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우주 발전을 향한 중국의 전략
작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변완일 선임연구원
:
(
)
중국의 항공우주
는 기본적으로 중국 과학기술 프로그램 체계에서 첨단 기술을
R&D
개발하는 거대 프로젝트1)
군에 속해있음
(megaproject)
.
개의 프로젝트 중 항공우주와 관련있는 것으로
16
,
MIIT
○
2)가 이끄는 대형 항공기
프로젝트와 CNSA3)가 이끄는 고정밀 지구 관측 시스템 및 달탐사를 포함한 유인
우주 탐험 프로젝트가 있음.
우주 개발 전략은 년마다 발표하는 국가 경제 발전 규획 내의 개년 지침
국무원
5
“
5
”,
이 발간하는 우주 백서
(
, State Council)
“
”, CAS
國務院
4)가 발간하는 우주과학기술
“
발전 로드맵 에 기술함
”
.
항공 개발 전략은 과거 국방 관련 항공기의
에 주력하다가
년 월
에
R&D
, 2013
5
MIIT
서 중국 정부 사상 처음으로 민항 산업 중장기 발전 계획
년 을 발표하
“
(2013~2020 )”
며 민간 항공 산업 발전 전략도 기술함.
또한
년 월 국무원이 제
차 개년 국가전략성신흥산업발전규획 을 정식 발
2012
7
“
12
5
”
표하면서 대 신성장산업 중 첨단장비제조 산업 항목 내에서 항공장비 산업 및 위성
7
,
응용 산업 발전 계획 및 정책을 소개함.
•
항공우주의
및 생산은 국유기업이 주로 담당하고 있음 우주 산업은
R&D
.
CASC5)와
CASIC6)이 각각 민간과 국방 분야를 대부분 담당하고
항공 산업도 유사하게
,
COMAC7)가 민간, AVIC8)이 국방을 담당함.
년부터 군사정책의 일환으로 시작된 중국의 우주 프로그램은 년 단위로 계획되고
1956
5
실행되었는데 이를 일컬어 개년 지침이라고 함 그리고 이 지침은 전반적인 중국의
,
5
.
국가 경제 발전을 계획하는 체계인 개년 규획에 속해 있음
5
.
현재 중국은
년의 제
차 개년 지침에 의거한 우주 프로그램을 수행해
2011~2015
12
5
○
1) 개 분야 전자 공학 반도체 통신 항공우주 제조 의약 청정 에너지 기름 및 가스 탐사 에
개의 프로젝트
8
(
,
,
,
,
,
,
,
)
16
.
2) 공업화신식화부
또는 공업정보화부
(
, MIIT; Ministry of Industry and Information Technology)
工業和信息化部
3) 중국국가항천국(
, CNSA; China National Space Administration)
中國國家航天局
4) 중국과학원(
, CAS; Chinese Academy of Sciences)
中國科學院
5) 중국항천과기집단공사(
, CASC; China Aerospace Science and Technology Corporation)
中國航天科技集團公司
6) 중국항천과공집단공사(
, CASIC; China Aerospace Science and Industry Corporation)
中國航天科工集團公司
7) 중국상용비기유한책임공사(
, COMAC; Commercial Aircraft Corporation of China)
中國商用飛機有限責任公司
8) 중국항공공업집단공사(
, AVIC; Aviation Industry Corporation of China)
中國航空工業集團公司
나가는 과정임.
국무원은
년
년에 이어 세 번째로
년
월
2000 , 2006
2011
12
년 중국의 우주활동
2011
「
」
이라는 우주 백서를 발간하였는데 이 문서에서는 과학 개발
자주 개발
평화 개발
,
‘
’, ‘
’, ‘
’,
혁신 개발
열린 개발 이라는 중국의 우주개발의 원칙이 명시되어 있으며 또한
‘
’, ‘
’
,
2006
년부터
년까지의 우주개발의 성과와 향후 년간의 우주개발 계획 및
년까지
2011
5
2020
의 국가 전략이 담겨져 있음.
는 매 년마다 국가 과학기술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로드맵을 발간하고 있으며
CAS
5
,
항공우주의 최신판은
년에 발간된 중국의 우주 과학과 기술에 대한
년까지
2009
“
2050
의 로드맵 임
” .
이 로드맵에는 우주 과학과 탐사 와 인공위성 활용 과 관련된
개의 우주과학 우
‘
’
‘
’
22
,
○
주기술 우주활용 분야의 전략과 목표를 제시하고 있음
,
.
달을 비롯한 화성의 유인 탐사와 기지를 건설하는 등 우주과학 강국을 실현하고 인
○
류의 문명과 과학 발전에 기여한다는 내용임.
전반적으로 중국의 우주 프로그램 전략에는 다음과 같은 원칙이 포함되어 있음.
프로그램의 목적은 전반적인 중국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며 경제 과학 기술 및
,
,
,
○
국방 분야에서 국가의 필요사항을 충족해야 함.
프로그램은 독립성과 자기 신뢰성을 기반으로 해야 함.
○
우주 개발은 경제 및 사회 발전은 물론이고 다른 과학 및 기술 부문을 통합할 수
○
있도록 종합적이고 지속 가능하며 균형을 이루어야 함.
중국의 우주 분야는 개방적이고 국제 우주 교류 및 협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함.
○
또한 중국 정부는 국방 프로그램에도 민간 우주를 포함시키면서 인민해방군9)을 주축으
로 군사 및 민간 부분의 필요사항을 모두 충족하는 국방관련 과학 기술 및 산업 체계를
,
확립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임.
국무원은
년 이후로 매 년마다 국방 백서도 발간하고 있으며
년 월에
1998
2
, 2013
4
○
발간한 것이 가장 최신판임.
여기에는 국가 안보를 유지하고 국가 경제와 사회 발전을 지원하는데 국방 시스템
○
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민간에서 수행되고 있는 우주기술의 연구 개발이 국
,
방 시스템 발전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언급함.
○ 이러한 국방 정책 측면에서 중국 우주산업은 발사체뿐만 아니라 항법 위성통신 원격
,
,
감사를 위한 신뢰할 수 있고 자립적인 우주역량을 제공할 수 있어야함.
우주 프로그램을 종합하여보면 다음과 같이 중국의 향후 주요 우주 활동 분야를 요약할
수 있음.
년까지 국가가 주도하여 항법 위성 유인 우주선 원격탐사 위성을 포함한
2015
,
,
100
○
9)
, PLA; People's Liberation Army
人民解放軍
여개의 인공위성 발사
발사체 수출 및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카테고리의 탑재체를 모두
:
○
아우를 수 있는 개의 새로운 로켓 개발
5
지구 관측 위성 서브미터급 해상도의 민간 위성
위성군을 포함한
:
GF(GaoFen)
35
○
개의 관측 위성을
년까지 발사
2021
기상 위성
년 이후에도 지속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시리즈 기
: 2020
FY(FenYun)
○
상 위성 개발
항법 위성
개의 위성군으로 전세계 범위의 항법 서비스 제공
: 30
○
○ 우주과학 및 탐사
년까지 유인 달착륙과
년까지 화성착륙을 위한 기반 마련
: 2030
2050
유인 우주선
년까지 번째 우주실험실
를 발사하고
년까지
: 2015
2
Tiangong-2
, 2020
○
발사하여 우주정거장 건설
Tiangong-3
.
과거의 항공 분야는 전투기 및 헬리콥터 등의 국방 관련
에 주력하였으나
년
R&D
, 2013
월 공업화신식화부
에서 중국 정부가 처음으로 민간 항공 산업 발전 계획인 민
5
(MIIT)
“
항 산업 중장기 발전 계획
년 을 발표하며 향후 민간 항공 분야에 대한 적
(2013~2020 )”
극적인 개발 의지를 보여줌.
향후
년을 민간 항공 산업이 도약할 수 있는 황금기로 전망하고 간선 및 지선 항공
10
,
기와 범용 항공기 항공기 엔진 항공 장비 및 시스템 인프라 구축 등 주요 분야에 대한
,
,
,
명확한 발전 방향과 목표를 제시한 것이 특징임.
간선 운항 여객기
○
년부터
년까지 간선 운항 여객기의 중국 내 신규 수요는
여대이며
- 2012
2031
4,200
,
연평균
여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210
년까지 중국 내 간선 운항 여객기 신규 수요에서 자체 제작 항공기의 시장
- 2020
점유율
이상 확보가 목표
5%
년부터 정부가 추진해온
여객기의 개발 및 생산 인도를
년까지
- 2006
C919
,
2020
완료
지선 운항 여객기
○
- 지선 운상 여객기와 범용 항공기의 국내시장 점유율을 대폭 향상시켜 연매출액 규
모가
억 위안 이상이 되도록 목표를 설정
년 민항 산업 규모 대비 배
1,000
(2011
5 )
리저널젯
여객기의 개발 및 산업화에 주력
-
ARJ21-700
또한 중국 경제의 고속 성장과 국방 현대화 추세에 따라 민간 항공 시장의 확대를 전망
하고 항공 정비 분야도 전략적 신흥 산업에 포함시킴.
본 글은 항공우주 해외 선진연구기관 조사 분석 연구 보고서에 수록된 일부분을 요
“
”
※
•
약 정리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