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국립우주연구센터(CNES)
(1)
CNES 조직 개요
(1) 1962년에 설치되어, 프랑스의 우주활동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2) CNES설립에 관한 법률(Loi n°61-1382 du 19 décembre 1961 instituant un centre
national d'études spatiales)에 의거하여 1961년 설립.
(3) 총 2,418명 근무(엔지니어 1,800명, 여성인력 35%)
(가) 파 리 : 202명
(나) 에브리 : 238명
(다) 기아나 : 268명
(라) 뚤루즈 : 1695명
(4) 주요 임무
(가) 우주에 대한 접근, 우주의 민간 활용, 지속가능한 발전, 국방안보 연구, 과학과 기술연구
(5) 주요시설
(가) 뚤르즈 우주센터
① 프랑스 남부에 설치된 CNES의 필드센터
② 위성시험설비, 위성운용센터(추적관제), 연구개발부문 등
③ 위성시험설비는 CNES가 주주인 인터스페이스社가 운용
(나) 기아나 우주센터
① 1964년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에 건설
② 저위도(북위5˚)에 위치하여 정지위성발사에 가장 적합함
③ 1968년 4월 9일 발사체(Veronique) 첫 발사
④ CNES(소유), Arianespace社, ESA에 의해 공동운영
⑤ 2008년 말 Ariane 총 186회 발사
⑥ Soyouz(러시아/프랑스)Vega(이탈리아/ESA) 2009년 말 발사예정
(다) 에브리 발사체 센터
① 1974년 건설
② 발사체 Ariane 개발
③ 발사체 Vega 1단로켓 개발 책임
④ 발사체 Soyouz 발사대 시공 책임
CNES 조직도
국가감사
청 장
국방팀
회계국장
보안관
회계국
인사국
정책․전략
․프로그램
․평가․
국제협력국
감사국
홍보․교육
․공무국
재무국
정보
시스템국
똘루즈
센터국
발사체국
기아나
우주센터국
구매․
대외수익․
법무국
<그림 1> CNES 조직도
(2)
CNES Governance
(가) CNES의 법적 구성
(6) 프랑스는 모든 UN 우주 동맹국이며 국제 우주 합의를 위한 참여자로써 국가 우주법을
지속적으로 개발
(7) 프랑스의 합법적 우주법 체계
<그림 2> 프랑스의 합법적 우주법 체계
CNES President
앙보안부서 주대표
계획, 전략, 프로그램, 지식
경영부
인적자원,
노사 관계와 소통부
품질검사
판매, 구매와 법무국
Toulouse 우주 센터
외부통상, 교육, 홍보 팀
발사대와 Evry우주센
터
재무부
Guiana 우주센터
정보 시스템
<그림 3> CNES 조직 구조
(나) CNES 역사
(8) 프랑스는 우주개발을 1960년대 초반에 시작하여 1965년에 자립적으로 우주발사체를 발사
(9) 세계 6번째로 자립적인 발사기술을 토대로 첫 번째 발사체인 Asterix를 1965년에 발사
(10) ESA의 Arian 로켓을 개발, 생산하고 작동시키는 세계 최초의 회사인 Arianspace가
1980년에 설립
(11) 서유럽의 최초 유주인인 프랑스 우주비행사가 1982년 6월 러시아 우주정거장 Salyut를
방문
(다) CNES의 조직 구조
(12) CNES는 4개의 최고 기관 내부에 2500명의 사람이 있음.
(13) CNES 조직 구조
(14) Centre Focus
(가) Toulouse 우주 센터는 1700명의 직원이 있고, 궤도 위치파악과 기구에 대한 전문지식
을 통해 전체 우주 체계(위성)를 관리할 인원을 공급하고 있음.
(나) Evry우주센터는 250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고, 현재(Ariane, Vega)와 미래형 발사체
를 개발하는데 특화되어있음.
(다) Guiana 우주 센터(CSG)엔 300명의 직원이 있고 Ariana, Soyuz와 Vega 발사체를 작
동시키는 유럽의 우주공항임.
(라) CNES는 국제무대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기술적인 능력 또한 갖추고 있음.
(라) CNES의 관리방식
(15) 정책은 2단계의 관리 구조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CNES의 자회사를 통해 실행되어왔음.
(16) 프랑스 우주분야 Governance
<그림 4> 프랑스 우주분야 Governance
(마) CNES 권한
(17) CNES는 프랑스 우주정책을 수정하고 이끌어 왔으며, 유럽의 우주 프로그램의 선도적인
역할을 하였음.
(18) CNES 권한
(가) CNES의 임무는 정부에 의해 결정된 우주정책의 실현 및 관리를 목표로 함.
(나) CNES 내부의 팀 및 국가적, 국제적 동료를 기반으로, 과학과 산업에 있어서 유럽 우
주 프로그램의 실현에 선도적인 공헌을 하는 것임.
(19) CNES 원칙
(가) 정부의 의사결정에 따른
우주 프로그램의 구현
(나) 산업적 맥락에서 우주 프로그램을 설계, 관리하고 지휘함
(다) 프랑스 우주산업의 노하우를 발전시킴
(라) 과학 단체의 연구 프로그램 통합
(바) CNES의 출자회사
(20) CNES가 출자하고 있는 기업을 통한 활동은 프랑스우주개발의 특징 중 하나.
(21) 발사서비스나 리모트 센싱 등에서의 상업화를 촉구함과 동시에, CNES가 대주주가 되어
그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음.
(22) 출자한 회사 중에서도 특히 지명도가 높은 곳이 아래의 2사임 .
(가) 아리안 스페이스 사 : 아리안 로켓의 제조 통합 및 발사서비스를 하고 있음. 2006년 12
월 31일 현재, CNES는 아리안 스페이스 사의 주식의 32.53%를 소유하고 있음.
(나) SPOT Image : 위성의 운용과 데이터의 판매를 하고 있으며 아리랑위성2호 영상판매
계약을 체결한 회사임.
(사) CNES의 예산
(23) 2009년 CNES의 예산은 7억 5천3백만 유로이며 이중 65%는 과학, 방어, 공공 및 지속가
능한 우주 프로그램에 투자되었음.
(24) CNES 예산 분석
<그림 5> CNES 예산 분석
(아) CNES의 우주개발 능력
(25) CNES는 위성 및 발사체 개발에 있어 넓은 영역에서 우수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
계 위성망을 관리하고 있음.
(26) CNES의 우주개발 역량
<그림 6> CNES의 우주개발 역량
(자) CNES의 주요 우주 프로그램
(27) CNES 핵심 우주 프로그램 영역은 지속가능한 발전, 과학, 우주의 상업적 개발, 방어, 보
안임.
(28) CNES 우주 프로그램 주요 분야
<그림 7> CNES 우주 프로그램 주요분야
기업
주요 개발 영역
Dassult
발사체 및 발사대 관련 개발 및 제조
Novespace
발사체 및 발사대의 운용 및 유지
Safran/
Snecma
우주체의 부품 개발
Thales Alenia Space
-Astrium SAS
인공위성 개발 및 제조
Eutelsat
인공위성과 지상관제소의 운용 및 유지
Thales Alenia Space
지상관제소 관련 개발 및 제조
Spot Imange
인공위성의 위성자료 판매 및 서비스
<표 2> 주요 회사별 개발영역
(차) CNES 산업체
(29) 프랑스 우주산업은 몇 개의 회사로 압축되어 왔음.
(30) 프랑스는 우주산업과 연관된 대부분의 시장에서 우수한 능력 보유.
(31) 프랑스 우주 산업에 약 12,000명이 종사하고 있으며, 대기업과 더불어 약 100개의 중소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음.
(32) 프랑스 우주산업 개요
<표 1> 프랑스 우주산업 개요
(33) 각 회사별 주요 업무 영역
(카) CNES의 지적재산권 보호 모델
(34) CNES는 계약서 및 자회사의 소유권을 통해 지적재산을 유지 및 보유
(35) CNES 지적재산권과 상업화 방안
<그림 8> CNES 지적재산권과 상업화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