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러시아, 일본, 터키의 헬기 개발 동향
작성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오경륜 (선임연구원)
미국과 유럽의 주요 헬기제작회사들이 신형 헬기 개발에 나서자, 세계 헬기 시장에서 러
시아의 영향력이 약해질 것으로 우려한 러시아는 민군겸용헬기개발을 필두로 2020년대
이후에 사용할 차세대 헬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러시아의 노력으로 안사트(ANSAT)와 라헬(RACHEL) 헬기가 등장하였다.
Mi-8에 기반한 안사트는 내부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러시아 헬기 중 가장
성공적인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안사트는 외국 주요 헬기보다 저렴(예: EC-145 헬기보다
100~150만 U.S. $ 저렴)하지만 기술적으로는 동등하며 주문자의 좌석배치 등 다양한 소
비자 요구를 수용하고 있다.
라헬은 러시아 정부가 2억3300만 U.S.$를 투입해 개발하고 있는 차세대 고속 헬기다.
2020년까지 상업용 버전을 개발하고 2025~2030년에 신소재 및 새로운 공기역학적 설계
를 반영하여 개발할 예정이다.
러시아는 고속헬기를 미래헬기산업의 핵심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개발 중인 고속헬기 연
구용 시제기는 이미 시속 400km에 도달하고 있어, 현재 운용 중인 군수용 헬기가 시속
300km 내외인 점을 고려할 때 대단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러시아 헬리콥터 사는 중국의 Avicopter사와 2008년부터 중국 현지에서 생산하게 될
Mi-26 기반의 진보된 대형 헬기개발 프로젝트에 대해 협의를 하고 있으며 최근 외형 등
에 관한 중요한 결정이 이루어 졌고 2014년 내에 기술적인 구성에 대한 정의가 마무리
될 것으로 예상된다.
독특한 헬기로 복합소재의 확대사용, 방충 연료시스템 적용 등 새로운 기술들이 많이 적
용된 Ka-62는 인증시험을 위한 시제기가 생산되었으며 2014년 중 최초 비행이 이루어
질것으로 예상되어 조만간 상업생산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소형헬기의 경우 신중한 착륙접근이 필요하나, 오늘날 러시아의 헬기모델들은 외국의 헬
기들에 비해 취약하다. 그동안 러시아 헬기개발을 담당해오던 Mil과 Kamov 조직이 새로
운 헬기개발사업으로 소형헬기 개발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약점을 극복
하기 위해 AW139의 러시아 내 조립생산 기종인 Helivert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외국
경쟁자들과 새로운 파트너십 체결에 심열을 기울이고 있다.
- 2 -
ANSAT
Mi-38
Helivert
- 3 -
Ka-62
일본은 노후화 된 군 수송 헬기를 대체할 헬기 개발을 위한 관련 프로젝트를 UH-X로
명명되었으며, 향후 10년에 거쳐 150여대의 낡은 군 수송 헬기를 대체하는 것으로 그 규
모는 약 20억불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유럽의 Airbus Helicopters사는 가와사키 중공업과 손을 잡았고, 미국의 Bell사는 후지 중
공업과 파트너십을 맺어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반면 AW사(AgustaWestland)는 후지 중
공업이 설립한 일본 내 협력사를 통해 대체 헬기를 판매하려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2012년 가와사키 중공업은 UH-X 사업을 획득하였으나, 일본 자위대 장교 2명이 입찰협
상에 대한 정보를 흘렸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2013년 3월 관련 계약이 취소되었었다.
가와사키 중공업 UH-X
- 4 -
최근 터기항공우주산업(TAI)은 터키 최초의 고유헬기 (중량 5톤, 2개 엔진의 경헬기)개발
을 위한 초기설계를 완료하였다. 비행시험은 5년 이후 실시될 예정이며 향후 6년 내에
민간항공 감항인증을 획득할 예정이며, 군 감항인증은 7년 반 이후에 획득할 계획이다.
노후화된 UH-1 헬기 대체를 위해 지난 해 터키 정부와 TAI사 간에 헬기개발에 대한 계
약이 체결되었으며, 터키 정부는 800대의 개발헬기를 구매 할 예정이다.
TAI는 시콜스키사와 터기 군에 납품할 35억 U.S.$에 이르는 109 유틸리티 헬기의 공동
생산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콜스키의 기술과 노하우를 자국 산 고유헬기 개
발 노력에 투입하고자 하고 있다.
터키는 2011년 차세대 유틸러티 헬기 개발 파트너로서 시콜스키를 선정하였으며 S-70
블랙호크의 터키 버전인 T-70을 면허생산 하게 된다. T-70의 항전장비는 모두 터키 내
에서 개발된 장비를 탑재하며, 엔진은 GE사 엔진을 64-67% 자국 내 국산화하여 탑재하
며 T700-TEI701D 엔진 명으로 수출도 가능하다.
초기 수요는 약 600대로 터키 육해공군, 경찰, 소방 등에 배치될 예정이다.
T-70 주요 부품 생산계획
- 5 -
TEI 엔진
T-70 자국 내 국산화 부품
※ 이 글은 아래의 링크 기사를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러시아 : Helihub.com
- 일본 : uk.mobile.reuters.com
- 터키 : defens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