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재 구조물의 손상 및 탐지장치 및 방법
기존 기술의 문제점
차별성 및 효과
기술적 효과
경제적 효과
다양한 소재의 개발에 활용 가능
기/술/개/요
•
고유진동수 또는 음향신호를 분석하므로 코인 태핑
대비 정확도 높음
•
장비 가격 상대적 저렴
•
상대적으로 취급이 용이하며, 사용이 단순함
정확도 향상, 제조비용 감소, 사용 용이
고유진동수 또는 음향신호를 분석하므로 코인 태핑 대비 정확도 높고, 제조비용 감소
차별성
•
일반적으로 복합재 구조물 내부에 발생한 손상을 식별하기 위하여 초음파나 x-ray 등
을 이용하여 복합재 구조물의 내부 손상 여부를 평가하고 있음
•
그러나,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고 취급상 어려움이 있으며, 대형 구조물에 x-ray등의
장비를 적용하기 어려움
•
고가 장비 대신 동전이나 해머를 사용하여 충격을 가한 후 그 충격음을 통하여 손상
여부를 평가하는 태핑기술이 사용되나, 객관적인 손상 평가에는 한계가 있음
복합재 구조물의 고유 진동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고유 진동수와 손상되지 않은 원형의 복합재 구
조물의 고유 진동수를 비교하여 복합재 구조물의 손상 정도를 판단
수요처 및 권리현황
기술수준
□ 기술개념확립
□ 연구실환경검증
■ 시제품제작
□ 실제환경검증
□ 신뢰성평가
□ 상용품 제작
□ 사업화
시장전망
* 국내 비파괴검사 시장 : 5,020
억(2013년 기준)
주 연구원
김성준 박사
기술문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성과확산실
김일태 선임, 조문희 선임
042-870-3673, 042-860-2272
magickit@kari.re.kr
moonyxp@kari.re.kr
발명의 명칭
출원(등록)번호
비고
복합재 구조물의 손상 및 탐지장치 및 방법
0917863
한국
개발현황 및 기술내용
기술 수요
적용처
•
국내외 비파괴 관련 기업
•
국내외 제조업체
•
국내외 탄소섬유 업체
•
국내외 항공우주업체
•
비파괴 검사장비 제조업
•
신소재 개발 및 장비 결함파악
•
일반산업, 우주항공, 스포츠용
•
장비 결함유무 검사
개발현황
-
가속도계 또는 마이크로폰을 활용한 시제품 개발이 완료
-
휴대성 개선을 위한 추가 연구를 진행 중
시스템 구성
마이크로폰 활용 개요도
수요처
권리현황
추가기술정보
진동신호분석
방식의 시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