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회 아시아 태평양 지역 우주기관회의(APRSAF-18)의 개최결과에 대해
2011년 12월 21일
문부 과학성
연구개발국 참사관 소속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1. 제18회 아시아 태평양 지역 우주기관회의(APRSAF-18)의 개최 개요
(1) 일정·장소
2011년 12월 6~9일 싱가포르
(2) 주최(일본, 개최국과 공동 개최)
문부 과학성(MEXT),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싱가포르 우주기술협회(SSTA), 싱가포르 대학 리모트 센싱 센터(CRISP)
※후원: 내각관방 우주개발전략본부, 외부성
사이언스 센터 싱가포르
(3) 참가자
○ 각국의 정부 관계자, 우주기관 관계자 등
28개 국가·지역, 11개 국제 기관으로부터 약 280명이 출석
○ 공동 의장: (일본 측) 이케가미 우주개발위원회 위원장
(싱가포르 측) 환경청 부장관
(4) 회의의 구성·전체 테마
○ 구성: 전반 이틀 간은 분과회, 후반 이틀 간은 전체 회합
※지구관측 분과회, 통신 응용 이용 분과회, 우주환경 분과회 및 우주교육
보급 분과회 4개 분과회를 개최
○ 테마: 내일의 환경을 위한 지역 협력
2. 이번 회합의 개최 결과
(1) 기조강연 및 주요 보고 등
[이케가미 위원장의 기조강연]
이케가미 위원장은 싱가포르에서의 APRSAF-18 개최에 대한 감사 인사와
자연재해 시의 위성 이용과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참가 각국에 대
해 본 회의에 적극적인 참가와 APRSAF의 한 층 더 나은 발전에 대한 기
대를 표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참가 각국에 대해 올 3월의 동일본 대지진에서 위성 화상
제공을 포함한 지원에 대해 감사 인사를 건네고 일본의 지진 시 위성 이용
노하우 공유와 위성을 이용한 국제 방재 프로젝트 ‘Sentinel Asia’의 강화에
대한 공헌을 표명하였다. 또한 전회 회합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제안한 기
후 변동 initiative ‘ClimateR³’의 정식 시작 등 방재와 환경 분야에서의 국
제 협력 촉진을 표명하였다. 게다가 초소형 위성의 개발과 운용을 포함하여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우주 분야의 capacity building에 적극적으로 공
헌해 나가기로 표명하였다.
[싱가포르 경제 개발청 차관의 기조강연]
차관은 싱가포르에서 우주관련 산업은 새로운 중요 산업이며 올해 많은 자
연 재해가 발생한 것에 비추어 보아 Sentinel Asia가 매우 유용하였다고 말
하였다. 또한 싱가포르 기상청에서도 위성을 이용하고 있으며 올해 첫 싱가
포르가 제작한 위성으로서 Nanyang 공과대학의 위성 XSAT을 쏘아 올렸다
고 보고하였다.
[일본의 활동 보고]
JAXA 이사장은 최근의 JAXA 활동에 대해 보고하였다. 또한 전회 회합에
서 제시한 세 개의 제안에 따라 기후변동에 관한 대처, 아시아에서의 국제
우주정거장 ‘JEM’ 일본 실험모듈의 이용 촉진, 아시아에서의 ‘미치비키’의
공헌을 보고하고 APRSAF의 더 나은 발전을 위해 테스크 포스 설립을 제
안하였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특별 강연]
NASA의 오브라이언 국제국장은 국제 협력에 대한 NASA의 생각, 과제,
협력 협정 체결의 상황을 소개하였다. 또한 NASA가 전 세계 규모로 전개
하고 있는 에어로졸 로보틱 네트워크(AERONET)와 환경을 위한 지구 규모
의 학습 및 관측(GLOBE) 계획에 대한 아시아 나라들의 참여 상황, 아시아
에서의 지역 모니터링·시각화 시스템(SERVIR), 동남 아시아 대기권 구성·구
름·기후 커플링 연구(SEAC4RS)의 개요를 소개하였다.
[국제 기관 보고]
국제연합 우주공간 평화 이용 위원회(UNCOPUOS)는 COPUOS 설립 및
유인 비행 50주년 기념행사의 개최 결과와 우주 쓰레기 대응의 진척 상황
에 대해 보고하였다. 또한 차기 COPUOS 의장으로 호리카와 JAXA 기술참
여를 소개하였다. 국제 우주항행 연맹(IAF)이 처음으로 APRSAF에 참가하
여 아시아 지역 그룹의 설립을 포함한 활동 개요를 보고하였다. 이 밖에 국
제 연합 아시아 태평양 경제사회 위원회(UNESCAP)와 아세안 우주이용 소
위원회(ASEAN-SCOSA)는 활동상황을 보고하였다.
(2) 이번 회합의 주요 성과
[기후변동에 대한 대처]
전회 회합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제안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기후변동
정보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기후변동 initiative(Climate Change Regional
Readiness Review for Key climate missions(Climate R³))에 대해서는 오스
트레일리아 주도의 initiative로서 시작하기로 이번 회합에서 합의하였다.
기후변동에 따라오는 물 문제나 식량문제가 아시아에서의 공통 문제임을
인식하고 수해, 수자원 관리, 농업, 공중위생 등 물과 수도 수량의 파악 등
농업에 관계된 과제에 대한 우주기술 활용이 추천되었다. 특히 물, 농업 분
야에서의 우주기술 활용에 대해서는 아시아 지역에서 앞으로 개최할 국제
회의 등을 통해 의논하고 2012년에 개최하는 ‘국제연합 지속 가능한 개발
회의(리오+20)’, G20 회합 등에 대한 정보 제공을 촉진하는 것을 지지하였
다.
[JEM에서의 아시아 협력 추진 initiative의 시작]
아시아 지역에서의 2국간 협력을 통한 국제 우주정거장(ISS) ‘JEM’ 일본
실험모듈의 이용에 대해서는 ISS가 전 인류에게 가져 다 준 가치를 아시아
나라들이 공유하고 참가 기관을 명확히 한 후 더욱 협력할 수 있는 프로젝
트
창출을
추진하기
위해
‘JEM에서의
아시아
협력
추진
initiative’(Promotion of Asian Cooperation on Kibo/ISS(PACK-I))을 시작
하기로 합의하였다.
PACK-I에서는 JEM에서 실험 성과를 공유하고 JEM을 이용한 혀력을 확
대하기 위해 아시아 지역에서의 ISS의 이해촉진과 인재 육성 협력, JEM을
이용한 새로운 프로젝트와 이용 계획 등을 검토하기로 한다.
[우주비행사 이벤트 개최]
12월 8일, 유인 우주비행사 50주년을 기념하여 APRSAF-18의 사이드 이
벤트로서 우주비행사 회의(ASE) 등의 공동 개최를 통해 우주비행사 이벤트
를 개최하였다. 이 이벤트에는 UNCOPUOS 의장(루마니아), KAZCOSMOS
장관(카자흐스탄), Shukor 우주비행사(말레이시아), 노구치 우주비행사(일
본) 총 4명의 우주비행사가 참가하였다. 싱가포르 시민에게도 개방하여 참
가자가 총 약 100명 이었다.
의장의 인사에 이어 각각의 우주비행사가 자기의 우주비행 체험과 사회로
의 환원을 테마로 강연을 하였다. 또한 아시아 나라들의 우주비행사가 단결
하여 지역의 미래·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테마로 패널 토론을 가졌다.
장내에서도 유인 우주비행사가 세계 평화에 어떻게 공헌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활발한 질의가 있었다. 아시아 지역에서의 우주비행사 확대와 우주 개
발·이용이 상호 공헌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 앞으로도 ASE와 APRSAF
의 공동 개최를 통한 이와 같은 이벤트 개최를 제안하였다.
[기존 initiative의 진척]
① Sentinel Asia
2013년부터 개시할 STEP3 이행을 위해 지금까지의 STEP2의 활동을 계
승하면서 운영에 관한 더 나은 협력의 추진 및 지진해일, 홍수, 빙하호 결
괴 홍수, 산불에 관한 워킹 그룹의 활동 등을 통한 사전 준비와 재해를 줄
이는 단계로의 확대 등을 추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본 대지진에서의 위성 긴급 운용의 경험과 훈련을 보고하고
Sentinel Asia 등의 국제 협력 활동을 통한 정보 공유와 이용을 촉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② SAFE(우주기술을 이용한 환경 감시)
12월 5일에 워크샵을 개최하고 합성 개구 레이더 PALSAR 등을 이용한
스리랑카의 습지 관리가 새로운 시험적 실증 프로젝트로서 승인 받았다. 전
에 실시한 스리랑카의 PALSAR 등을 이용한 연안 침식 정보가 정부의 관
광개발과 환경 보전에 관한 지역 개발 계획 개정에 공헌하였음이 확인되었
다. 그리고 다음 SAFE 워크샵은 Climate R³와 공동으로 2012년 5월에 오
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하기로 하였다.
③ STAR 계획(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위성 기술)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기술자 및 연구자가 STAR 계획을 통해 일본의 대
학이 주도하는 UNIFORM에 참가하여 초소형 위성 개발에 관한 Capacity
Building이 STAR 계획에서 UNIFORM으로 원활하게 이행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또한 UNIFORM의 관계자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관계 기관에게
UNIFORM 참가를 권유 받았다.
[제19회 아시아 태평양 지역 우주기관회의의 개최]
다음 APRSAF-19에 대해 말레이시아가 개최를 희망하였고 참가국이 이를
승인하였다. 2012년 12월 11일부터 14일까지 말레이시아 Kuala Lumpur에
서 개최할 예정이다.
3. 앞으로의 방향성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로켓의 개발·발사, 위성의 개발·운용을 스스로 실시
하는 나라, 타국 기업으로부터 위성을 조달하고 그 운용을 실시하는 나라, 타국
기업으로부터 위성 데이터를 구입하는 나라, 거의 우주활동의 실적이 없는 나라
등 그 보유한 기술의 성숙도와 활동형태는 다양하다. 또한 이 지역에서는 자연
재해와 기후변동의 영향을 받기 쉬운 참가국은 이들 과제에 대한 대응에 우주
기술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신 우주기술의 이용과 개발 동향 등에 대한 정보 공유
를 주 목적으로 한 본 회합에서도 Sentinel Asia와 SAFE 등의 노력이 이루어
지는 등 본 지역의 다양성과 요구를 바탕으로 대응해 왔다. 게다가 다음 회합에
서는 일본의 동일본 대지진에서의 위성 이용 등의 경험을 공유하고 오스트레일
리아가 제안한 기후변동 initiative Climate R³이 정식으로 시작되는 등 적극적
인 노력을 하고 있다. 앞으로도 본 회합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발전과 과제
해결에 더욱 공헌할 수 있도록 APRSAF의 존재 방향에 대해 검토해 나갈 필요
가 있다.
APRSAF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발전과 번영으로 이어지는 것임에 유의하면
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어필과 네트워크의 구축 등을 통한 일본 우주 인
프라의 패키지를 통한 해외 전개에 대한 공헌을 포함하여 아시아 태평양 지역
에서의 일본 우주외교를 전개하고 이 지역의 보다 적극적인 참가와 요구를 수
용하기 위해 본 활동을 보다 더욱 발전·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다.
제18회 아시아 태평양 지역 우주기관회의(APRSAF-18) 참가기관 리스트
국가·지역(28)
일본
문부 과학성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국제 협력기구(JICA)
과학기술 진흥기구(JSPS)
일본 학술진흥회(JSPS)
정보통신연구기구
수산 종합 연구센터 국제 수산자원 연구소
교토 대학
후쿠야마 시립대학
도쿄 대학
와카야마 대학
아시아 방재센터
자치체 위성통신기구
사단법인 전파 산업회
차세대 우주 시스템 기술 연구조합
일반재단법인 리모트 센싱 기술센터(RESTEC)
재단법인 일본 우주포럼
유인 우주 시스템 주식회사(JAMSS)
니혼 전기 주식회사(NEC)
Sky perfect-JSAT 주식회사
후지쓰 주식회사
주식회사 Pasco
미쓰비시 스페이스 소프트웨어 주식회사
주식회사 미쓰비시 종합 연구소
미쓰비시 전기 주식회사
Electronic Systems Business Unit
호주
이노베이션 산업 과학 기술성
빅토리아 주 우주과학 교육센터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
Geoscience Australia
Symbios Communications
방글라데시
천체학회
Anushandhitshu Ghokro
캄보디아
수자원 기상성
캐나다
exactEarth
프랑스
프랑스 국립 우주센터(CNES)
독일
독일 항공우주센터(DLR)
Siemens Industry Software
Joerg Kreisel International Consultant
인도
인도 우주연구기관(ISRO)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국립 항공우주연구소(LAPAN)
국회(House of Representatives of the Republic of Indonesia)
국가 교육성
농업성
국토 지리원
Yogyakarta 특별주부
Bogor 농과대학
Gadjah Mada 대학
Bandung 공과대학
인도네시아 지속 가능 에너지 협회(Sustainable Energy Association of Indonesia)
이탈리아
토리노 공과대학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우주청
카자흐스탄 우주공사
천문 물리 연구소
전리권 연구소
우주 연구소(Space Research Institute)
JSC “National center of space research and technologies”
한국
한국 항공우주연구원
한국 전자통신연구원
Satrec Initiative
라오스
자연자원 환경성
우정 통신성
말레이시아
과학기술 개혁성(MOSTI)
말레이시아 우주청(ANGKASA)
말레이시아 리모트 센싱 청(ARSM)
Elite Solutions
몽골
정보통신기술 우정성(ICTPA)
환경정보센터
네팔
Core Engineering Technical Solution
뉴질랜드
Kiwispace Foundation
파키스탄
우주·상층대기 연구 위원회(SUPARCO)
기상국
필리핀
과학 기술성 과학교육 연구소
RSV Geoconsulting and Management Services
싱가포르
싱가포르 경제 개발청(EDB)
국가 환경청
기후변동 사무국(National Climate Change Secretariat)
싱가포르 과학기술 연구청
싱가포르 국토원
싱가포르 국립대학 리모트 센싱 센터(CRISP)
싱가포르 국립대학 열대 해양 과학 연구소(TMSI)
싱가포르 국립대학
방위 과학 기관 국립 연구소
싱가포르 우주기술협회(SSTA)
Nanyang 이공대학
SingTel
Spot Asia Pte Ltd
C2N Pte Ltd
SpeedB Pte Ltd
ST Electronics(Satellite Systems)
Startex Pte Ltd
LPEGA-O Consultancy
ENERGY UNI Resources Pte Ltd
스리랑카
연안 보호국
국토성
Arthur C Clarke 현대기술연구소(ACCIMT)
중앙 환경국
타이
타이 국가 연구평가회
Kasetsart 대학
SciTek Krungthep Co., Ltd
THAICOM Public Company Limited
터키
TURKSAT
영국
Surrey Satellite Technology 사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대사관
미국
국무성
미국 항공우주국(NASA)
미국 공군대학(USAF Air University)
Analytical Graphics 사(AGI)
GeoEye Inc.
Alliant Techsystems 사(ATK)
Global Enterprise Initiative
베트남
베트남 과학기술원 우주기술 연구소
베트남 과학기술원 호치민 자원 지리연구소
삼림자원 개발연구소
FPT 대학
대만
국립 응용기술 연구소 국가 우주 계획국
국제 기관(11개 기관)
아시아 개발 은행(ADB)
아시아 공과 대학원(AIT)
아시아 태평양 우주협력기구(APSCO)
아세안 우주이용 소위원회(ASEAN-SCOSA)
지구관측에 관한 정부간 회합 사무국(GEO)
국제 우주항행 연맹(IAF)
메콩강 위원회(MRC)
국제연합 우주공간 평화이용 위원회(UNCOPUOS)
국제연합 아시아 태평양 경제사회 위원회(UNESCAP)
국제연합 우주부(UNOOSA)
우주세대 자문 위원회(SGAC)
제18회 아시아 태평양 지역 우주기관회의(APRSAF-18) 권고
“내일의 환경을 위한 지역 협력”
2011년 12월 6-9일
in 싱가포르
APRSAF-18의 전체 테마로 ‘내일의 환경을 위한 지역 협력’을 인식하고
재해관리, 환경문제, 능력개발, 인간 생활의 향상, 건강 및 그 외 지역문제에 대응
하기 위한 지역 협력의 중요성 외, 우주이용에 입각한 지역적 문제를 인식하여
APRSAF-18 참가자는
<APRSAF Initiative>
[Sentinel Asia]
1. 2013년부터 개시하는 최종 단계 STEP3에 대한 이행에 대해 운용에 관한
더 나은 협력 추진, 그리고 지진해일, 홍수, 빙하호 결괴 홍수 및 삼림화재
에 대한 워킹그룹의 활동을 통한 사전 준비와 재해 감소 단계의 확대 등 새
로운 단계로 나아가는 것을 확인한다.
2. 동일본 대지진을 포함하여 긴급 운용에서의 교훈이 Sentinel Asia 등의 국
제 협력 활동을 통해 공유되고 이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SAFE](우주기술에 의한 환경 감시)
3. SAFE의 운용 망 영역(TOR) 개정에서 프로토타입의 성과 확인, 공유, 그리
고 실 이용에 도움을 주기 위한 이해관계자 회합의 개최 및 프로토타입의
중단/중지에 대한 룰을 정했는지 확인한다.
4. 스리랑카의 습지대에 관한 지도 작성과 그 변화 추출에 관한 신규 프로토타
입을 환영하고 두 가지 프로토타입의 성공 사례의 정보 공유를 추진한다.
[STAR 계획(아시아 태평양 지역 위성기술 프로그램)과 UNIFORM(대학 국제 포메
이션 미션)]
5. STAR 계획의 개시 이래 아시아 태평양 지역 6개 기관(ANGKASA,
GISTDA, ISRO, KARI, LAPAN, VAST/STI)에서 총 16명의 기술자 및 연구
자가 JAXA가 제공한 STAR 계획에 참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6.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기술자 및 연구자가 STAR 계획을 통해 UNIFORM에
참가하여 초소형 위성 개발을 통한 Capacity Building이 STAR 계획에서
UNIFORM으로 원활히 이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7.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초소형 위성 개발에 관심을 갖는 젊은 연구자 및 기
술자가 UNIFORM에 참가하도록 장려한다.
8. APRSAF 참가 각국의 UNIFORM 위성 개발에 대한 참가, 지상국 네트워크
에 대한 참가, UNIFORM 위성을 이용해 얻은 지구관측 데이터의 이용을 장
려한다.
[지구 관측]
(기후변동 대응에 대한 APRSAF의 지원)
9. 계속적인 새로운 기후변동 계획으로서 Climate R³의 채택을 확인한다.
(물 문제에서 지구관측 기술의 이용)
10.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기후변동으로 인해 따라오는 물 문제에 대해 우
주기술을 이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우주기술의 물 문제에 대한 이
용 및 정보 공유를 추진하기 위해 내년의 제2회 아시아 태평양 포럼에서의
기술 섹션을 국제연합 물과 위생에 관한 자문 위원회(UNSGAB) 외 관련 조
직과 조정하여 실시하도록 장려한다.
(식량 안전보장에서 지구관측 기술의 이용)
11. 지구관측에 관한 정부간 회합(GEO)을 통해 “전 지구 농업 모니터링(GEO-
GLAM)” 계획의 워크 플랜에 아시아의 쌀 수량 모니터링을 포함하도록 장
려한다.
[통신위성 이용]
12. 재해 시의 구조나 복구 활동에서 위성통신의 중요성과 유효성을 인식하고
지금까지의 활동에서 얻은 경험을 공유한다.
13. 선박 감시를 위한 위성 탑재 선박 자동식별 시스템(AIS)을 포함하여 통신위
성 이용의 확대를 목적으로 우주기관, 연구기관과 민간 사이에서 보다 활발
한 교류를 장려한다.
14. ‘미치비키’의 이용을 비롯한 최초의 멀티 위성 측위 시스템(GNSS) 공동 실
험의 채택 등 멀티 GNSS 모의 캠페인의 착실한 진척을 환영하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멀티 GNSS 공동실험의 더 나은 전개를 기대한다.
[우주교육 보급]
15. 청소년의 육성을 위해 물 로켓 대회, 포스터 그리기 대회, 교재의 충실, 다
른 WG과의 협력 등 계속적인 활동을 통해 우주교육의 촉진을 꾀하도록 한
다.
16. 인터넷과 미디어를 포함한 다양한 수단을 통해 우주교육 교재의 정보 공유
및 우주교육에 관한 단체 및 조직과의 협력을 통해 우주교육 보급 활동의
충실을 꾀하도록 한다.
[우주환경 이용]
17. JEM의 이용을 추진하기 위한 새로운 계획의 시작을 확인한다.
18. 지금까지 실시해 온 단백질 결정성장 실험, 아시아의 씨앗 프로젝트(SSAF)
2010-2011, 항공기 미소중력 실험, 두 나라간 JEM 이용에 드는 실현 가능
성 및 Try Zero G 활동의 성공을 바탕으로 우주환경 이용 워킹 그룹
(SEUWG)과 앞으로 시작할 새로운 계획의 활동을 통해 새로운 협력 프로젝
트를 창출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하길 바란다.
19. 작년에 시작한 SSAF 프로젝트에 참가한 우주기관 등에 대해 우주에서 되돌
아온 씨앗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프로젝트를 완료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길 바란다.
20. 이번에 개최한 우주환경 이용 분과회, 교육 보급 분과회 및 지구관측 분과
회와의 공동 섹션을 통해 확인한 재해감시와 지구환경 파악에 관한 국제 우
주정거장(ISS)에서의 지구관측의 중요성을 공유하고 이러한 이용을 강화하
길 바란다.
<APRSAF가 지원하는 프로그램 및 활동>
[아시아·오세아니아 멀티 GNSS 실증 실험]
21. 멀티 GNSS 모의 캠페인을 추진하는 국제 조직인 멀티 GNSS 아시아(MGA)
의 설립을 환영하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기관인 MGA에 대한 적극적인
참가를 장려한다.
[특별 이벤트: Asians in Space: Achievements of Human Spaceflight in Asian
Countries]
22. APRSAF 및 우주비행사 회의(ASE) 주최의 이벤트가 유인 비행 50주년을
기념하는 해에 아시아에서 열린 것을 환영한다.
23. 우주의 개발 및 이용과 아시아의 비행사가 이룩한 업적이 상호 공헌하고 있
음을 인식한다.
24. ASE에 대해 APRSAF-19 이후에도 이와 같은 이벤트를 APRSAF와 함께
공동 개최하는 것에 대해 고려하길 바란다.
<기타>
[국제 기관]
25. APRSAF의 공헌을 알아주는 UNESCAP, UNCOPUOS, ASEAN-SCOSA 및
IAF의 프리젠테이션을 환영하며 또한 정보를 더 많이 공유하기 위해 이들
기관이 APRSAF에 계속 참가하길 바란다.
[UNCOPUOS에 대한 보고]
26. UNCOPUOS 의장이 APRSAF-18의 결과를 2012년의 UNCOPUOS 등에
보고하길 기대한다.
[APRSAF 운용 강화를 위해]
27. 참가자와 참가국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과 APRSAF 계획 및 다른 공동 활동
에 의한 성과가 보여 주듯이 APRSAF가 성공리에 이루어져 온 것을 환영한
다.
28. APRSAF-19에 권고하기 위해 APRSAF의 성공이 계속되고 APRSAF가 더
욱 활발해 지도록 그 방법을 검토하기 위해 지금까지의 APRSAF 섹션의 경
험을 갖은 기관으로 이루어진 테스크포스 설치에 찬성한다.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