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Aviation Issue No.2
성층권 태양광
무인기와 무선인터넷
Report prepared by Future Strategy Head Office of KARI
October 2015
- 2 -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세계의 성층권 태양광 무인기 개발 현황
제피르
1
(Zephyr)
구글
2
(Google)
페이스북
3
(Facebook)
한국항공우주연구원
4
(KARI)
맺음말
- 3 -
머리말
와
를 결합한 애플
혁신의 아이콘인 아이폰
이
년 월 등장한지
2G
Wi-Fi
(Apple)
(iPhone)
2007
6
년이 지난 현재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가입자 수는
만 명
8
4,200
1)을 상회하고 있으며 국내 인구의
,
84%2)가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 이들은 일상의 소소한 생활정보부터 전문적인 지식 검색은
.
물론 뉴스 금융 쇼핑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활용
,
,
,
, SNS,
하고 있다 하지만
억 세계 인구
.
73
3) 중에는 절반이 안되는
억 명
32
(44%)4)만이 이러한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아프리카 중남미 등 개발도상국과 인구가 많은 중국 인도의
,
,
,
인터넷 환경이 열악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년
2011
년
2012
년
2013
년
2014
년
2015
스마트폰 만명
[
]
2,258
3,273
3,752
4,056
4,234
인터넷
만명
[
]
3,718
3,812
4,008
4,112
-
표
[
1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 수 및 인터넷 이용자 수
]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 최대 인터넷 기업인 구글
과 페이스북
등은 라이징
(Google)
(Facebook)
‘
빌리언즈(Rising Billions)5) 로 불리고 있는
억이 넘는 잠재적인 인터넷 사용자들이 가지고 있을
’
40
영향력에 주목하고 향후 세계 인터넷 시장을 주도할 목적으로 저마다 전 세계를 커버하는 무
,
선인터넷망을 구축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구글은 태양에너지
.
를 바탕으로 성층권에서 기구
를 활용하는 프로젝트 룬
을 진행함과 동시
(ballon)
‘
(Project Loon)’
에 장기체공 무인기를 활용하기 위하여 타이탄 에어로스페이스
를 인수하였고
(Titan Aerospace)
,
민간우주선 기업인 스페이스엑스
와 함께 초소형 인공위성을 활용하는 방안 등 다양한
(SpaceX)
아이디어로 범지구적 무선인터넷망 구축을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의
.
‘internet.org’
무료 인터넷 서비스 제공 계획의 일환으로 어센타 에어로스페이스
를 인수와
(Ascenta Aerospace)
함께 커넥티비티 랩
을 출범하면서
‘
(Connectivity lab)’
성층권 영역에 장기체공 무인기를 이용한
사각지대 없는 무선인터넷망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범지구적 무선인터넷망 구축에 따른 기업에서 기대할 수 있는 수익은 무선인터넷 등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료 광고 빅데이터 제공 인터넷 간편결제 등 다양하다 예로 구글 프로젝트 룬의
,
,
,
.
,
총책임자인
는 한 달 무선인터넷 사용료 달러에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인구
Mike Cassidy
5
약
억 명 중
가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연
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45
5%
100
6)고
언급하였다 최근 구글은 프로젝트 파이
.
‘
(Project Fi)7) 를 발표하며 이동통신 시장 진출도 시도
’
,
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무료 인터넷 제공이라는 사회공헌 활동을 명분으로 인지도를 올리고
.
,
그에 따른 더 많은 광고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참고로
년
억 달러의 매출 중 광고
(
2014
140
수익은
억 달러로 약
의 비중을 차지하였다
130
93%
).
이번 호에서는 범지구적 무선인터넷 구축의 방안 중 하나로 성층권에서 태양에너지와 차전지를
2
동력원으로 운용하는 프로펠러 무인기의 개발 현황을 중점으로 소개해보고자 한다.
1)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 현황 미래창조과학부
,
;
년 월 기준 국내 인구의
이동통신 가입자의
2015
8
,
85%,
80%
2)
인터넷통계정보검색시스템
KISA
(http://isis.kisa.or.kr
년 월 기준
만 명 만 세 이상
); 2014
7
, 4,112
( 3
)
3) http://www.worldometers.info/world-population/
년
월 기준
; 2015
10
4) http://www.internetlivestats.com/
년
월 기준
; 2015
10
5) 미국
의
회장이 언급
XPRIZE Foundation
Peter Diamandis
6) http://www.theverge.com/2015/3/2/8129543/google-x-internet-balloon-project-loon-interview
7) https://fi.google.com/
- 4 -
세계의 성층권 태양광 무인기 개발 현황
성층권 태양광 무인기는 고도
정도에서 태양전지판을 통하여 에너지 공급과 차전지에
20km
2
저장을 통하여 수개월에서 수년 동안 좁은 반경을 선회비행 정지궤도 하거나 이동 저궤도 하면서
(
)
(
)
기존 인공위성이 수행하던 실시간 영상 정보 획득 및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등을 보다
/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현재 연구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이를 위한
.
핵심기술로는 전기추진시스템 경량구조 설계 자동비행시스템이 있다 전기추진시스템 기술을
,
,
.
확보하기 위해서는 태양전지 배터리와 같은 동력원의 에너지 효율 향상과 함께 극한 환경에서
,
적은 에너지로도 충분한 추력을 낼 수 있는 프로펠러와 모터 기술은 필수이다 또한 동력 및 순항
.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경량구조
설계 기술 그리고 장기체공 운용에 있어서 안정적인 비행체 운용과 비행 성능 최적화를 위한
,
자동비행시스템 기술도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이 적용된 성층권 태양광 무인기 중에서는 영국
.
의 제피르
가 고도 및 체공 시간에서 최고 기록을 수립하며 가장 앞서 있다
QinetiQ
‘
(Zephyr)’
.
현재는 이 때 확보된 기술을 바탕으로 탑재장비를 장착하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가 진행 중이다 민간 기업에서는 무선인터넷 시장 선점을 목표로 경쟁 중인 구글의 솔라라
.
‘
와 페이스북의 아퀼라
가 가장 대표적이다 또한 국내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Solara)’
‘
(Aquila)’
.
,
고고도 장기체공 전기 동력 무인기
를 통하여 핵심기술들을 연구하고 있다
‘EAV’
.
1 제피르(Zephyr)
성층권 비행과 관련하여 고도와 비행시간에 최고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무인기는 영국 QinetiQ8)가
영국 국방부의 투자로 개발한
제피르 이
년 월 미국 아리조나의
에서
‘
7’
2010
7
Yuma Proving Ground
비행 중 기록한 고도
와
시간
21,561m(70,740ft)
336
일
분
(14 ) 22 9)이다. 제피르 은
급 영구자석
‘
7’
450W
동기 모터
로 구성된 두 개의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프로펠러로
이상의 고도
20km
상승을 위한 추진력을 확보하였고 날개폭
의 거대한 크기에 비하여 탄소 섬유
,
22.5m
(carbon-fiber)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전체 무게는
으로 구조를 경량화하였다 또한 주간 비행에서 거대한
53kg
.
,
날개에 부착된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충전한 에너지를 리튬 황 배터리로 저장하여 야간 비행이 가능
-
하도록 하였다.
크
기
날개폭 : 22.5m
중
량
총중량
탑재중량
: 53kg,
: 2.5kg
동
력
원
태양전지
리튬 황
배터리
/
- (Lithium-Sulfur)
순 항 속 도
30knots (55.6km/h)
비 행 기 록
최고 상승 고도 : 21,562m
최대 체공 시간
시간
일
분
: 336
(14 ) 22
표
[
2 제피르
제원
]
7(Zephyr 7)
소개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lVDMDR5FhW0&feature=youtu.be)
8) 우리나라의 국방과학연구소에 해당하는 영국의
가
DERA(Defence Evaluation and Research Agency)
년 월 국방부 소속의
과 국방관련 기술을
2001
6
dstl(Defence Science and Technology Laboratory)
민간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민영화한
개의 기관으로 분리하였다
QinetiQ 2
.
9) http://www.qinetiq.com/media/news/releases/Pages/three-world-records.aspx
- 5 -
그림
[
1 제피르
형상
]
(Zephyr)
이후
년 월 해당 무인기 시스템을
가 인수 인수 시 회사명은
2013
3
Airbus Defence and Space
(
EADS
하여 밤이 긴 동절기 기간에
시간
Astrium)
250
이상의 비행
기록 수립
10) 및 두바이에서
민간 비행
11) 등을 수행하였으며 현재는 광학 및 적외선 카메라 통
,
,
신장비 등의 탑재장비와 이를
활용하는 연구 목적의 제피르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은
‘
8’
.
인공위성처럼 해상과 국경 감시
,
환경 감시 네비게이션 실시간 영상 정보 획득 미사일 감지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
,
,
것으로 설명
12)하고 있다.
Zephyr 8 ‘IOC’
(Initial Operational
Capability)
Zephyr 8 ‘FOC’
(Full Operational
Capability)
후속 버전
Zephyr
설명
최고 기록을 수립했던
세팅을 기본으로 더 유연한
운용이 가능하도록 한
의 차세대 버전
Zephyr 7
연중 내내 운용 가능하도록
체공 성능 향상을 위한
동력 시스템의 개선
탑재가능 중량의 증가에
따른 플랫폼 확장
구현시기
2016
최초 프로토타입
(
: 2015)
2017/18
이후
2018
탑재장비
및 성능 예
광학 적외선
비디오
- HD
/
(IR)
해상도
영상
- NIIRS* 6(
0.4~0.75)
국제 영상 판독 가능척도
*National Imagery Interpretability Rating Scale(
)
- AIS(Auto Identification System)
협대역
모바일 통신 예
-
(narrowband)
( . Tetra)
브로드캐스트
- 100Mbps
(broadcast)
-
해상도
영상
NIIRS 8(
0.1m)
- RADAR
- LIDAR
- ESM/ELINT
광대역
통신
-
(broadband)
비행허가
민간 및 군의 관제 공역 내
비행을 위한 관문을 통과한 후
통상적인 비행 운용 루틴이 인증된 후
※http://militaryaircraft-airbusds.com/Portals/0/Images/Aircraft/UAVs/Zephyr/ZEPHYR_datasheet_customers.pdf
표
[
3 제피르
및 이후 계획
]
8(Zephyr 8)
2 구글(Google)
성층권 무선인터넷망 구축과 관련하여 가장 대표적인 두 기업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술과 같이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네트워크 운영 능력을
(SDN; Software Defined Network)
갖춘 회사인 구글과 페이스북이다 구글은 이전부터 성층권 무선인터넷 구축과 관련하여 개발을
.
추진하고 있었는데 광범위한 인터넷
,
오지를 대상으로는 기구
를 활용하고 비교적 좁은
(Balloon)
,
범위의 지역과 통신망이 마비된 재난지역에는 신속하게 투입할 수 있는 이동성을 고려한 드론
을 활용할 계획으로 프로젝트를
(Drone)
진행하고 있다
프로젝트 룬
. ‘
(Project Loon)13) 을 통하여
’
10) http://airbusdefenceandspace.com/newsroom/news-and-features/another-first-for-airbus-zephyr-7/
11) http://airbusdefenceandspace.com/newsroom/news-and-features/record-breaking-first-civil-flight-for-the-airbus-zephyr/
12) http://militaryaircraft-airbusds.com/Aircraft/UAV/Zephyr.aspx
- 6 -
개발 중인 기구는 현재 뉴질랜드의 보다폰
호주의 텔스트라
라틴아메리카의
(Vodafone),
(Telstra),
텔레포니카
등 이동통신사들과
(Telefonica)
함께 무선인터넷 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기구 하나당
.
무선인터넷 송수신 폭은
로 성능 개선
40km
및 운용 대수를 늘려 점차 시험 영역을 확대해 나갈
생각이다 성충권의 또 다른 운용 형태가
.
될 수 있는 비행선
분야는 최근 중국의 과기
(Airship)
일보에 따르면 비행선 위안멍
‘
(
)
圓夢 14) 호가
’
년
월
일 성층권 비행에 성공하였다고 한다
2015
10
13
.
구글의 성층권 무인기에 대한 적극적인 개발 의지는 지난
년 월 페이스북과의 경쟁
2014
4
과정에서 보인 타이탄 에어로스페이스
의 인수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타이탄은
(Titan Aerospace)
.
인수될 당시 대기권 위성
또는
개념으로
(atmospheric satellite)
HAPS(High Altitude Pseudo Satellite)
솔라라
‘
50
과 솔라라
두 가지 크기의 기체를 개발하고 있었으며 작은
(Solara 50)’
‘
60(Solara 60)’
,
크기의 솔라라
도 날개폭이
로 보잉
보다 크다 동체 길이는
수준
솔라라
은
‘
50’
50m
767
(
1/3
). ‘
50’
탑재중량
고도 약
에서 년 동안 운용을 목표로 야간에 비행을 유지할 에너지를
30kg,
20,000m
5
여개의 태양전지를 통하여 리튬 이온 배터리에 저장하도록 설계를 하였다
초당 기가비트
3,000
-
. 1
1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탑재하여
대당 가격은 개발 초기에
만 달러를
, 1
200
예상하였다
년 상업 운영을 목표로 하였으나
년 월 시제기가 뉴멕시코에서 시험 중
. 2015
, 2015
5
추락하는 사고로 현재는 기구 비행선과 비교하여 기술 실현에 뒤처지지 않을까 우려되기도 한다
,
.
솔라라 50
솔라라 60
크
기
날개폭
동체길이
: 50m,
: 15.5m
날개폭
동체길이
: 60m,
: Unknown
중
량
총중량
탑재중량
: 180kg,
: 30kg
총중량
탑재중량
: Unknown,
: 110kg
동 력 원
태양전지
전력
(3,000 cell),
: 7kW
리튬 이온
배터리
/
-
(Lithium-ion)
Unknown
운 항 속 도
97km/h
Unknown
설 계 성 능
운용 고도 : 19,800m
최대 체공 시간
년
: 5
Unknown
자료 : History and Acquisition of Titan Aerospace, Kevin Satterfield
※
표
[
4 솔라라
및 솔라라
제원
]
50(Solara 50)
60(Solara 60)
그림
[
2 솔라라
형상
]
50(Solara 50)
소개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Q7Z_-nfVUS4
)
13) https://www.google.com/loon/
14) 부피 18,000m
3의 헬륨을 이용하여 성층권까지 상승하고 태양전지판으로 동력을 공급받는다 현재
시간
.
48
체류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성능 개선 후에 광대역 통신 및 데이터 중계 고정밀 관측 우주 이미지
,
,
,
촬영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 7 -
3 페이스북(Facebook)
구글과 유사하게 페이스북 또한 전 세계 인터넷 오지에 무료 인터넷을 보급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년부터 진행하고 있다 구글과의 타이탄 에어로스페이스 인수
‘internet.org’
2013
.
경쟁에서 밀릴 것 같은 페이스북은 영국으로 눈을 돌려 태양광 드론 개발업체인 어센타 에어로
스페이스
를
년 월에 인수하면서 커넥티비티 랩
을
(Ascenta Aerospace)
2014
3
‘
(connectivity lab)’
출범하였다 커넥티비티 랩은 크게 가지 방식으로 글로벌 인터넷 망을 준비하고 있다 인구 밀도가
.
3
.
높은 대도시 지역은 무선 전파망 인구 밀도가 중간 수준인 지역이나 저개발국가에는 지상
,
상공에 무인기 인구 밀도가 아주 적은 오지 지역은 저궤도 지상
상공
정지궤도
20km
,
(
400~600km
)ㆍ
상공 에 인공위성을 띄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35,786km
)
.
그림
[
3 고도에 따른 무선인터넷 플랫폼 개념도
]
자료 :
※
Connecting the World from the Sky(https://internet.org/)
소개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pxX6r-xDgG4#t=200)
- 8 -
커넥티비티 랩에서 밝힌 고도
성층권 영역에서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은
20km
어센타 에어로스페이스를 인수하면서 개발하고 있는 태양광 무인기 아퀼라
이다
년
‘
(Aquila)’
. 2015
월 영국 브리튼 섬에서 축소 모델에 대한 첫 시험비행을 수행하였고
년 월에는
개월
3
, 2015
7
14
간의 제작 기간을 거쳐 날개 길이
총 중량
의 실물 크기
를 공개하였다
42m,
400kg
(full-scale)
.
태양전지와 리튬 이온 배터리로 고도
상공에서 약 개월 간 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
18~27km
3
이 태양광 무인기는 보잉
보다 긴 날개지만 도요타 프리우스보다 가벼운 무게임을 언급하면서
737
,
또한 초당
기가비트의 속도로 인터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새로운 레이저 실험에도
1
10
성공했다고 전한다 해당 무인기는 올해 말 또는 내년 초 시험비행이 계획되어 있다
.
.
크
기
날개폭 : 42m
중
량
총중량 : 400kg
동 력 원
태양전지
리튬 이온
배터리
/
-
(Lithium-ion)
설 계 성 능
운용 고도 : 18,000~27,000m
최대 체공 시간
개월
: 3
표
[
5 아퀼라
제원
]
(Aquila)
그림
[
4 아퀼라
형상
]
(Aquila)
소개 동영상(
※
https://www.facebook.com/Engineering/videos/10153414335177200/)
4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년부터 기상 관측과 통신 중계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고고도
2010
장기체공 전기동력 무인기
를 개발하고 있다
부터
까지의 축소 모델
‘EAV’
. ‘EAV-1’
‘EAV-2H+’
제작과 시험비행을 통하여 태양전지와 차전지만으로 최대 상승 고도
시간
분 국내
2
10km, 25
40 (
- 9 -
최장 연속비행 등의 비행기록과 함께 전기동력 무인기 기반기술 및 운용기술을 확보하였다 이후
)
.
실물 크기
을 개발하여 비행 시험을 수행하고 있으며
년 월에는 최대 상승 고도
‘EAV-3’
, 2015
8
시간 연속비행에 성공하였다
14.12km, 9
.
그림
[
5] EAV-1
그림
[
6] EAV-2
그림
[
7] EAV-2H+
그림
[
8] EAV-3
기종
EAV-1
EAV-2
EAV-2H
EAV-2H+
EAV-3
날개폭
2.4m
7m
11m
11m
20m
최대이륙중량
7kg
18kg
18kg
-
53kg
동력원
연료전지
차전지
2
연료전지
태양전지
차전지
2
태양전지
차전지
2
태양전지
차전지
2
태양전지
차전지
2
비행기록
①최대고도: 1km
②비행시간: 4.5hr
5km
①
22hr
②
5.1km
①
25hr 40m
②
10km
①
7hr
②
14.12km
①
9hr
②
특이사항
리튬 폴리머 배터리
-
하이브리드
동력 시스템
리튬 이온 배터리
-
쌍발 프로펠러
쌍발 프로펠러
순항속도
25.2km/h
자료
※
①
고고도 장기체공 전기 동력 무인기 축소기 개발 및 비행시험 이융교 황승재 김상곤
,
,
,
,
박동훈 김철완 김승호 장병희
년 한국항공우주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 2014
②
고고도 장기체공 전기 동력 무인기 형상 설계
황승재
김상곤
이융교
김철완
,
,
,
,
,
한국항공우주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14
표
[
6
시리즈 제원
] EAV
- 10 -
좁은 영토를 가진 우리나라 여건을 고려한다면 무인기를 비롯한 인공위성 기구 비행선
,
,
,
등을
이용한 성층권 무선인터넷 개발의 이점은 낮다 하지만 만약 구글이나 페이스북에서 개발 중인
.
프로젝트가 성공하여 실용화가 된다면 영화 킹스맨
과 같이 전 세계 어디든지 무료
,
‘
(Kingsman)’
또는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무선이동통신 시장을 독점하게 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 국내
,
이동통신사의 앞날을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파급력은 클 것이다 또한 광학 및 적외선 카메라
.
,
,
합성개구 레이다 등을 탑재하게 되면 우주쓰레기 걱정 없이 현재 인공위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 번 우주 공간으로 올라가면 유지보수가 힘든 인공위성에 비해 이착륙이 가능하므로
.
유지보수와 탑재장비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미래 성층권의
.
이용가치를 일찍부터 파악하고 핵심기술들을 확보하기 위하여 꾸준히 연구해왔으며
를
, ‘EAV’
통하여 그 성과도 보여주고 있다.
맺음말
범지구적 무선인터넷 네트워크 구축의 잠재력은 현재 무선이동통신 시장을 변화시킬 수 있을
정도로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나 성층권 영역은 탑재 가능 중량 통신 장비 성능 등 해결
,
,
해야할 기술적인 난관이 아직은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난관을 극복하게 되면 전 세계 인터넷과
.
무선 대역폭을 제공하는 독점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는 메리트로 인하여 미래를 내다보고
구글과 페이스북과 같은 거대 인터넷 기업들이 성층권 태양광 무인기 등의 개발에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물론 현재 세계의 동향을 보면 범지구적인 무선인터넷망 구성에는 성층권 무인기만을
.
이용하려는 것은 아니다 버진 그룹
퀄컴
이 참여하는 원웹
.
(Virgin Group),
(Qualcomm)
‘
(OneWeb)15)’
프로젝트와 스페이스엑스
의
인 엘론 머스크
는 우주 공간에서 인공위성을
(SpaceX)
CEO
(Elon Musk)
이용한 무선인터넷 서비스 사업을 구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삼성
,
16)도 인공위성을 활용한 우주
인터넷 구상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하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범지구적 무선인터넷망
.
구축에 세계 굴지의 기업들이 관심을 표명하는 것은 사업 규모가 거대한 만큼 기대되는 수익 또한
거대함을 의미하며 이 중에서 성층권 무인기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한 것은 비교적 적은 금액
,
으로 범지구적 무선인터넷 인프라 구축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개발 가치가
높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더욱이 성층권 무인기가 무선인터넷망에만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
앞서
설명한
개념의 해상 국경 환경 감시 네비게이션 실시간 영상 정보 획득 미사일 감지 등
HAPS
/
/
,
,
,
다양한 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다면 그 개발 가치는 한층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남아메리카 아마존 정글 태평양 상공 비행기 기내 등 전 세계 어디든지
,
,
해외여행 또는 출장 시에 데이터 로밍 서비스 가입 해당 지역 유심 칩으로의
,
교체
서비스
, Wi-Fi
지역 탐색 등 별도의 비용이나 조작 없이 국내에서 쓰던 스마트폰과 노트북으로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생각을 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무인기 기구
인공위성 등 다양한 방법으로 추진되고 있는 범지구적 무선
,
(balloon),
인터넷망 구축이 하루빨리 실현되어 누구나 전 세계 어디에서든지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하여 본다.
문의 미래전략본부 정책총괄팀 변완일 선임연구원
:
(wibyun@kari.re.kr, (042)870-3686)
15) http://oneweb.world/#home
16) Mobile Internet from the Heavens, Farooq Khan, Samsung Electronics
(http://arxiv.org/ftp/arxiv/papers/1508/1508.02383.pdf)
- 1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미래전략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