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영국의 우주전략
가. 우주에 대한 새로운 국가 전략
o 영국의 우주 전략은 우주의 활용이 광범위한 연구 부문에 걸쳐 영
국 경제, 환경 및 우주 과학에 혜택을 제공하는 목표에 따라 추진
됨.
o 영국 정부는 2008년 2월에 "2008~2012년과 그 이후”에서 영
국의 민간 우주 전략에 관해 새로운 국가 전략을 공식화한 신규
정책 문서를 발표했음. 이 문서는 영국의 우주 활동에 대해 다음
과 같이 다섯 가지 우선 사업에 역점을 두고 있음.
Ÿ
우주 시스템, 서비스 및 적용 분야에서 세계 시장의 지분을 확대
Ÿ
세계적으로 우주 시스템의 탐사를 주도
Ÿ
과학 임무에 대한 핵심 파트너가 됨
Ÿ
우주 혁신을 강화해 사회에 혜택을 제공
Ÿ
핵심 국가 인프라의 일부로 우주 시스템의 가치에 대한 일반 대중과
정치적 인식을 향상
o 향후 몇 년간 영국 정부는 특히 ESA를 통해 비용 효율적인 프로
그램과 국제 협력 관계에 초점을 맞춰 우주 활동에 대해 선택적인
투자를 계속할 것으로 예상됨.
o 2009년 7월 영국 정부는 BNSC(영국 국립 우주 센터)를 대체할
수 있는 우주국의 설립에 관한 공공 자문을 발족시킴. BNSC는 현
재 영국의 연구소 및 업계 참여자들과 공동 작업을 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 독자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지는 않음. 이
러한 모델은 우주 프로그램에 투자하는 다른 주도국들과 비교했
을 때 상당히 독특한 것으로, 영국 정부는 영국의 제도적 구조를
보다 전통적인 우주국 모델과 결합할 수 있는 기회를 검토하고 있
음. 영국 우주국은 조직 개선을 통해 효율성을 강화하고, 전략적
의사 결정을 개선하며, 영국의 우주 부문에 대한 투자 수익률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009년 12월에 창설됨. 우주국은
2010년 말에 활동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며, 다음과 같은 임무
를 맡을 것임.
Ÿ
영국과 유럽 우주국의 관계 강화
Ÿ
우주 기술의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영국 업계와 합의
Ÿ
우주 부문에 영향을 끼치는 결정에 대해 분명한 목소리를 낼 수 있도
록 과학 공동체와 공동 작업
- 2 -
기구
정부 내 위치
주요 활동
영국 우주청
(UK Space
Agency)
다양한 정부 부서 및
연구 위원회, 특히 많은
자금을 지원하는
DBIS(사업혁신기능부)의
협력 관계
유럽(ESA) 수준에서 한결같은 영국의
영향력을 행사하고 민간 우주 분야에서 영국
정책을 조정하는 임무 담당
우주 자문 위원회
BNSC 협력 관계의 고위
위원 구성
영국 우주 위원회 및 BNSC 사무총장에게
조언을 함. 영국 우주 전략의 개발 및 실행
감독
과학 및 기술 시설
위원회(STFC)
DBIS에 보고
광범위한 영국 연구 분야에 걸친 과학 및
기술을 뒷받침하고 자금을 지원
국립 환경 연구
위원회(NERC)
DBIS에 보고
지구 관측을 비롯한 환경 모니터링을
권장하고 지원함
기술 전략
DBIS에 보고
영국에서 기술 강화 혁신의 증진에 전념하는
o ESA 장관회의가 열리는 동안 ESA와 영국 정부는 영국 내 첫 번
째 ESA 연구 시설을 설립하기로 결정했음. 이 센터는 2009년
11월에 하웰 과학 혁신 캠퍼스(HSIC)에서 정식으로 발족했으며,
우주 탐사를 위한 새로운 동력원과 혁신 기술을 개발하고 지구 과
학 및 기후 변화의 연구에 전념할 것임.
o 방위 활동과 관련해 MoD 우주 전략 및 방위 산업 전략(DIS)이라
는 두 가지 정책 문서가 국가 우주 방위 프로그램을 이끌어가고
있음. 또한 영국 MoD는 2009년 2월에 군대의 요건, 미래 군사
체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및 R&D 우선순위를 정의하는 새로운
방위 기술 계획(DTP)을 발표했음. MoD는 이러한 계획 체계의
범위 안에서 이루어질 잠재적인 미래 활동의 일부로서 우주 기반
검증 프로젝트 두 가지를 확인했음.
o 영국의 우주 전략에 따르면, 향후 5년간 최고 수준의 정부 목표는
특히 ARTES 프로그램, 국가 차원(MoonLite)의 우주 과학 및 탐
사 프로그램과 GMES 프로그램을 이용한 Aurora ExoMars 및
지구 관측이 포함된 ESA를 통해 SatCom 기술 분야의 전문 지식
을 개발하고, EO 부문의 부가가치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임.
- 3 -
위원회(TSB)
영리 중심의 조직
국방부
Skynet 5(PFI를 통해 자금이 지원되고 민간
기업에서 운영)에 이르기까지 Skynet
시리즈에 대한 자금 지원 및 운영. 국방부는
Skynet 5에 대한 고정 고객(anchor
customer)임.
기상청
영국 정부의 한 기관.
기상 프로그램에 출자함.
<표 1> 우주개발 행정기구
나. 우주개발 추진체계
1) 개요(2010년 3월 23일 우주청 설립)
o 영국의 우주개발활동은 1960년대 초기에 시작되었지만, BNSC는
1985년에 전문기관으로 설립. BNSC의 본부는 런던(이후
Swindon으로 이동)에 소재. BNSC는 국가 우주 활동 시 조정 역
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국가 우주 정책을 수행할 수 있는 권위가
없으며 관련 예산을 편성할 수도 없었음. 현재 영국 혁신대학기술
부(BIS), 환경·식품농촌부(Defra), 국방부 등 8개의 부처가 우
주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음. 그러나 어떤 부처도 총괄적인 책임을
맡고 있지 않으며 우주산업분야에서는 영국 정부의 관리방식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음.
o 이러한 이유로 영국 왕립학회(Royal Society)는 최근 기존의 BNSC를
대체하는 새로운 영국우주청(UK Space Agency) 설립을 제안. 2010년
3월 23일 영국 우주청(UK Space Agency) 1) 이 BNSC 대체.
1) 영국에서는 140개 내외의 특허청,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군수품매각사업소, 의약품안전 청, 운
전면허사업소, 여권관리청, 통계청, 교도소, 기상청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책임운영기관
(Agency)이 운영 중에 있음. 직원 수가 90,000여명인 “구직센터”에서부터 직원 수가 40명에 불
과한 “부채관리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공무원의 80%에 이르
는 373,000여명이 책임운영기관(Agency)에서 근무하고 있음. 책임운영기관(Agency)은 정부기관
이고, 직원이 공무원 신분이라는 점에서 민영화나 민간위탁과는 다르며, 공기업이나 공단과도
다름.
Agency는 중앙정부의 행정서비스의 관리 및 전달을 전문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행정기관임. 에이
전시 모델은 그 운영에 있어서 상당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는 행정조직임. 업무집행에 대한 책임
이 에이전시 기관장과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들에게 부여되어, 업무를 재량을 가지고 수행할 수
있도록 권한위임을 해주는 것은 당연한 운영원리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다만, 효율적인 정책집행
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에이전시들이 그 소속 중앙부처에서 점점 유리되어지고 있는 점이
- 4 -
<그림 1> 영국의 우주개발체제
o 영국
우주청 설립과 동시에 4,000만 파운드 예산규모
International Space Innovation Centre (ISIC)가 Harwell에
설립되어 영국 우주분야를 지원하는 정부정책의 중심이 될 것임.
Ÿ
1,200만 파운드는 BIS의 Strategic Investment Fund로부터 지원을
받음.
Ÿ
2009년 7월에 개장한 European Space Agency facility가 같이 있
음.
o 새로운 협의체(Space Leadership Council)가 구성되어 협의체
는 산업계, 학계 및 정부를 포함하게 될 것임.
지적되고 있음. 결론적으로, 영국의 경우 정책개발(정부부처)과 정책집행(에이전시)로 나눠 서비
스 기능을 강화하고 전문성과 효율을 대폭 증진시키고 있는 것임. (자료출처 :
www.civilservice.gov.uk/agencies)
- 5 -
기관명
영국 우주청 (UK Space Agency)
대표자
David Williams
지 역
Swindon
주요 기능
우주
주 소
UK Space Agency
Polaris House
North Star Avenue
Ÿ
우주청(UK Space Agency)은 우주 관련 BIS 정책 및 예산에 책임을
지게 될 것임. 이는 NERC, STFC 및 TSB 자금지원 및 ESA 기금으
로 시작하게 될 것이고, 기존 DEFRA(환경식량지역부) 및 DFT(교통
부)에서 관리하던 GMES 및 Galileo 등의 EU 관련 업무도 이양받게
될 것임.
Ÿ
원칙적으로 우주청은 현재 MoD의 책임인 EU Satellite Centre에의
영국 재정적 관심을 관리하게 될 것임. 우주청은 Research Councils
및 TSB에 의해 현재 수행되고 있는 기술 및 도구에 대해 우주 자금에
대해서도 책임을 지게 될 것임. 결정적으로 우주청은 영국의 국제적
협상을 주도하게 될 것임.
Ÿ
전략 투자자금(Strategic Investment Fund)이 2009년 4월 창설되
었는데 산업혁신, 일자리 창출 및 성장을 위해 7억5천만 파운드로 함.
이는 영국의 새롭게 등장하는 산업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low carbon vehicles, wind/wave power, life sciences, new
technologies in plastics, chemicals, composites , advanced
manufacturing 등을 포함.
Ÿ
BIS(The Department for Business, Innovation and Skills)2)는 이
러한 조치들로 활동적이고 경쟁력 있는 영국 경제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임.
2) 영국 국립우주센터 (British National Space Center (BNSC)/영국
우주청(UK Space Agency)
2) The Department for Business, Innovation and Skills (BIS)는 2009년 6월 the Department
for Innovation, Universities and Skills (DIUS) 와 the Department for Business,
Enterprise and Regulatory Reform (BERR)가 통합된 정부부처로 12개의 관리그룹으로
구성. a)Business, Economic and Policy Analysis b)Fair Markets c)Finance d)Innovation
e)Enterprise (including the Better Regulation Executive) f)Legal Services, Operations
and
Change
g)Science
and
Research
h)Shareholder
Executive
i)Strategy
j)Communications k)UK Trade & Investment l)Universities and Skills 등이 그것들임.
- 6 -
Swindon
Wiltshire
SN2 1SZ
대표전화
+44 (0)207 215 5000
대표FAX
기관설립일
2010년 3월 23일
기관형태
책임운영기관
Homepage
http://www.ukspaceagency.bis.gov.uk
ukspaceagencyinfo@ukspaceagency.bis.gsi.gov.uk
주요 POC
- Dr David Williams, Director General of the British National Space
Centre (BNSC), the Acting Chief Executive of the UK Space Agency
- Andy Payne : Manager, Manager Industrial policy
<표 2> 영국 우주청 정보
o BNSC의 역할 및 체제
Ÿ
The British National Space Centre (BNSC)는 영국의 민간 우주개
발 활동을 조정하는 영국 정부 공공기관. 10개의 정부부처와 비정부
공공기관(non-departmental public bodies (NDPBs))으로 이루어
져 영국 민간우주활동을 조정하고; 대학연구를 지원하며, 영국 우주산
업을 육성하고; 우주개발에 대한 이해와 실질적 이익을 도모. 2009년
1월 이후, BNSC는 Swindon, Wiltshire 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the
Science and Technology Facilities Council (연구회) 와 the
Technology Strategy Board와 같은 건물을 쓰고 있음.
Ÿ
BNSC는 사업혁신기능부(BIS)의 과학혁신차관에게 보고하며 국제 및
유럽 우주정책개발에 대한 영연방의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고 영연방
의 우주활동을 제안하고 홍보.
o BNSC 파트너기관
<그림 2> BNSC 파트너 기관
- 7 -
기 관 명
루드포더애플턴 연구소 (Rutherford Appleton Laboratory, RAL)
대 표 자
Richard Holdaway
지
역
Oxfordshire, UK
주요 기능
우주항공 등
인
력
250명
*The Space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SSTD)
예
산
118백만 파운드
*The Space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SSTD)
주
소
Harwell Science and Innovation Campus, Didcot
Oxfordshire OX11 0QX, UK
대표전화
(44)-(0)1235-445620
대표FAX
(44)-(0)1235-445848
기관설립일
1968년
기관형태
연구소/실험실
Homepage
http://www.sstd.rl.ac.uk/
www.sstd.rl.ac.uk
주요 POC
- Richard Holdaway (Director, Space Science and Technology)
<표 3> 루드포더애플턴 연구소
3) International Space Innovation Centre (ISIC)
o ESA의 시설을 좀 더 넓은 ISIC(국제우주혁신센터)와 접목하는
것은 ESA의 계획 중 하나
o 국제우주혁신센터(ISIC : International Space Innovation
Centre)
Ÿ
강하지만 현재로서는 분산되어있는 영국의 우주분야의 힘을 모으는데
주력하면서 2020년까지 영국의 우주시장을 두 배로 늘리는데 일조할
것임.
Ÿ
ISIC는 하웰과학혁신캠퍼스 산하.
4) 루드포더애플턴 연구소 (Rutherford Appleton Laboratory)
- 8 -
<그림 3> 루드포더애플턴 연구소
o STFC
RAL(Rutherford
Appleton
Laboratory)의
SSTD(Space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는 세계적
우주 연구개발의 뛰어난 영역 수행. 최근 150개의 우주임무의 뛰
어난 개선과 더불어, SSTD는 영국 우주개발 연구에서의 선봉에
서 있음.
Ÿ
SSTD는 에이전시, 산업계 및 다른 상업적 고객들을 위한 수많은 계
약을 수행함과 더불어 여러 연구회(Particle Physics and
Astromony Research Counci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의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한 250명의 인력이 있음.
Ÿ
SSTD의 많은 업무들은 영국 대학 연구그룹 및 세계 여러 나라의 연
구소들과의 협력으로 처리되고 있음.
Ÿ
RAL은 the Science and Technology Facilities Council (STFC)의
일원
Ÿ
SSTD는 단기 과학기술자를 위한 연가연수, 방문교수 기회를 제공하
며, 1년 단위로 대학 샌드위치 학생 코스를 제공. SSTD는 또한 대학
원생 엔지니어 공학 훈련과 CASE studentship을 제공.
다. 우주개발 정책
1) 우주 산업화 프로그램 및 정책
o 우주정책
Ÿ
영국의 정책은 “UK Space Strategy 2003-2006 and beyond”
와 “Earth Observation Program Board Strategy 2003-2006”
두 개의 정책 문헌에 의해 지지됨.
Ÿ
2003년 12월 발행된 “UK Space Strategy 2003-2006”는 다음
- 9 -
과 같은 우주 프로그램에 3가지 우선권 부여
정부, 과학, 산업에 있어 우주사용을 장려함으로서 생산성 장려
삶의 지속적인 개선과 발전을 위해 혁신적인 우주기술 개발
천문학, 행성 및 환경 과학 분야에서 영국의 입지를 강화
Ÿ
영국의 전반적인 우주 전략과 같은 맥락인 “Earth Observation
Program Board Strategy 2003-2014” 는 지구관측 기술, 환경과
학 및 혁신적 운용 서비스 등의 개발과 사용을 목표로 함.
Ÿ
과학과 혁신 정책과 관련하여 영국정부는 2004-2014 과학&혁신 투
자 체제를 도입하여, 과학과 기술적 지식을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로
전환시킴으로서 R&D 분야의 비즈니스 투자를 증가시킴.
Ÿ
현재 BNSC는 우선순위를 정의하기 위해 새로운 전략 문서를 준비 중
에 있음.
Ÿ
영국은 SSTL(Surrey Satellite Technology Ltd) 와 MOSAIC 프로
그램의 활동을 통해 소형위성을 전문화 함. 현재 Beagle 2 의 경험을
통하여 전문적 로봇기술 개발 중으로 보이며, ESA의 우주탐사
AURORA 프로그램은 이에 대한 적절한 기회로 보임.
o 우주산업의 개요
Ÿ
영국의 우주산업은 지금까지 발사된 ESA의 모든 통신위성의 주 계약
자를 맡아, 이러한 배경 하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통신 분야에 중점을
두어 왔음.
Ÿ
BNSC가 ESYS사의 협력을 얻어 실시한 우주산업조사에 따르면
1997년도의 영국우주산업 매상고는 7억 파운드, 고용인구는 약
6,300명이었음.
Ÿ
BAE시스템즈 사(구 브리티쉬·에어로스페이스(BAe)사
BAE 사는 주 계약자를 취득한 횟수에서 1980년대를 통해 유럽 제
일의 통신위성 제작사였음.
1999년, BAe사는 후술의 말코니·일렉트로닉·시스템즈사를 흡수
병합하고, BAE시스템즈 사로 되었음.
BAE시스템즈사는 보잉사, 록히드·마틴(LM)사, EADS사에 이은
세계 제 4위의 항공우주방위기업임.
Ÿ
마트라·말코니·스페이스(MMS) 사
통신분야의 연구개발에 대한 계속적인 정부보조를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제너럴·일렉트로닉(GEC)사의 관련기업인 말코니·일렉트
로닉·시스템즈 사의 위성부문인 말코니·스페이스 시스템즈사는
1989년에 프랑스의 마트라·그룹의 마트라·에스바스사와 합병하
여, 마트라·마르코니·스페이스(MMS)사가 설립되었음.
- 10 -
말코니·일렉트로닉·시스템즈사의 나머지의 부분은 1999년, BAe
사에 흡수되었음.
MMS사는 프랑스 아에로스파시알·마트라사, 독일 DASA사와 함께
설립하는 아스트리움사에 합류할 예정.
Ÿ
서레이·새털라이트·테크놀로지사(SSTL)
SSTL은 소형·초소형위성에 특화해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고 있
는 기업
SSTL은 서레이대학의 소형위성개발연구기관인 사리우주센터에서
분리된 민간 기업으로, 통상의 위성메이커와는 달리 위성의 설계·
제조·발사뿐 아니라 기술자의 교육·훈련도 패키지로 해서 개발도
상국으로의 판매실적을 급속하게 확대하고 있음. 근년은 미국
NASA나 국방총성(DOD)에서의 수주로도 성공하고 있음. 1999년
말까지 17기의 소형·초소형위성을 발사했음.
<그림 4> 영국 우주산업 섹터
o 우주산업의 현황
Ÿ
이하 UK Space Agency에게 2010년 11월에 제출된‘The Size
and Health of the UK Space Industry Executive Summary’를
통해 영국 우주산업의 현황에 대해 요약하고자 함.
Ÿ
영국의 우주산업에는 2010년 현재 전체 260개사가 종사 중.
- 11 -
2008/09년에 영국은 총 75억 파운드(약 15조32억원)3)의 우주관
련 생산액을 기록하였음. 이 중 업스트림(upstream)섹터의 생산액
은 9억 3천만파운드, 다운스트림(downsteam)은 66억 파운드였음.
이 결과 2007~08년과 2008~09년 사이에 실질 성장률이 8%였으
며, 2006/07년(전회 조사 기간)의 결과에 비교하면 21%라는 것으
로, 2006/08년의 성장률이 연평균 10.2%였음을 의미함. 이것은 같
은 시기 영국 경제 전체에 비교하면 대단히 우수한 실적임. 같은 우
주산업 안에서도 2006~08년의 2년간 우주산업 실적은 1999년 이
후 10년간의 평균 성장률보다 높았음10.2% vs 8.9%). 다만 이것은
2007/08년의 업스트림 섹터의 특별한 실적이 나타내듯 영국 우주산
업 전체의 동일한 실적은 아님.
Ÿ
2006/07년 이래의 급성장은 다운스트림의 주도로 이루어짐. 다운스
트림 섹터는 2006/07년과 2008/09년에 실질 24%, 연평균 11.4%
의 성장을 기록했음. 반면 업스트림 부분은 매출 악화에 직면하여,
2007/08년의 예외적인 생산을 기록한 직후인 2008/09년에 생산액
감소. 다만 2006/07년에서 2008/09년 사이의 기간에 업스트림 섹
터는 연평균 3% 성장 기록(같은 기간 GDP 성장률은 0.3%).
Ÿ
영국 우주산업은 2008/09년의 생산액 75억 파운드 중 부가가치 36
억 파운드를 기록. 이는 2007/08년 기간에 비해 명목 15%, 실질
11%의 성장임.
Ÿ
아래 그림에서 보이듯, 우주산업 부가가치는 주로 급성장한 다운스
트림 섹터(2007/08년에서 2008/09년 기간에 실질 13.3% 성장)에
의해 형성되었다(88%). 업스트림 섹터는 높은 생산액과 부가가치
창출을 했던 2007/08년에 비해 미감(-2.3%).
<그림 4> 영국 다운스트림과
업스트림의 우주 산업 생산액
<그림 6> 영국 우주사업의 총
부가가치액, 2007/08-2008/09
3) 2008.1.1~09.12.31의 평균 환율 ₤1 = \2000.423 적용.
- 12 -
Ÿ
영국
우주산업은
2008/09년
24,900인을
고용했음.
이것은
2006/07년 이후 연평균 약 15%의 증가율로, 1999/2000년 이래의
증가율 6%와 선명한 대비를 이루며 2000년대 후반 우주산업의 고
용 증대를 보이고 있음. 여기에는 2008/09년에 17,600의 일자리를
제공한
다운스트림
섹터가
주된
기여를
했음(2006/07년과
2008/09년에 연평균 16%). 한편 고용 규모가 적었던 업스트림에서
도 연평균 12%의 고용 증가를 기록했음.
Ÿ
인력의 70%가 대졸 이상이고 상당 비율의 기업들이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교육과정을 제공하며, 비록 내부에 숙련도의 차이는 있으나
전체적 숙련도는 대단히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Ÿ
영국 우주산업의 주요기업들은 잉글랜드의 동남 지역에 집중된 경향
임. 영국 남동부에 92%의 고용인이 기록된 점에서 우주산업의 고용
분포는 상당히 집중되어 있음(2008~09). 보다 집중적으로 배치된
런던 지역에는 우주산업 종사자의 57%가 있고, 나머지 남동부가
20%, 동부가 15%를 차지하고 있음. 남동부 코너지역을 제외한 우
주산업의 고용은 남서부와 동부 중앙에 집중되어, 합계 6% 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Ÿ
우주산업은 영국 경제에 생산 및 고용에 의한 직접효과 이외에도
우주산업 이외 분야의 영국 기업으로부터 상품 및 서비스를 조달받
는 간접효과를 내고 있음. 또한 우주산업 종사자 및 공급자들은 소비
를 통해 유발효과를 내고 있음. 간접효과와 유발효과에 의한 승수효
과는 2010년 조사에 의해 최초로 계측되었는데, 조사 응답을 통해
우주산업의 부가가치 승수는 1.91로 평가되었음. 이것은 2008/09년
우주산업이 영국 GDP에서 차지한 직접적인 부가가치 36억 파운드
에 추가로 33억 파운드를 기여 한 것을 의미함. 따라서 영국 우주산
업이 자국 GDP에 기여한 부가가치(2008/09)는 합계 69억 파운드
로 측정되었음. 동일한 방식으로 고용승수는 3.34로 측정되었는데,
이것은 우주산업에 의해 창출된 2008/09년의 고용인구가 합계
83,000인으로 평가되는 것을 의미함.
- 13 -
<그림 7> 영국 우주산업의
다운스트림과 업스트림 고용 현황
1999/2000~2008/09
<그림 8> 영국 우주사업의 총
경제효과, 2007/08~2008/09
Ÿ
2010년 조사에 대한 응답은 지난 조사 이래 업스트림 영역에서 중
대한 조직 구성 변화가 있었음을 명백히 함. 2008년 조사에서는 우
주산업 프라임/시스템 통합 비즈니스 카테고리가 업스트림 영역 매
출 중 가장 큰 35%를 차지했음. 그러나 2008/09년 우주산업의 프
라임 카테고리의 매출 점유율은 10% 전후로 감소함. 프라임 섹터를
대신하여 업스트림 영역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한 것은 서브시
스템 공급자섹터로, 총매출액 비중은 2006/07년의 22%에서
2008/09년의 40%로 성장했음. 2010년 조사에서 보인 우주산업의
프라임 섹터에서 서브시스템 섹터로의 이동 경향은 이전 조사에서도
보였는데, 이것은 영국 우주산업의 업스트림 섹터가 점차 전주기적인
우주발사체 개발·제조보다는 페이로드 서브시스템에 중점을 옮겨가
고 있음을 나타며, 2010년의 결과는 변화 속도가 최근 더욱 빨라졌
음을 보이고 있음.
Ÿ
유사한 양상이 업스트림의 고용에서도 나타났으나, 서브시스템 섹터
에서의 고용성장은 매출액만큼은 아니었음(2006/07년의 20%에서
2008/09년의 28%). 매출액과 고용 상황 간의 주목할 만한 차이점
은 지상 분야의 프라임 섹터(매출액 7%와 고용 12%)와 지원 제품
및 서비스(매출 10%, 고용 15%)에서도 보임.
Ÿ
우주산업 전체의 성장을 밑받침한 다운스트림 섹터에서는 이전에 계
속하여 직접 가정까지 제공하는 위성방송 서브섹터가 주역을 맡았
음. 다운스트림 각 분야들의 2010년 조사결과는 이전 조사와 대단
히 유사했으며, 가장 큰 점유율 변화폭은 유저 이큅먼트 서플라이어
- 14 -
<그림 9> 업스트림 섹터의
사업분야별 매출, 2008/09
<그림 10> 다운스트림 섹터의
사업분야별 매출, 2008/09
섹터(User Equipment Supplier Sector)의 2%였고, 어떤 분야도
1% 이상 점유율이 하락하지 않았음.
Ÿ
매출액과 같이 다운스트림 고용현황도 비록 이전 조사에 비해 점유
율이 하락했지만(2008년도 조사에 의한 2006/07년의 점유율은
74%였음) 위성방송 제공 분야가 주도하고 있음.
Ÿ
전회 조사와 같이, 수요자 중에서는 상업 섹터가 가장 주요한 그룹
으로 2008/09의 전체 사업 분야에서 85%를 차지여, 2006/07년보
다 미증하였음. 또한 우주관련 기관 및 정부(군수 제외)수요가
2006/07년에 비해 미증하였음(양쪽 모두 1% 증가). 한편 군용 목
적에 의한 수요는 2006/07년의 11%에서 2008~09년에는 7%로
감소하였음.
<그림 11> 수요자별 시장 점유
상황, 2008/09
<그림 12> 영국 우주산업의
이용분야별 매출액, 2008/09
Ÿ
상업 분야가 주도한 수요에 의해 대부분의 수요자들은 영국에 소재
하였음(차트11). 다만 조사결과는 영국 우주산업 수요자의 지역적
분포가 다양화되고 있음을 제시함. 영국에 의한 2008/09년 시장 점
- 15 -
유율은 2006~07년보다 5% 하락한 반면, 나머지 유럽 지역과 미국
에 의한 수요가 증가하였음(EU 2%, 미국 3% 증가).
Ÿ
영국 우주산업의 이용은 전체 매출액의 68%(2006/07년에서 미증)
를 차지하는 방송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 이어서 무선통신 분야가
24%의 매출액을 차지하였고, 나머지는 주로 지구관측, 내비게이션
과 우주과학에 의해 나뉘어져 있음(차트12). 방송이 단독으로
2006/07년 이래 우주산업 성장의 거의 3/4를 차지하고 있고, 무선
통신이 20%를 차지하고 있음. 다만 매출액 성장에 대한 기여의 대
부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방송과 무선통신 사업의 성장률 자체는
규모가 크게 작은 우주 수송(31%) 및 지구 관측(26%)보다 낮았음.
Ÿ
2008년 조사는 2006/07년의 업스트림의 R&D 지출(매출액 대비
율)이 2004/05년에 비해 감소했음을 보이고 있음(R&D 내부 지출
액은 증가). 업스트림 R&D 지출의 매출액 대비율의 감소 경향이 현
저히 둔화되었지만 계속되고 있음(2004/05년의 업스트림 매출액 대
비 R&D 비율은 14.1%, 2006/07년은 8.3%, 2008/09년은 7.3%).
업스트림 영역의 R&D 투자 절대액은 2006/07이래 감소 중임. 또한
기업체 내부에서 조달되는 R&D자금 비율은 2006/07년의 약 60%
수준에서 2008/09년의 45%로 감소하였음. 다운스트림에서의 R&D
지출은 여전히 업스트림에 비해 크게 낮으며, 매출액 대비 0.7%로
감소하였음. 또한 90%의 R&D 자금이 내부적으로 조달되던 2008
년 이래로 재원에 상당한 규모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 2010년 조
사는 90%의 내부조달 비율이 2008/09년에는 55%로 감소한 사실
을 보고하였음.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양쪽의 R&D 투자 감소는 불
황기의 산업이 지출을 축소하고 ‘위험’ 영역에서 퇴출하는 경향과
궤도를 같이 하고 있음(영국의 1,000대 기업들은 2006년의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율 1.8%를 2008년에는 1.6%로 축소하였음).
- 16 -
<그림 13> 영국 우주산업의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고용 규모,
1999~2010
<그림 13> 영국 우주산업의 GDP
기여도, 2007/08~2009/10
<그림 13> 영국 우주산업의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매출규모
1999/00~2009/10
<그림 14> 영국 우주산업의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매출 규모,
1999/00~2009/10
Ÿ
2009/10년의 매출액, (부가가치 계산을 위한)비용, 고용 예측에 의
하면 매출액은 6.4% 성장하여, 2008/09년 가격 기준으로 80억 파
운드에 달할 것으로 예측됨. 이중 다운스트림은 7%의 실질 성장을
이루어 매출액 70억 파운드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됨. 한편 업스트림
섹터는 비록 2%이기는 하지만 역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Ÿ
한편 우주산업의 고용은 2009/10년에 7.3%증가하여 27,000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됨. 업스트림 섹터의 고용은 7,400인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약 1.3% 증기), 다운스트림 기업들이 추가
로 1,700인을 고용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경우 다운스트림의 총
고용 인원은 19,280인으로 예상됨. 한편 나머지 영국 경제 전체의
고용 규모가 2009/10년에 2.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Ÿ
부가가치의 GDP 기여 측면에서 우주산업은 전해에 비해 8.9% 증가
한 40억4,700만 파운드로 또 다시 강력한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
됨. 업스트림 기업들의 GDP 기여는 4.8% 증가한 4억7,200만 파운
드, 다운스트림은 36억7,500만 파운드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 17 -
[참고자료.1]UK Space Agency(Nov., 2010), The Size and Health of
the UK Space Industry
- 18 -
- 19 -
-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