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은하수 자기장 지문
작성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김어진 (선임연구원)
ESA(유럽우주국)과 NASA의 'Plank' 우주망원경으로 관측된 은하수의 자기장 영상이
공개되었다(그림 1). 마치 지문 같은 이 지도는 자기장 구조 연구와 별 탄생 과정을 이해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Plank 우주망원경은 2013년에 관측을 종료하였으나, 아직 분석중인 방대한 자료들은
우주역사에 관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우리 은하 내의 먼지에 의한 편광
지도로 거대 규모 자기장을 측정한 결과가 그 좋은 예이다.
빛은 진행 방향에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전기장과 자기장의 파동으로 기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기장은 전방향으로 진동한다. 그러나 만약 특정 방향의 진동이
주로 일어나면 빛은 편광된 것이다. 예를 들어 빛이 거울이나 바다 표면에 반사되어 나올
때 일어난다. 특수한 필터를 사용하여 편광된 빛을 흡수할 수 있는데 이런 방식으로 편광
선글라스를 만든다.
별, 기체 그리고 먼지에서 뿜어져 나오는 빛은 우주공간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편광되고
자기장에 영향을 받는다. 그림에 보이는 소용돌이나 고리 모양으로 자기장의 구조를 추적
할 수 있다. 어두운 영역은 상대적으로 강하게 편광되는 지역이고 줄무늬는 평면에 투영
된 자기장의 방향을 의미한다. 중앙을 가로지르는 어두운 띠는 은하면이고 은하자기장의
일부에서 거대구조가 보인다. 기체와 먼지 구름 인근에 나타나는 편광방향 변화와 자기장
일부가 헝클어진 은하면 위아래의 복잡한 구조를 볼 수 있다.
그림 1. Plank 우주망원경이 관측한 은하수 성간먼지에 의한 편광(자기장) 전천영상.
※ 이 글은 아래의 링크 기사를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출처: http://www.jpl.nasa.gov/news/news.php?release=2014-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