분야 세계시장 규모 약 8조 원
이상 전망
* LBS 시장규모는 ’10년 이후 연평균
72%의 성장률을 기록, ’13년 약
130억� 달러의 대규모 시장성장
예상
기술문의
주 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성과확산실
조문희 선임, 김일태 선임
042-860-2272, 042-870-3673
moonyxp@kari.re.kr
magickit@kari.re.kr
장재원 박사
개발현황
기술내용
수요처
추가기술정보
권리현황
2014.04.30 국내 특허 출원 완료(현재 등록 진행 중)
신호 입력시간 측정 장치 구성
• 입력 신호의 입력 시간을 측정하는 신호 입력시간 측정 장치에서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부
• 기준 클럭을 발생시키는 클럭발생부
• 클럭발생부와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지연회로를 포함하는 지연부
• 신호입력부, 클럭발생부 및 지연부와 연결되며, 클럭발생부 및
지연회로로부터 입력된 클럭 신호에 따라, 신호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근거로, 신호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입력시간을 연산하는 연산부
신호 입력시간 측정 장치
기/술/개/요
지연회로를 이용하여 기준클럭 보다 더욱 정밀하게 신호의 입력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신호 입력시간 측정 장치 기술
기존 기술의 문제점
차별성 및 효과
차별성
기술적 효과
경제적 효과
지연회로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만큼 지연된 클럭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신호의 입력 시간을 측정
정밀한 신호 입력 시간 측정 가능
제조 단가의 절감
•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만큼 지연된 클럭을 이용
가능(지연회로를 이용)
→ 기준클럭에 따른 신호의 입력 시간 측정 정밀도
보다 더욱 정밀하게 신호의 입력 시간 측정 가능
• 버퍼, 프리플롭 등의 지연회로를 이용하여 손쉽게
지연부를 구현 가능
→ 제조 단가 절감 효과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
• 위치 측정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다변측정감시시스템, 모바일기기 등)
• 지연회로의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구조로
지연부를 구현 가능
→ 목적에 맞는 다양한 제품을 생산
데이터 및 데이터 세트 생성 용이
•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1’, 아니면 ‘0’ 값을 생성하여 저장
→ 손쉽게 데이터 생성 가능
• 기준클럭 및 해당 기준클럭을 지연시킨 클럭들에
의해 생성된 값을 하나의 세트로 저장하여 심플한
데이터 세트 생성 가능
AOA(Angle of Arrival) 방법
- 일반적으로 타깃이 센서와 멀리 떨어져 있다는 가정에 근거를 두고 있어 타깃이 센서에
가까이 있거나 주변 환경에 의해 산란이 될 때에는 부적절함
TOA(Time of Arrival) 방법
- 센서와 타깃 사이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들의 교점이 타깃 위치가 되며,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센서의 개수를 늘려야 함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법
- 타깃과 센서간 특별한 동기화가 필요하지 않아 알고리즘 구현이 용이한 반면, 신호 도달
시간의 정밀도가 요구됨으로 신호 전달의 지연 문제를 최소화 해주는 것이 필요함
- 39 -
-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