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정책정보센터
http://e-policy.kari.re.kr
- 1 -
2014년 캐나다 우주개발 현황
작성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임종빈 (선임연구원)
캐나다는 최근 예산 및 정책 등에 대한 불확실성에 직면하였으며, 이는 캐나다 정부가
항공우주/우주 프로그램 및 정책 등에 대해 검토하는 개기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2014년
도에 우주 정책 체계(Space Policy Framework)를 도출하게 되었으며, 본체계에서는 5가
지의 원칙을 명확히 하였다.
1) 캐나다 국민의 관심 우선 : 캐나다의 첫 번째 우주선 순위는 캐나다 자국의
자주권, 안보 및 번영을 위해 효율적으로 우주를 사용하는 것 임
2) 우주 활동의 선두에 민간 산업체를 배치 : 자국의 우주산업체 지원에 중점을
두며, 뛰어난 역량을 가진 산업체를 활용
3)협력을 통한 추진 : 캐나다의 기술과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 수출 통제를 보장
하면서, 국제 파트너와의 지속적인 협력 추진
4) 우주분야 중요 역량에서의 탁월성 유지
5) 우주를 통한 캐나다 국민을 고취시킴
캐나다의 우주개발은 1989년 설립된 캐나다 우주청(Canadian Space Agency, CSA) 통
해 추진되고 있으며, 산업부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캐나다 내 다른 기관과의 협력을 통
해 우주개발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다. 2014년 수립된 우주 정책 체계에 의해서 ‘우주
자문 회의(Space Advisory Council)’가 만들어 졌으며, 역할은 캐나다 우주청의 우주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자문을 수행하고, 매년(annual basic) 산업부 장관에게 캐나다 우주청의
우주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우선순위에 대한 검토 의견을 보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자주권 및 국가 안보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최근 국방부(Department of
National Defence, DND)가 캐나다 우주개발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
다. 이는 캐나다의 Director General Space(DG space)를 만들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캐
나다 국방부는 통신, 첩보(정보), 감시, 정찰, 우주 안보, 해안 안보 등을 포함하는 분야에
서의 우주 기반 자산을 확보하기 위한 도전적인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이러한 핵심 임무
를 추진하기 위한 ‘국가 국방 우주 정책 및 전략’ 초안을 작성하였다. 이는 캐나다의 첫
번째 우주관련 국방 전략에 해당한다.
e-정책정보센터
http://e-policy.kari.re.kr
- 2 -
기관
역할
산업부 장관
(Minister of Industry)
우주 정책 및 우주개발 프로그램 조정
캐나다 우주청
(Canadian Space Agency, CSA)
과학 및 기술 연구, 산업 육성, 국제협력 등에
대한 모든 정부 민간 우주 프로그램의 지원
통신 연구 센터
(Communication Research
Center, CRC)
캐나다 통신 인프라 관련 선도 기술에 대한 연
구·개발 수행 및 국가 방송통신 회사 지원(산업
부에 보고함)
캐나다 원격탐사 센터
(Canadian Center for Remote
Sensing, CCRS)
원격 탐사 데이터에 대한 수신, 처리, 기록, 확산
(천연자원부에 보고)
우주 총국
(Directorate General Space, DG
Space)
국방부의 우주 프로그램에 대한 조정 및 감독(국
방부에 보고)
우주 자문 회의
(Space Advisory Council)
캐나다 우주청의 우주 프로그램에 대한 조언 및
매년 산업부 장관에게 캐나다 우주청의 우주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우선순위에 대한 검토 보고
<캐나다 우주개발 거버넌스>
2014년 캐나다의 우주예산은 497 백만 달러로 2013년 555 백만 달러 대비 10% 감소
하였으며, 민간 부문의 우주예산은 325억 달러, 국방 부문은 172 백만 달러이었다.
2014년 예산
497 백만 달러
투자 순위
11
5년간 연평균성장률
5%
민수/군방
65%/35%
GDP 대비
0.03%
인구 1인당
14 달러
<2014년 캐나다의 우주개발 예산 개요>
e-정책정보센터
http://e-policy.kari.re.kr
- 3 -
′09
′10
′11
′12
′13
′14
CAGR
총계
340
371
410
321
409
359
2%
일반
53
51
50
50
50
50
-1%
위성통신
12
11
9
8
9
10
-4%
지구관측
70
79
110
100
180
130
13%
과학‧탐사
76
95
100
50
50
40
-12%
기술
35
36
45
16
30
29
-4%
유인우주
64
60
55
50
60
60
-1%
기타
0
0
12
18
10
20
-
ESA 분담금
31
38
29
29
20
20
-8%
<캐나다의 민수부문 우주개발 예산(단위: 백만 캐나다 달러)>
′09
′10
′11
′12
′13
′14
CAGR
총계
96
156
171
213
163
190
15%
위성통신
39
88
107
177
128
158
32%
지구관측
30
30
30
30
30
30
0%
우주안보
27
38
34
7
5
2
-41%
<캐나다의 국방부문 우주개발 예산(단위: 백만 캐나다 달러)>
′09
′10
′11
′12
′13
′14
CAGR
총계
383
511
588
534
555
497
5%
민수
299
359
415
321
397
325
2%
군수
84
151
173
213
158
172
15%
<미국 달러 기준 캐나다의 우주예산(단위: 백만 달러)>
※ 이 글은 아래 자료를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Profiles of Government Space Programs : Analysis of over 80 countries & agencies (Euroconsult,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