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정보센터
e-
http://e-policy.kari.re.kr
- 1 -
드론쇼 코리아
의 국내 멀티콥터 산업의
‘2016
’
최근 동향
작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연득 선임연구원
:
(
)
아시아 최대 드론 무인기
전시회인
드론쇼 코리아 가 부산 벡스코에서 성황
(
)
‘2016
’
리에 진행되었다 국내외
여개 기업 및 기관이 참여해 드론
여종이 전시되었다
.
60
150
.
관람객 또한 많은 관심을 보여 하루에 약 만명에 달하는 관람 신청이 있었다 국내
1
.
에서 무인기 연구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비롯하여
국내 군사
,
용 및 민수용 무인기 산업을 이끌고 있는 대한항공 유콘시스템 한화테크윈 등이 대
,
,
규모 부스에서 다양한 기종의 최첨단 무인항공기를 선보였다 또한 약
여 곳의 중
.
30
소업체들이 각각 특색있는 기체들을 대거 선보였다.
과거에 비해 국내 업체들의 군수용 무인기 기술 발전이 돋보였지만 상업용 드론분
야에서는 중국의
보다 여러 가지 미흡한 점이 많았다 중소 드론 업체가 속속 생
DJI
.
기고 있지만 대다수가 배터리
모터
카메라 등 핵심부품을 중국에서 수입해 국내서
,
,
조립하는 처지이다
이 때문에 가격은 중국에
기술력은 유럽과 미국에 밀린다
실제
.
,
.
로
드론쇼 코리아 에서 중소업체들이 선보인 대부분의 제품은 비행체의 프레임
‘2016
’
만 새롭게 제작한 제품이였다 특히나 무인기의 핵심 기술인 소프트웨어 제품은 거의
.
전무하였다.
그러나 항공우주연구원
대한항공
유콘과 같은 연구소 및 대기업에서는 한층 스마
,
,
트한 드론을 선보였다
특히 한화테크윈은 영상을 이용한 목표물 자동 추적 기능이
.
돋보인 소형 멀티콥터을 선보였다 또한 전 세계 영화 촬영용 드론 시장의
를 점
.
5%
유하고 있는 그리폰 다이나믹스에서는 임무 중량
급 이상의 대형 멀티콥터를 다
10kg
수 선보였다.
무인기 산업의 규모는 현재 급격하게 팽창하고 있다 군용은 지난해
억 달러에서
.
64
연평균
씩 성장하고 있으며 민간 시장은 지난해
만 달러에 불과하지만 연평
9%
,
6000
균
씩 고속 성장 중에 있다 이러한 성장세를 위해서는 비행체의 안정성뿐만 아
46%
.
니라 운용시스템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참가자들
정책정보센터
e-
http://e-policy.kari.re.kr
- 2 -
은 언급하였다.
이 글은 아래 링크의 기사를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6020102109952660021
http://news.mk.co.kr/newsRead.php?no=92345&year=2016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6012901031821159001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60201000032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410941&code=11151400&cp=n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