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기술8-1_공현철-4.pdf

닫기

background image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권 호

6 2

(2008) pp. 109~115

http://library.kari.re.kr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기술동향

우주발사체 개발의 국내외 동향

공현철* 이준호

,

**

오범석

,

**

Trend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of Space Launch Vehicles

Gong, Hyeon Cheol*, Lee, Joon Ho**, Oh, Bum Seok**

ABSTRACT

There would be a long-waited launch of a Korean space launch vehicle(KSLV-I) in NARO Space

Center which is located in Goheung, Jeol La Nam Do in Korea. Korea would be the nineth country in the

world which could launch space launch vehicle itself. The launch of the 2nd technology satellite of 100kg

with KSLV-I would give Korean hope and dream.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space activities of U.S.A.

and Russia, Japan launched the lunar satellite, Kaguya in 2007, China launched the lunar satellite, Change

and succeeded in space walk and India launched the lunar satellite Chandrayaan in October, 2008.

In this paper we study on the trend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of space launch vehicle

considering all these space development activities.

초 록

대한민국 전라남도 고흥군 외나로도에 위치한 나로우주센터에서

년 상반기에 대한민국이 그렇게도 고대하던

2009

위성자력발사의 쾌거가 발생하게 된다 소형위성 발사체

는 그동안 대한민국에서 과학로켓 시리즈의

.

(KSLV-I)

개발을 통해서 축적한 기술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우주발사체 개발로서 승화한 작품으로써 질량

의 과학

100kg

위성 호를 싣고 발사하여 온 국민에게 희망과 꿈을 선사하게 될 것이다

2

.

국제적으로는 미국 및 러시아의 우주개발 활동에 이어 일본의 가구야 달 탐사선 중국의 창어 달 탐사선 및

,

우주유영 그리고 인도의 달 탐사선 찬드라얀 호의 발

1

사 등 제 의 우주개발 경쟁이 일어나고 있다

2

.

이러한 국내외의 상황을 고려하여 국내외의 우주발사체 개발 동향을 정리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Key Words :

우주발사체

소형위성발사체

Space Launch Vehicle(

), KSLV-I(Korea Space Launch Vehicle,

),

나로 우주센터

Naro Space Center(

)

* 공현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책개발팀

,

hcgong@kari.re.kr

** 이준호 오범석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술경영팀

,

,

joonho@kari.re.kr, obs@kari.re.kr


background image

110

공현철 외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6/2 (2008) pp. 109~115

국내 발사체 개발 동향

1.

개 요

1.1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은

년 과학목적의 소형

1992

인공위성인 우리별 호를 개발하여 발사하고

1

, 1993

월 개발에 들어간 지 년만에 최초의 과학로켓

6

3

(KSR

을 발사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후 우리

-I)

.

나라는 중형과학로켓

년 월에 지구

(KSR-II)

1998

6

,

관측위성인 다목적실용위성

호를

월에

1

1999

12

,

액체추진 과학로켓

월에 다목

(KSR-III)

2002

11

,

적 실용위성 호를

년 월에 발사함으로써 본격

2

2006

7

적인 우주시대를 열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

2009

상반기에

나로우주센터 에서

급 과학위성을

100kg

싣고 발사될 우주발사체

개발사업이 종료

(KSLV-I)

되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번째 위성자력발사국가의

9

지위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우리나라는

년대 초 이후 짧은 역사속

1990

에서도 선진국과의 기술협력을 통하거나 자체적으로

인공위성 과학로켓 우주발사체 등 우주시스템을 중심

,

,

으로 기술축적을 추진해 왔으며 이에 따라 상당 부분의

,

시스템 기술을 확보해 왔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핵심

.

서브시스템 및 원천기술부분에서는 아직 미흡한 수

준에 있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에 이러한 현실을 반영

하여

년에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

우주

2007

기술실천로드맵 을 수립하여 우주분야의 기술자립화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우주발사체 개발기술은 신기술 및 전통 첨단기술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미래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의 초석

으로써 국방 및 국가 안보에도 직결되어 국력과 총체

,

적인 과학기술력 상징을 의미하며 개발성과는 국가

위상 제고 및 국민의 자긍심 고취로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발사체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됨으로써

.

국민과 젊은 세대들에게 우주개발 및 과학기술에 대한

꿈과 희망과 용기를 심어줄 수 있는 교육적 효과도 큰

상징적인 사업이기도 하다.[1]

우주발사체

1.2

소형위성 발사체

개발

1.2.1

(KSLV-I)

과학로켓

를 통하여

(KSR-I, KSR-II

KSR-III)

고체추진제 및 액체추진 과학로켓을 개발해온 우리

나라는 소형위성 자력발사 능력 확보라는 우주개발

목표 달성을 위하여

급 저궤도 소형위성 발사체

100kg

를 개발하여

년 상반기에 발사하기 위한 마지막

2009

단계에 접어들었다 소형위성 발사체

개발

.

(KSLV-I)

사업은 한 러 협력을 통해 추진하고 있다 소형위성

.

발사체는 단 액체엔진과 단 고체 킥모터로 구성되는

1

2

단형 발사체이며

단은 러시아와 공동개발

단은

2

, 1

, 2

국내개발 형태이다 발사체의 주요제원은 총중량 최대

.

톤 추진제 중량 최대

톤 총길이 약

미터

140 ,

130 ,

33

,

직경 약 미터 추력

톤급이다

3

,

170

.

소형위성 발사체

개발 의의

1.2.2

(KSLV-I)

국내 최초로 위성 발사체를 개발함으로써 위성 발

사체 개발 관련 기술이 본격적으로 확보된다 이미

.

많은 부분의 기술들은 확보되었으나 일부 기술은 성능

,

및 정밀도 향상이 요구되므로 이번 개발을 통하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및 산업체의 기술적 역량이 증대

되고 협력체제가 잘 구축될 것이다 또한 국내의 항공

.

,

금속가공 자동제어 전자 통신 등 관련 과학기술분야

,

,

,

의 활성화 및 정밀기기 신소재 및 신공정 대형시스템

,

,

분야 등에 다양한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image

공현철 외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6/2 (2008) pp. 109~115

111

국가위상과 관련된 국제적 의의

1.2.3

우주발사체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도 미국 러시아

유럽 일본 등 개 국가만이 보유한 것으로 이들 국

8

가는 기술의 첨단성과 고부가가치성 측면에서 독보적

인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개발돼 성공

. KSLV-I

적으로 발사되면 우리나라도 자국의 발사체로 자국의

위성을 발사하는 아홉 번째 국가가 된다 소위 우주

.

클럽 스페이스 클럽 의 반열에 당당히 오르는 것이다

(

)’

.

향후 계획

1.3

대한민국은 비록 짧은 시간이었지만 과학로켓(KSR)

시리즈와 소형위성 발사체

를 개발함으로써

(KSLV-I)

우주 발사체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역량을

갖추게 되었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한민국의 국력을

.

한 단계 발전시키고 우주 분야의 독자성을 갖추기

위하여 소형위성 발사체

보다 뛰어난 성능

(KSLV-I)

을 갖추고 우리 나라의 위성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위성을 위해서도 발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 2020

이후에 달 탐사 위성도 발사할 수 있는 진정한 우주

발사체로 한국형 우주발사체

를 개발하는데

(KSLV-II)

온 국민의 성원과 국력을 결집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

국가 우주개발 기본계획에 의하여

년에는 추력

2017

톤급 우주발사체 한국형발사체

를 개발

300

(

, KSLV-II)

하고 이에 대한 기술개발을 꾸준히 이루어 달탐사를

위한 달궤도선을

년에 그리고 달착륙선을

2020

2025

에 발사할 때 우주발사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국외 발사체 개발 동향

2.

개요

2.1

최근 미국 러시아 유럽 중국 일본 인도 등이

,

,

,

,

,

경쟁적으로 달 탐사를 추진 중이다

미국 항공우주국

.

개국에 제안한 국제 달 네트워크 우주

(NASA)

8

협력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러시아는 달 및 행성탐사

.

에 활용할 기존의 소유즈 우주선을 대체할 새로운 우주

발사체 및 우주선을 개발하고 있다 유럽도 러시아와

.

협력하에 새로운 우주선을 개발하고 있다 중국은

.

월에 달 탐사 위성 창어 호 를 발사한 데

2007

10

1 ’

이어

월에는 유인 우주선 선저우

호 를

2008

9

7 ’

성공적으로 발사하고 세계에서

번째로 우주유영에

3

성공하였다 일본은

년 월에 달 탐사 위성 가구

.

2007

9

야 를 발사하는데 성공하였고

년에는 우주기본

2008

법안을 통과시켜 우주의 군사적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법적 터전을 마련하였다.

간단한 인류 우주개발 역사

2.2

우주 개척의 치열한 경쟁은 지금으로부터

년 전인

51

년에 시작되었다

월 일 러시아는 세계

1957

. 1957

10 4

최초로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호를 성공적으로 발사

1

했다 이어

년 월 최초의 우주인 유리 가가린을

.

1961

4

태운 보스토크 호가 발사에 성공 첫 유인우주선 시

1

,

대를 열었다.

미국은 구소련의 스푸트니크 호 발사 성공에 자극을

1

받아 미 항공우주국

를 설치

년 뒤인

(NASA)

, 1

1958

월 일 미국의 첫 유인 우주 계획인 머큐리 프로

10 7

젝트에 착수

년 월 유인 인공위성 익스플로어

, 1961

5


background image

112

공현철 외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6/2 (2008) pp. 109~115

호에 앨런 셰퍼드를 태워 지구 밖으로 날려 보낸 후

1

대의 유인우주선과 명의 우주인들을 우주로 보내는데

6

6

성공했다.

케네디 당시 대통령은 같은 해

년 내 달

F.

“10

표면에 인류를 성공적으로 착륙시키고 안전하게 지구로

돌아오게 할 것 이라는 야심찬 달 탐사 계획을 발표

했으며 이후 전 세계인을 열광케 한 인류의 첫 달 여행

이 현실로 다가왔다

년 월

일 아폴로

호에

. 1969

7 20

11

닐 암스트롱과 두 명을 실어 보낸 것을 기점으로

1967

부터

년까지 진행된 아폴로 프로젝트는

대의

1982

6

우주선과

명의 우주인들을 달에 안전하게 착륙

12

시켰다 러시아를 제치고 미국은 인류를 처음으로 달에

.

착륙시켰다.

러시아도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년 월 최초의

. 1963

6

여자 우주비행사 테레슈코바를 탄생시킨 인용 우주선

1

보스토크 프로젝트를 끝낸 이후

년 인용 보스

1964

3

호드 우주선을 발사시켰으며

년에는 알렉세이

1965

레오노프가

길이의 생명줄에만 의지 우주선 밖으로

5m

,

나와

여 분 동안의 우주 유영에 성공한다 이제 러시

20

.

아는 새로운

세기형 발사체인 앙가라를 개발 우주

21

,

강국으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현재 우주의 교통수단은 아폴로 시대를 뛰어넘은

우주왕복선이다 미국은

년 우주왕복선 컬럼비아

.

1981

호를 첫 발사한 이후

년 챌린저호

년 디스

1983

, 1984

커버리호

년 아틀란티스호

년 개발된 엔데

, 1985

, 1992

버호까지 총 대를 개발했다

5

.

미국은 이제 인류가 우주에 장기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시대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향해

년대부터는

1990

개 국가의 협력 아래

을 건설하는 대규모 프로

16

ISS

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유럽도 우주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 1965

월 프랑스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디아망 단 로켓을

11

3

이용해 최초의 인공위성

을 발사했다 이로써 미국

A1

.

과 소련 양국 체제였던 우주개발 전쟁이 종식됐다.

아시아 지역 국가들도 잇따라 뛰어들었다

. 1970

일본과 중국도 첫 인공위성인 오스미와 둥팡홍 호를

1

우주를 향해 쏘아 올리며 스타워즈에 참여를 알렸다.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세 번째 유인 우주선 발사에

성공한 중국은 아시아 국가 중에서 우주 개발의 선두를

달리고 있다 중국은

월 최초의 무인우주선

.

1999

11

선저우 호를 발사한 이래로

월에는 최초의

1

2007

10

달 탐사위성인 창어 호까지 발사 우주 영역을 확장해

1

,

나갔다 또한

월에는

명의 우주인과 함께

.

2008

9

3

유인 우주선 선저우

호 를 발사하는데 성공하였고

7 ’

미국 러시아에 이어 역사적으로 번째로 우주유영에

,

3

성공하였다 향후

년에는 화성탐사선 잉훠 호

.

2009

1 ’

발사를 앞두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 중 최대 강국으로

거듭날 것이란 다짐을 확고히 하고 있다.

아시아 국가 가운데 달 탐사선을 최초로 쏘아올린

국가라는 타이틀을 획득한 일본은

년 우주로켓

1969

발사장 건설한 이후

년 첫 인공위성 오스미

1970

발사에 성공했으며

월에는 중국보다 앞서

, 2007

9

달 탐사선인 가구야 발사에 성공했다 일본은 이제

.

년까지 달 표면에 기지를 건설하고 우주정거장

2025

건설에 적극 참여해 우주 개발 강국 대열에 합류한다

는 목표를 갖고 있다.

년 우주 개발에 뛰어든 인도 역시 거듭 실패한

1962

끝에

월에 자체 개발한 달 탐사선인 찬드

2008

10

라얀 호 를 발사하는데 성공하였다

1 ’

.

주요국의 우주개발 정책 및 비전

2.3

미국의 경우

년 월

일 조지

부시 대통

, 2004

1 14

W

령은 우주탐사를 위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고 같은

해 월 미 항공우주국

은 대통령이 선언한 비

2

(NASA)

전에 기초해 우주탐사 비전

(The Vision for Space

에서 태양계 탐사를 위한 새롭고 과감한

Exploration)’

체제

를 제시했다

(framework)

.

러시아의 경우 통신방송위성

의 업그레이드를

,

GEO

우주개발의 주안점으로 두고

년까지 총

기를

2016

30

발사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특히 유인우주개발과

.

관련해 올해 단독 다목적 실험모듈을 발사할 계획을

가지고 소유즈의 후속기 프로젝트로 재사용 가능 발사

체인 클리퍼 개발을 위해 유럽우주개발기구(ESA)

에 협력을 요청했지만

에서는 클리퍼 대신

ESA

ACTS

를 제안한

(Advanced Crew Transportation System)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우주과학 프로그램 하에 행

.

성과 태양계의 소행성 탐사를 계획하고 있다.

유럽은

월 어젠다

을 확정하고

2006

10

2011’

,

년까지의 세부계획 및

년까지의 장기계획을

2011

2016

발표했다 계획에는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 국제협력

.

,

,

우주과학 프로그램 수행의 내용이 담겨 있다.


background image

공현철 외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6/2 (2008) pp. 109~115

113

월 새로 시작해야 할 연구 활동

ESA

2005

12

으로 우주탐사를 선정해

년 예산에 유인우주비

2006

행과 우주탐사 분야에 억

만 유로를 배정했다

4 1800

.

일본도

년 월 비전

를 발표하고 장기

2005

3

2025’

우주개발 비전 및 세부계획을 확정했다

년 월

. 2006

4

에는 우주탐사 계획을 발표하면서 달 선회위성 발사

년 이내에 달에 로봇을 탑재한 달 탐사차를

10

착륙시켜 달 표면의 물질을 지구로 가져오고

, 2025

이전에 달 유인 과학기지 건설에 착수할 계획이다 또

.

월에는

년까지 유인 달기지를 건설할

2006

8

2030

계획까지 발표했다.

중국은 위성 응용과 우주과학 및 우주탐사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달탐사 분야에서는

.

‘11

5

개년 계획

기간 동안 달궤도 탐사

(2006 ~2010 )’

임무 수행 및 지구와 달 공간의 환경 탐사를 추진하고

더 나아가 궤도 진입 착륙 복귀 단계로 이뤄진 달

,

,

3

탐사 계획 창어 프로젝트 에 착수했다

(

)

.

주요국의 우주발사체 동향

2.4

미국의 동향

2.4.1

NASA

‘Pratt and Whitney Rocketdyne’

수정계약을 승인하여 추가로 해상레벨과 가상 고고도

-

시험을 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였다 수정계약에

.

의하면 해상레벨 시험을

차례와 가상 고고도 시험

38

-

차례에 걸쳐서

에서

27

Stennis Space Center

엔진에 대하여 수행할 것이다

J-2X

.

추가 시험으로 하여금 데이터 정확도와 개발 신뢰

성을 부여할 것이며

엔진은 차세대 우주발사

, J-2X

체인

의 엔진으로 사용될 것이다

Ares I

Ares V

.

발사체는 국제우주정거장과 달에 더 많은 우주

Ares

비행사들을 수송할 수 있으며 엔진 시험은

년 하반

2010

기에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실리콘밸리 억만장자 기업가인 엘런 머스크가

창설한 민간우주업체 스페이스 가 상업용 로켓

X’

발사 시도 네 번 째만에 우주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월 스페이스 는 로스앤젤레스에서 남서쪽

2008

9

X

으로 만

가량 떨어져 있는 태평양 해상 콰절

1

2880

린’

산호섬에서 상업용 로켓 팰컨

호를 발사

(Falcon) 1’

,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러시아의 동향

2.4.2

월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친 대통령은

2007

9

새로운 우주발사체 개발 법령에 서명하였다 개발

.

되는 발사체는 러시아 극동부의 아무르 지역에 있는

우주센터나

우주센터에서 발사

Vostochny

Eastern

될 것이다.

러시아는

년 말 구소련연방이 해체된 이후

1991

매년 카자흐스탄에 억 천 백만 달러의 바아코누르

1 1 5

우주센터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는데 이를 대체할 제

,

4

의 우주센터로 러시아 남동부 아무르 지역의 Vostochny

년까지 새로운 우주센터를 건설할 계획이다

2018

.

지난

년 미국과 러시아 합작벤처로 출발한

1995

사는 러시아 국영

ILS(International Launch Service)

흐루니체프(Khrunichev) 가 생산하는 상업용 위성

발사체인

프로톤 로켓

발사 서비스에 대한 독점

공급권을 갖고 있는 업체인데

년 월 흐루니체

, 2008

5

프사가 미국의 트랜스포트 회사의 지분을 인수함으

로써 러시아기업

에네르기아사가 갖고 있는

RSC

ILS

지분

를 포함하여

지분

갖게 되었다

17%

ILS

100%

.

신형 우주선 개발을 위해

가 러시아의 로스코

ESA

스모스와 함께 최대 명의 우주인을 달까지 실어나를

6

수 있는 유인우주선 개발을 위한 합의서를

2008

월에 서명했으며

짜리 신형우주선의 시험비험은

5

, 20t

년 시작돼 시베리아 보스토치니에 건설예정인

2015

우주기지에서

년 첫 발사될 예정이다 신형 우주

2018

.

선은 현재 러시아와 미국 우주인들을 국제우주정거장

으로 실어나르고 있는 소유스 로켓의 교체에

(ISS)

맞춰 단계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유럽연합의 동향

2.4.3

유럽연합의 로켓개발기업인 아리안 스페이스(Ariane

사의 프랑스령 가이아나

space)

(French Guiana)

쿠루

기지는

년부터 러시아의 소유즈

(Kourou)

2009

로켓을 발사하게 되었다 이러한 계획은 유럽연합이

.

발사장을 활용하기 위해 세운 거대한 계획의 일부로,

중간크기의 로켓인 소유즈

와 아리안스페이스

(Soyuz)

사의 대형발사 로켓인 아리안 호

와 소형

5 (Ariane 5)

로켓으로 알려진 베가

를 발사하게 된다

(Vega)

.


background image

114

공현철 외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6/2 (2008) pp. 109~115

유럽

개국이 공동 제작한 최초의 우주실험실

10

컬럼버스 가

년 월 스페이스 셔틀인 아틀란티스

2008

2

호에 실려 케네디 발사대를 떠나 국제우주

(Atlantis)

정거장

에 부착됨으로써 유럽의 우주탐사 계획에

(ISS)

새 장이 열리게 됐다.

국제우주정거장

에 물자를 보급하는 임무를

(ISS)

수행할 무인우주화물선(ATV, Automated Trans-

년 월 프랑스령 기아나의 쿠루

fer Vehicle)

2008

3

우주기지에서 아리안

로켓에 실려 발사되어

5

ISS

도킹해 개월가량 활동하게 되며

에서 쓰고 남은

6

ISS

폐기물을 수거 분리하면서 임무를 다한다

,

.

일본의 동향

2.4.4

일본이

월에 우주 정책 및 전략 수립을

2008

8

총괄할 우주개발전략본부를 발족시켰다 지난

.

5

우주공간을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내용의

개정 우주기본법을 마련한 데 이은 후속조치이다.

일본 총리가 본부장을 맡는 우주개발전략본부는 방위

성 외무성 문부과학성 경제산업성 등 각 정부 부처

,

,

,

에서 모인

여명의 간부와 일반 직원들로 구성됐다

20

.

월 참의원을 통과한 일본의 우주기본법은

2008

5

일본 방위성의 고해상도 정찰위성 개발 운용 등 일본이

,

우주공간을 군사적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로켓은 일본이

년 미국의 도움으로

H-2A

1975

개발과 발사에 성공한

로켓 이후 다섯 번째 모델

N-1

이다

는 대형 보조로켓 개를 장착하면

까지

. H-2A

4

6t

실어 나를 수 있으며 연료는 액체수소이다 액체수소는

.

성질이 극히 민감하고 불안정하기 때문에 다루기가

어려우며 액체수소를 조절하고 관리하는 것이 로켓

기술의 가장 어려운 부분이다 완전 국산화를 이룩한

.

것은 이미

년 전이며 일본의 현재 목표는 상업화 다

14

’ .

당초 미쓰비시중공업은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로부터 주문받은 로켓을 생산하는 역할만 맡았

(JAXA)

지만

년에는 발사서비스 기능도 넘겨받았다 그

2007

.

첫 데뷔작이

년 월 달 탐사선 가구야 를 실어

2007

9

나른

로켓

호기다

H-2A

13

.

일본은

월에 우주 개발에 필요한 유인

2008

3

우주시설 건설을 향한 첫발을 내디뎠다 일본 최초의

.

유인우주시설 키보

의 완성품 이전의 조립 부품

(Kibo)

인 첫번째 모듈을 실은 우주왕복선 엔데버호가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의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국제우주정거장에 설치되었다.

년 상반기에 예정대로 키보가 완성되면 일본은

2009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

과 함께 유인우주시설을

,

,

(EU)

보유한 우주 시대의 주역으로 떠오르게 된다.

중국의 동향

2.4.5

중국이 차세대 우주선 발사로켓인 창정

(

) 5 ’

長征

개발 생산을 본격화하고 있다 오는

년까지 완성

.

2014

될 창정

호 로켓시리즈 첫 모델이

월에

5

2008

7

엔진 테스트를 통과했으며 창정 호가 가동되면 저궤도

,

5

및 지구정지궤도

에 올릴 수 있는 적재물

(LEO)

(GEO)

무게는

톤 및

톤으로 늘어나게 되며 창정 호 로켓

25

14

,

5

시리즈는 향후

년 동안 중국 위성 발사를 담당

20~30

하게 될 차세대 발사 시스템이며 지구궤도로 쏘아올릴

인공위성을 한 단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번째 위성발사센터인 하이난

성 원창

4

(

)

海南

위성발사센터를 올해 착공해 년 후인

(

)

5

2012

文昌

완공키로 했다 원창위성발사센터는 하이난성 성도인

.

하이커우

에서 약

떨어진 관광지 원창 인근

(

)

60km

海口

해안지역에 건설되는 우주선 발사기지로 총 면적이

에 달한다 중국은 고중량 위성 발사와 우주정

20

.

거장 건설을 준비하기 위해 제작하고 있는 차세대

로켓 창정

호 를 원창위성발사센터에서 발사

(

) 5 ’

長征

할 예정이다.

중국의 우주탐험 사상 처음으로 우주유영을 시도한

유인우주선 선저우

호 가

'

(

) 7 '

2008

9

25

神舟

억 중국인의 염원을 담고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13

.

선저우 호는 지구 상공

궤도에 진입해

7

343km

90

마다 한 바퀴씩 지구를

바퀴 돈 뒤

일 오후 전 세

29

27

계인이 생중계로 지켜보는 가운데 안전 로프로 연결된

특수 우주복을 입은 우주인 명이 약

분간 우주유영

1

40

을 시도했다 중국은 이번 우주유영의 성공으로

.

‘2020

우주개발계획 으로 명명된 중장기 우주개발 프로젝트

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달 탐사위성 창어 호 에 사용된 모든 부품과 장비는

1 ’


background image

공현철 외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6/2 (2008) pp. 109~115

115

중국 자체 기술로 연구 개발되었으며 창정 호 에

3 A’

실려

월에 발사되어 본격적인 달탐사 과정인

2007

10

,

창어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인도의 동향

2.4.6

월에 해외에서 수주 받은 첫 번째 주탑

2007

4

재체가 되는 이탈리아의 천체물리 연구소와 핵물리

연구소의 임무를 위한 중량

인 애절

360kg

(AGILE)

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한 것을 포함하여

번의 성공

10

적인 발사를 통해서 인도의 극위성발사체는 안정성과

임무 수행 능력을 인정받았다 극위성발사체는

.

44m

크기에 무게는

톤이며

년 처음 임무 수행에

295

, 1994

성공하여 지금까지 인도의 개 원격 조정 위성과 기상

7

위성

개의 아마추어 라디오 위성과 개의 해외에서

, 1

5

수주 받은 위성의 발사를 성공적으로 완수하였다 또한

.

극위성발사체는

월에 인도의 최초 달 탐사

2008

10

우주선 찬드라얀 호를 싣고 발사되었다

1

.

이스라엘의 동향

2.4.7

이스라엘이

년 월 이란의 핵 시설을 감시하기

2008

1

위한 정찰위성

을 인도에서 쏘아 올렸다 이스

(TecSar)

.

라엘 항공우주산업

이 개발한 이 위성은 레이더

(IAI)

장치를 이용해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도 지표면의 모습을

영상 정보로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스라엘은 이

.

위성을 통하여 영상 정보를 받아보고 있다.

이란의 동향

2.4.8

이란이

월에는 자체 기술력으로 생산한

2008

2

제 호 탐사위성을 우주궤도에 쏘아올릴 로켓을 시험

1

발사 했다 이란의 로켓 발사가 이란이 지속하고 있는

.

핵 프로그램과 연계되어 국제사회에서의 여론이 악화

되는 것을 염두에 두었던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은

년 월 이슬람혁명

주년 기념식에서

2008

2

29

다음 몇 달 사이에 두 개의 로켓을 더 발사할 것이고,

자국에서 만든 위성을 이번 여름에 발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 론

3.

년 상반기에 소형위성 발사체

2009

(KSLV-I) 을

전남 고흥군에 위치한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하면 대한

민국은 세계에서 번째의 위성자력 발사국가의 대열에

9

오르게 된다 꾸준히 과학로켓

시리즈의 개발과

.

(KSR)

관련 기술을 축적하여 그 성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국제적으로는

년대 후반에 미국이 달나라

1960

에 첫 발을 디딘 후 몇 번의 달나라의 여행이 있었지만

그동안 중단되었던 달탐사의 경쟁이 시작되었다.

이와 같이 우주개발은 국력의 상징이면서도 미래

국가의 위상을 결정지을 수단으로 우주과학기술의

경연장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국내외의 상황을 고려하여 우주개발 특히,

우주발사체 개발과 관련된 국내외 개발동향을 살펴

보았다.

참고문헌

국가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 과학기술부

1.

,

, 2007

2. 우주개발백서 과학기술부

,

, 2006

3. http://www.astronautix.com

항공우주정책동향허브

4.

http://policy.kari.re.kr

5. http://www.spac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