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2010년_우주산업실태조사보고서.pdf

닫기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


background image

<백지>


background image

주관연구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background image

<백지>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3

발간사

  우주개발을  위해  여념이  없으신  기업인,  연구원,  학계  인사  여러분,  정

부가  1996년  우주개발중장기계획을  수립하고  우주개발을  체계적으로  수

행해온지  14년이  흘렀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우주개발진흥법  제24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22조에 

근거해  매년  우주산업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본  조사를  바탕으로 

정부는  우주산업의  규모와  실태를  파악하고  있으며,  나아가  우주산업  활

성화  계획,  국가  중장기  우주개발계획  등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2005년  우주개발진흥법  제정  이후  올해  4회째  우주산업실태조

사를  실시해  본  보고서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우리나라  우주개발은  많은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다목적실용위성 

1,2호를  개발해  국토관리,  환경감시,  지도제작  등  공공분야에  활용하고 

있으며,  올해  6월에는  천리안  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해  우리의  위성  자

료를  기반으로  기상예측을  할  수  있는  인프라를  마련했습니다.  또한  나로

호  발사를  통해  우주발사체  기반기술을  확보했고,  우주로의  자유로운  접

근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우주산업은  이제  막  활성화  단계에  접어들어  그  규모가  급속

히  팽창하고  있습니다.  2006년  위성활용서비스  분야를  포함한  국내  우주

산업  매출이  7,000억  원이었던  것에서  2009년에는  8,600억  규모에  이르

게  되었으며,  우주  분야에  종사하는  기업도  2000년  19개  업체에서  2009

년  57개  업체로  3배  증가했습니다.  대학,  연구소,  기업에  종사하는  우주

개발  인력도  2006년  1,500명  규모에서  2009년  2,100명  규모로  크게  늘

었습니다. 

  이제  청년기에  접어든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은  우주강국을  향한  힘찬  도


background image

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우주개발  결과를  활용해  국내의  다양한  분야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세계  우주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주

개발  종사자  여러분의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정부는  올바른  우주

개발  방향성을  제시하고  합리적인  정책을  수립해  여러분을  적극  지원하겠

습니다. 

  본  조사  결과는  우리나라  우주산업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발전  방안을 

수립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우주개발실태조사를  위해  애써 

주신  관계자  여러분과  본  조사에  응답해  주신  기업,  학계,  연구계의  우주 

종사자  여러분의  충실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2010년  10월

교육과학기술부  거대과학정책관  윤대수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5


background image

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7


background image

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9


background image

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1


background image

1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3

 

서문

    2010년  6월  10일,  해수욕을  즐기기엔  이른  시기지만  전라남도  해안가

에는  많은  인파들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그  시각,  그  곳에 

있지  못했던  대다수의  국민들은  아마도  TV앞에서  숨죽이고  카운트다운을 

지켜보고  있었을  것이다.  지난해  8월  25일  성공적으로  우주로  향하던  나

로호(KSLV-Ⅰ)가  페어링  분리이상으로  위성의  궤도진입에  실패했지만, 

과거  그  어떤  나라도  한번의  실패도  없이  이뤄내지  못했던  도전이었기에 

우리는  실패에  대한  질타보다는  새로운  도전에  대한  더  큰  희망을  품게 

했던  것  같다.  하지만  나로호  2차  발사  역시  발사  후  173.19초만에  기체

가  폭발하며  또  다시  임무를  완수하지  못했다.

    우리나라의  현재  우주산업은  현재  청년기에  들어와  활성화가  이루어지

고  있는  단계이다.  비록  우리는  지난  2번의  나로호  발사에  성공하지  못했

지만,  그  동안  먼나라,  영화  속의  이야기로만  치부했던  우주를  향한  꿈들

이  우리  국민들의  마음속에  조금씩  조금씩  싹을  띄우는  계기가  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나로호의  임무를  다한게  아닌가라는  생각을  해본다. 

  지금까지의  우주개발의  역사를  보면  1950년  후반과  1960년대  미국과 

러시아(구  소련)의  냉전시기의  경쟁적  관계가  원동력이었다고  한다면 

2010년  현재  우주  개발은  더  이상  체제간  경쟁이  아니다.  이제  우주산업, 

우주기술은  미래  국가경쟁력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이미  세계  여러  나라

가  자국의  이익과  더  높은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많은  투자와  계획들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지난  6월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은  부시  대통령이  추진하던  차세대  유

인  달탐사  발사체  아레스-5호의  개발을  중단하고,  기존의  발사체  추진기

술  및  패러다임을  달리하는  기술혁신을  통해  보다  획기적인  차세대  우주


background image

1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운송시스템을  개발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또한  미국과  우주  개발의  양대 

축을  이뤘던  러시아도  그동안  예산부족으로  미뤄왔던  보스토치니

(Vostochny)  우주  발사장  건설에  나서기로  해,  그  동안  이용한  카자스탄

의  바이코노르  기지의  의존에서  벗어나  자국에서  모든  발사체  발사가  가

능하도록  추진  중이다.  지난  7월  푸틴  러시아  총리는  우주센터  건설을  러

시아의  핵심  사업의  하나로  선정하였고  발사장  건설  착수를  위해  향후  3

년간  약  8억  달러를  새  우주센터  건설사업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2018

년  완공될  발사장은  총  135억  달러가  투입될  예정이며  이로  인한  고용창

출은  20,000~25,000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6월  27일  해양통신기상  위성인  천리안  위성을  프랑스

에서  만든  아리안  5호  발사체에  실어  궤도진입에  성공  하였다.  7월  관측

한  첫  기상영상과  해양영상을  최초로  수신하는데  성공하여,  우리나라  기상

관측에  우리위성  영상을  활용하는  시기가  눈앞에  다가왔다.  우리나라가  우

주개발강국의  모임인  스페이스클럽(Space  Club)1)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아직  가야할  길이  더  멀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이미  인공위성을  자체

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였고,  지난  2번의  나로호를  발사했

던  고흥  나로우주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나로호  3차  발사와  나로

호  후속  발사체인  한국형발사체(KSLV-Ⅱ)  개발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본  조사는  우리나라  우주산업의  규모  및  참여  기관에  대한  정확한  실태

를  파악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향후  우주산업  발전  방안

을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계획을  수립하

고(Plan),  그  계획에  따라  실행하고(Do),  실행의  결과를  파악(See)하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우주  산업은  발전할  것이며,  이번  조사의  결과는  우

리나라  우주산업  역사를  살펴보는  귀중한  기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 스페이스클럽의 가입조건은 '인공위성과 발사체를 만들 수 있는 기술력', '자국의 발사기지에서

쏘아 올릴 것' 이 2가지 이다. 현재까지 스페이스클럽에 가입한 국가는 총 9개 국가이다.


background image

  제1장    우주산업의  개요

제1절  우주산업의  개념  및  범주

제2절  우주산업의  현황  및  발전동향

제3절  우주산업의  분류체계


background image

<백지>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7

    우주산업이란  무엇인가?  자료수집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최

소화하기  위하여  우리는  전년  우주산업실태조사에  앞서  “우주산업”에  대

한  개념적  정의를  구체화  하였다.  “우주선이나  인공위성의  개발을  포함하

여  우주  개발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기를  만드는  산업"라는  사전적  정의

는  과거  로켓,  위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요소가  중심을  이뤘던  시기의 

협의적  정의였기  때문에,  현재의  위성  활용  서비스  산업,  우주개발로  인

해  부가가치  적으로  파생된  산업  등을  포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우리는  전년  보고서부터  “우주산업”은  협의적  정의에서

의  “우주산업”을  넘어  물적  재화와  응용  서비스를  모두  포함하는  광의적 

개념의  “우주산업”으로  정의하고  관련  산업체,  연구기관,  대학에  대한  조

사를  실시하였다.

    우주산업은  우주선이나  인공위성  등  우주개발에  필요한  기기  및  설비 

등을  제조하는  “우주기기제작산업”,  “위성통신”,  “위성방송”,  “GPS  네비게

이션”  등  우주개발을  통해  창출되는  "우주서비스산업"과  같은  직접  우주

산업과  기존  산업  중  산업의  원천적인  기술이나  서비스를  바탕으로  우주

기술을  접목시켜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는  간접  우주산업군도  존재

하고  있다.  우주산업은  우주에  대한  개발  뿐  아니라  우주를  개발함으로써 

인간들이  얻을  수  있는  모든  혜택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으로  인해  2009년  이후  우리가  말하는  “우주산업”의  의미는 

우주  개발  자체에  목적을  갖고  있는  “우주기기제작산업”  뿐  아니라  우주를 

개발함으로써  인간들에게  돌아가는  부가가치를  모두  포괄하는  “우주개발

우주산업의  개념  및  범주

제1절


background image

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을  위한  산업  및  우주개발을  통해  창출되는  재화와  서비스”로  정의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우주산업이란  “우주개발을  위한  산업  및  우

주개발을  통해  창출되는  재화와  서비스”로  정의하기로  한다.

"위성방송이나 위성영상, 위성방송 등은 명확히 우주 산업이다. 위성 방송 중에도 Set-Top Box
는 엄밀히 말하면 전자 산업이다. 그러나 이 Set-Top Box는 위성이 없으면 쓸모가 없으므로
위성방송에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우주 항법이다. 위성항법은 GIS와
GPS가 거의 대등한 관계이다. 현재 가치는 대등하다. 네비게이션의 경우는 GPS가 없으면 서비
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GIS 자체로 만들어 지는 산업이 있지만 네비게이션의 경우는 GPS를 이
용하기 위해 GIS를 사용하는 것임으로 우주산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하나의 기술로 산업이 만들어지지는 않는다. 네비게이션의 경우만 보더라도 GPS에 GIS 기술
이 포함된다. 이 경우 GIS를 모두 우주산업에 포함시킬 수는 없다. GPS에 의해 파생되는 효과
만을 보아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단말기와 단말기에 포함되는 Software 정도를 포함해야
하지 않을까?"

자료: 2009년 전문가 인터뷰2) 내용 중 일부 발췌

2)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에서 우주산업의 정의와 범위 규정을 위해 기업, 연구기관, 대학에서 우

주산업분야의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In-depth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9

    미래  사회는  지식에  기반을  둔  지식기반  경제사회로  변환이  가속화될 

것이며,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선진국들은  지구관측위성,  항법위성, 

통신위성  등을  이용한  고급  정보의  취득,  통신,  보급  등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세계  각국은  우주개발에  투자를  증대하며  우주개발의  중요성을  정책

에  반영하고  있다.  미국,  일본을  위시한  우주  10대  강국의  우주분야  예산

은  세계  경제  위기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40년  이상  5

억~500억  달러를  꾸준히  투자를  하고  있다.  이  들  국가들은  미래를  위한 

투자,  국가  브랜드  위상을  높이는데  우주산업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국가  GDP대비  우주개발예산의  비중도  또한  지속적으로 

높이고  있다.  정부정책에  의존성이  높은  우주산업의  특성  상  정부차원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지원과  투자와  함께  기업,  연구소,  대학  등  우주개

발  개체들의  활발한  참여가  필요하다. 

    우주기반서비스는  이제  우리의  실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요소

로  자리  잡았다.  인도의  경우  홍수  피해가  심하고,    미개척지가  많은  국

가의  특성을  감안하여  위성을  활용한  재난방지,  원격  치료,  원격  교육  등 

우주기반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으며,  북한의  대포동  발사로  국가  안보에 

위기를  느낀  일본은  우주를  국가안보의  한  축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우주

법을  신설하고  명문화하여,  국가안보를  위한  우주시스템을  구축하고  있

다.  또한,  G2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은  현재  중국의  경제적,  사회적  위치

에  걸  맞는  우주개발  능력  확보를  위하여  독자적인  우주정거장  건설,  화

성탐사  등  우주탐사  부분에서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  노력을  지

속하고  있으며,  우주군  신설도  발표하였다.  우주산업에서  독보적인  위치

우주산업의  현황  및  발전  동향

제2절


background image

2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를  점하고  있는  미국  역시  우주분야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고  신기술의  개발과  산업증진을  위해  우주정거장을  왕복하

는  발사체  개발을  민간  기업으로  이전하였다.

   

1.  해외  우주산업의  발전  동향

    세계  우주산업의  매출규모는  2009년  1,609억  달러로  전년  대비  11%  증

가  하였다.  2006년  19%,  2007년  15%,  2008년  19%의  성장률과  비교해  증

가세는  둔화되었지만  세계  우주산업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림 

1.2-1]에서  볼  수  있듯이  2004년  이후  세계  우주산업  규모는  약  800억  달

러  규모에서  1,600억  달러규모로  5년  만에  2배로  성장하였다.

[그림 1.2-1] 세계 우주 시장 추이

자료  :    Futron,  2010

    우주산업  분야를  위성제작,  발사서비스,  지상장비,  위성서비스로  분류

했을  때,  2009년  위성서비스  분야  매출이  930억  달러로  전체의  약  60%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21

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위성  TV  서비스  매출이  718억  달러로  전체  위

성서비스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위성  라디오,  모

바일  데이터  서비스,  위성영상  서비스  등의  매출이  증가추세에  있다.

  2009년  인공위성제작  시장은  고가  위성  제작으로  전년  대비  29%  증가

한  135억  달러이다.  정부  수요에  의해  민간기업  발주로  발생한  위성제작

매출은  2009년  98억  달러로  전체  위성제작  시장의  73%를  차지하고  있

으며,  상용  지구정지궤도  위성제작  발주도  꾸준히  늘고  있다.  2009년  41

기의  상용  정지궤도위성  발주가  있었는데  이는  전년대비  약  두  배  수준으

로  증가한  것이다.

    발사서비스  시장은  45억  달러로  전년  대비  18%  증가하였다.  2009년 

46번의  상용  발사  서비스가  있었으며,  이는  '08년  49회에  비해  다소  감

소하였지만  발사서비스  단가의  상승으로  전체  매출의  규모는  커졌다.  전

체  상용  발사  서비스  중  정부고객에  의한  발사가  55%를  차지하여  현재까

지도  정부에  다소  의존적인  시장이라고  볼  수  있다.

    지상장비  시장은  499억  달러로  전년  대비  8%  증가하였다.  위성전화, 

위성  TV  안테나,  위성  라디오  등  소비자용  지상장비  매출에서는  큰  변동

이  없으나,  게이트웨이,  VSATs  등  위성  네트워크  장비와  GPS  장비의  매

출  호조에  따라  전체  매출은  증가하였다.


background image

2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그림 1.2-2] 분야별 세계 우주 시장 추이

자료  :  Futron,  2010   

  지난  10년  동안('99년~'08년  기준)  전  세계에서  발사된  위성은  총  804

기로  연평균  약  80기  정도의  위성이  발사되고  있다.  이중  정부  위성이   

497기로  약  60%였으며,  민간  상용  위성은  전체의  약  40%인  307기가  발

사되어  세계적으로  위성개발은  다른  우주  산업과  마찬가지로  정부에  의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10년  동안  위성제작과  발사  서비스를  위해  투자된  돈은  1,180억  달러에 

이른다.  이중  정부에서  투자한  돈은  717억  달러로  전체  대비  60%이며, 

민간  기업에서  투자한  금액은  463억  달러로  이중  96%는  지구정지궤도 

통신위성  제작과  발사에  관련된  투자이다.  2008년에  세계적으로  81기의 

위성이  발사되었으며  전년  대비  9기의  위성이  적게  발사되었다.  발사체 

부족으로  위성  발사가  미루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위성제작과  서비

스  시장도  2008년  131억  달러로  전년  대비  약  10%  감소하였다.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23

    Euroconsult사는  향후  10년간  세계  기준으로  총  1,185기의  위성이  발

사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  수치는  지난  10년간  발사된  위성  수에 

비해  47%가  증가한  수치이다.  이는  세계  주요국의  다양한  임무의  위성 

수요  증가와  우주신생국의  지구관측위성  및  통신위성  수요,  민간  기업의 

저궤도  통신위성  및  지구관측위성의  수요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1999-2008

2009-2018

증가율

발사된&발사될  총  위성  수

804기

1,185기

+47%

발사된&발사될  총  위성  무게

1,591톤

2,239톤

+41%

위성제작  시장

$780억

$1,180억

+51%

발사서비스  시장

$410억

$600억

+46%

위성제작  및  발사서비스  시장

$1,190억

$1,780억

+49%

[표 1.2-1] 세계의 위성 제작 및 발사서비스 수요 추이


background image

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1980년에는  단  20개국만이  우주프로그램을  보유하거나  국제협력으로  우

주개발을  수행하였으나,  2009년  우주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국가는  총  53

개국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1957년  러시아(구소련)가  세계  최초로  인공

위성을  발사하며  우주개발에  입문한  이후  우주분야는  최대  성황을  누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2-3] 우주프로그램 보유국 수

    자료  :  Euroconsult,  2010

  2009년  각국의  우주분야  투자는  최대치를  경신하여  전년  대비  10%  증

가한  680억  달러에  도달하였다.  세계적인  불경기  속에서도  각국은  우주

분야  투자액을  늘림으로써  우주분야가  향후  국제적으로  경쟁이  치열해지

는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09년  각국의  우주분야  총  투자액  680

억  달러  중에  53%는  민수부분에,  47%는  군수부분에  투자하였다.  우주분

야는  군수  산업과의  연동성이  강하기  때문에,  다른  산업에  비하여  군수부

분에  대한  투자비율이  매우  높은  편이다.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25

    세계  각국의  민수  우주부분  투자예산은  2009년  360억  달러로  전년  대

비  9%  상승하였다.  최근  개발도상국의  우주개발  진입에도  불구하고  미

국,  러시아,  프랑스,  일본,  중국,  독일,  인도,  이탈리아,  영국,  스페인  등 

우주산업  강국의  비중이  91%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군수  우주부

분  투자  금액은  2009년  320억  달러로  전년  대비  12%  증가하였다.  1990

년  세계  각국의  전체  우주  예산(278억  달러)에서  군수분야  우주예산은 

29%를  차지하였던  반면  2009년에는  47%로  증가하여,  2001년도  이후  국

방우주예산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09년  세계  15개국3)이  국방

우주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

국가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미국

34,622

36,693

39,036

41,899

43,988

48,794

일본

2,500

2,335

2,147

2,121

2,622

3,012

러시아

633

844

1,253

1,439

1,905

2,838

프랑스

2,447

2,607

2,724

2,888

3,001

2,712

중국

992

1,110

1,215

1,389

1,918

2,246

독일

1,019

994

1,016

1,256

1,395

1,407

이탈리아

763

822

766

1,007

1,143

988

인도

561

610

662

790

808

906

영국

677

682

749

758

704

618

캐나다

220

238

277

268

289

4954)

한국

149

185

327

317

287

217

[표 1.2-2] 세계 주요국의 우주 예산 (단위 : 백만$)

자료  :  Euroconsult,  2010

3) 미국,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스웨덴, 영국, 러시아, 이스라엘, 터키, UAE, 중국, 일본, 호주

4) 2008까지 캐나다 우주예산은 민수분야에 투자된 액수이며, 2009년부터 군수 우주 예산이 포함됨


background image

2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우주분야  참여  국가  중  우주관련  투자에  지속성이  있으며,  투자  금액  역

시  다른  그룹에  비해  매우  큰  상위  10개국5)은  매년  3,000억원(3억  달

러)  이상을  꾸준히  우주분야에  투자하였고,  우주과학,  위성통신,  위성측

위,  발사체  및  유인  우주분야  등  광범위한  우주분야  개발에  참여해  오고 

있다.  2009년  전년  대비  우주  예산  증가폭이  큰  나라는  미국(11%),  일본

(15%),  러시아(49%),  중국(17%),  인도(12%)  등으로  최근  러시아와  아

시아  3국의  우주개발  투자  증가가  눈에  띈다.

  '08년  GDP  대비  우주예산  비중이  가장  큰  나라는  미국으로  0.3%에  이

르며,  프랑스와  러시아는  0.1%,  인도는  0.07%,  일본/중국/이탈리아는 

0.05%에  이른다.  반면  우리나라는  현재까지는  GDP  대비  0.03%  정도이다. 

우리  나라는  위성활용,  발사체  및  우주과학  분야에서  어느  정도  수준에  오

르고자  자체개발에  투자를  하고  있지만  여전히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환경에  따라  변동이  크다.

[그림 1.2-4] 2008년 주요국의 GDP 대비 우주예산 비중

자료  :  Euroconsult,  2010

5) 미국, 일본, 러시아, 프랑스, 중국, 독일, 이탈리아, 인도, 영국, 캐나다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27

2.  해외  주요국의  우주개발  동향

 미국

    세계에서  우주산업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나라는  단연  미국이다. 

미국은  순수  학문적  우주  연구  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는  자원  개발,  새로운  군용  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  등  전방위  적으로  우주

산업에  투자를  하고  있다.  미국의  우주개발  투자액은  세계  우주개발  총  투자

액의  약  75%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난  5년간  약  7%의  증가를  보였다. 

    미국의  우주분야  투자는  주로  국무성(DoD),  미국  항공우주국(NASA),  미국 

해양대기관리청(NOAA)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9.11  사태이후  미국

의  국방관련  우주분야  투자는  증가하기  시작하여  지난  부시행정부는  미  국가 

우주정책(NSPD-49)을  발표하여  미국의  국가안보는  우주개발  능력에  달려있

다는  점을  강조하며  향후  군방관련  우주개발에  대한  투자를  넓힐  것을  예고

했다.  현재  미국의  군수분야투자는  전체우주예산에서  59%를  차지하고  있다.

    현  오바마  정부는  정부  중심의  우주개발에서  탈피하고  실질적인  우주산업

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차세대  유인  달탐사  프로그

램인  Constellation  프로그램을  취소하고  지금까지

는  정부  주도로  진행되어온  우주인  및  물자를  실어 

나르는  발사체  개발  사업을  민간  기업에  이전하기로 

결정하였다.  현재  미국에서는  NASA가  상용서비스로 

국제우주정거장에  물자  및  우주인을  수송하기  위한 

Commercial  Orbital  Transportation  프로그램을  수

행하고  있으며,  민간기업인  SpaceX사는  국제우주정

거장  물자  및  우주인  송  프로그램  수행을  위해,  2011년부터  국제우주정거장

에  물자  및  우주인을  운반하게  될  Falcon-9  발사체  개발에  성공하였다.  이 

발사체는  SpaceX사가  제작한  우주선  Dragon을  우주정거장으로  발사하게  되

는데,  Dragon은  내년부터  물자를,  2~3년  후  부터는  우주인을  우주정거장에 

운송하게  될  우주선이다.    2010년  8월  SpaceX사는  Dragon  우주선의  고고도 

낙하시험에  성공하였고,  10월  Falcon-9발사체에  의해  발사  시험이  있을  예


background image

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정이다.

  또한  향후  5년간  미  NASA예산에  50억  달러를  추가로  배정할  것을  발표하

여,  경기회복을  위한  투자부분에  우주를  포함하였다.  이는  단순히  우주개발

만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가  아닌  경제적인  접근방식이  포함된  투자이며,  향

후  관련  예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정부는  추가  예산 

배정에  따라  2012년까지  NASA  케네디  우주센터  내  2,500개의  새로운  일자

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미국은  2010년  우주왕복선의  4회  발사를  계획하였다.  올  2월에  엔데버

(Endeavour),  4월  디스커버리(Discovery),  5월  아틀란티스(Atlantis)가  발사

되어  국제우주정거장에  우주인과  물자를  실어  날랐다.  뒤를  이어  11월  11일 

디스커버리호가  발사될  예정이다.  내년  2월  마지막  발사  예정인  엔데버호의 

국제우주정거장  비행으로  우주왕복선을  퇴역하게  된다. 

  2010년 2월 8일 새벽 4시14분(현지시간)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에 위

치한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발사된  엔데버호는  여섯  명의  승무원을    태우고  2 

주간  우주에  머물면서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모듈을  설치하고  각종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번  엔데버호의  발사로  국제우주정거장에  설치된  ‘트랭퀼러티

(Tranquility)’  모듈은  길이  7m,  지름  4.5m,  무게 

1.8t이며  공기정화기,  산소발생기,  쓰레기처리기 

등  ISS에서  생활하는  우주인들의  생명유지를  위한 

장치들로  구성되어있다.  이  모듈의  한  부분인  ‘큐

폴라’라고  부르는  전망  공간은  길이  1.5m,  지름 

3m인  돔  형태로  측면에  6개의  창문이  붙어있고 

가운데  육각형  모양의  대형  창문이  달려  있다.  ‘큐

폴라’에서는  지구를  여러  각도에서  자세히  관찰할 

수  있으며,  ISS  밖에서  이뤄지는  작업을  내부에서  보면서  지시를  내릴  수도 

있다.  기존에도  지구를  관측할  수  있는  창문이  있었지만  큐폴라처럼  크고  입

체적이지  않았다.  트랭퀼러티는  미국이  설치하기로  한  마지막  모듈이며  이로

써  ISS는  90%  완공됐다.   

    미국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가  2010년  4월  5일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29

버럴의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하여  궤도에  안착했다.  이번  비행에는  여성 

승무원  3명이  탑승해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달했으며,  이미  ISS에  배치돼 

있는  트레이시,  캘드웰,  다이슨을  포함해  역대  최다인  4명의  여성  우주인들

이  동시에  ISS에  함께  있는  기록을  세웠다.  또한,  일본도  이번  비행으로  이

미  ISS에  나가  있는  일본  출신  우주인  한  명과  이날  디스커버리호에  탑승한 

일본인  승무원을  포함해  모두  2명의  우주인이  ISS에  동시에  나가  있는  기록

을  세우게  됐다.

    미  NASA는  Living  With  a  Star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태양을  관측하기  위

해    2010년  2월  11일  Solar  Dynamics  Observatory(SDO)를  발사하였고,  기

상위성인  GOES(Geostationary  Operational  Environmental  Satellite)을  3

월  4일  발사하였다.  또한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CO2의  발생과  흡

수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8년  동안  제작한  궤도탄소관측위성(OCO)이  2009년 

2월  24일  오전 1시55분(현지시각)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토러

스XL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으나,  위성  보호  장치가  제때  분리되지  않아  목표

궤도인  지구상공  640㎞에  도달하지  못하고  발사  3분  만에  떨어졌다.  OCO는 

NASA가  대기  중  CO2  농도를  측정,  온실가스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용도로  처음  제작한  인공위성이었다.

    2009년  6월  미국  항공우주국은  달에  물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위한  달 

충돌체  LCROSS(Lunar  Crater  Observation  and  Satellite)를  발사하였다. 

LCROSS는  2009년  10월  9일  달  남극  "카베우스"  분화구에  충돌하였다.  이번 

충돌의  위력은  1.5톤  TNT  폭탄이  터진  것과  같은  것으로  이로  인해  달  표면

에는  넓이  20m,  깊이  4m에  해당하는  흠집이  생겼다.  7천  900만  달러를  들

여  수행된  이번  실험으로  달에  물인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009년  9월  19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대기권  최상층부에서  생기는 

야광구름을  인공적으로  조성하기  위한  최초의  실험을  위해  4단계  블랙  브랜

트  XII  저궤도  탐사로켓을  발사했다.  “대전(帶電)연무질방출실험(CARE)"으로 

명명된  이  프로젝트는  로켓의  분사가스  입자  주위에  구름이  생기도록  하는 

최초의  실험이다.


background image

3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일본

    일본은  현재  세계에서  두  번째로  우주분야  투자액이  큰  나라로  '08년  우주

기본법의  제정  후  '09년  우주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새로운  우주  정책을  제시

하고  있다.  우주기본계획에  따르면  우주정책의  패러다임을  과거의  우주개발 

연구  위주에서  상업화  증진,  안보강화,  우주외교  및  세계  환경  문제  공헌  등

의  우주연구를  통해  얻은  지식  및  결과를  토대로  활용

으로    연결되는  우주연구  활용의  형태로  바꾸었다.  또

한  여러  부서에서  우주관련  업무를  하고  있어  중복되

는  구조  및  예산에  따른  비효율성을  없애고  국가  전반

에  걸친  종합적인  우주정책  수립을  위해  우주개발전략

본부와  사무국을  총리  산하에  신설하였다. 

  일본  국립천문대와  JAXA의  연구팀은  일본의  달  탐사

선  “가구야”에  탑재된  레이더를  통해  677만개  지점을 

관측한  자료를  기초로  달  전체의  상세한  지형도를  제

작하였다.  그동안의  달  지형도는  미국  탐사기가  약  27만개  지점을  관측해 

2005년에  만든  것을  기준으로  제작되었다.  태양물리위성인  "히노데

(SOLAR-B)", 적외선 천문위성 "아카리(ASTRO-F)"를 운영 중인 일본은, 금

성관측을  위한  최초  위성인  아카쓰키와  이카로스  위성을  2010.  5.  21.  H-2A

로켓에  실어  발사하였다.  이카로스  위성은    6월  3일  초박형  돛을  펼치기  시

작했는데,  금성근처에  도착한  이후에는    태양풍에  의해  움직일  예정으로  획

기적인  동력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세계의  이목을  끌었다.

  일본이  2010년  6월  14일  7년  만에  지구로  귀환하는  데  성공한  소행성  탐사

우주선  하야부사(隼·매)의  이온엔진을  미국  등에  수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하야부사는  장비  고장  등으로  우주에서  떠돌다가  이온엔진  덕분에  지

구로  무사히  귀환하였다.  이온엔진은  무색·무취의  기체인  제논을  전기의  힘으

로  이온화해  고속으로  분사시킴으로써  추진력을  얻는데,  이러한  이온엔진은 

태양광을  에너지로  사용하기  때문에  우주비행선의  장거리  비행에  적합하다. 

하야부사는  2003년  5월  일본에서  발사되어  출발  2년여  만에  지구에서  3억㎞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31

떨어진  소행성  ‘이토카와(絲川)’에  착륙하였다.  하지만  돌아올  때  가스  분사방

식인  화학엔진에서  가스가  새면서  고장을  일으켜  지구로의  귀환이  실패할  뻔

하였다.  하지만  화학엔진과  함께  탑재돼  있던  이온엔진을  이용하여  지구로 

돌아  올  수  있었다.  이온엔진도  전체  4개  중에서  3개가  고장  났지만,  JAXA

의  원격조종을  통해  각각의  살아남은  기능만  살려  하야부사를  무사히  지구로 

귀환시킬  수  있었다.  하야부사의  이온엔진을  개발한  NEC는  이번에  이온엔진

의  성능이  입증됨에  따라  미  우주항공국(NASA)  등에  이를  납품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앞으로  미국으로만  3년간  20억  엔(약  270억원)  규모의 

이온엔진을  수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본은  미국의  전  지구항법시스템인  GPS의  일본  지역  보강시스템인  준천정

위성시스템(Quasi-Zenith  Satellite  System  :  QZSS)의  첫  번째  위성인 

“Michibiki"를  2010년  9월  11일  발사하였다.  QZSS시

스템은  3기의  위성으로  구성되며  2013년부터  운영될 

예정이다.  지구  대기  중의  온실가스의  농도를  관측하

기위해  개발된  일본의  인공위성  "이부키"가  2009년  1

월  23일,  가고시마현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H2A로

켓에  실려  우주로  발사됐다.  "이부키"는  지구온난화의 

원인인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메탄  농도를  동시에 

관측하는  세계  최초의  위성으로,  5년  동안  지구상  약  5만5천개  지점의  이산

화탄소와  메탄에  관한  자료를  3일마다  수집할  예정이다.

    우주정거장(ISS)으로  보낼  무인화물기(HTV)를  탑재한  신형  로켓  H2B  1호

기가  2009년  9월 11일에  발사되었다.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와  미쓰비

시(三菱)중공업이  제작한  이  로켓은  중량이  530t(일본이  지금까지  쏘아올린 

로켓  가운데  최대)인  2단  로켓으로  엔진은  현재  일본의  주력  로켓인  H2A에 

쓰이고  있는  1단  엔진  2개를  한꺼번에  장착해  발사능력을  1.4배  정도  높였

다.  일본은  이번  H2B  발사  성공으로  우주  수송  수단을  확보했으며  앞으로 

유인  우주선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설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H2B  로켓이 

탑재한  HTV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거주하는  6명의  우주인에게  제공할 

4.5t의  식량과  생필품,  실험  장비들을  싣고  있다.


background image

3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러시아

    지난  5년간  우주분야에  대한  국가차원의  투자  증가율이  가장  큰  나라는 

러시아이다.  러시아는  2009년에  약  28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으며,  이는  5

년  전과  비교했을  때  약  4.5배가  증가한  수치이다.  과거  우주분야의  한축

을  이루었던  러시아의  위상을  다시  세우고,  세계  우주개발  분야에서  지도

적  위치를  재구축하려는데  정부,  산업체,  대학,  연구기관  등  모든  관련  기

관에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러시아는  2008년  우주  활동  분야에  대

한  정부의  우선  추진  사업  분야를  전지구위성항법시스템인  차세대  글로나

스(Glonass)  시스템  구축,  새로운  보스토치니(Vostochny)  발사  센터의  개

발,  위성통신  등으로  규정하고  이  분야에  대한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러시아는  위성  24대로  구성되는  글로

나스  위성군을  2010년  완성시킬  것을  목

표로  하고  있다.  러시아  흐루니체프사는 

Proton과  Rockot  발사체를  교체하기  위

한  앙가라  발사체를  개발하였으며,  내년 

첫  시험  비행을  계획  중이고,  흐루니체프

사와  몰리아사는  재사용  발사체  개발을 

위한    바이칼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또한  러시아는  카자흐스탄으로부터  임대

해  사용하는  바이코누르  시설에  대한  의존성을  줄이기  위해  2018년을  목

표로  러시아  영토  내  보스코치니에  새로운  발사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33

 중국

    최근  중국은  달  궤도선  창어  1호를  통한  성공적  달탐사,  세계3번째  유인 

우주비행  성공  등  우주탐사와  유인  우주  영역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은  풍부한  물적,  인적  자원

을  앞세워  우선은  아시아  내의  우주개발  시장에서  앞서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세계  최고의  우주  개발국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중국  정부는  향후  지속적으로  우주탐사  및  국가  우주  프로그램에 

대한  투자를  늘릴  것이라고  발표하고  있으며,  현재  중국은  달탐사에  이어  화

성탐사  계획을  추진  중에  있다.  10년  뒤를  목표로  우주정거장  건립도  계획 

중이다.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People's  Liberation 

Army  Air  Force)은  항공뿐만  아니라  우주분야에서

도  방어와  공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능력을  겸비할 

것을  선언했고,  우주군  신설을  계획  중에  있는  등  단

순히  경제적  관점과  국가  위상  증진  전략의  방안으로

서  우주분야에  대한  접근  뿐  아니라  군사적  관점에서

의  접근을  시도하고  있어,  우주군사분야의  긴장감  조

성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또한  중국은  2010년  1월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대기권  밖에서  지구로  진입하는  미사일을  파괴하는 

시험(anti-ballastic  missile  test)에  성공하였다.

    중국은  달탐사를  위해  창어  1호에  이어  창어  2호를  올  10월에  장정  3A  발

사체로  발사하였다.  향후  발사될  창어  3호의  착륙지  조사가  임무로  달  표면

위  100km  궤도에서  1m의  해상도를  가진  카메라로  달  표면지도를  작성할  예

정이다.  중국의  과학연구위성인  “스젠(實踐)  7호”가  2010년  6월  15일  오전  9

시39분(한국시간 오전 10시39분) 간쑤(甘肅)성 주취안(酒泉) 위성발사센터에

서  창정(長征)  2D  로켓에  실려  쏘아  올려졌다.  스젠  7호는  우주  환경조사와 

측량,  통신  등의  과학기술  연구를  수행할  목적으로  개발됐다.  중국은  1970년

에  창정  로켓을  첫  발사를  시작으로  이번에  125번째  발사를  성공적으로  수행

하였다.


background image

3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중국의  정찰위성으로  알려진  원격탐사위성  시리즈인  Yaogan위성이  2006

년  4월부터  발사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10호까지  12기가  발사되었다.  2010

년  3월  Yaogan  9A,  9B,  9C가  발사되었고,  8월  Yaogan  10호가  발사되었으

며,  11월  Yaogan  12호가  발사될  예정이다.

    중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지역  항법  시스템을  2012년까지  구축하고, 

총  30기의  위성으로  구성될  전지구항법시스템인  북두(Beidou  Navigation 

System)를  2020년까지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2010

년  1월,  6월,  7월  항법위성  Compass-G1,  G3,  IGSO-1을  각각    발사하였다. 

10월  Compass-G4도  발사될  예정이다. 

    중국  방송위성  회사에  의해  운영되는  통신  위성  Chinasat-6B가  2010년  9월 

4일  장정  3B에  의해  발사되었다.  이  위성은  Thales  Alenia  Space사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중국  전역  및  남태평양에  라디오  및  TV방송에  사용되고  있다.

 인도

    인도의  우주  활동에  대한  정부  할당액은  1990년부터  점차  증가해  2009년

에는  9억  600만  달러에  달했다.  2004~2009년  5년  간  인도의  우주분야  연평

균성장률은  12%에  달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현재  인도의  우주  비

전  2025에서  강조하고  있는  우주  연구  활동은  고해상도의  영상 

시스템과  고출력  통신  시스템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2010년  4월  15일,  인도는  통신,  방송,  기상  등의  다목적  임무를 

수행하는 

정지궤도 

위성을 

정지궤도에 

올릴 

수 

있는 

GSLV(Geosynchronous  Satellite  Launch  Vehicle)Mk.II  발사체

의  첫  발사를  수행하였으나,  3단의  오작동으로  GSAT-4  위성을 

궤도에  올리는데  실패하였다.  GSLV  프로젝트는  지구정지궤도  위

성을  발사하기위해  1990년  시작되었다.  당초  극저온  액체수소  연

료를  사용하는  3단의  기술을  러시아로부터  도입할  예정이었으나, 

미국의  제재로  러시아로부터  극저온  수소  엔진만을  도입해  GSLV 

3단에  사용해  왔다.  이번  발사는  인도가  3단엔진인  극저온  수소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35

엔진을  독자  개발하여  완성한  GSLV  발사체의  처녀  비행이었다. 

    인도의  원격탐사  위성  시리즈인  IRS(Indian  Remote  Sensing)  위성의  17

번째  위성인  Cartosat-2B가  알제리의  AlSat-2A  위성  등과  함께  PSLV  발사

체에  의해  발사되었다.  인도우주연구소(ISRO)는  2009년  4월  20일  새티쉬  다

완  우주센터에서  레이더  정찰위성  "RISAT-2"를  극위성발사체(PSLV-CA)에 

실어  발사하였다.  위성은  발사  19분만에  지구  상공  550㎞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다.  위성본체는  인도우주연구소(ISRO)가  제작하였고,  레이더  탑재체는 

이스라엘  국영  우주항공산업(IAI)이  제작하였다.  파키스탄  테러집단에  의해 

Mumbai  지역의  테러  이후  인도는  자체적으로  레이더  위성을  개발해  왔으나 

개발이  지연되자,  이스라엘로부터  합성영상레이다(SAR)  탑재체를  구매하여 

RISAT-2를  발사하였다.  합성영상레이다(SAR)가  장착되어  야간은  물론  구름

이  낀  날에도  정밀  관측이  가능하며  탄도  미사일  추적도  가능하여  인도는  이 

위성을  테러세력의  침투  방지  등  목적에  우선적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영국

    영국  정부는  2009년에  민간  및  방위  우주  프로그램에  4억  900만  파운드(6

억  1,800만  달러)를  지출했는데,  이  금액은  전년도에  비해  8%가  증가한  것이

다.  정부  자금  지원의  66%는  민간  프로그램(국가  활동,  ESA  및  Eumetsat)

에  지출되었고,  34%는  방위  관련  활동(Skynet  5  관련  활동)에  지출되었다. 

    2009년  12월  영국  정부는  BNSC(영국  국립  우주  센터)를  대체할  수  있는 

영국우주청을  설립하였다.  BNSC는  영국의  연구소  및  업계  참여자들과  공동 

작업을  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지만,  NASA와  같이  독자적으로  프로그램을  실

행하지는  않았었다.  영국정부는  전략적  의사  결정을  개선하고,  영국의  우주 

부문에  대한  투자  수익률을  확대시키기  위해  우주청을  신설하였다.  영국  우

주청은  영국과  유럽  우주국  ESA와의  관계  강화,  우주관련  산업체  및  과학계

와의  협의  및  공동작업도  총괄할  예정이다.


background image

3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단위 : 억원)

연도

정부 R&D

예산(A)

정부 우주개발 R&D

예산(B)

B/A(%)

2005

77,996

1,893

2.4

2006

89,096

3,125

3.5

2007

97,629

2,951

3.0

2008

110,784

3,153

2.8

2009

123,437

2,769

2.2

2010

137,014

2,6206)

1.9

자료  :  교육과학기술부,  2010

3.  국내  우주개발  동향

    2009년과  올해  우리나라  정부의  전체  R&D  예산은  전년  대비  각각 

24%, 11% 증가한 것에 비하여 우주분야 R&D 예산은 12%, 18% 감소하였

다.  2006년  우주개발예산은  3,000억원을  넘어서고  정부  연구개발  예산 

대비  우주예산  비중도  3%에  이르렀으나,  그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올

해에는  1.6%에  불과하게  되었다.  이는  나로호  개발이  2008년  제작  및  준

비가  완료됨에  따라  발사체  및  우주센터  예산이  최고에  달한  후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최근  통신해양기상위성  및  다목적실용위성  5호  등의  위성이 

개발  주기의  막바지에  들어섰기  때문이다. 

[표 1.2-3] 우리나라 정부 우주개발 예산

 

6) 항공우주연구원의 우주분야 주요사업 및 시설사업 투자예산을 포함할 시 2,620억임

전년(2008년)과 같은 기준으로 항우연의 투자예산을 포함하지 않았을 때 2,251억원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37

    2009년  우주개발예산은  2,769억  원으로  전년  대비  395억원  감소한  예

산으로,  다목적실용위성  3호,  3A호,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예산이  2008년 

대비  증가하여  위성분야  예산은  333억원  증가하였으나,  나로호  개발이 

완료됨에  따라  2009년  발사체  및  우주센터  예산은  전년  대비  805억  원 

감소하였다.  2009년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이  착수되었고  국제협력  분야 

예산이  처음  배정됨에  따라  연구개발  및  국제협력  예산은  전년  대비 

208%  증가한  114억  원이었다.

    올해  우주개발예산은  2,62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9억원  감소하였다. 

2010년  통신해양기상위성  및  다목적실용위성  3호  개발이  거의  막바지에 

이름에  따라  위성분야의  예산은  856억  원  감소하였다.  연구개발  및  국제

협력  예산은  약  280억  원  증가하여  전년  대비  161%  증가하였는데  기초

핵심개발사업의  예산증가와  기상청의  기상위성자료  서비스  기반구축  사업 

착수에  기인하였다.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인  “나로호(KSLV-Ⅰ)”  발사를  위한  나로우주센

터가  2009년  6월  11일  준공식을  가졌다.  대한민국  우주개발의  산실로  자

리매김할  나로우주센터는  인공위성  발사장  건설을  위해  지난  2000년  12

월  건설에  들어가  511만㎡의  부지(시설부지  37만㎡)에  발사대와  발사통

제동,  종합조립동,  기상관측소,  추적레이더,  광학추적장치  등  첨단  시설을 

갖추고  있다.  나로우주센터는  “나로호”  발사와  개발  중인  한국형발사체 

발사뿐  아니라  발사체  개발을  위한  각종  시험장  등  우주개발을  위한  종합

시설과  대국민  홍보  및  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100kg급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진입시킬  목적으로  총  사업비 

5025억원이  투입되어  2002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우주발사체인  나로호

(KSLV-I)가  2009년  8월  25일에  발사되었다.  하지만  위성보호덮개  페어

링의  한쪽이  분리되지  않아  과학위성  2호의  정상궤도  진입에는  실패하였

다.  1차  실패를  딛고  2010년  6월  10일에  나로호  2차  발사가  이루어졌으


background image

3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나  발사  137.19초후  고도  70km  상공에서  통신이  끊긴  뒤  폭발하여  2차 

발사  또한  실패하였다. 

    2009년  10월  9일부터  25일까지  대전에서  개최된  국제우주대회(IAC)는 

“지속가능한  평화와  발전을  위한  우주”를  주제로  교육과학기술부와  대전시

가  공동  주최하였으며,  아울러  10월  9일부터  25일까지  우주축제를  함께 

열어  일반인의  우주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일조하였다.  국제우주대회에는 

72개국  4000여  명의  우주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1만6000여  편의  석학들

의  학술논문  발표와  NASA를  비롯한  153개  기관  및  기업들의  우주기술 

전시회가  개최돼  행사의  규모와  질  등  모든  면에서  최고의  대회였다고,  국

제우주연맹(IAF)  회장  등  세계  우주전문가들이  평가하였다. 

    2010년  6월  27일에  남미  기아나  쿠루우주센터에서  아리안  5호에  실려 

‘천리안’  위성이  발사되었다.  천리안  위성은  발사  이후  근지점  고도  251.2

㎞,  원지점  고도  3만5799㎞의  타원궤도인  천이궤도(원형  정지궤도에  이

르는  중간단계)에서  2010년  6월  28일부터  7월  1일  사이에  3차례  위성체

의  자체엔진을  분사해  궤도조정과  자세제어를  수행,  궤도상승  작업을  벌

였다.  이후  목표  경도인  동경  128.2도를  향해  서서히  이동한  뒤  고도를 

높여  3만6000㎞  정지궤도에  자리를  잡았다.  2003년부터  개발에  착수한 

천리안  위성은  정지궤도  진입  후  7월  12일의  첫  가시영상  및  8월  12일 

첫  적외영상을  성공적으로  관측하였다.  천리안위성을  통해  30분  간격으로 

일본  기상위성으로부터  받던  기상정보를  우리가  원하는  시간대와  원하는 

지점의  상황을  짧게는  8분  간격으로  자료를  받을  수  있고,  아시아지역  자

료도  15분  가격으로  수신이  가능해  졌다. 

    현재  다목적실용위성  3호,  5호,  3A호,  과학기술위성  3호를  개발  중에  있

으며,  자력  발사체  개발을  목표로  2010년  한국형발사체  사업을  착수하였

다.  한국형발사체  사업은  한국형발사체의  개발착수와  함께  총조립  업체를 

선정,  육성하도록  하여  발사체  분야의  산업체  역량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39

    또한  우주  기술의  자립화를  위한  기초기술  확보를  위해  대학을  대상으

로  “우주기초원천기술  개발  사업”(‘08)이  새로이  시작되었으며  2009년에

는  연구소  및  기업을  대상으로  한  “우주기초핵심  개발  사업”으로  확대되

어,  6개의  ‘우주핵심기술개발’  과제와  11개의  ‘우주기초연구’  과제가  선정

되었다. 

    우주개발세부실천로드맵에서  제시한  우주산업  활성화  정책에  따라  지금

까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도한  다목적실용위성의  본체  개발을  민간에 

이전하기위한  시범사업으로  다목적실용위성  3A호  본체개발을  주도할  민간

기업을  선정하였다(’10).  (주)AP시스템과  (주)한국항공우주산업의  컨소시

엄이  다목적실용위성  3A호의  본체  주관기업으로  선정되어  현재  한국항공

우주연구원과  공동  설계  작업  중이다. 

    정부는  또한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을  개정하여(‘10.2.18)  우주분야 

종사  기업의  세액  공제를  증대하였다.  본  시행령의  개정으로  연구개발비 

지출액의  6%를  세액공제  받았던  대기업은  20%  수준까지  세액공제가  확대

되었으며,  중소기업은  연구개발비  지출액의  25%에  해당하는  금액에서 

30%까지  세액공제를  받게  된다.

    현재  교육과학기술부는  2016년까지의  우주개발  방향을  제시한  우주개

발진흥기본계획(‘07)의  세부  실천  계획을  마련  중에  있다.  2007년  이후 

변한  국내외    환경을  반영하고  우주개발의  질적  도약을  위한  세부  계획 

제시를  목표로  2009년  우주개발진흥세부실천계획(안)  수립  작업에  착수

하였으며,  2010년  하반기  국가우주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  계획으로  확

정할  예정이다. 


background image

4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  우리나라  우주개발  현황

2020년  한국형  발사체  발사(예정)

2020년  다목적실용위성  8호(SAR)  발사(예정)

2019년  다목적실용위성  7A호  발사(예정)

2018년  정지궤도복합위성  2B호  발사(예정)

2017년  정지궤도복합위성  2A호  발사(예정)

2017년  다목적실용위성  7호  발사(예정)

2016년  다목적실용위성  6A호(SAR)  발사(예정)

2015년  다목적실용위성  6호(SAR)  발사(예정)

2013년  다목적실용위성  3A호  발사(예정)

2012년  다목적실용위성  3호  발사(예정)

2011년  과학기술위성3호  발사(예정)

2011년  다목적실용위성  5호(SAR)  발사(예정)

2010년  통신해양기상위성(천리안)  발사

2010년  소형위성  발사체(KSLV-I)  2차  발사

2009년  소형위성  발사체(KSLV-I)  1차  발사

2009년  과학기술위성  2호  발사

2009년  한국  우주센터(나로우주센터)  준공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배출

2006년  KT,  통신방송위성  무궁화5호  발사
2006년  실용급  위성  다목적실용위성  2호  발사

2003년  소형위성  과학기술위성1호  발사

2002년  액체추진  과학로켓(KSR-III)  발사

1999년  실용급  위성  다목적실용위성  1호  발사

1999년  KT,  통신방송위성  무궁화3호  발사

1999년  소형과학위성  우리별3호  발사

1998년  과학로켓(KSR-II)발사

1996년  KT,  통신방송위성  무궁화2호  발사

1995년  KT,  통신방송위성  무궁화1호  발사

1993년  소형과학위성  우리별2호  발사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41

1993년  과학로켓(KSR-I)발사

1992년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  우리별1호  발사

1.  우주산업의  분류체계  과정

    2010년  우주산업의  분류체계는  2009년  조사  시  사용된  분류체계를  따

랐다.  2009년  우주산업의  분류체계  정립과정은  우선  해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유사한  조사를  참고로  우주산업  분류(안)를  구성하고,  2차로  기업, 

연구기관,  대학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분류체계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림1.3-1] 2009년 우주산업 분류 재정립 접근방법

우주산업의  분류체계

제3절


background image

4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2.  2010년  우주산업의  분류체계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에  사용된  우주산업  분류체계는  인공위성(시

스템,  위성본체,  탑재체),  발사체(시스템,  추진기관,  그  외  시스템),  지상

설비(인공위성관련,  발사체관련,  위성활용서비스  관련),  우주활용서비스

(원격탐사,  위성방송,  위성통신)  4개의  카테고리  구성되었으며,  아래  [표

1.3-1]와  같다.

[표1.3-1] 우주산업 분류 체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위성체

시스템

설계, 총조립/시험, 발사관련

위성본체

전력계, 추진계, 열제어계, 원격측정 명령계, MODCS,
구조계, 자세 및궤도제어계

탑재체

광학탑재체, 레이더(SAR), IR, 기상, 통신탑재체

발사체

시스템

설계, 조립/시험, 발사관련

2단

구조, 추진, 자세제어, 전자탑재, 분리/파이로,
환경제어

상단탑재부

구조, 임무제어, 전자탑재, 환경제어

페어링

구조, 분리/파이로, 환경제어

지상장비

위성관련

위성시험, 위성관제

발사체관련

발사대, 시스템, 시험설비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영상판매, 영상처리 소프트웨어

위성방송통신

위성방송, 위성통신

위성항법시스템

항법, 시각동기, GPS 이용 장비

우주과학

유인우주, 우주탐사, 우주감시, 우주측지


background image

  제2장    우주산업  현황

제1절  우주산업실태조사  개요

제2절  우주산업실태조사  결과종합

제3절  산업체  현황

제4절  연구기관  현황

제5절  대학현황


background image

<백지>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45

1.  우주산업실태조사  목적  및  법적  근거

    우주산업실태조사는  우주개발진흥법  제24조에  의거하며  매년  실시되는 

조사로써,  국내  우주산업  분야의  관련  기업체,  연구기관,  대학을  대상으

로  실태파악을  하여  향후  정부의  우주개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

고자  실시한다.

[그림2.1-1] 우주산업실태조사 목적

❚❙

우주개발진흥법 제24조 원문

제24조 (우주개발 등에 관한 자료수집 및 실태조사)
①교육과학기술부장관은 우주개발을 체계적으로 진흥하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우주개발 및 우
주분야 산업에 관한 자료수집 또는 실태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제8852호(정부조직법)]
②교육과학기술부장관은 제1항의 규정에 따른 국내 실태조사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관련 행정기관·연구기관·교육기관 및 기업에 대하여 자료의 제출이나 의견의 진술 등을 요청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제8852호(정부조직법)]
③제1항의 규정에 따른 자료수집 및 실태조사의 내용·시기·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
로 정한다.

우주산업실태조사  개요

제1절


background image

4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2.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수행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의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5월  10일부터  8월 

31일까지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대상기관은  기업체  171개,  연구기관  14

개,  대학  30개를  포함하는  총  215개  기관이었고,  네비게이션업체는  2009

년  조사대상  업체와  신규업체를  포함하여  총  90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

문조사  대상기관의  자료수집  방법은  1차로  전화  컨택(Contact)  후  담당

자  이메일을  통해  설문배포를  하였고,  이메일로  응답된  설문지를  회신하

였다.  또한  응답률  제고를  위한  방법으로  응답자  편의에  맞춰  우편조사와 

방문면접조사를  병행하였으며,  네비게이션  업체에  대한  정보는  기업체  홈

페이지  및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관련  매출  정보를  수

집하였다.

[그림2.1-2] 2010년 국내외 우주산업 규모 분석 조사 설계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47

    2010년도  우주산업실태조사의  회수현황은  총  215개  대상기관  중  회신

한  곳이  기업  140개,  연구기관  14개,  대학  23개  학과  총  177개(응답률 

82.3%)  기관이다.  회신한  기관  중  우주산업  분야에  관련이  없는  기관  91

개를  제외하고  총  86개의  기관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네비게이션업체는 

총  90개  업체  중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과  2차  자료를  통해  2009

년  매출  정보가  가능한  27개  업체만을  포함하여  총  분석  기관수는  113개

이다.

[표2.1-1]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응답현황

구분

설문조사

네비게이션업체

분석

기관수

발송기관

응답기관

분석기관

기업체

171

140(81.9%)

57

27

84

연구기관

14

14(100.0%)

12

-

12

대학

30

23(76.7%)

177)

-

17

전체

215

177(82.3%)

86

27

113

7) 대학의 경우 학과 기준으로는 17개이고, 대학기준으로는 16개 대학임


background image

4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3.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설문항목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항목은  기관의  일반현황(기관명,  소재지,  설

립년도,  종업원수,  총  매출,  우주산업  분야  매출  등),  참여  우주산업분야, 

우주분야  국내  매출(예산)현황,  수출입현황,  우주분야  투자현황,  보유  시

설  및  설비현황,  우주분야  인력현황,  우주분야  경쟁력에  대한  내용을  포

함하였다.  본  조사의  응답  내용의  대상기간은  2009년  1월  1일에서  12월 

31일까지로  하였다.

[표2.1-2]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위성체

시스템

설계, 총조립/시험, 발사관련

위성본체

전력계, 추진계, 열제어계, 원격측정 명령계, MODCS,
구조계, 자세 및궤도제어계

탑재체

광학탑재체, 레이더(SAR), IR, 기상, 통신탑재체

발사체

시스템

설계, 조립/시험, 발사관련

2단

구조, 추진, 자세제어, 전자탑재, 분리/파이로, 환경제어

상단탑재부

구조, 임무제어, 전자탑재, 환경제어

페어링

구조, 분리/파이로, 환경제어

지상장비

위성관련

위성시험, 위성관제

발사체관련

발사대, 시스템, 시험설비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영상판매, 영상처리 소프트웨어

위성방송통신

위성방송, 위성통신

위성항법시스템

항법, 시각동기, GPS 이용 장비

우주과학

유인우주, 우주탐사, 우주감시, 우주측지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49

4.  용어  해설  및  참고사항

  우주분야는  [표2.1-2]에  포함  또는  관련되는  산업,  연구  분야를  말한다. 

  우주분야  참여인력은  기업과  연구기관은  2009년  조사와  마찬가지로  우

주산업분야에  고용된  인력을  의미한다. 

  통계표에  표기된  "NA"는  해당수치가  없는  경우로,  무응답이나  해당되

지  않는  사항으로  집계가  불가능한  수치이다.

  우주산업분야를  필요에  따라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를  우주기기제작

으로,  우주활용서비스를  우주활용으로  구분하였다.

5.  본  연구의  유의점  및  한계

  기업체  매출,  대학의  연구비와  연구기관의  예산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연구기관의  예산  작성  시  기업으로  지불된  예산은  제외한 

금액을  기재하도록  하였다.

  매출,  인력과  같은  내용  응답  시  분야별로  명확히  구분하기  어려운  경

우는  상위  분류까지  구분하였으며,  필요에  의해  분야별  자료구분이  필

요한  경우는  주요  분야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네비게이션  업체  자료는  각사의  홈페이지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

템을  이용하여  27개  업체8)에  대한  매출  자료를  확보하였다.  단,  제품

별  매출구분이  어려운  경우는  자료의  50%만을  반영하였다(조사  대상 

업체가  주  품목이  네비게이션이기  때문에  제품  매출을  그대로  반영해

도  되지만,  전체  시장의  과대추정을  방지하기  위한  것임).  네비게이션 

업체에  대한  자료는  매출  자료만  파악된  것으로  타  조사항목에  대해서

는  반영하지  못했다.

8) 인켈, 이노플러스, 제이콤, 자티전자, 시터스, 디지털큐브, 아이리버, 마이스터, 더맵, 프리넥스, 유

티엑스, 아이트로닉스, 카모스, 씨에이치테크, 유비와이즈, 모비딕, 디지피아, 디브이에스코리아,
엑스로드, 만도맵앤소프트, 현대위아, 파인디지털, 현대유비스, 현대오토넷, 코원시스템, 팅크웨
어, 인디시스템


background image

5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1.  우주산업분야  참여현황

    2009년  우주산업분야의  참여기관은  기업  57개,  연구기관  12개,  대학 

16개  대학  17개  학과9)로  총  86개로  조사되었다.  우주산업분야별  참여현

황을  보면  위성체  위성본체,  발사체  2단,  위성관련  지상장비의  참여  기관

수가  전년  대비  감소하였지만  전반적으로는  전년도와  비슷한  분포를  보이

고  있다.  위성체에서는  위성본체,  탑재체  참여기관이  많았고,  발사체의  경

우  2단에  대한  참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위성체에서는  전반적으로  고

른  분포를  보인  반면  발사체와  지상장비,  우주활용서비스에서는  몇  개  분

야에  여전히  집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2.2-1] 우주산업분야별 참여현황

9)  2008년  참여  대학  중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부산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충남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  3개 

학과에서  2009년  참여  실적이  없다고  응답했으며,  공주대학교  대기과학과가  2009년  조사에  추가로  응답.

우주산업실태조사  결과종합

제2절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51

    우주산업  참여  기관별로  보면  전반적으로  우주산업  참여분야별  분포는 

전년도와  비슷하지만,  기업의  경우  위성체  위성본체,  발사체  2단의  참여 

업체수가  절반  가까이  감소하였다.  이것은  2009년까지  나로호  개발과  관

련된  프로젝트  수행이  대다수  완료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로  '08년의  참여기업과  비교했을  때  41개  업체는  우주산업분야에  지속적

으로  참여하고  있지만,  설문에  응답하지  않은  24개  업체의  다수가  우주산

업  참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아직까지  국내  우주산업의  시장

규모가  크지  않아  기업의  우주산업  참여가  단발성에  그치는  경우가  많은

데,  향후  지속적인  참여가  가능하도록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나  투자가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표2.2-1] 우주산업분야별 참여현황

(단위: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연구기관

대학

전체

위성체

시스템

3

6

2

11

위성본체

8

3

5

16

탑재체

6

6

3

15

발사체

시스템

1

2

3

6

2단

13

1

7

21

상단탑재부

4

1

1

6

페어링

3

1

0

4

지상장비

위성관련

18

3

2

23

발사체관련

10

2

1

13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9

4

3

16

위성방송통신

6

1

0

7

위성항법시스템

7

2

2

11

우주과학

0

3

3

6


background image

5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2.  우주산업분야  참여기관의  지역분포

    2009년  우주산업분야  참여기관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전체의  47.7%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나머지  31.4%는  충청권에,  15.1%는  영남권에 

분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업적  지리적  특성상  수도권  집중화 

현상은  우주산업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충청권의  분포가  밀집

된  것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주축으로  연구기관의  대부분이  대전  연구

단지에  분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표2.2-2] 우주산업분야 참여기관 지역분포

(단위: 개)

구분

수도권

강원권

영남권

호남권

충청권

합계

기업
(비율%)

31

0

8

2

16

57

(54.4)

(0.0)

(14.0)

(3.5)

(28.1)

(100.0)

연구기관
(비율%)

4

0

0

0

8

12

(33.3)

(0.0)

(0.0)

(0.0)

(66.7)

(100.0)

대학
(비율%)

6

0

5

3

3

17

(35.3)

(0.0)

(29.5)

(17.6)

(17.6)

(100.0)

전체
(비율%)

41

0

13

5

27

86

(47.7)

(0.0)

(15.1)

(5.8)

(31.4)

(100.0)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53

3.  우주산업  참여시기

  2009년도  우주산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관수를  보면  1990년  이전이  10

개  기관에서  2000년  까지  21개  기관으로  2배  증가하였고,  2000년  이후 

우주산업  참여  기관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1999년  이후  급격히  우주산업  참여기관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다목적  실험위성,  나로호와  같은  우주관련  대규모  프로젝트가  시작됨에 

따라  관련  산업체의  참여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우주산업  기관  참여의  지

속적인  증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초기  투자비용이나  수익  창출이  가능해 

민간기업의  참여가  비교적  용이한  활용서비스  산업의  활성화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및  연구기관의  우주산업  기술의  민간기관  이전과  더

불어  지속적인  우주분야  원천기술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그림2.2-2] 우주산업 참여시기


background image

5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4.  우주산업  시장규모

    기업체  매출,  연구기관의  예산,  대학의  연구비를  합한  2009년  우주산

업  시장규모는  약  1조  2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7%  감소한 

수치로  우주분야의  국가예산감소가  전년에  비해  감소된  것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된다.  기관별로  보면  기업  매출은  8,629억원으로  전년도

와  비슷한  수준이고,  네비게이션  관련  기업의  매출을  합할  경우  1조 

5,484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업으로  배분된  연구비를  제외

한  연구기관의  예산은  1,577억원,  대학의  연구비는  28억원  규모로  정부 

예산감소의  영향이  기업보다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우주산업의  경우  정

부  예산이  전체  시장  규모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나로

호  개발의  제작  및  준비가  완료된  2008년에  비해  연구기관  및  대학의  예

산이  줄어들고,  전체  사업  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2-3] 연도 별 우주산업 시장규모 및 사업군 별 비중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55

[표2.2-3] 우주산업 시장규모

(단위: 백만원)

구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전년 대비

증감률

기업
(네비게이션 포함)

700,055

(NA)

887,255

(1,587,255)

864,355

(1,605,448)

862,983

(1,584,818)

-0.2%

연구기관
(기업체 할당 예산포함)

(404,369)

(367,302)

224,340

(435,296)

164,601*

(409,601)

-26.6%

대학

11,718

8,441

9,418

2,830

-70.2%

합계
(네비게이션 포함)

1,116,142

1,262,998

(1,962,998)

1,098,113

(1,839,206)

1,020,766

(1,742,601)

-7.0%

* 기업체로 할당된 예산 제외

    우주산업분야별  시장규모는  기업은  우주활용서비스가  79.0%로  전년보

다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연구기관과  대학은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

와  같은  우주기기제작이  절대적으로  큰  비중(각각  81.5%,  85.0%)을  차지

하고  있다.  연구기관의  경우  우주활용서비스에  대한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

을  보이고  있다.  세부분류로  보면  기업  매출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위

성방송통신이  전체  시장에서도  가장  큰  비중(65.5%)를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지상장비  16.2%,  위성체  12.6%,  발사체  2.1%를  차지하고  있다.


background image

5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표2.2-4] 우주산업분야별 시장규모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기업

연구기관

대학

전체

매출

비율

(%)

매출

비율

(%)

매출

비율

(%)

매출

비율

(%)

위성체

시스템

8,519

1.0

38,179

23.2

48

1.7

46,746

4.5

위성본체

9,830

1.1

11,587

7.0

218

7.7

21,635

2.1

탑재체

3,319

0.4

68,288

41.5

278

9.8

71,885

7.0

소계

21,668

2.5

118,054

71.7

544

19.2

140,266

13.6

발사체

시스템

1,239

0.1

2,408

1.5

378

13.4

4,025

0.4

2단

5,684

0.7

4,880

3.0

1,274

45.0

11,838

1.1

상단 탑재부

0

0.0

1,203

0.7

209

7.4

1,412

0.1

페어링

413

0.0

351

0.2

0

0.0

764

0.1

소계

7,336

0.9

8,842

5.4

1,861

65.8

18,039

1.8

지상
장비

위성관련

122,784

14.2

14,023

8.5

0

0.0

136,807

13.3

발사체관련

29,463

3.4

263

0.2

0

0.0

29,726

2.9

소계

152,247

17.6

14,286

8.7

0

0.0

166,533

16.2

우주기기제작

181,251

21.0

141,182

85.8

2,405

85.0

324,838

31.5

위성
활용
서비스

원격탐사

14,879

1.7

7,595

4.6

95

3.4

22,569

2.2

위성방송통신

664,967

77.1

2,700

1.6

0

0.0

667,667

64.8

위성항법시스템

1,886

(723,721)

0.2

3,580

2.2

300

10.6

5,766

0.6

우주과학

0

0.0

9,544

5.8

30

1.1

9,574

0.9

소계

681,732

79.0

23,419

14. 2

425

15.0

705,576

68.5

우주활용

681,732

79.0

23,419

14.2

425

15.0

705,576

68.5

전체

862,983

100.0

164,601

100.0

2,830

100.0

1,030,414

100.0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57

[그림2.2-4] 우주산업분야별 시장규모


background image

5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5.  우주산업분야  수출입현황

    2009년  국내  우주산업분야  참여기관은  총  169억원을  수출하고,  607억

원을  수입한  것으로  나타나  438억원의  무역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에  비해  무역수지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위성본체와 

시스템에  대한  수입이  전년에  비해  급감하였고  위성활용서비스  분야의  수

출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림2.2-5] 우주산업 연도별 수출입현황

[표2.2-5] 우주산업 연도별 수출입현황

(단위: 백만원)

구분

2007년

2008년

2009년

수출금액(A)

57,348

14,478

16,954

수입금액(B)

123,963

112,626

60,748

무역수지(A-B)

-66,615

-98,148

-43,794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59

    세부  분야별로  수출현황을  보면  전년과  마찬가지로  위성체분야  수출이 

가장  많았으며,  위성활용서비스분야의  수출도  증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수입도  마찬가지로  위성체  분야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

며,  지상장비,  위성활용서비스  등도  일부  있었다. 

  현재  수출의  경우  위성체  시스템과  원격탐사에  대한  의존도가  여전히  높

고,  탑재체의  경우  국내  기술력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분야이기  때문에 

수입  비중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나로호  발사  이후  향후  우리나라

의  독자  기술력을  통한  탑재체  개발이  실현된다면  탑재체에  대한  수입이 

줄어들고,  우주활용서비스와  위성체  시스템  개발에  한정되어  있는  수출구

조가  개선되어  수출입  구조가  상당부분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2.2-6] 우주산업분야별 수출입현황


background image

6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표2.2-6] 우주산업분야별 수출입현황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수출

수입

금액

비율(%)

금액

비율(%)

위성체

시스템

8,000

47.2

221

0.4

위성본체

0

0.0

2,192

3.6

탑재체

2,000

11.8

45,093

74.2

소계

10,000

59.0

47,506

78.2

발사체

시스템

0

0.0

146

0.2

2단

0

0.0

290

0.5

상단 탑재부

0

0.0

0

0.0

페어링

0

0.0

41

0.1

소계

0

0.0

477

0.8

지상장비

위성관련

940

5.5

4,386

7.2

발사체관련

0

0.0

3,958

6.5

소계

940

5.5

8,344

13.8

우주기기제작

10,940

64.5

56,327

92.7

위성활용 서비스

원격탐사

5,124

30.2

332

0.5

위성방송통신

875

5.2

3757

6.2

위성항법 시스템

15

0.1

50

0.1

우주과학

0

0.0

282

0.5

소계

6,014

35.5

4,421

7.3

우주활용

6,014

35.5

4,421

7.3

전체

16,954

100.0

60,748

100.0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61

  국가  별로  수출현황을  보면  위성체  분야의  경우  시스템  관련  장비와  위

성활용  서비스의  원격탐사  분야를  중동으로  약  131억원  어치를  수출했으

며,  유럽에는  탑재체  장비와  위성활용  서비스의  위성방송통신을  38억원 

수출을  기록했다.

[표2.2-7] 우주산업분야의 국가별 수출현황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수출

유럽

중동

아시아

위성체

시스템

0

8,000

0

위성본체

0

0

0

탑재체

2,000

0

0

소계

2,000

8,000

0

발사체

시스템

0

0

0

2단

0

0

0

상단 탑재부

0

0

0

페어링

0

0

0

소계

0

0

0

지상장비

위성관련

940

0

0

발사체관련

0

0

0

소계

940

0

0

우주기기제작

2,940

8,000

0

위성활용 서비스

원격탐사

0

5,124

0

위성방송통신

875

0

0

위성항법 시스템

0

0

15

우주과학

0

0

0

기타

0

0

0

소계

875

5,124

15

우주활용

875

5,124

15

전체

3,815

13,124

15


background image

6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또한  국가  별로  수입현황을  보면  유럽에서  위성체,  지상장비  등의  우주기

기제작  장비를  약  285억원  수입했으며,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으로부터 

위성체  분야  등에  관련하여  약  212억원을  수입하였다.  미국은  우주기기제

작과  우주활용서비스  분야에서  모두  수입을  하였지만,  전체  금액은  95억

원  수준으로  유럽과  아시아/오세아니아에  비해  수입량은  적게  나타났다.

[표2.2-8] 우주산업분야의 국가별 수입현황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수입

미국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중동

기타

위성체

시스템

103

90

28

0

0

위성본체

850

1,315

28

0

0

탑재체

1,128

23,999

19,966

0

0

소계

2,081

25,404

20,022

0

0

발사체

시스템

125

21

0

0

0

2단

252

38

0

0

0

상단 탑재부

0

0

0

0

0

페어링

41

0

0

0

0

소계

418

59

0

0

0

지상장비

위성관련

3,818

468

0

0

100

발사체관련

106

2,560

21

1,232

40

소계

3,924

3,028

21

1,232

140

우주기기제작

6,422

28,491

20,043

1,232

140

위성활용 서비스

원격탐사

332

0

0

0

0

위성방송통신

2,750

0

0

0

0

위성항법 시스템

50

0

0

0

0

우주과학

0

0

282

0

0

기타

37

23

946

0

0

소계

3,169

23

1,228

0

0

우주활용

3,169

23

1,228

0

0

전체

9,591

28,513

21,271

1,232

140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63

6.  우주산업분야  투자현황

    2009년  우주산업  참여기관의  총  투자  규모는  2,800억원으로  전년  대비 

기업의  투자액10)이  급증한  것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전체  투자액  중 

47.8%는  설비투자,  52.2%는  R&D  분야에  투자되었다.  기관별로는  기업

과  연구기관은  설비투자에,  대학은  R&D분야에  상대적으로  많은  투자를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2.2-9] 우주산업분야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구분

기업

연구기관

대학

전체

금액

비율

(%)

금액

비율

(%)

금액

비율

(%)

금액

비율

(%)

설비투자

130,419

51.1

3,196

13.0

175

36.5

133,790

47.8

R&D

124,473

48.8

21,353

87.0

238

49.7

146,064

52.2

기타

97

0.0

0

0.0

66

13.8

163

0.1

합계

254,989

100.0

24,549

100.0

479

100

280,017

100.0

10) KT에서 통신위성에 대한 제작 및 지구국 설비 구매 설치에 1,200억원을 투자


background image

6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7.  우주산업분야  인력현황

    2009년  기업,  연구기관,  대학에서  우주산업분야와  관련된  업무나  연구

를  담당하고  있는  인력은  2,898명으로  전년도  대비  3.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기관은  전년  대비  8.7%가  감소했으며,  기업은  3.4%가  감

소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대학은  우주산업분야  학과에서  4.0%의  인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9년  연구기관의  경우  전년도와  비교해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

원,  국립방재연구소  등  우주분야  관련  연구기관의  연구분야  축소로  인하

여  그  인원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2.2-7] 우주산업분야 연도별 인력현황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65

[표2.2-10] 우주산업분야 연도별 인력현황

(단위: 명)

구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전년 대비

증감률

기업

1,381

1,621

1,899

1,834

-3.4

연구기관

730

717

747

687

-8.7

대학

261

367

362

377

+4.0

합계

2,372

2,705

3,008

2,898

-3.8

 

우주개발  인력을  기업의  우주기기제작분야  종사인력과  연구기관,  대학의 

우주기기제작  분야  및  우주활용  분야  연구  인력을  합한  인원이라고  규정

하였을  때  2009년  우주개발인력은  2,081명으로  조사되었다.

[그림2.2-8] 11)연도별 우주개발 인력현황

11)  위성활용서비스  산업체인력을  제외한  우주개발  인력현황


background image

6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표2.2-11] 연도별 우주개발 인력현황12)

(단위: 명)

구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전년 대비

증감률

기업

488

727

1,126

1,026

-9.5

연구기관

730

717

747

687

-8.7

대학

261

367

362

377

+4.0

합계

1,479

1,811

2,235

2,081

-7.4

                               

    우주산업  참여인력의  성별  구성비는  남자가  89.5%,  여자가  10.5%로  전

년과  마찬가지로  남자의  비율이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기관별

로는  대학과  기업의  남자  비중이  높았고,  연구기관은  상대적으로  여성  인

력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2.2-12] 우주산업분야 성별 인력현황

(단위: 명)

구분

남자

여자

합계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기업체

1,651

90.0

183

10.0

1,834

100.0

연구기관

597

86.9

90

13.1

687

100.0

대학

346

91.8

31

8.2

377

100.0

합계

2,594

89.5

304

10.5

2,898

100.0

    우주산업분야  참여인력의  학력은  학사가  46.6%로  가장  많았고,  석사가 

29.6%,  박사  이상이  14.0%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별로는  연구기관이 

기업이나  대학보다는  학력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12)  위성활용서비스  산업체인력을  제외한  우주개발  인력현황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67

[표2.2-13] 우주산업분야 학력별 인력현황

(단위: 명)

기업체

연구기관

대학13)

전체

인원

비율

(%)

인원

비율

(%)

인원

비율

(%)

인원

비율

(%)

박사

64

3.5

264

38.4

79

21.0

407

14.0

석사

422

23.0

326

47.5

111

29.4

859

29.6

학사

1,075

58.6

85

12.4

187

49.6

1,347

46.6

기타

273

14.9

12

1.7

0

0

285

9.8

합계

1,834

100.0

687

100.0

377

100.0

2,898

100.0

    우주산업분야별  인력은  위성활용서비스  분야가  35.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위성체  분야가  22.9%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별로는  기업

은  위성활용서비스  분야에  44.5%로  가장  많았고,  연구기관은  위성체  분

야에  38.4%,  대학은  발사체  분야에  52.3%에  가장  많은  인력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제3절부터  제5절까지의  기관별  현황에서  분야별  인력현황은  기타학력

을  제외한  학사이상  인원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13) 교수, 박사후과정은 박사로, 박사과정은 석사로, 석사과정은 학사로 분류하였다.


background image

6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그림2.2-9] 우주산업분야 분야별 인력현황

[표2.2-14] 우주산업분야 분야별 인력현황

(단위: 명)

대분류

중분류

기업

연구기관

대학

전체

인원(비율)

인원(비율)

인원(비율)

인원(비율)

위성체

297(16.2)

267(38.9)

101(26.8)

665(22.9)

발사체

281(15.3)

151(22.0)

197(52.3)

629(21.7)

지상
장비

위성관련

299(16.3)

63(9.2)

8(2.1)

370(12.8)

발사체관련

140(7.6)

62(9.0)

11(2.9)

213(7.3)

소계

439(23.9)

125(18.2)

19(5.0)

583(20.1)

우주기기제작

1,017(55.5)

543(79.0)

317(84.1)

1,877(64.8)

위성
활용
서비스

원격탐사

171(9.3)

81(11.8)

29(7.7)

281(9.7)

위성방송통신

603(32.9)

26(3.8)

0(0.0)

629(21.7)

위성항법 시스템

43(2.3)

29(4.2)

19(5.0)

91(3.1)

우주과학

0(0.0)

8(1.2)

12(3.2)

20(0.7)

소계

817(44.5)

144(21.0)

60(15.9)

1,021(35.2)

우주활용

817(44.5)

144(21.0)

60(15.9)

1,021(35.2)

전체

1,834(100.0)

687(100.0)

377(100.0)

2,898(100.0)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69

1.  일반현황

1) 우주사업 참여년도

    2009년도  우주산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수를  보면  1990년  이전이  6개 

업체로  2000년에  19개  업체로  3배  증가하였고,  2000년  이후  우주산업 

참여  기업수는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업  참여의  지

속적인  증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초기  투자비용이나  수익  창출이  가능해 

민간기업의  참여가  비교적  용이한  활용서비스  산업의  활성화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및  연구기관의  우주산업  기술의  민간기관  이전과  더

불어  지속적인  우주분야  원천기술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그림2.3-1] 기업별 우주산업 참여년도

산업체  현황

제3절


background image

7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표2.3-1] 기업별 우주산업 참여년도

참여 연도

참여 기업

우주 산업

참여 기업 누적 합계

1990년이전

6

6

1991년

0

6

1992년

1

7

1993년

0

7

1994년

0

7

1995년

1

8

1996년

0

8

1997년

1

9

1998년

1

10

1999년

7

17

2000년

2

19

2001년

3

22

2002년

5

27

2003년

3

30

2004년

5

35

2005년

2

37

2006년

4

41

2007년

3

44

2008년

0

44

2009년

4

4814)

14)  57개  업체  중  9개  업체에서는  우주산업  진출년도를  기재하지  않음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71

2) 우주사업 참여 분야

    2009년  우주산업에  참여한  국내  업체는  총  57개  기업15)인  것으로  조

사되었고,  우주산업  참여분야로는  지상장비  분야가  26개  업체(35.6%)로 

가장  많이  참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위성활용서비스  분야

가  21개  업체(28.8%)로  많았고,  발사체  분야14개  업체(19.2%),  위성체 

분야는  12개  업체(16.4%)로  나타났다.

  2008년도에는  총  65개  기업이  우주산업에  참여했으며,  전년도의  경우 

올해와  마찬가지로  지상장비  분야에  대한  투자가  많았다.  발사체  분야의 

경우  전년도의  38.5%를  차지했지만,  올해는  19.2%로  많이  숫자가  감소

하였다.  전체적으로  2008년과  비교했을  때,  2009년의  경우  지상장비관련 

업체로  우주산업체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15) (주)경인계측시스템, (주)그리다, 네오닉스, (주)네오스펙, 단암시스템, (주)대성산업가스, (주)대아

테크, (주)대한항공, 도담시스템, (주)두시텍, 두원중공업, 디지털컴, (주)비츠로테크, (주)선도소프
트, (주)솔탑, (주)신호시스템, (주)싸이택, 쎄트렉아이, (주)씨앤에프, 에스디-디, 에스알테크놀로
지, 에이스트로닉스, (주)에이알테크놀로지, (주)에이피시스템, (주)엘아이지넥스원, (주)엠앤엠링
스,(주)엠티지,(주)우레아텍, 유니크, 이노컴, (주)이엔지정보기술, (주)일래스틱네트웍스, 전북대학
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제이엔티(주), (주)중앙항업, (주)지아이소프트, (주)카이이미지,
(주)케이티, (주)케이티엠엔지니어링, 코스테크주식회사, 티유미디어, (주)퍼스텍, (주)필트론, (주)
하이게인안테나, 하이록코리아주식회사, 한국내쇼날인스트루먼트, 한국디지털위성방송, (주)한
국항공우주산업, 한국화이바, (주)한양네비콤, 한양이엔지(주), 한진정보통신, (주)한화, 현대중공
업주식회사, (주)씨앤스페이스,

* (주)픽소니어, 삼성탈레스 주식회사는 금년 조사에서 응답거절로 우주분야와 인력에 대해서만

전년도 자료 활용


background image

7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그림2.3-2]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현황

    2009년  우주산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들의  세부  분야는  아래  [표

2.3-1]과  같으며,  (주)대한항공과  (주)한국항공우주산업은  가장  많은  우

주산업  분야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부  분야별로  보면  총 

57개  업체  중  28개  기업이  지상장비  분야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그  중 

18개  기업이  지상장비  위성관련  분야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2009년도  우주산업실태조사에서  우주활용서비스  분야의  네비게이

션  업체분석은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감사보고서를  기준

으로  네비게이션  및  GPS위성  관련  서비스  업체만을  대상으로  했으며,  분

석에  포함된  업체는  총  27개이다.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73

대분류

중분류

참여기업

위성체

(12)

시스템

(3)

(주)대한항공, (주)한국항공우주산업, (주)쎄트렉아이

위성본체

(8)

(주)네오스펙, 코스테크주식회사, (주)한화, 한국내쇼날인
스트루먼트, 두원중공업, (주)대한항공, (주)한국항공우주
산업, (주)대성산업가스

탑재체

(6)

도담시스템, (주)대한항공, (주)한국항공우주산업, (주)엠
앤엠링스, (주)쎄트렉아이, 삼성탈레스(주)

발사체

(14)

시스템

(1)

(주)대한항공

2단
(13)

(주)네오스펙, (주)한화, (주)대아테크, (주)경인계측시스
템, 한국화이바, 두원중공업, (주)대한항공, (주)퍼스텍,
(주)씨앤에프, (주)대성산업가스, (주)비츠로테크, 단암시
스템, 씨앤스페이스

상단탑재부

(4)

한국화이바, 두원중공업, 에이스트로닉스, 단암시스템

페어링

(3)

(주)한화, 한국화이바, 두원중공업

지상장비

(28)

위성관련

(18)

(주)필트론,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주)
우레아텍, (주)하이게인안테나, (주)엘아이지넥스원, (주)
엠티지, (주)에이알테크놀로지, 제이엔티(주), 한양이엔지
(주), (주)대한항공, (주)일래스틱네트웍스, (주)한국항공
우주산업, (주)엠앤엠링스, (주)이엔지정보기술, (주)에이
피시스템, 에스알테크놀로지, (주)싸이택, (주)쎄트렉아이

발사체관련

(10)

(주)신호시스템, 하이록코리아(주), 현대중공업(주), 한양
이엔지(주), (주)대한항공, (주)씨앤에프, (주)대성산업가
스, 네오닉스, 에스디-디, 유니크

위성활용서비스

(21)

원격탐사

(10)

(주)선도소프트,

(주)중앙항업,

(주)그리다,

(주)솔탑,

(주)카이이미지, (주)지아이소프트, 한진정보통신, (주)한
국항공우주산업, (주)픽소니어, 이노컴

위성방송통신

(6)

(주)하이게인안테나, (주)케이티, 디지털컴, (주)에이피시
스템,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티유미디어(주)

위성항법시스템

(6)

(주)케이티엠엔지니어링,

(주)한양네비콤,

(주)두시텍,

(주)선도소프트, (주)일래스틱네트웍스, (주)케이티

[표2.3-2]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기업


background image

7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참고] 기업체별 우주산업 참여분야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

위성활용

서비스

(주)경인계측시스템

(주)그리다

네오닉스

(주)네오스펙

단암시스템

(주)대성산업가스

(주)대아테크

(주)대한항공

도담시스템

(주)두시텍

두원중공업

디지털컴

(주)비츠로테크

(주)선도소프트

(주)솔탑

(주)신호시스템

(주)싸이택

(주)쎄트렉아이

(주)씨앤에프

에스디-디

에스알테크놀로지

에이스트로닉스

(주)에이알테크놀로지

(주)에이피시스템

(주)엘아이지넥스원

(주)엠앤엠링스

(주)엠티지

(주)우레아텍

유니크

이노컴

(계속)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75

[참고] 기업체별 우주산업 참여분야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

위성활용

서비스

(주)이엔지정보기술

(주)일래스틱네트웍스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
금형기술혁신센터

제이엔티(주)

(주)중앙항업

(주)지아이소프트

(주)카이이미지

(주)케이티

(주)케이티엠엔지니어링

코스테크주식회사

티유미디어(주)

(주)퍼스텍

(주)필트론

(주)하이게인안테나

하이록코리아주식회사

한국내쇼날인스트루먼트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주)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화이바

(주)한양네비콤

한양이엔지(주)

한진정보통신

(주)한화

현대중공업주식회사

(주)씨앤스페이스

(주)픽소니어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background image

7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그림2.3-3] 지역별 분포

3) 지역별 분포

    우주산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의  분포는  수도권(31개  기업,  54.4%)을 

중심으로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  충청지역은  한국항공우

주연구원이  소재해  있는  지역

으로  대덕  연구단지를  중심으

로  28.1%(16개  기업)의  기업

이  분포해  있고,  영남권에 

14.0%(8개  기업),  호남권에 

3.5%(2개  기업)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2.3-3] 지역별 분포

(단위: 개)

수도권

강원권

영남권

호남권

충청권

기업수

31

0

8

2

16

비율(%)

54.4

0.0

14.0

3.5

28.1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77

4) 기업전체 매출 규모별 분포

    기업  전체  매출액16)  규모별  우주산업  참여기업의  약  45.0%(26개  기

업)가  100억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전체  매출이  100억~500억 

미만인  업체는  21.1%(12개  기업)가  있었고,  1조  이상인  업체도  8.8%(5

개  기업)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3-4] 기업전체 매출 규모별 분포

[표2.3-4] 기업전체 매출 규모별 분포

(단위: 개)

10억

미만

10억~

100억미만

100억~

500억미만

500억~

1조미만

1조

이상

NA

기업수

4

22

12

13

5

1

비율(%)

7.0

38.6

21.1

22.7

8.8

1.8

16) 우주산업 분야 뿐 아니라 다른 산업분야를 포함한 기업 전체 매출


background image

7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5) 기업전체 종업원수별 분포

    우주산업  참여기업의  전체  종업원17)  규모별  분포는  100인  미만의  업체

가  56.1%(32개  기업)로  대부분으로  소규모  업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100인~300인  미만  기업은  15.8%(9개  기업),  300인~500인  미만은 

10.5%(6개  기업),  500인~1,000인  미만은  5.3%(3개  기업),  1,000인  이

상  기업은  12.3%(7개  기업)로  조사  되었다.

  전년도와  비교했을  때,  2008년과  마찬가지로  100인  미만의  중소업체의 

우주산업  참여가  전체  업체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아직  우주산

업의  참여가  대규모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림2.3-5] 기업전체 종업원수별 분포

[표2.3-5] 기업전체 종업원수별 분포

(단위: 개)

100인

미만

100인~

300인 미만

300인~

500인 미만

500인~

1,000인 미만

1,000인

이상

기업수

32

9

6

3

7

비율(%)

56.1

15.8

10.5

5.3

12.3

17) 우주산업 분야와 타 산업분야의 종업원을 모두 포함한 총 종업원수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79

2.  우주산업  분야  매출현황

1) 연도별 매출현황

    2009년  우주분야  참여기업의  총  매출액은  약  8,630억  규모로  전년도와 

비슷한  규모로  조사되었다.  우주활용서비스  분야의  네비게이션  업체  매출

(7,220억원)을  합산할  경우  우주산업  분야의  기업매출은  약  1조  6천  8백

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그림2.3-6] 우주산업 분야 연도별 매출현황

[표2.3-6] 우주산업 분야 연도별 매출현황

(단위: 백만원)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전년 대비

증감률

매출액
(네비게이션 포함)18)

700,055

887,255

864,355

(1,605,448)

 862,983

(1,584,818)

-0.2%

(-1.28%)

18) 네비게이션 관련 매출은 2007년부터 추가 하였음


background image

8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  우주산업  분야  매출  규모별로는  10억  미만인  기업이 

57.8%(33개  기업)로  나타났고,  1,000억원  이상인  업체는  7.0%(4개  기

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9년  조사에서  100억  이상인  업체는  8개  기

업으로  전년도  10개  기업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3-7] 우주산업 분야 매출 규모별 기업분포

[표2.3-7] 우주산업 분야 매출 규모별 기업분포

(단위: 개)

10억 미만

10억~

100억 미만

100억~

1000억 미만

1,000억 이상

NA

기업수

33

9

4

4

7

비율(%)

57.8

15.9

7.0

7.0

12.3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81

2) 분야별 매출현황

    국내  기업의  우주산업분야의  총  매출  중  우주활용  분야의  매출이  차지

하는  597비중이  79.0%로  우주기기제작(21.0%)  분야보다  큰  시장을  형

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주활용  분야의  매출은  위성방송통신  사

업의  활성화에  따라  6,641억원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전체  매출은 

6,820억원으로  전년도와  비교해  9.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를  제작하는  우주기기제작  분야의  매출은  나로호 

발사와  관련된  프로젝트가  완료됨에  따라  관련  산업체들의  기기  관련  매출

이  감소하여,  1,810억원으로  전년도  보다  2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3-8] 우주산업분야별 매출현황

(단위: 백만원)


background image

8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표2.3-8] 우주산업분야별 매출현황

(단위: 백만원)

구분

2007년

2008년

2009년

전년 대비

증감률

위성체

42,156

45,051

21,668

-51.9%

발사체

14,570

21,034

7,336

-65.1%

지상장비

70,098

174,829

152,247

-12.9%

우주기기제작
(비율%)

126,824

(14.3)

240,914

(27.9)

181,251

(21.0)

-24.8%

우주활용서비스

760,431

623,441

681,732

+9.3%

우주활용
(비율%)

760,431

(85.7)

623,441

(72,1)

681,732

(79.0)

+9.3%

합계
(비중%)

887,255

(100.0)

864,355

(100.0)

862,983

(100.0)

-0.2%

    우주기기제작  분야에서는  지상장비  분야의  매출이  1,520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위성체  217억원,  발사체  73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  분야별로는  위성활용서비스의  위성방송통신분야의  매출이  6,641억

원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세부  분야가  수출보

다는  내수에  의한  매출이지만,  위성체  시스템과  탑재체의  경우는  수출이 

오히려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83

대분류

중분류

내수

수출

합계

위성체

시스템

519

8,000

8,519

위성본체

9,830

-

9,830

탑재체

1,319

2,000

3,319

소계

11,668

10,000

21,668

발사체

시스템

1,239

-

1,239

2단

5,684

-

5,684

상단 탑재부

-

-

-

페어링

413

-

413

소계

7,336

-

7,336

지상장비

위성관련

121,844

940

122,784

발사체관련

29,463

-

29,463

소계

151,307

940

152,247

우주기기제작

170,311

10,940

181,251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9,755

5,124

14,879

위성방송통신

664,092

875

664,967

위성항법 시스템
(네비게이션 포함)

1,871

(723,706)

15

1,886

(723,721)

소계
(네비게이션 포함)

675,718

(1,397,553)

6,014

681,732

(1,403,567)

우주활용
(네비게이션 포함)

675,718

(1,397,553)

6,014

681,732

(1,403,567)

전체
(네비게이션 포함)

846,029

(1,567,864)

16,954

862,983

(1,584,818)

[표2.3-9]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매출현황

(단위: 백만원)


background image

8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3) 거래대상별 내수현황

    2009년  우주산업  분야  국내  매출은  8,460억원으로  전체  우주산업  분야 

매출의  98.0%에  해당되는  규모이며,  전년도  8,511억원  보다  0.6%  감소

하였다.  금년  조사에  응답한  우주산업  관련  기업의  76.9%가  민간  대상으

로  매출이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공기관은  21.1%,  정부기관은 

2.0%로  정부기관  대상의  매출은  줄고  공공기관의  매출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주산업  분야  중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를  제작하는  우주기

기제작  분야는  공공기관에  대한  의존도가  절대적이다.  반면,  위성활용  서

비스와  같은  간접  우주산업  분야는  위성방송통신을  중심으로  민간기업이 

주도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2.3-9] 거래 대상별 내수현황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85

[표2.3-10] 내수 수요기관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정부기관

공공기관

민간기업

내수 합계

위성체

시스템

-

519

-

519

위성본체

-

9,756

74

9,830

탑재체

-

1,319

-

1,319

소계

-

11,594

74

11,668

발사체

시스템

-

1,239

-

1,239

2단

-

5,677

7

5,684

상단 탑재부

-

-

-

-

페어링

-

413

-

413

소계

-

7,329

7

7,336

지상장비

위성관련

4,450

121,489

805

126,744

발사체관련

-

29,076

387

29,463

소계

4,450

150,565

1,192

156,207

우주기기제작

4,450

169,488

1,273

175,221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100

3,347

6,308

9,755

위성방송통신

12,000

5,000

642,192

659,192

위성항법 시스템

 

881

990

1,871

소계

12,100

9,228

649,490

670,818

우주활용

12,100

9,228

649,490

670,818

전체(비율)

16,550

(2.0%)

178,716

(21.1%)

650,763

(76.9%)

846,029

(100.0%)


background image

8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3.  수출입현황

    2009년  우주산업  분야  수출액은  약  170억원으로  전년도  약  133억원보

다  37억원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출품으로는  인공위성  시

스템,  전자광학탑재체,  안테나  등이  있었다.  금년  수입액은  92억원으로 

전년도  150억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약  77억원의  무역수지  흑자를 

낸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2.3-11] 연도별 수출입현황

(단위: 백만원)

구분

수출

수입

무역수지

2008년

2009년

2008년

2009년

2008년

2009년

금액

13,285

16,954

14,962

9,233

- 1,677

+ 7,721

    2009년  해외로  수출한  기업들의  대상국가는  중동국가가  131억원  규모

로  가장  컸고,  그  다음으로  유럽  국가들이  38억원으로  큰  규모를  차지하

고  있다.  전년도와  비교했을  때  중동국가의  수출액이  전년도에  비해  약 

32억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주요  수출품목으로는  중동국

가를  대상으로  인공위성시스템,  위성영상판매,  다목적실용위성  2호  등이 

있었으며,  그  외에도  위성  관제용  밑  통신용  안테나,  전자광합  탑재체  등

이  있다.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87

[표2.3-12] 국가별 수출현황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유럽

아시아

중동

수출 합계

위성체

시스템

-

-

8,000

8,000

위성본체

-

-

-

-

탑재체

2,000

-

-

2,000

소계

2,000

-

8,000

10,000

발사체

시스템

-

-

-

-

2단

-

-

-

-

상단 탑재부

-

-

-

-

페어링

-

-

-

-

소계

-

-

-

-

지상장비

위성관련

940

-

-

940

발사체관련

-

-

-

-

소계

940

-

-

940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

-

5,124

5,124

위성방송통신

875

-

-

875

위성항법 시스템

-

15

-

15

소계

875

15

5,124

6,014

전체

3,815

15

13,124

16,954


background image

8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대분류

중분류

미국

러시아

유럽

아시아

기타

수입

합계

위성체

시스템

-

-

-

-

-

-

위성본체

753

-

139

-

-

892

탑재체

508

-

24

-

-

532

소계

1,261

-

163

-

-

1,424

발사체

시스템

-

-

-

-

-

-

2단

238

-

-

-

-

238

상단 탑재부

-

-

-

-

-

-

페어링

40

-

-

-

-

40

소계

278

-

-

-

-

278

지상장비

위성관련

3,818

-

468

-

100

4,386

발사체관련

-

-

45

-

-

45

소계

3,818

-

513

-

100

4,431

위성활용
서비스

원격탐사

300

-

-

-

-

300

위성방송통신

2,750

-

-

-

-

2,750

위성항법 시스템

50

-

-

-

-

50

소계

3,100

-

-

-

-

3,100

전체

8,457

-

676

-

100

9,233

    수입대상  국가는  작년도  수입  1위  국가였던  미국에서  수입한  금액이 

85억원으로  2009년에도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주요  수입품목으로는  위성통신용  안테나  부품,  위성관제  지상장

비,  경통구조체  고강성  복합재료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2.3-13] 국가별 수입현황

(단위: 백만원)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89

4.  투자현황

    2009년  우주산업  관련  기업의  투자규모는  2,550억원으로  전년도  257

억원보다  10배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분야는  설비투자가 

1,3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R&D  투자비용은  1,240억원,  기타  투자는  1

억원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에  비해  우주산업  관련  기업의  전

체  투자규모액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KT의  통신위성제작  및  지구국 

설비구매에  대한  투자액이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3-10] 우주산업분야 투자현황

[표2.3-14] 우주산업분야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설비투자

R&D

기타

합계

투자금액

130,419

124,473

97

254,989


background image

9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5.  인력현황

    2009년  조사응답  업체의  우주산업  관련  분야  인력은  1,834명으로  전년

도  1,899명보다  3.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주산업  관련  기업의  인

력현황이  감소한  이유는  현대중공업이  2008년  프로젝트  종료로  인해  약 

140여명의  생산직  인력이  타  산업분야로  이동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그림2.3-11] 우주산업 참여 인력현황

   

[표2.3-15] 우주산업 참여 인력현황

(단위: 명)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전년 대비

증감률

종업원수

1,381

1,621

1,899

1,834

-3.4%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91

1) 성별/학력별 인력현황

    성별  인력현황은  전체  1,834명  중  남자가  90.0%(1,651명),  여자가 

10.0%(183명)로 남자의  비율이 절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학

사가  58.6%(1,075명)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석사는  23.0%(422

명),  박사는  3.5%(64명)로  나타났다.  2009년  우주산업  참여인력의  성별, 

학력별  분포는  전년도와  비슷한  구성을  보이고  있다.

[그림2.3-12] 성별/학력별 인력현황

[표2.3-16] 성별/학력별 인력현황

(단위: 명)

구분

남자

여자

전체(비율%)

박사

59

5

64(3.5)

석사

389

33

422(23.0)

학사

965

110

1,075(58.6)

기타

238

35

273(14.9)

전체

(비율%)

1,651
(90.0)

183

(10.0)

1,834

(100.0)


background image

9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2) 직능별 인력현황

    직능별  인력현황은  연구직이  818명으로  전체  인력의  44.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리직 28.9%(530명), 생산직 19.7%(361명), 영업

직  6.8%(125명)로  나타났다.  직능별  학력분포를  보면  연구직은  석사  이상

이  비중이  다른  직능보다  높게  나타났고,  영업직과  관리직은  학사의  비중

이,  생산직은  학사  이하  학력자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3-13] 우주산업 직능별 인력현황

[표2.3-17] 우주산업 직능별 인력현황

(단위: 명)

연구직

영업직

관리직

생산직

인원

818

125

530

361

비율(%)

44.6

6.8

28.9

19.7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93

3) 분야별 인력 현황 및 향후 필요인력 현황

    우주산업  관련  기업의  학사  이상  인력  1,834명  중  우주산업  분야별  인

력분포는  위성활용서비스  분야에  817명으로  가장  많았고,  지상장비  분야

에  439명,  위성체  분야  297명,  발사체  분야  281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향후  5년간  신규  채용계획은  현재  인원의  약  23%수준인  426명인  것으로 

응답되었다.

[표2.3-18] 분야별 인력 현황 및 향후 필요인력 현황

(단위: 명)

대분류

중분류

2009년

현재 인력

(A)

향후 5년간

신규 채용 인력

(B)

B/A

위성체

297

58

0.26

발사체

281

104

0.37

지상장비

위성관련

299

54

0.18

발사체관련

140

55

0.39

소계

439

109

0.25

우주기기제작

1,017

271

0.297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171

50

0.29

위성방송통신

603

65

0.11

위성항법 시스템

43

20

0.47

소계

817

155

0.19

우주활용

817

155

0.19

전체

1,834

426

0.23


background image

9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1.  일반현황

1) 우주산업 참여 분야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결과  총  12개  연구기관19)이  우주산업  분야에 

매출이  있거나  관련  인력을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연구기

관들이  참여하고  있는  우주산업분야는  위성활용서비스  분야가  총  9곳으

로  나타나  가장  높은  참여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위성체  및  지상장비  각 

5곳,  발사체  분야  1곳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연구기관의  우주산업  분야  참여를  보면,  전체적으로  전년도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위성활용서비스  분야의  참여가  가

장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4-1]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현황

19) 한국해양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인공위성연구센터, 국가기상위성

센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토지리정보원, 국립산림과
학원, 한국기계연구원 외 전문연구기관 1곳

연구기관  현황

제4절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95

    국내  우주관련  연구기관별로  참여하고  있는  세부  분야는  아래  [표

2.4-1]과  같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가장  많은  분야

의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많은  분야의  연

구를  참여하는  기관으로는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천문연구원  등이  있다.

[표2.4-1]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 연구기관

대분류

중분류

참여 연구기관

위성체
(5)

시스템
(2)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본체
(2)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탑재체
(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외 전문연구기관 1곳

발사체
(1)

시스템
(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단
(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상단탑재부
(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페어링
(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장비
(6)

위성관련
(5)

인공위성연구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한국천문연구원, 한국
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관련
(2)

한국기계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활용서비스
(9)

원격탐사
(4)

국립산림과학원, 한국해양연구원,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방송통신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항법시스템
(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과학
(4)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background image

9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참고] 연구기관별 우주연구 분야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

위성활용

서비스

국립산림과학원

전문연구기관

국토지리정보원

국가기상위성센터(기상청)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97

[그림2.4-2] 지역별 분포

2) 지역별 분포

    2009년  우주산업  분야의  연구기관의  지역분포는  총  12개  연구기관  중 

8곳이 

대전, 

충청지역 

(66.7%)  에  위치하였으며, 

나머지  4곳이  서울,  경기  수

도권에(33.3%)  소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주산업 

참여  기업과  마찬가지로  수도

권과  충청권에  편중되어  있

다.

 

[표2.4-2] 우주분야 참여 연구기관 지역별 분포

(단위: 개)

수도권

강원권

영남권

호남권

충청권

기관수

4

0

0

0

8

비율(%)

33.3

0.0

0.0

0.0

66.7


background image

9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3) 예산규모별 분포

      2009년  연구기관의  예산액  규모별  분포도를  보면,  1천  억원  이상의 

예산을  가지고  있는  기관이  5개  기관으로  가장  많았고,  나머지  기관의  예

산은  1천  억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4-3] 예산규모별 분포

[표2.4-3] 예산규모별 분포

(단위: 개)

100억미만

100억~

500억미만

500억~

1천억 미만

1천억 이상

NA

기관수

2

1

1

5

3

비율(%)

16.6

8.3

8.3

41.8

25.0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99

4) 인력 규모별 분포

      전체  인력  규모별  분포는  100인  이상  300인  미만의  인력  규모를  가진 

기관이  4곳(33.4%)으로  가장  많았으며,  100인  미만의  연구기관이  3곳

(25.0%),  1,000인  이상의  연구기관이  2곳(16.7%)으로  나타났다. 

[그림2.4-4] 인력 규모별 분포

[표2.4-4] 인력 규모별 분포

(단위: 개)

100인

미만

100인~

300인미만

300인~

500인미만

500인~

1,000인미만

1,000인

이상

NA

기관수

3

4

1

1

2

1

비율(%)

25.0

33.4

8.3

8.3

16.7

8.3


background image

10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2.  우주분야  연구비현황

1) 연도별 연구비현황

      2009년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관련  총  예산은  1,650억원으로  2008년에 

비해  약  600억원정도  감소하였다.  금년  조사는  2008년과  마찬가지로  기업

체로  할당된  예산은  제외하고  조사되었다.  연구기관의  총  연구비  감소는  정

부의  우주분야  예산액  감소가  가장  큰  원인으로  판단된다.  기관별로는  항공

우주연구원의  예산이  전년보다  약  300억원정도  감소해  가장  큰  폭으로  감

소하였으며,  20)그  외  연구원의  경우  2009년  프로젝트  후반기에  접어들어 

해외시제비가  초기  보다  대폭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2.4-5] 우주분야 연도별 연구비 현황

20)  해외시제비  할당  예산이  전체  프로젝트  비용의  약  20%였으나,  2009년에는  5%로  감소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01

[표2.4-5] 우주분야 연도별 연구비 현황

(단위: 백만원)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전년 대비

증감률

연구비

(404,369)

(367,302)

224,340

(435,296)

164,601*

(405,601)21)

-26.6%

* 기업체로 할당된 예산 제외

2) 우주분야별 연구비 현황

      2009년  우주분야별  연구비는  위성체  분야가  1,180억원으로  가장  많았

고,  위성활용서비스  분야가  230억원이며,  지상장비  분야  140억원,  발사체 

분야는  가장  연구비  규모가  작은  90억원으로  나타났다. 

[그림2.4-6] 우주분야별 연구비 현황

21) 기업체에 할당되기 이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예산을 반영한 추정치


background image

10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세부  분야별  연구비는  위성체의  탑재체  관련이  41.5%(680억원)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위성체  시스템관련  분야  23.2%(380억원),  지상장비 

위성관련  분야  8.5%(14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표2.4-6] 우주 세부 분야별 연구비 현황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총 예산

비중(%)

위성체

시스템

38,179

23.19

위성본체

11,587

7.03

탑재체

68,288

41.49

소계

118,054

71.72

발사체

시스템

2,408

1.46

2단

4,880

2.96

상단 탑재부

1,203

0.73

페어링

351

0.21

소계

8,842

5.37

지상장비

위성관련

14,023

8.52

발사체관련

263

0.16

소계

14,286

8.68

우주기기제작

141,182

85.77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7,595

4.61

위성방송통신

2,700

1.64

위성항법 시스템

3,580

2.18

우주과학

9,544

5.80

소계

23,419

14.23

우주활용

23,419

14.23

전체

164,601

100.00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03

대분류

중분류

정부기관

공공기관

민간기관

총 예산

위성체

시스템

2,376

35,803

-

38,179

위성본체

263

11,264

60

11,587

탑재체

15,320

52,108

860

68,288

소계

17,959

99,175

920

118,054

발사체

시스템

-

2,408

-

2,408

2단

-

4,880

-

4,880

상단 탑재부

-

1,203

-

1,203

페어링

-

351

-

351

소계

-

8,842

-

8842

지상장비

위성관련

4,400

9,623

-

14,023

발사체관련

-

263

-

263

소계

4,400

9,886

-

14,286

우주기기제작

22,359

117,903

920

141,182

위성활용
서비스

원격탐사

3,470

4,125

-

7,595

위성방송통신

2,400

-

300

2,700

위성항법 시스템

2,940

640

-

3,580

우주과학

3,731

5,813

-

9,544

소계

12,541

10,578

300

23,419

우주활용

12,541

10,578

300

23,419

전체

34,900

128,481

1,220

164,601

3) 예산출처별 연구비 현황

    연구기관의  예산출처별  연구비는  대부분  정부기관과  공공기관에  의존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연구비  1,650억원  중  12억만이  민간의  예산

이고  나머지는  정부기관  350억원,  공공기관  1,280억인  것으로  조사되었

다.

[표2.4-7] 예산출처별 연구비 현황

(단위: 백만원)


background image

1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3.  수출입현황

      2009년  연구기관의  총  수출액은  60억원  규모(유럽)로  전년도  12억원 

대비  50억원  정도  증가하였다.  국내  우주산업  분야의  연구에  참여  중인 

연구기관  중  수출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출

품목은  다목적실용위성  2호  영상이었다. 

    연구기관의  2009년  수입액은  510억원으로  2008년  980억원보다  감소하

였고,  유럽  및  아시아의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2.4-8] 국가별 수입현황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미국

러시아

유럽

아시아

중동

기타

수입
합계

위성체

시스템

85

-

90

28

-

-

203

위성본체

92

-

1,018

28

-

-

1,137

탑재체

542

-

23,975

19,966

-

-

44,483

소계

718

-

25,083

20,022

-

-

45,823

발사체

시스템

125

-

21

-

-

-

146

2단

14

-

-

-

-

-

14

상단 탑재부

-

-

-

-

-

-

-

페어링

1

-

-

-

-

-

1

소계

140

-

21

-

-

-

161

지상
장비

위성관련

-

-

-

-

-

-

-

발사체관련

106

40

2,515

-

1,232

21

3,913

소계

106

40

2,515

-

1,232

21

3,913

우주기기제작

964

40

27,618

20,022

1,232

21

49,897

위성
활용
서비스

원격탐사

32

-

-

-

-

-

32

위성방송통신

-

-

-

-

-

-

-

위성항법 시스템

-

-

-

-

-

-

-

우주과학

-

-

-

106

-

176

282

기타

37

-

23

947

-

-

1,007

소계

69

-

23

1,053

-

176

1,321

우주활용

69

-

23

1053

-

176

1,321

전체

1,033

40

27,641

21,075

1,232

197

51,217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05

4.  투자현황

      2009년  우주분야  관련  투자규모는  245억원  인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연구개발비가  213억원으로  위성통신  탑재체나  관제시스템에  대한  연구개

발  투자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설비투자비가 

32억원으로  관측장비  제작,  진입도로  및  관측동설계  및  해양위성센터  구

축사업  등에  대한  투자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4-7] 우주분야 투자현황

[표2.4-9] 우주분야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설비투자

R&D

기타

합계

투자금액

3,196

21,353

-

24,549


background image

1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5.  인력현황

    2009년  국내  우주분야  연구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연구인력은  총  687

명으로  전년도  747명보다  8.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와  비교

해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립방재연구소  등  우주분야  관련  연구기관

의  연구분야  축소로  인하여  그  인원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2.4-8] 우주분야 참여 인력현황

[표2.4-10] 우주분야 참여 인력현황

(단위:  명)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전년 대비

증감률

인력수

730

717

747

687

-8.0%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07

1) 성별/학력별 인력현황

    성별  인력현황은  전체의  86.9%(597명)가  남자로  나타나  기업체와  마찬

가지로  남자인력  중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비율은  전년도와  비슷한 

수치이다.  학력별  분포는  전체  인력의  38.4%(264명)가  박사인  것으로  나

타났고,  석사도  47.5%(326명)인  것으로  나타나,  기업체보다  전반적인  학

력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인력으로  봤을  때  14.1%정도만  학

사  이하의  학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4-9] 성별/학력별 인력현황

[표2.4-11] 성별/학력별 인력현황

(단위: 명)

구분

남자

여자

전체(비율)

박사

249

15

264(38.4%)

석사

280

46

326(47.5%)

학사

63

22

85(12.4%)

기타

5

7

12(1.7%)

전체

(비율)

597

(86.9%)

90

(13.1%)

687(100.0%)


background image

1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2) 직능별 인력현황

 

    2009년  우주분야  연구기관의  직능별  인력현황은  연구·기술직이  651명

으로  전체의  94.8%를  차지하고  있으며,  관리직이  2.8%(19명),  기타가 

2.4%(17명)로  나타났다.

[그림2.4-10] 직능별 인력현황

[표2.4-12] 직능별 인력현황

(단위: 명)

연구·기술직

관리직

기타

전체

인원

651

19

17

687

비율(%)

94.8

2.8

2.4

100.0

3) 분야별 인력 현황 및 향후 필요인력 현황

    2009년  우주산업  분야별  연구기관  인력은  위성체  관련  분야가  267명으

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발사체  분야가  151명으로  집

계  되었다.  우주관련  연구기관  전체의  인력중  약  62%(427명)에  해당하는 

인력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소속으로  조사되었다.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09

    향후  5년간  신규채용  인력은  현재  인원의  약  50%  수준인  339명으로 

조사되었고,  우주기기제작  분야에  대해  가장  많은  인원(229명)과  위성활

용서비스  분야에  110명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표2.4-13] 분야별 인력 현황 및 향후 필요인력 현황

(단위:  명)

대분류

중분류

2008년

현재 인력

(A)

향후 5년간

신규 채용 인력

(B)

B/A

위성체

267

114

0.43

발사체

151

71

0.47

지상장비

위성관련

63

17

0.26

발사체관련

62

27

0.44

소계

125

44

0.35

우주기기제작

543

229

0.42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81

26

0.32

위성방송통신

26

14

0.54

위성항법 시스템

29

43

1.48

우주과학

8

27

3.38

소계

144

110

0.76

우주활용

144

110

0.76

전체

687

339

0.49


background image

1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1.  일반현황

1) 우주분야 참여 현황

    2009년도  우주산업실태조사  실시  결과  2008년  참여  대학  중  강원대학

교  지구물리학과,  부산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충남대학교  천문우주과학

과  3개  학과에서  2009년  참여  실적이  없다고  응답했으며,  공주대학교  대

기과학과가  2009년  조사에  추가로  응답하여  총  16개  대학  17개  학부  및 

학과22)에서  우주분야  담당  연구를  진행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우주분야별

로는  위성체  분야  8개  학과,  발사체  분야  8개  학과,  위성활용  서비스  분야 

7개  학과,  지상장비  분야  3개  학과가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의  위성체  및  발사체분야의  참여는  2008년과  비슷하지만,  지상장비 

및  위성활용서비스  분야의  참여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2)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경상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인하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공주대학교 

대기과학과,  광주과학기술원  기전공학과,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조선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충남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경일대학교  위성정보공학과,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한국폴리
텍항공대학  항공기계과,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학과,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전북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대학  현황

제5절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11

[그림2.5-1] 우주분야별 참여현황

    대학별로  참여하고  있는  세부  우주분야는  아래  [표2.  5-1]와  같다. 

2008년도와  마찬가지로  대학에서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는  연구분야는 

발사체  2단  분야(전체  대학의  우주산업  연구분야  중  25%,  총  7개학과)

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위성체의  위성본체(5개  학과)인  것으로  조

사되었다.


background image

11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표2.5-1] 우주 세부 분야별 참여 대학

대분류

중분류

참여 기관

위성체
(8)

시스템
(2)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충남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위성본체
(5)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전북
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충남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학과

탑재체
(3)

광주과학기술원 기전공학과,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발사체
(8)

시스템
(3)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인하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한국과학기술
원 항공우주학과

2단
(7)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경상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서
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조선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충남대학교 항
공우주공학과,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학과, 한국폴리텍 항공대학 항
공기계과

상단탑재부
(1)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지상
장비
(3)

위성관련
(2)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발사체관련
(1)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위성활용
서비스
(7)

원격탐사
(3)

경일대학교 위성정보공학과,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위성항법시
스템
(2)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우주과학
(3)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공주대학교 대기과학과, 한국과
학기술원 항공우주학과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13

[그림2.5-2] 지역별 분포

2) 지역별 분포

    2009년  우주분야  연구수행  대학별  소재지분포를  보면,  총  16개  대학 

17개학과  중  수도권과  영남권

이  각각  5개(학과  기준으로  6

개)로  나타났으며,  호남권  및 

충청권  각각  3곳으로  나타났

다.

[표2.5-2] 지역별 분포

(단위: 개)

수도권

강원권

영남권

호남권

충청권

대학수(학과)

5(6)

-

5

3

3

비율(%)

31.3

-

31.3

18.7

18.7


background image

11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2.  우주분야  연구비  현황

1) 연도별 연구비 현황

 

    2009년  우주분야  참여  대학의  총  연구비는  약  28억원으로  전년도  94

억보다  70.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나로호  제작  및  발사  프로

젝트가  2008년  완료됨에  따라,  기업체를  제외한  연구기관  및  대학의  예

산  규모가  전년도에  비해  급격히  줄어들었고,  새로운  프로젝트  수주가  과

거에  비해  원활하지  않아,  전년도에  대학  중  예산  규모가  가장  큰  서울대

학교를  비롯한  대부분의  대학에서  우주분야  연구비  규모가  축소되었기  때

문이다. 

 

[그림2.5-3] 우주분야 연도별 연구비 현황

[표2.5-3] 우주분야 연도별 연구비 현황

(단위: 백만원)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전년 대비

증감률

연구비

11,718

8,441

9,418

2,830

-70.2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15

2) 분야별 연구비 현황

    2009년  우주분야의  대학  연구비  약  28.3억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

지하는  분야는  발사체  분야로  약  18.6억원(65.7%)으로  조사되었으며,  위

성체  분야는  약  5.4억원(19.1%)으로  조사되었다.  그  밖에  위성활용서비

스  분야는  약  4.3억원(15.2%)으로  나타났다.

[그림2.5-4] 분야별 연구비 현황

3) 기관별 연구비 현황

    2009년  우주분야의  대학  연구비  28억원  중  약  13억원이  정부기관으로

부터,  약  15억원이  공공기관으로부터  조달된  것으로,  연구기관과  마찬가

지로  우주분야  참여  대학의  연구비는  정부기관과  공공기관으로부터  나오

고  있다. 


background image

1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표2.5-4]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국토해양부,  교육과학기술부  등의  정부

기관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을  비롯한  공공기관으로

부터  대학의  연구비가  집중되고  있으며,  민간기관과의  협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주  산업의  전반적  활성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현재의  구조에

서  벗어나,  산업체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표2.5-4] 연구비 출처별 연구비 현황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정부

기관

공공

기관

민간

기관

총 예산

위성체

시스템

18

30

-

48

위성본체

158

60

-

218

탑재체

178

100

-

278

소계

354

190

-

544

발사체

시스템

178

200

-

378

2단

636

638

-

1,274

상단 탑재부

149

60

-

209

페어링

-

-

-

-

소계

963

898

-

1,861

지상장비

위성관련

-

-

-

-

발사체관련

-

-

-

-

소계

-

-

-

-

우주기기제작

1,317

1,088

-

2,405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

95

-

95

위성방송통신

-

-

-

-

위성항법 시스템

-

300

-

300

우주과학

-

30

-

30

소계

-

425

-

425

우주활용

-

425

-

425

전체

1,317

1,513

-

2,830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17

3.  수출입현황

    2009년도에는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에서  영국으로부터  GPS  시뮬레

이터를  1억5천4백만원(2008년  7,700만원)에  도입하였으며,  미국으로부터 

에어베어링,  공기압축기  및  임베디드  컴퓨터를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에  기계항공공학부에서는  공동개발  목적으로  러시아로부터  액체로

켓엔진  가스발생기에  삽입되는  모형분사기  및  연소기를  3,800만원에  도

입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2. 5-5] 우주분야 수입현황

(단위: 백만원)

미국

유럽

전체

수입액

101

196

297

4.  투자현황

    2009년  대학의  우주산업  연구와  관련  투자규모는  4억7,900만원으로 

2008년(3억2,000만원)에  비해  투자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적으로는  R&D분야에  대한  투자규모가  2억3,800만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background image

1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그림2.5-5] 우주분야 투자현황

[표2.5-6] 우주분야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설비투자

R&D

기타

합계

투자금액

175

238

66

479

5.  인력현황

1) 우주관련 전공학과 학생현황

    국내  대학의  우주관련  전공학과의  총  재학생수는  2,826명으로  남자가 

2,283명  여자가  543명으로  조사되었다.  학력별  분포도를  살펴보면,  전체 

학생의  12.5%(353명)이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2008년  통계자료(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12.2%/344명)와  비슷한  수치이

며,  현재  석사과정인  학생은  전체  학생의  16%(462명)로  나타났다.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19

[그림2.5-6] 성별/학력별 학과학생 현황

[표2.5-7] 성별/학력별 학과학생 현황23)

(단위: 명)

구분

남자

여자

전체

인원수

비율(%)

인원수

비율(%)

인원수

비율(%)

교수

125

5.5

3

0.6

128

4.5

박사/박사후과정

203

8.9

22

4.1

225

8.0

석사과정

377

16.5

85

15.7

462

16.3

학부과정

1,578

69.1

433

79.7

2,011

71.2

전체
(비율%)24)

2,283

(80.8)

100.0

543

(19.2)

100.0

2,826

(100.0)

100.0

23) 대학별 우주관련 학과에 현재 등록되어 있는 구분(교수, 박사/박사후과정/석사/학부) 별 총인구

24) 우주관련 전공학과의 성별 구성비율


background image

12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2) 2009년 졸업인원 및 우주산업 취업현황

    2010년  2월  기준으로  우주관련  국내  대학의  졸업생수는  366명으로  조

사되었고,  그  중  37.7%인  138명이  우주항공분야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

다.  박사는  16명  중  15명이  관련분야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나  고학력자 

일수록  관련분야  취업률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표2.5-8] 졸업 및 취업현황

(단위: 명)

구분

 

졸업생수

취업생수

 

 

 

취업률(%)

(A)

(B)

정부기관

공공기관

민간기업

(B/A)

박사

16

15

2

6

7

93.8

석사

89

34

3

8

23

38.2

학부생

261

89

3

20

66

34.1

전체

366

138

8

34

96

37.7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21

3) 우주분야 연구참여 학생현황

    국내  대학의  우주관련  전공학과의  인원  중에서  우주관련  연구에  참여하

는  석사  이상의  우주관련  전공학위를  가진  인력을  국내  대학의  우주분야 

인력으로  정의했을  때,  2009년  국내  대학의  우주분야  인력은  전년  대비 

4.1%  증가한  377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2.5-7] 우주분야 연구참여 인력현황

[표2.5-9] 우주분야 연구참여 인력현황

(단위: 명)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전년 대비

증감률

인력수

261

367

362

377

+4.1%


background image

12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4) 우주 세부 분야별 연구 참여인력 현황

 

    2009년  국내  대학의  우주분야  연구  인력의  분야별  참여현황을  보면, 

발사체분야가  197명(52.3%)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위성체 

26.8%(101명), 위성활용서비스 분야 15.9%(60), 지상장비 분야 5.0%(19

명)으로  조사되었다.

[표2.5-10] 우주 세부 분야별 연구 참여인력 현황

(단위: 명)

대분류

중분류

2009년

현재 인력

비중(%)

위성체

시스템

6

1.6

위성본체

72

19.1

탑재체

23

6.1

소계

101

26.8

발사체

시스템

39

10.3

2단

81

21.5

상단탑재부

77

20.4

페어링

-

0.0

소계

197

52.3

지상장비

위성관련

8

2.1

발사체관련

11

2.9

소계

19

5.0

우주기기제작

317

84.1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29

7.7

위성방송통신

-

0.0

위성항법 시스템

19

5.0

우주과학

12

3.2

소계

60

15.9

우주활용

60

15.9

전체

377

100.0


background image

부록1

우주산업  참여기관


background image

1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  경인계측시스템(주)

http://www.kiflow.co.kr

기관명

(영문명)

경인계측시스템(주)

(Kyongin  Instruments  &  System  Co.)

참여분야

발사체

설립년도

2001년  10월  10일

대표자

전무송

연락처

Tel:02-839-4788/Fax:02-839-4789

주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1동  295-9

○  (주)그리다

http://www.grida.kr

기관명

(영문명)

그리다(주)

(GRIDA,  Inc.)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2000년  11월  1일

대표자

한병윤,  신상희

연락처

Tel:042-330-0405/Fax:042-330-0410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관평동  1359

한신에스메카  230호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25

○  네오닉스

http://www.neonics.co.kr

기관명

(영문명)

네오닉스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1995년  12월  11일

대표자

김상식

연락처

Tel:041-567-9262/Fax:041-567-9260

주소

충청남도  천안시  사북구  직산읍  모시리  289

사공단  11-2블럭

○  (주)네오스펙

기관명

(영문명)

(주)네오스펙

(NEOSPEC)

참여분야

위성체,  발사체

설립년도

2009년  6월  4일

대표자

강상구

연락처

Tel:041-584-9262/Fax:041-567-9260

주소

충청남도  천안시  직산읍  모시리  289번지

4공단  17-2블럭

○  단암시스템즈(주)

http://www.danam.co.kr

기관명

(영문명)

단암시스템즈(주)

(Danamsystems)

참여분야

발사체

설립년도

2001년  10월  1일

대표자

김창수

연락처

Tel:031-420-4300/Fax:031-420-4308

주소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2동  메가밸리

799번지  701호


background image

12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  대성산업가스(주)

http://www.gastopia.co.kr

기관명

(영문명)

대성산업가스(주)

(Daesung  Industrial  Gases  co.,  LTD)

참여분야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

설립년도

1979년  2월  19일

대표자

김영대/김형태

연락처

Tel:02-721-0800/Fax:02-721-0839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  155-2번지

○  (주)대아테크

http://www.daech.com

기관명

(영문명)

(주)대아테크

(DAEAH  Tech.)

참여분야

발사체

설립년도

2002년  5월  1일

대표자

우희석

연락처

Tel:041-581-0123/Fax:041-588-9993

주소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  송덕리  185-1

○  (주)대한항공

http://kr.koreanair.com

기관명

(영문명)

(주)대한항공

(Korean  Air)

참여분야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

설립년도

1969년  3월  1일

대표자

이종희

연락처

Tel:02-2656–7114/Fax:02-751-7347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동  1370번지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27

○  도담시스템스(주)

http://www.dodaam.com

기관명

(영문명)

도담시스템스(주)

(Dodaam)

참여분야

위성체

설립년도

2000년  6월  10일

대표자

장명광

연락처

Tel:042-337-0100/Fax:042-337-0150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전민동  461-31번지

○  (주)두시텍

http://www.dusi.co.kr

기관명

(영문명)

(주)두시텍

(DUSITECH  CO.,  LTD.)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98년  9월  24일

대표자

정진호

연락처

Tel:042-280-1400/Fax:042-280-1459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탑립동  812번지

○  두원중공업(주)

http://www.doowonhi.com

기관명

(영문명)

두원중공업㈜

(Doowon  Heavy  Industrial  co.,  LTD)

참여분야

위성체,  발사체

설립년도

1979년  3월  15일

대표자

김종완

연락처

Tel:055-851-2121/Fax:055-851-2011

주소

경상남도  사천시  축동면  구호리  650번지


background image

1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  디지털컴

http://digitalcoms.net

기관명

(영문명)

디지털컴

(Digitalcom)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2000년  05월  01일

대표자

정용호

연락처

Tel:032-624-1980/Fax:032-624-1986

주소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삼정동  36-1번지

부천테크노파크  쌍용3차  303동  801호

○  (주)비츠로테크

http://www.vitzrotech.com/

기관명

(영문명)

(주)비츠로테크

(VITZRO  TECH  Co.,  Ltd.  )

참여분야

발사체

설립년도

1955년  7월    1일 

대표자

유병언,  이병호

연락처

Tel:031-489-2000/Fax:031-492-6097

주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605-2번지

(반월공단  19블럭  1호)

○  선도소프트

http://www.sundosoft.com

기관명

(영문명)

선도소프트

(Sundosoft.inc)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87년  5월  7일

대표자

윤재준

연락처

Tel:02-2025-6500/Fax:02-2025-6511

주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  426-5번지

월드메리드앙  2차  15층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29

○  (주)솔탑

http://www.soletop.com

기관명

(영문명)

(주)솔탑

(SOLETOP  Inc.)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99년  2월  1일

대표자

사공영보

연락처

Tel:042-867-7440/Fax:042-867-7445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  3-1번지

엑스포과학공원  관리동  3층

○  신호시스템(주)

http://www.shinhosystem.com/

기관명

(영문명)

신호시스템(주)

(Shinho  System  Co.,  LTD.)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1988년  10월  20일

대표자

경원현

연락처

Tel:02-2019-5037/Fax:02-2109-5035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3동  197-22

에이스테크노타워  5차  1001호

○  (주)싸이택

http://www.syteccorp.co.kr

기관명

(영문명)

(주)싸이택

(sytec  co.)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2003년  12월  15일

대표자

강성진

연락처

Tel:031-777-8031/Fax:031-777-8034

주소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5442-1번지 

크란츠테크노  910호


background image

13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  (주)쎄트렉아이

http://www.satreci.com

기관명

(영문명)

(주)쎄트렉아이

(Satrec  Intiative)

참여분야

위성체,  지상장비

설립년도

1999년  12월

대표자

박동성

연락처

Tel:042-365-7500/Fax:042-365-7549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전민동  461-26

○  (주)씨앤에프

http://www.cnf21.com

기관명

(영문명)

(주)씨앤에프

(CNF.  Co.  Ltd.)

참여분야

발사체,  지상장비

설립년도

2005년  7월  22일

대표자

박종현

연락처

Tel:063-211-3562/Fax:063-214-3565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  2가  817

(재)전주기계탄소기술원  404호

○  에스디-디 

http://www.sd-d.co.kr

기관명

(영문명)

에스디-디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2009년  8월  1일

대표자

박경희 

연락처

Tel:042-824-9872/Fax:042-824-9873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봉명동  동아벤처타워 

824호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31

○  에스알  테크놀로지

기관명

(영문명)

에스알  테크놀로지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2002년  8월  14일

대표자

최원석

연락처

Tel:  042-477-7465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관평동  1359

한신에스메카  435호

○  에이스트로닉스(주)

http://www.acetronix.co.kr

기관명

(영문명)

에이스트로닉스(주)

(Acetronix)

참여분야

발사체

설립년도

NA

대표자

장영술

연락처

Tel:02-420-2343/Fax:02-420-2757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222-14번지

에이스하이엔드타워2차  903호

○  (주)에이알테크놀로지

http://www.i-art.co.kr

기관명

(영문명)

(주)에이알테크놀로지

(Advanced  Radio  Technology)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2000년  4월  21일

대표자

박광량

연락처

Tel:042-863-6030/Fax:042-863-3680

주소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  949  신협중앙회

12층


background image

13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  에이피시스템(주)

http://www.apsystems.co.kr

기관명

(영문명)

에이피시스템(주)

(APSYSTEMS)

참여분야

지상장비,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96년  9월  6일

대표자

정기로

연락처

Tel:031-379-2700/Fax:031-379-2800

주소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중리  605번지

○  엘아이지넥스원(주)

http://www.lignex1.com

기관명

(영문명)

엘아이지넥스원(주)

(LIGNEX1  Co.,Ltd.)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1976년  2월  24일

대표자

구본상,  이효구

연락처

Tel:02-2033-0430/Fax:02-2033-0608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838번지

푸르덴셜타워  11,12층

○  엠앤엠링스(주)

http://www.mnmlynx.com

기관명

(영문명)

엠앤엠링스(주)

(M&M  Lynx  corp.)

참여분야

위성체,  지상장비

설립년도

2004년  3월  17일

대표자

이승배  외  1명

연락처

Tel:031-282-7540/Fax:031-282-7541

주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  302-1번지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33

○  주식회사  엠티지

http://www.mtginc.co.kr

기관명

(영문명)

주식회사  엠티지

(MTG  Ltd.)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2001년  12월  19일

대표자

김동석

연락처

Tel:041-751-0633/Fax:041-751–0634

주소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용진리  276번지

○  (주)우레아텍

http://www.ureatac.co.kr

기관명

(영문명)

(주)우레아텍

(UREATac.,  CO.LTD)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2002년  5월  31일

대표자

노춘수

연락처

Tel:055-261-9110/Fax:055-261-9188

주소

경상남도  마산시  봉암동  368-8번지

○  (주)유니크

http://www.unick.co.kr

기관명

(영문명)

(주)유니크

(UNICK  Corp.)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1971년  7월  1일

대표자

안정구

연락처

Tel:055-340-2000/Fax:055-345-2013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죽곡리  10-1번지


background image

13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  이노컴

http://www.innov.co.kr

기관명

(영문명)

이노컴

(INNOCOM  CO,  .LTD.)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83년  2월  15일

대표자

이창순

연락처

Tel:02-2664-2631/Fax:02-2664-2630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등촌3동  684-2

우리벤처타운  501

○  이엔지정보기술(주)

http://www.engit.com

기관명

(영문명)

이엔지정보기술(주)

(Earth&  Geography  Information  Technology)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1999년  9월  1일

대표자

주영은

연락처

Tel:042-345-2246/Fax:042-345-2248

주소

대전광역시  대덕구  중리동  143-5  E&G 

Bldg.

○  (주)일래스틱네트웍스

http://www.elastic.co.kr

기관명

(영문명)

(주)일래스틱네트웍스

(ELASTICNETWORKS  CO.,  LTD)

참여분야

지상장비,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2003년  3월  26일

대표자

손명호

연락처

Tel:02-2205-9100/Fax:02-2205-9111

주소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2가  280-13번지

삼환디지털벤처타워  203호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35

○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http://www.camtic.or.kr

기관명

(영문명)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CAMTIC)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2000년  04월  19일

대표자

서거석

연락처

Tel:063-219-0360/Fax:063-219-0351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  2가  750-1

○  제이엔티(주)

기관명

(영문명)

제이엔티(주)

(JNT.CO.,LTD.)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2006년  12월  15일

대표자

전계일

연락처

Tel:042-933-2624/Fax:042-933-2625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용산동  553-2번지

○  중앙항업(주)

http://www.caas.co.kr

기관명

(영문명)

중앙항업(주)

(Chung-Ang  Aerosurvey  Co.,  LTD.)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71년  12월  23일

대표자

김상성

연락처

Tel:02-730-0018/Fax:02-732-0999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교남동  18번지


background image

13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  (주)지아이소프트

http://www.gisoft.co.kr

기관명

(영문명)

(주)지아이소프트

(GIsoft  CO.,  LTD.)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2004년  6월  2일

대표자

윤미옥

연락처

Tel:02-711-3521/Fax:02-711-3525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125-3

동원빌딩  6층

○  (주)카이이미지

http://www.kaiimage.co.kr

기관명

(영문명)

(주)카이이미지

(KAI  Image,  Inc.)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2005년  2월  22일

대표자

김정호

연락처

Tel:031-707-9910/Fax:031-707-9974

주소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333-7번지

펜테리움  IT타워  A동  1006호

○  주식회사  케이티

http://www.kt.com

기관명

(영문명)

주식회사  케이티

(KT  CORPORATION)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82년  01월  01일

대표자

이석채

연락처

Tel:031-727-0010/Fax:031-777-8034

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206번지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37

○  케이티엠엔지니어링(주)

http://www.ktme.com

기관명

(영문명)

케이티엠엔지니어링(주)

(KTM  Engineering  Inc.)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96년  9월  7일

대표자

송영천

연락처

Tel:031-776-2200/Fax:031-776-3119

주소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190-1번지

SK  Techno  Park,  biz동  1416호

○  코스테크주식회사

http://www.kostech.net/

기관명

(영문명)

코스테크주식회사

(KOSTECH,  Inc.)

참여분야

위성체

설립년도

1998년  1월  3일

대표자

민경원

연락처

Tel:02-578-2100/Fax:02-578-6093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262-2

코스테크  빌딩

○  티유미디어(주)

http://www.tu4u.com

기관명

(영문명)

티유미디어(주)

(TU  Media  Corp.)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2003년  12월  3일

대표자

박병근

연락처

Tel:02-6060‐3114/Fax:02-6060‐3199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5가  263번지

SK남산그린빌딩  12,13층


background image

13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  퍼스텍(주)

http://www.firsteccom.co.kr

기관명

(영문명)

퍼스텍(주)

(FIRSTEC  CO.,  LTD)

참여분야

발사체

설립년도

1976년  9월  25일

대표자

전용우

연락처

Tel:055-282-4131/Fax:055-284-7141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내동  456-8번지 

○  (주)필트론

http://www.fltrn.com/

기관명

(영문명)

(주)필트론

(Filtron)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2001년  09월  05일

대표자

유인섭

연락처

Tel:031-285-6522/Fax:031-285-6548

주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고매동  247번지

○  (주)하이게인안테나

http://www.highgain.co.kr

기관명

(영문명)

(주)하이게인안테나

(High  Gain  Antenna  Co.,  Ltd.)

참여분야

지상장비,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70년  10월  1일

대표자

이돈신

연락처

Tel:031-490-6600/Fax:031-491-3679

주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  772번지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39

○  하이록코리아(주)

http://www.hy-lok.com

기관명

(영문명)

하이록코리아(주)

(Hy-Lok  Corporation)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1978년  4월  1일

대표자

문영훈,  문휴건

연락처

Tel:051-970-0800/Fax:051-831-7920

주소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1467-1번지

○  한국네쇼날인스트루먼트

http://www.ni.com/korea

기관명

(영문명)

한국네쇼날인스트루먼트

(National  Instruments)

참여분야

위성체

설립년도

1994년 

대표자

마이클  주엽  김

연락처

Tel:02-3451-3400/Fax:02-3451-3451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69번지

대화빌딩

○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http://www.skylife.co.kr

기관명

(영문명)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Korea  Digital  Satellite  Broadcosting)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2001년  1월  12일

대표자

이몽룡

연락처

Tel:02-2003-3000/Fax:02-2003-3265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918-1번지

KT목동사옥    6,7층


background image

14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http://www.koreaaero.com

기관명

(영문명)

한국항공우주산업(주)
(Korea  Aerospace  Industries,  Ltd.)

참여분야

위성체,  지상장비,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99년  10월  1일

대표자

김홍경

연락처

Tel:055-851-1000/Fax:055-851-1004

주소

경상남도  사천시  사남면  유천리  802번지

○  한국화이바(주)

http://www.fiber-x.com

기관명

(영문명)

한국화이바(주)

(HANKUK    FIBER  CO.,  LTD)

참여분야

발사체

설립년도

1972년  4월  21일

대표자

조용준

연락처

Tel:055-359-2354/Fax:055-351-2187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  연금리  379

한국화이바  제  2  공장

○  한양네비콤(주)

http://www.hanyangnav.co.kr/

기관명

(영문명)

한양네비콤(주)

(HanyangNavicom)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2006년  3월  29일

대표자

이상문

연락처

Tel:042-363-9000/Fax:042-363-9001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관평동  713번지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41

○  한양이엔지(주)

http://www.hanyangeng.co.kr

기관명

(영문명)

한양이엔지(주)

(Hanyangeng)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1982년  10월  17일

대표자

김형욱

연락처

Tel:031-204-0141/Fax:031-204-0382

주소

경기도  화성시  반월동  104번지

○  한진정보통신

http://www.hist.co.kr

기관명

(영문명)

한진정보통신

(Hanjin 

Information 

Systems 

Telecommunication)

참여분야

위성활용서비스

설립년도

1989년  11월  4일

대표자

김성수

연락처

Tel:02-2166-7114/Fax:02-2166-7299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  499-1번지

○  (주)한화

http://www.hanwha.co.kr

기관명

(영문명)

(주)한화

(Hanwha  Corporation)

참여분야

위성체,  발사체

설립년도

1952년  10월  28일

대표자

남영선

연락처

Tel:02-729-3301/Fax:02-752-3311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장교동  1번지


background image

14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  현대중공업주식회사

http://www.hhi.co.kr

기관명

(영문명)

현대중공업주식회사

(Hyundai  Heavy  Industries  Co.,Ltd)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1973년12월    28일

대표자

민계식/이재성

연락처

Tel:052-202-2114/Fax:052-202-3550

주소

울산광역시  동구  전하동  1번지

○  (주)씨앤스페이스

http://www.candspace.com

기관명

(영문명)

(주)씨앤스페이스

(C&Space  Inc)

참여분야

발사체

설립년도

2004년  11월  14일

대표자

김경호/정상헌

연락처

Tel:031-338-6730/Fax:031-338-6755

주소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모현면  동림리  91번지

○  (주)픽소니어

http://www.pixoneer.co.kr

기관명

(영문명)

(주)픽소니어
(Pixoneer  Geomatics,  com)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92년  3월  1일

대표자

윤종식

연락처

Tel:042-862-8100/Fax:042-862-9239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  3-1  관리동  2층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43

○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http://kor.samsungthales.com

기관명

(영문명)

삼성탈레스주식회사

(Samsung  Thales  co.)

참여분야

위성체

설립년도

2000년  2월  1일

대표자

김인수

연락처

Tel:02-3458-1114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647-9번지

한국지식재산센터  7-8층


background image

14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  국립산림과학원

http://www.kfri.go.kr

기관명

(영문명)

국립산림과학원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22년  8월

대표자

최완용

연락처

Tel:02-961-2522/Fax:02-961-2599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  2동  회기로  57

○  국토지리정보원

http://www.ngi.go.kr

기관명

(영문명)

국토지리정보원

National  Geographical  Information  Institute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74년  11월  1일

대표자

김경수

연락처

Tel:031-210-2600/Fax:031-210-2644

주소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원천동  111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45

○  국가기상위성센터  (기상청)

http://nmsc.kma.go.kr

기관명

(영문명)

국가기상위성센터

(National  Meteorological  Satellite  Center)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2009년

대표자

서애숙 

연락처

Tel:043-717-0249

주소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광혜원리

국가기상위성센터 

○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http://rio.snu.ac.kr

기관명

(영문명)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Research Institute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86년  12월  24일

대표자

김경렬

연락처

Tel:02-880-6521/Fax:02-887-8821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대학로  599

○  인공위성연구센터

http://satrec.kaist.ac.kr

기관명

(영문명)

인공위성연구센터

(Satellite  Technology  Research  Center)

참여분야

위성체,  지상장비,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89년  8월

대표자

명로훈

연락처

Tel:042-350-8611/Fax:042-861-0064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335  KAIST


background image

14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기계연구원

http://www.kimm.re.kr

기관명

(영문명)

한국기계연구원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Materials)

참여분야

지상장비

설립년도

1976년  12월  30일

대표자

이상천

연락처

Tel:042-861-7401/Fax:042-868-7824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동  10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ttp://www.etri.re.kr

기관명

(영문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참여분야

위성체,  지상장비,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76년  12월  30일

대표자

최문기

연락처

Tel:042-860-6114/Fax:042-861-1033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동  138번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http://www.kigam.re.kr

기관명

(영문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76년  5월

대표자

장호완

연락처

Tel:042-868-3114/Fax:042-868-3411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92번지


background image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47

○  한국천문연구원

http://www.kasi.re.kr

기관명

(영문명)

한국천문연구원

(Korea 

Astronomy 

Space 

Science 

Institute)

참여분야

위성체,  지상장비,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74년  9월  13일

대표자

박석재

연락처

Tel:042-865-3332/Fax:042-865-5610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http://www.kari.re.kr

기관명

(영문명)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참여분야

위성체,  발사체,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89년  10월  10일

대표자

이주진

연락처

Tel:042-860-2114/Fax:042-860-2004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15

○  한국해양연구원

http://www.kordi.re.kr

기관명

(영문명)

한국해양연구원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참여분야

위성활용  서비스

설립년도

1973년  10월  30일

대표자

강정극

연락처

Tel:031-400-6000/Fax:031-400-6069

주소

경기도  안산시  안산우체국  사서함  29


background image

14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2010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발행일  :  2010년  10월  30일 

발행처  :  교육과학기술부

연구기관: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관

                  (주)알앤티파트너스  수행

전    화  :  (042)860-2128

F  A  X  :  (042)860-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