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우주과학]_ISS에서_새롭게_진행되는_생명과학연구(20130817김소연).pdf

닫기

background image

ISS에서  새롭게  진행되는  생명과학연구

작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김소연 (연구원)

마이크로중력환경에서 생명과학 분야의 실험은 식물생장에서부터 세포생

장, 박테리아 독성 연구, 인간의 뼈 강화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마이크로중력환경에서 생명과학의 연구는 과학자들에게 다양한 생명
기작의 원리를 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질병의 발견 및 치료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지상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국제우주정거장(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에서 생명과학연구는

NASA의 주요한 임무 중의 하나이며, 최근에는 31개의 주요 생명과학연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 중 14개는 지상에서의 이론을 발전시킬 것으로 기
대된다. 9개의 연구는 심혈관 질환, 면역 체계와 세포 재생 연구 등에 관한
주제이며, ISS에서 직접 수행할 예정이다. 8개의 연구는 사전 데이터를 수집
하여 우주 생명 연구를 수행한다. 이 중에는 마이크로 중력환경에서의 애기
장대*(arabidopsis) 씨앗의 단백질 유전정보학 연구와 식물의 신호 전달체계
에 관한 식물 연구도 포함되어 있다.

ISS에는 다양한 장비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새로운 연구를 수행하는데 적

합한 시설을 가지고 있다. NASA등 ISS를 운영하는 나라에서는 이러한 장비
를 서로 공유하고 있다. 새로운 생명과학 장비를 지상에서 인증을 받아 우주
에서 사용하는 것 대신 기존의 ISS의 생명과학 실험 장비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애기장대 : 식물연구를 위한 모델식물로 2000년대 말 전체 게놈의 염기배열이 거의 완전히
해독되었으며, 2400종의 유전자도 발견되었다. 또한 벼나 밀의 유전자와 공통된 것이 많다.

※ 이 글은 아래의 링크 기사를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출처 : http://www.nasa.gov/mission_pages/station/research/news/biology_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