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관명칭: 유럽우주국 / ESA (European Space Agency)
- 설립연도: 1975년
- 기관 성격: 우주개발을 위한 정부간기구
- 회원국 수: 18개국
- 인력: 약 2,000명 (2009년 기준)
- 예산: 3.6조 유로 (2009년 기준)
- 주요 시설: 6개
․ ESTEC - 과학 임무 담당
․ ESRIN - 지구관측 임무 담당
․ ESOC - 비행관제센터
․ EAC - 우주인훈련소
․ ESAC - 천문 연구소
․ CSG - 기아나 우주발사장 www
1. 유럽우주정책의 구체화 및 실행
2. 우주개발 프로그램의 상세화 및 실행
3. 유럽 우주프로그램과 국가 우주프로그램간의 통합․조정
4. 산업정책의 구체화 및 실행
ESA (European Space Agency)
가. 우주개발 추진체계
(1) 유럽 국가들은 우주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1975년 유럽우주국(ESA)을 설립함.
【ESA의 개요】
【ESA의 임무】
․ESA는 EU와는 별개의 독립기구임
- EU와는 다른 회원국으로 구성됨
․ESA의 프로그램은 의무형/선택형으로 구분됨
- 의무형 프로그램은 회원국의 GDP, 선택형 프로그램
은 회원국의 참여도에 따라 예산이 배정됨
․ESA는 안정적이면서 유연한 예산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음
- 3+2년의 확정예산 + 추가연장 시스템
- 의무적 예산 + 선택적 예산
(2) ESA는 정부간기구의 특성 상 복잡한 거버넌스체계를 지님.
<그림 1> ESA의 거버넌스 체계
(3) ESA 청장(Director General)
(가) 이사회가 모든 회원국 3분의 2 다수결로 일정기간 청장을 임명하며, 동수로
청장의 임기를 종료할 수 있음.
(나) 청장은, 이사회의 지침에 따라, ESA의 운영․ESA프로그램의 시행․ESA정책의
적용과 ESA 임무달성에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함.
(다) ESA의 모든 시설은 청장 감독 하에 있음.
(라) 청장은 이사회에 연례보고서 제출.
(마) 청장은 ESA의 모든 회의에 참석, 단 투표권은 없음.
(4) ESA 이사회(Council)
(가) 이사회는 ESA의 집행기구로서 ESA의 정책가이드라인 제공
(나) ESA 회원국 대표로 구성
(다) ESA 회원국 대표는 자국의 분담금 비율에 상관없이 1표 행사
(라) 필요에 따라, 회원국 대표급 및 각료급 수준에서 회합
(마) 각료회의는 통상 3년에 1회 개최
(바) 이사회는 2년 임기의 의장 1인과 다수의 부의장 선임, 단 1년 연임가능
(사) ESA이사회는 EU 이사회와 함께 Space Council 구성
(5) ESA 부서(Directorates)
(가) 6개의 프로그램 부서
① 과학과 로봇 탐사, 발사체, 유인우주비행, 지구탐사, 통신과 통합활용,
갈릴레오 및 항행관련 활동
(나) 5개 지원 부서
① 기술품질관리
② 운용 및 인프라
③ 인사관리
④ 청장 고문
⑤ 법무 및 대외협력
유럽우주기구 본부
ESA
Headquarters
유럽우주연구
및 기술센터
(ESTCT)
유럽
우주비행센터
(EAC)
유럽
우주업무센터
(ESOC)
유럽
우주연구원
(ESRIN)
유럽
우주천문센터
(ESAC)
Liaison Offices (해외사무소)
Main Programme Directorates
(주요 프로그램 사업단)
· Brussels
· Moscow
· Washington
· Houston
· Toulouse
· Kourou liaison
· Technical and Quality Management}
(기술 및 품질 관리)
· Operations and Infrastructure
(사업 및 하부조직)
· Resources Management(자원관리)
· Legal and External Relations(법률 및 대외협력)
· Reforms(혁신)
· Scientific Programmes(과학프로그램)
· Launchers Programmes(발사체 프로그램)
· Human Spaceflight, Microgravity and
Exploration Programmes
(유인우주비행, 미세중력 및 탐사프로그램)
· Earth Observation Programmes
(지구관측 프로그램)
· Telecommunication and Navigation Programmes
(통신 및 항행 프로그램)
Ground stations (지상국)
· Kiruna
· Redu
· Kourou
· New Norcia
<그림 2> ESA 조직
Council (이사회)
Chairman,
Vice-Chairs
Programme Board(프로그램 사무국)
· Communication Satellites(통신)
· Earth Observation(지구관측)
· Ariane Launcher (발사체)
· Human Spaceflight, Microgravity
and Exploration(우주비행·탐사)
· Navigation(항행)
· Aurora Paricipants(오로라 사업)
나. 우주 정책
1) 임무
(6) ESA는 우주연구 및 우주기술 그리고 우주응용 분야에 있어서 유럽국가간
평화적 협력의 추진과 보장을 주요 임무로 함.
(7) 장기 유럽우주정책의 수립과 시행, 기타 국내/국제기구와 관련하여 회원국의
정책 협의.
(8) 우주활동 및 우주프로그램의 수립과 시행.
(9) 유럽우주프로그램과 국내프로그램의 조정, 특히 실용위성 개발과 관련하여 국
내프로그램의 점진적 그리고 가능한 한 완전한 유럽 우주프로그램으로의 통합.
(10) ESA 프로그램에 적합한 산업정책의 수립과 시행, 회원국에게 통일된 산업정책
권고.
2) 활동범위
(11) ESA 활동은 모든 회원국이 참여하는 ‘의무적 활동(mandatory activities)'과
공식적으로 불참을 선언한 회원국을 제외한 모든 회원국이 참여하는 ’선택적
활동(optional activities)'으로 구분됨 (ESA설립협약 제V.1조)
(12) 의무적 활동
(가) 교육, 자료수집, 미래 프로젝트 연구, 기술연구 등의 기본적 활동
(나) 위성과 기타 우주시스템을 포함한 과학프로그램의 시행
(다) 국제/국내프로그램의 조화를 목적으로, 회원국에게 관련 정보의 수집배포,
흠결 또는 중복 알림, 조언과 지원 제공
(라) 우주기술 이용자와의 규칙적인 관계 유지와 이용자 요구사항 파악
(13) 선택적 활동
(가) 인공위성 연구․개발․제조․발사․궤도진입․통제와 기타 우주시스템
(나) 발사시설과 우주수송시스템의 연구․개발․건설․운용
다. 우주산업 규모
(14) 유럽의 우주산업 매출액은 2011년 약 5.3조 유로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그림 3> EU의 부문별 우주산업 규모 (2008-2011)
(가) EU내 우주산업 규모는 2008~2011년 사이 약 7%의 성장을 목표로 함
(나) 국제우주정거장: 전체 예산의 약 20%를 차지
① 우주인의 주거공간 및 이동수단 마련
(다) 우주탐사: 예산 약 2배로 증가
① 화성탐사로봇(Exomars) 개발 완료, 수성탐사위성 개발(일본과 협력), 은하
계의 3차원 입체지도 개발
(라) 지구관측: 예산 약 두 배로 증가
① 전지구관측시스템인 GMES 개발을 통한 Living Planet프로그램 완료
(마) 통신항법: 전체 예산의 30%를 차지
① 유럽 독자 위성항법시스템인 Galileo 시스템 개발
라. 우주 프로그램 예산
(15) ESA 각 회원국은 의무적 활동비용과 공동비용(the common costs of ESA)
지불.
(16) 분담금 기준은 각 회원국의 최근 3년간 국민소득 평균에 기초하여 이사회가
결정.
(가) 단, 각 회원국의 분담금은 총 분담금의 25%를 초과할 수 없음
(나) 이사회는, 총 회원국 3분의 2 다수결로, 특별한 사정 특히, 회원국 일국의 1
인당 국민소득이 이사회가 만장일치로 정한 일정 금액 미만인 경우, 동 회
원국의 분담금을 일시적으로 감면할 수 있음
(17) 2009년 예산: 3591 M€
(가) 2009년도 ESA회원국 및 기타 국가 분담금: 2819 M€
(나) 전년도 ESA회원국 분담금 잉여분: 352 M€
(다) 기타: 420 M€
(18) 2009년 국가별 ESA 분담금
회원국
분담금(단위: 백만유로)
퍼센트(%)
프랑스
716
25.4
독일
648
23
이탈리아
369
13.1
영국
269
9.6
스페인
184
6.5
벨기에
161
5.7
네덜란드
99
3.5
스웨덴
94
3.4
스위스
56
1.9
노르웨이
45
1.6
오스트리아
43
1.5
덴마크
27
0.9
캐나다
22
0.8
핀란드
20
0.7
포르투갈
16
0.6
그리스
14
0.5
룩셈부르크
13
0.5
아일랜드
13
0.5
체코
7
0.2
2819
100
<표 1> ESA 국가별 분담금
출처: www.esa.int
(19) 2009 프로그램별 ESA 예산
프로그램
금액(단위: 백만유로)
퍼센트(%)
발사체
659
18.4
지구관측
586
16.3
우주과학
434
12.1
유인우주비행
387
10.8
항법
387
10.8
통신
319
8.9
일반예산
240
6.7
보조예산
197
5.5
우주탐사
115
3.2
우주기술
112
3.1
미세중력
94
2.6
교육
9
0.3
ECSA
3
0.1
제3자 지원금
47
1.3
유럽협력국가 프로그램
3
0.1
3591
100
<표 2> ESA 우주프로그램 별 예산
프로그램
요청
승인
기간
필수 활동
일반예산
998
1,034(103.6)
2006-10
과학
2,080
2,080(100.0)
2006-10
합계
9,078
3,114(101.1)
발사체
Ariane 5 Evolution
194
142(73.0)
2006-10
Arta-5
557.1
436(78.2)
2007-10
Vega-Verta
258
243(94.1)
2006-10
CSG
271
271(100.0)
2006-09
미래발사체(FLTP-2)
330
283(85.7)
2006-08
합계
1,610
1,375(85.4)
유인비행
우주정거장 활용(incl.ATV)
649.7
539(83.0)
2005-08
미소중력(Elips)
320
161(50.0)
2005-09
합계
969.7
700(72.1)
정보통신
Artes
600
543(90.5)
2006-10
지구관측
EOEP-3
1,490
1,246(83.6)
2008-13
GMES
200
253(126.5)
2006-08
합계
1,690
1,499(88.6)
탐사(Aurora)
핵심 프로그램
160
73(46.8)
2006-09
ExoMars
592.8
651(109.7)
2006-11
Klipper
51.1
0
2006-08
합계
804.1
724(90.0)
기술
GSTP-4
215.6
215.6(100.0)
2006-08
진행중 프로그램
Egas, Prodex, EOEP-2,
Artes-8&9, GMES Service Element
120
(20) ESA의 2006-2010 년 분야별 우주프로그램 예산
(단위 : 백만유로)
합계(전체)
8,255(95.0)
<표 3> ESA 분야별 예산
․ESA는 기여도에 비례하여 회원국 산업체에 예산을 재분배 함
․ESA는 유럽 내 우주기술 개발 중복투자 방지를 위한 기술개발 조정절차를
두고 있음
(21) ESA의 예산 기여도는 프랑스, 독일, 이태리 순서로 높음
<그림 4> 국가별 ESA예산 분담 비율
(22) ESA의 예산은 대부분 산업체에 계약 형식으로 재분배 되며, ESA는 관리자
역할을 수행함
<그림 5> ESA의 지출항목별 예산
<그림 6> ESA의 기술 분야별 예산
마.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
(23) 우주개발프로그램 계획
<그림 7> ESA 중장기 계획
바. 현재 진행 중인 주요 우주개발 프로그램
1) 지구관측
(24) ESA의 지구관측 예산은 ESA의 GMES(Global Monitering for Environment
and Security) 참여로 2004년 이후 증가하고 있으며, 2009년도 지구관측 예
산은 ESA 총 예산의 16.3%를 차지함. 지구관측의 우선순위는 환경감시와 기
후 변화에 있음
(25) “기후변화 이니셔티브(Climate Change Initiative)"는 글로벌 기후관측 시스템
(Global Climate Observing System, GCOS)에 필수기후변수(Essential
Climate Variables, ECVs)의 장기 기록Cl제공하기 위하여 2008년에 시작됨
(26) ESA의 지구관측 프로그램은 두 가지 요소 즉, 지구탐사임무 형태의 연구와
운용서비스에 맞춘 지구감시로 구성됨
(27) 지구탐사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09년 2기의 인공위성 즉, 지구중력 연구를
위한 GOCE 그리고 지구 물 순환 연구를 위한 SMOS가 발사됨. 4기의 인공위
성이 2010-2013년 발사를 목표로 개발 중이며 7개 탐사미션이 2016년쯤 진
행됨
(28) 지구감시프로그램은
EU집행위원회의
GMES와
유럽기상위성개발기구
(European Organization for the Exploitation of Meterological Satellites,
Eumesat)의 기상미션을 포함함
(29) GMES의 경우, ESA는 지상부분과 함께 우주부품을 공급하고 데이터 접근을 조정함
(30) ESA는 2015년 초 배치 예정으로 2기의 3세대 기상위성(Meteosat Third
Generation, MTG) 원형을 개발하고 Eumesat을 위해 4기의 순환위성을 보유
Series
내
용
Sentinel 1
ERS-2와 Envisat에 탑재될 레임 탑재체의 후속으로 ESDS Astrium이 설계하고
2010-2011년에 발사
Sentinel 2
Landsat과 Spot형태의 자료를 지속하기 위한 지구응용을 위한고해상도 이미지 위성으
로 2011-2012년 발사
Sentinel 3
Envisat의 MERIS센서를 대체할 해양탐사 위성으로 2011-2012발사
Sentinel 4
정지궤도 위성으로 대기구성조사와 국경횡단 오염조사에 활용
Sentinel 5
저궤도의 대기구성조사위성.
“Sentinel 4 & 5”는 Eumasat의 차세대위성에 보조탑재체를 포함
<표 4> Sentinel Series 내용
2) 발사체
(31) 발사체는 2009년도 ESA 예산의 19%를 차지함
(가) ESA 발사체 프로그램의 4대 목적
(나) Ariane, Vega 그리고 Soyuz와 같은 발사체 페밀리 개발을 통하여 적정한
가격으로 유럽의 우주접근 보장
(다) 상기 3개 발사체의 지속적인 강화
(라) 운용과 서비스 질을 유지함으로써 기아나 우주센터 발사영역의 유용성과 자
금지원 유지
(마) 기존의 발사체 페밀리와 그 진화가 운용의 한계에 다다를 경우, 장기수요
(약 2025년)를 위한 차세대 발사체 지속적인 준비
(32) Ariane-5
(가) Ariane-5는 유럽의 대형발사체로써 Arianespace가 운영과 판로 담당
(나) ESA는 ARTA(Ariane Research & Technology Accompaniment)를 포함하
여 다수의 프로그램을 통해 Ariane-5 개발을 관리함
(33) Ariane-5 Post-ECA
(가) ESA는 현재 Ariane-5 Post-ECA 개발을 위한 준비단계에 착수하였으며 이
를 위해 2008년 3.57억€를 지원받음
(34) Future Launcher Preparatory Program(FLPP)
(가) 미래발사체 예비프로그램(FLPP)은 ESA의 발사체 프로그램의 마지막 요소
(나) FLPP는 고추력엔진 시범, 고체추진 시범, 극저온 상단기술 그리고 저장추
진(storable propulsion)에 중점
(35) FLPP에는 중간단계 실험비행선(Intermediate eXperimental Vehicle, IXV)인
대기권 진입기 개발을 위해 Thales Alenia Space와 계약체결
(가) IXV발사는 2012년 프랑스 기아나에서 Vega를 통해 발사예정
3) 달탐사 및 우주탐사 관련 동향
(36) 유인우주비행
(가) 유인우주비행 활동 예산은 지난 6년간 안정적
(나) 2009년 유인우주비행 예산은 ISS 탐사 2.84억€를 포함하여 총 3.87억€에
달함
(다) 2001년에 시작된 ESA의 ISS 탐사의 비용은 2015년까지 39.4억€에 이를
것으로 추정
(라) ISS 탐사는 주로 다목적 과학실험실인 Columbus, 자동화 수송선
(Automated Transfer Vehicle, ATV) 그리고 ISS의 물자보급 및 궤도수정을
위한 무인우주선으로 구성됨
(마) ATV는 ISS에 7.5톤의 화물과 연료 운반
① ATV는 2008년 3월 첫 발사되었으며 2015년까지 17개월마다 5차례 발사
② ATV 비행 비용은 발사를 포함하여 3.2∼3.3억€ 정도임
4) 국제우주정거장(ISS)계획
(37) 1995년 10월의 각료급 이사회에서, COF, ATV, 데이터관리시스템(DMS), 유
럽 로봇팔(ERA), 콜럼버스용 미소중력설비(MFC) 및 COF와 ATV의 관제국을
시점으로 ISS 참가를 정식으로 결정했음
(38) ISS의 분담금의 비율은 1998년 8월 현재로 독일 41.0%, 프랑스 27.6%, 이탈
리아 17.0%임
(39) ESA는 ISS의 정상이용기간 중으로 COF의 페이로드락 5대 및 외부 트라스의
사용권을 확보하고 있음.
(40) ESA는 NASA가 개발하고 있는 탑승원귀환기(CRV)에 자금 출연하는 것으로
ISS의 운용비를 상쇄할 생각임
5) 통신·방송·측위
(41) ESA 의 주요 역할은 위성 통신시장에서 R&D 분야의 지지, 혁신 장비 테스트
와 품질 인증 시행 등을 통해 유럽 산업의 경쟁력의 유지하는 것이나 보다 많
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새로운 프로젝트를 통한 부가가치 라인을 보여주는 것
임
(42) 최근 승인된 두 개 프로그램-AlphaSat 과 소형 GEO platform-은 기관의 필
요성 보다는 산업을 뒷받침 해주기 위해 실행됨. ARTES (Advanced
Research in Telecommunication Systems) 프로그램은 일곱 개의 프로그램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ESA 정보통신의 근간임
(43) ESA 정보통신 프로그램 라인은 다음과 같은 원칙하에서 운영되고 있음
(가) 1.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전략에 element 공급, 기술 및 마켓 트렌드 기
술 분석 지지
(나) 2. 기술: 고도 기술, 하부 시스템, 탑재체 개발에 중점. 필요시, 이러한 장비
들은 flight qualification level 로 상승되어 개발 가능. 탑재체 같은 경우,
Ka 밴드와 L밴드 안테나 개발에 특별히 중점을 둠
(다) 3. 사용자 부분 : 와이드밴드 멀티미디어, 전자상거래, 전자 교육, 응급상황
관리, 환경 모니터링 등을 비롯하여 interactive 와 mobile service 를 위한
터미널 개발. 2001년부터 활동은 주로 BIA(Broadband Internet Access)에
중점을 둠
(라) 4. 멀티미디어 시스템: GEO 멀티미디어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탑재체
(마) 5. 기동성: 진보된 모바일 위성 서비스의 미래를 구성
(바) 6. 대형 플랫폼 임무
(사) 7. 궤도에서의 실험: 새로운 탑재체나 플랫폼 성분등의 궤도상 실험을 가능
하게 함 (예를 들어, OICETS 와 Artemis 간의 optical data relay link)
구성요소
목적
ESA 자금
ARTES 1
전략
100%
ARTES 3
멀티미디어 응용과 시스템 장려
50% 까지
ARTES 4
ESA/산업 파트너쉽: 최첨단 기술과 서비스 연구,
개발과 실행
50% 까지
ARTES 5
기술: 장기적인 기술
100%
ARTES 8
Alphabus 와 Alphasat
50%에서 100%까지
ARTES 11
소형 GEO platform and mission
50%에서 100%까지
<표 5> ARTES 프로그램 구성요소
(44) 정보통신 프로그램은 현재 2006-2010까지 계획된 정보통신 장기 계획
(TLTP)에 의해 실행되고 있음.
(가) Alphasat: ESA와 CNES 간 계약을 바탕으로 EADS Astrium 과 Alcatel
Alenia Space에서 개발중인 대형 통신위성용 플랫폼인 Alphabus 의 실험
임무. Alphasat 의 탑재체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며, 3단계 A 연구가
Eutelsat, Inmarsat, Telespazio 가 이끄는 팀에 의해 행해지고 있음.
(나) 소형 GEO 플랫폼: 2005년 12월 이사회의 에서 프로젝트는 플랫폼 제품의
low-end range를 겨냥함(<3kW payload power). 필요한 예산 1억 유로 가
운데 6천1백만 유로가 벌써 관심 있는 국가에 의해 행해짐. 플랫폼은 독일
OHB 시스템에 의해 개발되고 상업화 될 예정임. ESA 실험임무는 2010년
행해질 예정이나 아직 정해진 바는 없음.
(다) Piggy Back, Opportunity 임무: 새로운 기술이나 서비스 시험이나 인증을
위하여 상업위성에 같이 올리거나 특별한 기회를 주기위하여 수행함.
(45) ESA 는 GNSS-1, GNSS-2 두 개의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에 관여하
며 GNSS-1은 위성 네비게이션 포지셔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시스템으
로, 정지궤도 위성에 payload(Inmarsat 위성의 용량과 ESA Artemis 의 네비
게이션 payload)로 사용하며 ESA 는 시스템 개발과 기술적 인증에 관여함.
(46) EGNOS(European Geostationary navigation System)는 2005년 초기 응용단
계를 시작하여 2006년 신호안정을 위한 작업, 그리고 safety-critical
applications 에서의 사용에 관한 인증을 시작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EGNOS
시그널과 데이터 제공에 관한 책임은 ESA에서 ESSP(유럽의 주요 항공 네비
게이션 서비스 제공자)로 넘어감.
(47) 비록 EGNOS 가 초창기에 유럽 국가들에 의해 창설 되었지만, 갈릴레오 서비
스 준비를 위해 전 세계로 권장하고 있는데 갈릴레오는 ESA 와 European
Commission 간의 조인트 프로젝트로서 ESA는 우주와 지상 부문의 정의에
관해 책임이 있으며, 이 프로그램의 정의에서부터 배치까지 최대 10억 9천만
유로까지 기여할 에정임.
6) 우주환경이용
(48) 스페이스셔틀을 이용한 ESA중심의 우주실험으로서 1983~1984년에 스페이
스랩 1~3이 실시되었음.
(49) 무인 프리 플레이어(EURECA, 1983년 승인)는 1992년 7월에 스페이스셔틀로
발사되어, 15건의 미소중력실험과 우주과학관측을 실시하고, 1993년 6월 스
페이스셔틀로 회수되었음.
(50) 1985년 이래, ESA는 유럽미소중력연구 EMIR-1계획 하에서 스페이스랩 이용
을 중심으로 미소중력실험을 해왔음. 근년은 러시아의 우주스테이션「미르」
의 이용을 하고 있고, EMIR-2계획(1996~2001년) MFC를 시점으로 COF를
이용하는 EMIR-3계획(2002년 이후)으로 계승되고 있음.
(51) ESA는 스스로가 설치한 우주상업이용연구조합(RADIUS)을 통해서 우주환경
의 상업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음.
7) 우주과학
(52) 우주과학프로그램은 ESA의 필수프로그램(일반관리비 이외로는 유일)으로, 우
주과학프로그램에 대한 각 가맹국의 출연액은 각국의 GNP에 비례해서 결정
됨.
(53) 1996년 이래로 매년 3억6천만 유로로 일정한 금액을 우주과학에 배분했는데
2005년 12월에 이르러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여 연2.5%의 예산 상승을 결정하
였음. 우주과학은 ESA의 프로그램 중 11%을 1993년 이래로 차지하고 있는
데 이는 유럽의 우주개발은 위성응용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2003년 EC
의 권고에 따른 것으로 현재의 우선순위는 아님.
(54) ESA의 우주과학프로그램은 2007년에서 2015년에 이르는 것으로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을 위한 7개의 미션을 포함하며 이 이후에는 2025년까지 장비 미
션인 Cosmic Vision이 ESA의 주요 우주과학 프로그램이 될 것임.
8) 유인우주활동
(55) ESA의 ISS예산분배는 ESA의 가장 큰 예산의 하나로서 2006년 기준 14%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지구탐사와 같은 비중이며 발사체 개발 다음으로 큰 비
중을 차지함.
(56) 2006년부터 우주탐사프로그램인 Aurora를 포함시켰는데 Aurora는 과거에 과
학프로그램이었지만 총 418백만 유로중 5천 2백만 유로를 유인우주프로그램
에 배정하였음.
(57) ESA의 ISS 탐험활동은 ATV(Arian Transportation Vehicle)의 개발에 중심을
두고 있음. 2004년 ESA는 EADA 우주수송사와 10억5천만 유로에 6기의 ATV
제작과 Columbus 운용준비를 할 수 있도록 계약되었는데 2007년에 Arian 5
에 의하여 첫 발사를 할 예정임. 이 첫 번째 ATV의 ISS 도킹이 성공하면 ESA
는 바로 ATV-2와 ATV-3을 발주할 예정임.
(58) NASA와의 교환거래 협약에 의하면 ESA는 매18개월마다 ATV를 발사할 것이
며 이는 발사체 포함 각각 2억 8천만 유로임.
(59) AURORA프로그램은 2001년 유럽이 미래 국제우주탐험의 주도권 확보를 목
적으로 시작되었으나 초기 자금문제로 ESA가 유인프로그램을 포기하고 로봇
탐험을 결정하면서 변질되었으며 프로그램의 계속에 대한 결정이 2005년 말
에 ExoMars라는 첫 번째 프로그램에 대하여 내려졌으며 이는 2006-2011년
사이에 6억 5천만불을 투입할 예정임.
9) 우주인프라스트럭처
(60) 중량급 발사능력의 확보, 저궤도(LEO)로의 수송능력의 확보 및 탑승원 수송
능력의 확보를 위해 아리안5의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 개발을 하고 있음.
(61) 1996년 6월에 수행된 아리안5의 발사는 관성유도시스템의 소프트웨어의 결
함에 의해 실패로 끝났음. 2호기의 발사가 1997년 10월에 되었지만, 제 1단
이 빠르게 연소 종료를 했기 때문에 위성의 투입궤도가 낮아, 부분적인 성공
에 머물렀음. 3호기의 발사는 1998년 10월에 실행되고 위성의 궤도 투입은
성공적으로 완료했음. 이것으로 아리안5의 시험발사 3회는 종료됐음. 1999년
12월에 성공리에 종료한 발사는 아리안5의 최초 상업발사로 자리 잡았음.
(62) 현재는 아리안5플러스라는 프로그램 하에, 단계적으로 아리안5의 능력증강을
도모하고, 2006년에는 현재의 약 2배의 발사능력을 가지는 아리안5/ECS-B
의 실용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음.
(63) 소형로켓인 베가의 개발이 1999년 5월의 각료급 이사회에 상의되었지만, 예
산화에 이르지 않고 보류처리가 되었음.
(64) ISS에 접근하기 위한 ATV의 개발을 실시하고 있음.
(65) ESA는 차세대발사체 준비를 위한 미래수송준비프로그램(FLPP)을 수행하고
있는데 2020년에 운영할 계획으로서 Intermediate Experimental Vehicle(IXV)
개발을 위한 연구 활동을 시작했으며 IXV는 2010년에 Vega 발사체에 의하여
발사될 예정인데 대기 재진입기술을 시험할 것임.
(66) 차세대 발사체는 다음의 3단계에 의하여 개발될 예정임.
(가) 2004-2007 : 재사용발사체(RLV)의 시스템 개념선정, 일회용 발사체(ELV)
의 비용감소
(나) 2007-2010 : 지상 및 비행시험을 통한 RLV의 검증, RLV와 ELV 개념의 비
교연구
(다) 2010-2013 : 개념의 최종선정 및 임무요구의 확정
사. 국제협력 정책
(67) 한국과의 국제협력
(가) ESA가 미국의 GPS위성에 대응하는 Galileo Project를 추진하면서부터 한국
과의 국제협력이 논의됨.
(나) 한국은 Galileo Project에 500만 유로를 출연하기로 하고 관련기술 공동개
발에 참여를 추진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