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정책정보센터
http://e-policy.kari.re.kr
- 1 -
NASA의 항공분야 연구 확대 정책
작성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황인성 (선임연구원)
2015년도 예산이 1억달러 가량 증가하였고, 2016년에도 2천만달러 정도 증액 신청
을 계획함에 따라 NASA의 항공분야 연구는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특히 신규 비행
시험 계획이 다수 포함되었다.
NASA는 2016년도 항공분야 예산으로 전체 예산 185억달러의 3% 수준인 5억 7천
만달러를 계획하고 있다. 이는 올해 확정된 6억 5천만달러 대비 감소한 금액이나, 당
초 2015년 예산으로 신청한 5억 5천만달러보다는 증가된 규모이다. NASA의 항공연
구 부문 최고 책임자인 신재원 박사는 예산 증가가 항공분야 연구에 큰 힘이 될 것이
라고 말했다.
2015년도 추가 예산의 일부는 당초 2016년 예산 계획 하에 예정된 신규 프로그램
을 앞당기는 데 사용될 것이다. 의회는 증액된 1억달러가 재편된 항공연구 프로그램
에 균형있게 분배되어 사용될 것을 주문했다.
항공분야 연구는 여객기 효율 향상으로부터 무인항공기에 이르기까지 6개의 전략적
주제로 재편될 것이다. 신재원 박사는 NASA의 항공분야가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증액된 연구비를 적절히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재원 박사는 또한, 증액된 연구비는 2015년을 위한 것으로, 저탄소 추진, 소형 무
인항공기의 저고도 안전 비행을 위한 관리 프로그램과 같은 연구를 1년 앞당겨 착수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연구회의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의 위임을 받아
비행자동화와 같은 연구도 수행할 예정이다. 추가 예산 가운데 2천만달러는 NASA의
지상/비행시험 시설 투자에 사용할 계획이다.
신재원 박사에 의하면, 2016년도 예산은 차세대 항공운송 시스템 (NextGen)을 위
한 연구와 항공교통관리 (ATM, Air Traffic Management) 신기술 개발에 적절히 배
분되어 사용할 계획이다. 신기술 가운데는 저탄소 추진, 시스템 안전 보증, 자율 비행
등이 포함된다.
NASA의 ERA (Environmentally Responsible Aviation) 프로젝트의 마지막 6년차
e-정책정보센터
http://e-policy.kari.re.kr
- 2 -
연구가 올해 수행되며, FDC (Flight Demonstrations and Capabilities) 프로젝트로 전
환되어 관련 연구가 지속될 예정이다. FDC 프로젝트에서는 ERA 프로젝트 등을 통해
선별된 기술을 정교하고 통합적인 비행시험을 수행하여 완성도를 높이고자 한다.
FDC 프로젝트는 고유의 비행시험을 통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원하는
수준의 통합 시험환경을 지원한다. FDC 프로젝트 내에는 각 연구활동 단위별 소규모
프로젝트 그룹이 있으며, ERA 프로젝트와 달리 기간이 제한적이지 않다. 현재 첫 번
째 그룹이 준비 중이다.
2016년에는 또 다른 신규 과제로 9천만달러 규모의 TAC (Transformative
Aeronautics Concepts) 프로그램이 선보인다. TAC 프로그램은 다학제간, 혁신적인
항공기술 발굴을 목표로 한다.
CAS (Convergent Aeronautics Solutions) 프로젝트는 NASA 내부 연구원들의 아
이디어를 선정하여 18~24개월의 타당성 연구를 수행한다. 비용 절감기술, 신속한 시
험비행기 (X-plane), 분산전기추진 수직이착륙 자율비행 등이 진행 중인 CAS 프로
젝트 내용이다.
시험비행기 (X-plane) 프로젝트는 2014년 제안된 NASA 드라이덴 비행연구센터의
글라이더-로켓 개념을 이용한다. 두 개의 동체로 구성된 글라이더가 위에서 이끌며,
소형 무인항공기가 연결된 형태이다. NASA는 이러한 개념으로 신개발 항공기에 대
해 비행시험을 수행할 경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수직이륙 프로젝트는 NASA 랭리 연구센터의 GL-10 개념을 발전시킨다. 이를 통
해 하이브리드-전기, 분산동력, 주/미익 틸트 등을 조합하여, 수직이착륙과 장기체공
능력을 배가한다. 또 다른 프로젝트는 LEAPTech 분산전기추진 개념을 확장하여 지
상시험을 수행하고, 비행시험까지 목표로 한다.
LEARN (Leading Edge Aeronautics Research for NASA) 프로젝트는 CAS 프로
젝트와 동일한 개념이되, 외부인들을 대상으로 하며, 2016년 연구비는 1천만달러 규
모이다. 신재원 박사는 LEARN 프로젝트를 통해 대학들이 더 많은 획기적인 아이디
어를 도출하기를 바라고 있다.
현재 많은 아이디어들이 CAS 프로젝트를 통해 지원받기를 기대하고 있다. 일단 채
택되면 기존의 번거로운 리뷰 절차가 생략되고 NASA가 앤젤 투자자 역할을 한다.
CAS 프로젝트를 통해 타당성이 입증된 기술은 산업체로 이전되거나 NASA의 항공
분야 3대 연구 프로그램 (공역 운영 및 안전, 미래 비행체, 통합 항공 시스템)에 포
함된다.
e-정책정보센터
http://e-policy.kari.re.kr
- 3 -
<분산동력추진장치 시험>
<X-plane 프로젝트>
※ 이 글은 아래 링크의 기사를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http://aviationweek.com/technology/nasa-plans-more-flight-demos-under-new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