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우주기술 개발로 인한 경제적·기술적 파급효과
작성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안진영 (연구원)
○ 이 보고서는 유럽우주통합기구인 ESA(European Space Agency)에서 조사한
Space program을 통한 스핀 오프(spin-off) 등으로 발생한 금전적 이익과 간접이
익,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리한 내용임.
○ ESA는 1977년부터 1986년까지 40억 ECU(유럽통화단위, European Currency
Unit)를 투자한 결과 약 127억 ECU에 달하는 효과를 얻었으며, 효과의 분야별 비
율은 아래와 같음.
[표] ESA의 우주개발 투자로 인한 효과의 분야별 비율
분 야
비 율
1
기술 효과
43.3%
- 제품의 추가적 매출 : 27.7%
- 기술전환효과
: 11.1%
- 제품 다양화
: 2.5%
- 제품 개선
: 2.0%
2
인력 효과
41%
3
상업적 효과
8.5%
4
조직체계 관련효과
7.2%
* 자료 : Aerospace Media Publishing, Interavia, 1993.11
○ 통신시스템(telecommunication system)의 개발에 민간의 자본이 거대 투입되기
시작하면서부터 본격적인 경제적 이익발생
Ÿ
위성방송 및 이동 통신을 위한 위성구축 투자비용 : 3~5년간 25~50억 달러
Ÿ
1996년 한 해 동 산업투자를 위해 조성된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규모는 약 30억 달러
○ 통신(Telecommunications)
– 1996년~2006년간 262~31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제공된 통신서비스 시장은
238~287억 달러의 가치
–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새로운 신흥시장 창출
Ÿ
민간 저궤도 통신위성시장의 24% 점유 (1990∼2001년)
– 이동통신의 수요는 발사체 시장을 견인하는 동인이 됨.
○ 발사체(Launchers)
– 1997~2006년 동안 총 발사체서비스 시장의 매출은 약 334억 달러
Ÿ
이 중 저궤도 위성발사 이익이 210억 달러, 미 국방성 수요로 인한 이익이 670
만 달러
[표] 1997년도 민간 지구관측 시장의 가치
이 익
가 치
1
기상 위성 및 원격 탐사 우주선과 탑재체를
실은 위성을 통한 이익
5억 8천만 달러∼6억 2천만 달러
2
Space Agency의 수요로 발생하는 한 해
위성발사 이익
2억 3천만 달러∼2억 5천만 달러
3 로 데이터(raw data) 판매를 통한 한 해 이익
6천만 달러
4
위성데이터의 수집과 저장, 처리를 위한
장비공급을 통한 한 해 이익
2억 8천만 달러∼3억 달러
5
환경 감시, 작황, 인프라 및 도시계획 등
사기업이나 정부·민간 합작기업 등에 제공되는
위성데이터서비스, 자료처리 및 해석용역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한해 이익
8억 3천만 달러~8억 5천만 달러
○ 항법(Navigation)
– 미국 GPS 장비시장의 가치는 1993년도 약 5억 달러 수준이었던 것이 1996년
에는 4배 증가하여 약 20억 달러로 증가했음.
○ ESA의 조사에 따르면, Space program을 통한 직접적인 이익으로 기술이전에 따
른 로열티나 계약 등으로 약 1백 50만 달러가 발생했으며, 50개의 우주기술을 이
용하여 2천 5백만 달러 이상의 이익을 발생시켰다고 함.
※ 참고자료
1) Space Benefits for Human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UN, 1999
2) Aerospace Media Publishing, Interavia, 199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