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RO와 인도의 우주개발 체제
1) 국가 우주개발 조직
수상
INSAT 조정위원회
우주위원회
(ISC)
우주성
(DOS)
계획위원회
국가자원관리시스템
물리학연구소
(PRS)
국립리모트센싱기관
(NRSA)
국립 중간권/성층권
대류권 레이더시설
(NMRF)
국가자원관리시스템
(NNRMS)
안트릭스 사
Antrix Corp
지역리모트센싱
서비스센터
(RRSSC)
인도우주연구기관
(ISRO)
<그림 1> 인도 국가 우주개발 조직
2) 국가 주요 우주개발 기관 - 인도우주연구기관(ISRO)
(1) 조직
(가) 조직도
인도우주연구기관
(ISRO)
액체추진
시스템센터
(LPSC)
ISRO 관성시스템
유닛(IISU)
INSAT종합관제시설
(MCF)
ISRO
추적·관제
네트워크
(ISTRAC)
SHAR발사센터
(SHAR CENTRE)
ISRO위성센터
(ISAC)
뷔크람사라바이
우주센터
(VSSC)
통신개발교육유닛
(DECU)
우주응용센터
(SAC)
<그림 2> ISRO 조직
(2) 주요센터
구분
연구내용
비고
비크람사라바이 우주 센터
(VSSC)
․발사로켓 및 추진시스템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개발
액체추진 시스템센터
(LPSC)
․추진시스템 개발거점이며, 액체엔진의 대규모시험시
설이 부속되어있음
ISROD위성센터(ISAC)
․과학, 통신 및 지구관측위성 설계·제작·시험의 주력
센터
ISRO 관성시스템 유닛
(IISU)
․위성과 발사로켓에 관성센서 및 관성 시스템을 공급
스리하리코타 발사장
(SHAR 발사센터)
시험·조립을 하는 기술센터, 발사관제, 위성추적 및 원
격측정
ISRO텔레메트리·추적·코멘드
네트워크(ISTRAC)
지상국 네트워크를 관리
우주이용센터(SAC)
실용위성의 기술개발 센터
Insat 종합관제시설
(MCF)
Insat 위성의 운용
<표 1> 인도 우주센터
<그림 3> 인도 우주법 체계
가) ISRO Governance
(1) ISRO의 법적 구조
(가) 주요 프로그램의 취소는 군용 원격 통신에 영향을 끼침
(3) 프랑스는 모든 UN 우주 동맹국이며 국제 우주 합의를 위한 참여자이지만, 국
제 우주법을 개발하지 않음
(4) 인도 우주법 체계
ISRO
Virkram Sarabhai
우주센터
Shar 센터
위성센터
우주응용센터
관성체계 부서
주조종시설
액체연료시스템 센터
원격측정과 명령
네트워크
개발 & 교육
<그림 4> ISRO 조직도
(2) ISRO의 역사
(5) 인도는 우주개발 활동을 1960대 초에 시작하여 1980년에 자립기술을 토대로
우주에 대한 첫 번째 발사를 성공
(6) 인도의 우주 프로그램은 원자력 부서의 관리 하에 1962년에 시작
(7) 인도의 우주연구기관인 ISRO가 1969년에 설립
(8) 우주정책의 개발 및 ISRO를 감독하는 우주청이 1972년에 설립
(9) 러시아의 지원 하에서 인도는 우주개발 능력 확보
(10) 1980년에 첫 번째 발사 성공으로 우주에 대한 자주적인 접근이 가능해짐
(11) 2009년에 첫 번째 인도 우주선이 달 궤도에 진입
(3) ISRO의 조직구조
(12) ISRO는 13,000명의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고기관에 의해 조직화
(13) ISRO 조직도
(14) Virkram Sarabhai 우주센터
(가) 위성 및 발사체와 관측 로켓
(15) 위성센터
(가) 부품과 조립을 포함한 위성제작
(16) Shar 센터
(가) 발사대 시설, 사회기반시설 및 시험시설 제공
수상
우주위원회
우주부서
ISRO
<그림 5> 인도 우주분야 Governance 및 각 부문의 역할
(17) 액체연료시스템 센터
(가) 발사체, 위성을 위한 액체 및 극저온 연료시스템 개발
(18) 우주응용센터
(가) 통신과 기상학적, 원격감지위성을 위한 탑재장비 개발
(19) 원격측정과 명령 네트워크
(가) 지구 저궤도 위성지원
(20) 주조종시설
(가) 지구정지궤도위성을 관찰하고 통제
(21) 관성체계 부서
(가) 관성감지기와 시스템에 관련된 위성요소들의 개발
(22) 개발과 교육
(가) 재능을 이끌어내기 위한 인도의 인적자원 프로그램과 이들 활동을 관리
(4) ISRO의 관리방식
(23) 우주부분은 우주청과 우주위원회에 의해 관리되며, 국무총리에게 직접 보고
(24) 인도 우주분야 Governance 및 각 부문의 역할
(25) 우주위원회
(가) 인도 우주정책과 가이드 제정
(나) 다른나라의 위원회와 연관된 우주활동을 관리
① INSAT 조직위원회
② 천연자원관리시스템 기획위원회
③ 우주과학자문위원회
(26) 우주부서
(가) 인도 민간인 우주프로그램 활동을 정의
(나) 국가 우주센터와 실험실을 조직하고 이를 관리
(다) 위성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가공 및 배분하는 National Remote
Sensing Agency를 관리
<그림 6> ISRO의 목적 및 역할
(27) ISRO
(가) 인도 우주프로그램 실행
(나) 인도 우주시설 관리
(다) 발사, 위성 시스템 개발
(5) ISRO의 권한
(28) ISRO는 민간 우주개발을 위해 관리되며, 인도의 경제적 이윤을 최대화하는
것이 목표
(29) ISRO의 목적 및 역할
<그림 7> ISRO 예산 분석
나) 우주개발 예산
(1) ISRO의 예산
(30) ISRO의 예산은 Center 별로 할당되며, 자금의 75%가 발사체 개발 및 지구관
측 프로그램에 투자되는 것으로 추정
(31) ISRO 예산 분석
<그림 8> 인도 우주산업의 역량
다) 우주개발 프로그램
(1) ISRO의 우주개발 능력
(32) 종합적으로 인도는 독립적인 우주 개발자가 되기 위해 우주개발을 위한 가치
사슬상의 모든 영역의 능력을 개발
(33) 인도 우주산업의 역량
(2) ISRO의 주요 우주개발 프로그램
(34) ISRO의 주요 우주프로그램은 지구관측, 과학적 목적과 우주기술의 지속적 개
발에 있음
(35) ISRO 우주개발 프로그램
프로그램
설
명
우주로의 접근
발사 능력 향상: 발사체 및 관련장비
유인 우주 비행 기술의 개발
지구 관측
인도의 재해 관리를 모니터링, e.g. 홍수, 지진 등등
지도제작과 도시계획을 위한 위성 이미지 획득
자원 관리를 위한 데이터 수집, e.g. 부지 사용, 낚시터
과학적 임무
위성기반의 패턴분석을 통한 일기예보를 위해 과학적 모델의 개발
우주연구를 위한 천문학적 지식 및 기술의 습득
달 궤도 위성 및 착륙 능력을 갖춘 위성의 개발
원격통신과 네비게이션
지역적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개발
Ka band에서 원거리 통신개발을 위한 실험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과 원격 진료를 위한 역량과 서비스의 개발
<표 2> ISRO 우주개발 프로그램
라) 산업화 전략
(1) ISRO의 지적재산권 모델
(36) ISRO는 연구개발 활동을 통해 모든 지적재산권의 소유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기술의 전파가 가능토록 관리하고 있음
(37) ISRO 지적재산권 이전모델
(가) ISRO는 민간위탁연구를 통해 생산된 지적재산권을 소유
(나) ISRO는 개발된 모든 우주기술의 상업적 개발을 독려
(다) 기술이전그룹(TTG)는 ISRO의 기술이전 부문을 책임지는 컨설팅 기업
(라) 2008년에 289개의 우주기술을 모두 사용화
(38) 기술이전그룹 (TTG)
(가) 미션
① 인도 우주활동의 사회경제적 수익을 최대화
② 모든 부문에서의 기술응용을 위한 ISRO가 소유한 지적재산권의 상업적 사용을
가능케함
(나) 역할
① 정부와 민간기업에 기술적 조언을 제공
② ISRO의 지적재산권의 이전과 관련된 부문을 관리
③ 라이센스의 가격 및 협상과 관련된 용어의 정의
④ 우주기술의 Spin-off를 지원
⑤ ISRO의 장비 및 우주기술의 상업적 사용을 관리
가. 우주정책
1) 국가 우주개발 주요 정책
(39) 인도의 우주계획은 1962년 인도우주연구위원회(INCOSPAR)의 설치에 의해
개시되어, 1969년 인도우주연구기관(ISRO)이, 1972년에는 그 상부기관으로
우주성(DOS)이 창립되었음
(40) 1968년에 최초의 위성발사용 로켓(SLV : Satellite Launch Vehicle)의 개발에
착수, 1980년에 인공위성발사 능력을 획득한 일곱 번째 국가가 되었음
(41) 인도의 우주계획은 경제개발을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위성 발사용
로켓, 통신위성, 지구관측위성(기상위성을 포함)의 자주기술에 의한 제조 및
발사능력의 확립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이에 비해, 우주과학, 첨단우주기술
의 개발, 유인활동(有人活動)에 대한 관심은 낮음
(42) 최종적으로는 통신·지구관측의 분야의 위성개발부터 발사까지 모두를 자력기
술로 이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43) 군사전용 우주 프로그램을 소유하고 있을 가능성은 낮음. 군사전문 정찰 및
통신위성은 개발하지 않고, 민수용 위성에 양자의 능력을 모두 포함시킬 가능
성이 높음
나. 우주프로그램 예산
1) 인력 및 예산
(44) 최근 예산은 FY2008가 약350억 루피(7억 6천만 달러), FY2009-2010은 약
496억 루피(약10억8천만 달러)로 증가되었음. 우주예산 내역의 배분을 보면
2008년 기준으로 우주기술(발사체 및 위성) 개발에 71%인 248억루피(5.4억
불), 우주응용 40억루피(0.9억불), 우주과학 27억루피(0.6억불) 및 Insat 운용
24억루피(0.5억불) 등에 예산이 투입되었음. 현재 직원수는 16,000여명임
(’09년 기준)
2) 2009년 우주 부문의 투자액: $9억 달러
(45) 우주 활동에 대한 정부 할당액은 1990년부터 점차 증가해 2009년에는 445억
9,000만 루피(US$9억 600만 달러)에 달했음. 이러한 자금 지원액은 놀랄 만
한 수준이며, 인도 정부가 국가 우주 프로그램과 우주에 대한 국가의 야망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는 것임. 2004~2009년 CAGR는 12%
였는데, 2009~2010회계연도의 예산은 전년보다 27% 증가한 수치에 해당함.
11차 계획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전 계획에서는 INR1,330억 루피를 요구
했던 데 비해 5년간 3,975억 루피(US$79억 5,000만 달러)에 달하는 투자액을
요구했음. 하지만 실제 할당액은 더 낮을 것임. 계획의 처음 3년(2007~2009년)
동안은 1,124억 8,000만 루피가 할당되었음. 과학/탐사 및 유인 우주 비행 부문의
투자액은 최근 몇 년간 급격하게 증가했음
(46) 발사체 개발 작업에는 2009년 ISRO의 예산 중에서 52%가 투입되었음. 기술
및 원격 통신 부문에 각각 우주국 전체 예산의 16%와 10%가 투입돼 그 뒤를
잇고 있음
현재 루피화
(단위: 백만)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CAGR
(2004~2009)
총액
25,400
25,750
29,970
32,900
35,900
44,590
12%
일반 예산
745
1,172
1,830
781
1,92
950
5%
위성 통신
4,258
2,931
4,732
5,781
2,412
4,542
1%
위성 항법
0
100
2
940
2,000
2,700
-
지구 관측
2,636
2,954
2,429
2,356
2,173
2,935
2%
우주 과학
1,394
166
1,507
1,904
1,803
1,937
7%
개발
60
1,427
1,156
1,312
880
900
72%
기술
3,671
4,624
4,763
4,384
5,797
7,067
14%
인류의 우주 비행
0
0
0
40
420
500
-
발사체
12,636
13,376
13,551
15,403
18,424
23,060
13%
<표 3> 민간 우주 프로그램 지출액
현재 미화 달러
(단위: 백만)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총액
561
610
662
790
808
906
US$로 환산한 INR
0.02
0.02
0.02
0.02
0.02
0.02
<표 4> 환율
(47) 민간 우주 프로그램 지출액(2004~2009)
출처: 우주국
<그림 10> 적용 분야별 ISRO 예산(2009)
(48) 우주 프로그램에 대한 정부 지출액(1990~2009)
<그림 9> 우주 프로그램에 대한 정부 지출액(1990~2009)
(49) 적용 분야별 ISRO 예산(2009) - 총액: INR445억 9,000만 루피
다.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
<그림 11> ISRO 미션 수행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