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우주개발 프로그램
1) 지구관측
(1) 본 우주정책에 있어서 주요 초점은 지구환경 기여로서 이를 위하여 여러 지구
관측 위성 7기를 운영하고, 3기를 개발 중에 있음
(2) JAXA는 지구기후변화관측을 목적으로 GCOM위성(2011년 발사예정)을 계획하
고 있으며 이 위성은 GEOSS(Global Earth Observation System of Satellite)
에 대한 일본의 기여차원에서 추진하는 것임. 이 위성은 ADOS프로그램의 연
속선에서 추진되는 것인데 ADEOS위성 2기는 궤도진입에 실패했으며 대형위
성의 재정적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GCOM은 크기를 ADEOS위성(3.5)보다 작
은 1.3톤으로 개발될 예정임
(3) “VISION 2025”의 한 부분으로 JAXA는 재난 및 위험관리를 위한 2개의 시스템
을 설립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음.
Ÿ
재난 및 위험관리를 위한 정보수집 및 경보시스템으로 관측위성과 통신위성을
통합하는 것임
Ÿ
탐사와 예측을 통합하는 지구환경감시 시스템으로 위성과 지상 탐사(비행기, 선
박 등)를 통합하는 시스템임
(4) 일본은 아시아지역의 정찰자료에 대해 기본적으로 미국시스템에 의존하고 있
는데, 1998년에 정찰임무의 지구관측위성 프로그램을 결정하였으며 이 프로그
램은 총리실의 내각에서 주관하고 있음
(5) 운영위성
온실가스 탐지위성
(GOSAT, "IBUKI")
지형관측위성
(ALOS, "DAICHI")
지구관측위성(AQUA)
with NASA
열대강우관측위성
(TRMM)
발사
2009. 1
발사
2006. 1
발사
2002. 5
발사
1997. 11
소형고기능과학위성
(INDEX, "REIMEI")
오로라관측위성
(EXOS-D, "Akebono")
자기권관측위성
(GEOTAIL)
발사
2005. 8
발사
1989. 2
발사
1992. 7
<그림 1> 지구관측 운영위성
(6) 개발위성
전세계강수관측위성
(GPM)
지구환경변동관측임무위성
(GCOM)
기후변동예측위성
(EarthCARE)
<그림 2> 지구관측 개발위성
가) 전세계강수관측위성(GPM)
(7) 지금까지 일본은 NASA(와)과 공동으로 열대 강우 관측 위성 「TRMM」으로
열대의 강우량의 관측을 실시해 왔음. 전세계강수관측위성(GPM)에서는 관측
범위를 고위도까지 넓혀 보다 고정밀․고빈도의 관측을 목표로 함
(8) GPM은
독특하고
복잡한
프로그램으로
2
주파
강수
레이더
(DPR:Dual-frequency Precipitation Radar)와 마이크로파 방사계를 탑재한 주
위성과 마이크로파 방사계를 탑재한 약 8개의 부위성군으로 구성되는 스케일
이 큰 관측 계획임. 일본(JAXA)와 미국(NASA)가 중심이 되어, 미국 해양대기
청(NOAA), 프랑스, 인도, 중국등과의 국제 협력으로 추진 중임
(9) JAXA는 위성의 발사와 정보통신연구기구(NICT)와 협력해 주위성에 탑재된는
DPR의 개발을 담당함. 주위성의 본체 및 주위성에 탑재되는 마이크로파 방사
계는 NASA가 개발을 담당함. 마이크로파 방사계를 탑재하는 부 위성군에 대해
서는 NASA, NOAA, 프랑스, 인도, 중국등의 기관이 개발을 담당함. 이들 복수
기의 부위성군에 의해, 약3시간 마다의 전지구 강수 관측이 가능하게 됨
나) 지구환경변동관측임무위성(GCOM)
(10) 「지구 환경 변동 관측 미션(GCOM: Global Change Observation Mission)」
은 지구 규모로의 기후 변동, 물순환 메카니즘을 해명하기 위해 전세계 규모
로 장기간(10~15년)의 관측을 계속해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그
데이터를 기후 변동의 연구나 기상 예측, 어업 등에 이용해 유효성을 실증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 위성임
(11) 물 순환 변화는 마이크로파 방사계를 탑재하는 물순환 변동 관측 위성
GCOM-W(Water)에 의해 관측될 것임. GCOM-W는 강수량, 수증기량, 해양
상의 풍속이나 수온, 육지의 수분량, 적설 심도 등을 관측함
(12) 기후 변동에 관한 관측은 다파장 광학 방사계를 탑재하는 기후 변동 관측 위
성 GCOM-C(Climate)에 의해 구름, 에어로졸, 바다색(해양생물), 식생, 설빙
등을 관측함. 이러한 위성군에 의해 구름을 포함한 대기, 육지, 해양으로부터
설빙권에 이르는 관측을 고빈도로 가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
음
다) 기후변동예측위성(EarthCARE)
(13) EarthCARE(Earth Clouds, Aerosols and Radiation Explorer)는 일본과 유럽
이 협력하고 개발을 진행시키는 지구 관측위성임. 4개의 센서(구름 프로파일
링 레이더, 대기 라이더, 다채널광학영상기 및 광대역 복사계)에 의해 구름,
에어로졸(대기중에 존재하는 먼지나 티끌 등의 미립자)의 전 지구적인 관측을
실시해, 기후 변동 예측의 정도 향상에 기여함
(14) EarthCARE 임무를 통해 지금까지 수행되지 않았던 구름 미립자들의 분포도,
수직방향의 에어로졸과 구름 미립자의 증감 속도측정을 위한 관측을 수행함.
이 임무수행을 통해 구름과 에어로졸 간 상호작용으로 인한 방사선 균형의 메
커니즘을 해명하고 기후변화 예측능력 향상이 기대됨
2) 지구과학
(15) 달 탐사는 일본의 주요 목표로서 과거에는 X-ray와 물리플라즈마 임무가 중
심이었던 것에 반해, 1998년 Planet B와 2003년의 소행성임무 위성인
Muses-C로 시작되는 심우주탐험으로 다양화 되었는데 Planet B인
“Nozomi”위성은 화성의 궤도에 도달하는데 실패했음
(16) 다음 세대의 우주탐사위성은 달 탐사를 위한 Selene (’07.12~’08.10)와 금성
궤도선회 위성인 Planet-C (2010년 발사예정)를 포함하고 있음
(17) JAXA의 비전은 인간의 달 탐사를 위한 기술개발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에는
정확한 착륙, 고능력의 통신과 우주태양전력 등이고 Selene-B로 달 착륙 임
무가 현재 연구 중에 있음. 종합적인 목표는 국제달기지 건설에 중요한 역할
을 수행하는 것임
(18) 달 탐사 이외에 우주과학의 두 번째 분야는 우주와 태양계의 탐사이며 JAXA
는 이와 관련된 기술을 개발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
(19) 운영위성 및 개발위성
소행성탐사위성
( M U S E S - C ,
"HAYABUSA")
금성탐사위성
( P L A N E T - C ,
"AKATSUKI")
수성탐사위성
(BepiColombo)
소형태양력발전실험위성
(IKAROS)
발사
2003. 5
발사
개발중
(2010.5예정)
발사
개발중
발사
개발중
(2010.5예정)
<그림 3> 지구과학 운영위성 및 개발위성
3) 천문관측위성
(20) 태양관측위성(SOLAR-B)는 SOLAR-A의 후계기로서 일본, 미국, 영국에 의해
공동 개발된 것으로 900kg의 SOLAR-B는 태양의 자기장을 관측하는데 사용
되는 가시광선, 극자외선, X선 장비들을 갖추고 있으며, 1991~2001년 사용
된 다국적 태양관측위성 SOLAR-A 이후에 나왔음
(21) ASTRO-F 우주망원경 사업은 일본 JAXA 산하의 우주과학연구소(ISAS)를 중
심으로 진행된 국제 공동연구 프로젝트로 우리나라 서울대학교, 일본 나고야
대학․도쿄대학, 정보통신 연구기구(NICT) 등과 유럽우주국(ESA), 유럽 6개 대
학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함
(22) ASTRO-EⅡ는 오다 미노르가 개발한 초대 X선 천문위성 ‘하쿠초’(1979년) 이
래 일본의 5대째 위성으로 세계 최초의 관측장치 ‘마이크로 칼로리미터’가 탑
재되어 절대영도(영하 273도) 가까이 냉각시킨 흡수체에 X선의 광자가 부딪
힐 때 발생하는 약간의 온도 상승을 포착하여 X선의 에너지양을 계측함
(23) ASTRO-G는 전파로 천체관측을 실시하는 과학위성으로 VSOP 계획의 성과
를 기반으로 한층 더 업그레이드한 계획으로서 VSOP-2계획이 검토되고 있
음. 이 계획은 전파망원경을 탑재한 인공위성을 우주에 쏘아 올려 고해상도의
천체관측을 구현하는 것임
(24) 일본은 고에너지 X선 실험과 중금속으로부터 방사되는 특정 X선 연구를 위한
고에너지 분해 X선 관측분야의 블랙홀 천문학 분야를 이끌어 왔음.
ASTRO-H는 10전자볼트에서 80전자볼트 사이의 중X선에서 더욱 감응 높은
관측을 수행할 수 있음. ASTRO-H가 많은 새로운 종류의 거대 블랙홀을 발견
할 것임
(25) 운영위성 및 개발위성
태양관측위성
(SOLAR-B, "HINODE")
적외선천문위성
(ASTRO-F, "AKARI")
X-선 천문위성
(ASTRO-EⅡ, "Suzaku")
발사
2006. 9
발사
2006. 2
발사
2005. 7
전파천문위성
(ASTRO-G)
X-선 천문위성
(ASTRO-H)
발사
개발중
발사
개발중
<그림 4> 천문관측위성
4) 유인우주비행
(26) 우주위원회(Council for Space and Technology Policy)가 2002년에 일본우
주개발에서 유인우주선 개발은 우선순위가 아니라고 발표했지만 우주탐험에
서의 새로운 비전들이 이 정책을 바꾸어 왔는데 “Vision 2025”에는 장기 계획
으로서 일본 유인 우주프로그램을 포함시켰음
(27) 국제우주정거장(ISS)프로그램을 통하여 일본은 유인우주비행에 필요한 기술
들을 축적하여 왔으며 일본이 참여하는 ISS 프로그램에는 JEM(Japanese
Experimental Module)개발, H-II 발사체(HTV) 및 화물이송발사체의 개발을
포함하고 있음
(28) JEM은 2009년에 조립이 완성되었으며, HTV-Ⅰ은 2009년 9월 발사, 11월 임무 종
료함
(29) JAXA는 또한 NASA측에 전달할 7억불 규모의 원심분리기시설을 개발해왔으
나 우주탐험을 지원하는 미소중력프로그램의 방향재설정으로 이 시설의 발사
에 대한 의문이 증가하였음
5) 통신 및 항법 위성
(30) 1990년대 중반까지 일본의 우주기관은 운영가능한 통신방송위성의 개발을 했
는데 지금은 실험위성의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음. 2002년에 데이터 릴레이
위성인 DRTS-E, 2005년에 광학궤도간 통신실험위성인 OICETS을 개발하여
그해 12월에 ESA위성인 Artemis와 교신을 성공하였으며, 초고속 데이터 처리
위성인 WINDS 개발하여 2008년 2월 발사하였음
(31) ETS-8위성과 QZSS위성과 함께 이 위성들은 의료와 교육분야에 적용될 초고
성능 자료처리 서비스를 위한 기술의 개발과 시연을 목적으로 하는 I-Space
프로젝트 안에 통합되어 질 것이며 “Vision 2025”의 한 부분으로서 갖춰야 할
재난 및 위험관리시스템에 이용될 것임
(32) 내무통신성에 의한 발표에 의하면 일본은 산악지대, 도서지방 및 원양수송장
비에 최고속도 100Mbps의 자료전송 및 수신이 가능한 광대역 위성을 개발하
기로 함
(33) 일본은 GPS신호의 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2개의 MTSat에 기반한 위성기반 보
정시스템인 MSAS(MTSat 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를 개발하
였는데 이 시스템은 유럽의 EGNOS나 미국의 WAAS와 같은 다른 지역의 보
정시스템과 상호운영이 가능함
(34) 지역 측위와 통신을 제공할 목적으로 Quazi-Zenith Satellite System(QZSS)
을 개발하고 있는데 이 프로젝트는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부담하여 참여하
는 것으로서 59개의 일본 기업들이 컨소시움 형태로 참여하고 있으며 4개의
정부부처가 참여하고 있음. 2006년에 시작한 이 프로젝트는 2010년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각각의 자금분담 계약이 성사되면 2개의 추가위성을 개
발하게 됨. 3기에 대한 약 14억7천만 미국달러의 비용이 소요될 이 위성은 정
부가 7억 8천만 미국달러를 지원하며 나머지는 기업 콘소시움에서 조달함
(35) 위성항법시스템위성(QZSS)의 1단계는 첫 번째 QZS-1인 "MICHIBIKI"를 활용
하여 GPS 성능, 성과 그리고 응용의 향상에 대한 기술적 증명을 시험할 것임.
이들 결과물을 평가하여, 계획은 QZS-1을 포함, 3개 QZS 위성을 활용하여
전체 시스템을 실증하는 2단계로 나갈 것임. JAXA는 고정밀 위치실험 시스템
과 QZS 버스시스템 그리고 추적관제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기관과 관련된
협력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 통합을 맡고 있음
(36) 운영위성 및 개발위성
초고속인터넷위성
(WINDS, "KIZUNA")
기술시험위성
(ETS-Ⅷ, KIKU No.8")
데이터중계기술위성
(DRTS, "KODAMA")
소형실험위성
(SDS-1)
발사
2008. 2
발사
2006. 12
발사
2002. 9
발사
2009. 1
실험측지위성
(EGS, "AJISAI")
위성항법시스템위성
(QZSS, “MICHIBIKI")
발사
1986. 8
발사
개발중
<그림 5> 유인우주비행위성
6) 우주수송
(37) 발사체와 궤도간 수송시스템의 개발은 우주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
는 능력을 획득하기 위한 향후 20년의 목표에 포함됨. 이미 사용가능한 우주
발사체를 소유한 일본은 안전한 인류수송능력을 갖춘 재사용 가능한 우주수
송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다음 단계가 될 것임
(38) NASDA는 정지궤도 위성을 충분히 발사할 목적으로 1984년부터 H-II프로그
램을 착수했으며 H-IIA 발사체는 4톤의 정지궤도위성을 궤도에 올릴 수 있는
능력이 있음. 2003년에 H-IIA는 6번째 발사에서 1쌍의 제2차 정보수집위성
(IGS)을 탑재하였으나 발사에 실패했으며 2005년 2월에 MTSat-1R을 성공적
으로 궤도에 올려놓았음
(39) 미스비시중공업은 현재 8천만 미국달러인 발사체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설계
를 새로이 하고 수송능력을 정지궤도는 처음에는 6톤, 그 다음에는 8톤을 수
송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으며 2008년 또는 2009년에 발사하게 되는데 이
발사체는 16.5톤의 저궤도 위성이나 HTV위성을 수송할 수 있는 능력임
(40) 비용을 감소시키고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도로 우주위원회(SAC)는 H-II프
로그램을 민영화하기로 결정하고 H-IIA Launch Service라는 회사를 설립하여
2007년부터 운영하여 발사체 개발을 책임지고 JAXA는 개량과 변경을 계속 담당
하기로 함
(41) H-IIA프로그램에 대한 지원 이외에, HTV 개발운영과 고속항공기의 연구개발
경험을 통하여 확보된 기술로 재사용 가능한 발사체에 대한 기술시연을 위한
단계를 밟고 있으며 러시아의 소유즈 우주선을 대체할 Clipper프로그램의 참
여를 고려하고 있음
7) 우주인프라스트럭쳐
가) 본사 초후 우주센터
(42) 역할
(가) 다양한 대형 시험 설비 시설이 정비되어 있으며, JAXA 내외의 연구 개발에
널리 이용
(나) 풍동 및 슈퍼 컴퓨터 등의 시험 설비는 일본 최대
(다) 정보 기술 개발 협력 센터는 방대한 계산을 수행하는 슈퍼 컴퓨터가 도입되
고,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초음속 실험기이나 우주선 등의 설계 및 분석
을 수행하고, 또 기체의 진동, 엔진의 연소와 같은 현상을 해명하기위한 프
로그램도 개발
(43) 주요시설
(가) 1.27 미터 극초음속 풍동
(나) 초음파 엔진 시험 시설
(다) 수치 시뮬레이션 기능
(라) 비행 시뮬레이터 기능
나) 츠쿠바 우주센터 (구 우주개발사업단, NASDA)
(44) 1972년에 설립되었으며, 츠쿠바 과학단지에 위치
(45) 인공 위성과 로켓 등 미래의 우주선 연구 개발 및 개발 시험, 그리고 쏘아 올
린 인공 위성 추적 관제하는 역할을 담당
(46) 국제 우주 정거장 계획을 위한 "키보"일본 실험동 개발과 시험, 우주 비행사
훈련 등을 실시
(47) 우주 수송 임무 본부, 우주 이용 권한 본부, 연구 개발 본부, 유인 우주 환경
이용 업무 사령부, 우주 과학 연구 본부의 한 부분 상주
(48) 주요 시설
(가) 종합환경시험동 (인공위성 시험시설)
① 대형진동시험설비
(나) 우주정거장시험동
(다) 무중력환경시험동
(라) 진공재료 표면특성 시험 설비
(49) 53 ha의 면적에 1,000명의 정규직과 2,000명의 계약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로켓과 위성의 개발과 실험, 발사 후 위성의 추적과 제어, 우주인의 기본훈련
에 중점을 두고 있음. 주요 시설은 개발과 실험, 추적과 제어, 우주비행사 훈
련, 기반시설로 나누어져 있음
다) 항공우주센터 (구 항공우주연구소, NAL)
(50) 1995년에 설립된 이 기관은 ‘01년 독립행정기구로 재구축되었으며, 2002년
을 기준으로 인력 409명, 예산 2,290억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항공우주기
술에 대한 선행 및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위성분야에서는 베어링, 이
온엔진 등에 관한 기본기술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로켓분야에서는 액체엔
진용 기본기술연구(LE-5, 7에 이용된 액체산소터보펌프개발, 연소기의 점화
특성에 관한 연구)와 재사용 우주운송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음
(51) 주요 사업분야는 항공사업, 우주기술사업, 대형시험시설, 기본연구로 구성되
어 있음
(52) 항공연구에 관한 정책방향 및 계획수립
(가) 시장중심 사업 및 활동 : 30-50인승 비행기개발 등 일본항공산업 지원, 중
단기 및 중장기전략 목표의 최적화, 내.외부사업 지원, 산.학 협력 및 협동,
품질관리, 내.외부 위임에 의한 정기적 평가, 핵심우위 역량
(나) 지역운송과 청정팬엔진, 항공안전과 환경보완성, CFD에 기반을 둔 항공기
설계기술, 초음속비행기, 성층권비행선, 혁신개념과 기술, 공력/재료와 구조
/제어/추진, 풍동시험기술, 슈퍼컴퓨터 시뮬레이션기술, 복합재 시험, 데이
터베이스와 신소재, 엔진부품과 시스템평가, 비행시험 등
(다) 우주기술프로그램 : 미래우주수송시스템과 초음속엔진, 주요 부품시현과 증
명, 에너지위성시스템, 액체 및 고체로켓엔진기술, 엔진신뢰성, 시스템기능
평가, 주요전기기술, 우주파편, 전기추진, 윤활, 달착륙기술 및 기술이전, 특
허, 품질, 기술정책 등
라) 우주과학연구소(ISAS)
(53) 1964년에 설립된 이 기관은 ’81년 대학 간 연구소로 재구축되었으며, 2002년
을 기준으로 인력 291명, 예산 2,260억원으로 구성되어 있음
(54) 주요 역할은 우주과학에 관련한 학문연구 및 대학원 교육을 통한 인력훈련을
수행하고 있으며, 위성분야에서는 지적미개척분야의 확장(개발된 주요 중급위
성 : X-선 천체위성, 태양관측위성, 화성탐사 등)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으며,
로켓분야에서는 M-V 발사체(1.8톤의 탑재체를 저궤도에 1.8톤의 탑재체를
250m급 저궤도에 진입시키는 능력을 가진 과학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중급
로켓), 고체연료로켓(소형 관측로켓)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음
(가) 특히, 소형 관측로켓사업은 차세대로켓개발을 위한 중요한 사업이라고 평가
함
마) 타네가시마 우주센터 (TNSC)
(55) 1969년 구 NASDA의 발족과 함께 설립
(56) 총 면적 약 970 만 평방 미터에 달하는 일본 최대의 로켓 발사
(57) 역할
(가) 로켓의 조립에서 발사까지, 그리고 인공 위성의 최종 검사에서 로켓에 탑재
까지 실시
(나) 로켓이나 인공 위성의 발사를 담당하는 시설
(58) 주요시설
(가) 소형 로켓 발사를 중심으로하는 다케사키 발사장
(나) H - IIA 로켓 발사를 중심으로하는 오사키 발사장
(다) 마스다 우주 커뮤니케이션
(라) 우주 오카 레이더 스테이션 "광학 관측소 "
(마) 액체 로켓 엔진과 고체 로켓의 지상 연소 시험 등을 실시하는 개발 관련 시
설
바) 우치노우라 우주센터 (USC)
(59) 역사
(가) 1962년 도쿄 대학 생산 기술 연구소의 부대 시설로, 가고시마현 우치노우라
에 설치
(나) 도쿄 대학 우주 항공 연구소의 설립에 의해 1964 년 그 부속 시설로, 1981
년 문부성 우주 과학 연구소 (ISAS) 함께 독립 연구 기관 가고시마 우주 관
측소 (KSC)로 존재
(다) 그러나, 우주 항공 연구 개발기구 (JAXA)에 통합됨에 따라 우치노우라 우주
관측 장소로 개칭
(60) 역할
(가) 1970년, 일본 최초의 인공 위성 "오오스미"를 발사한 이후 주로 우주 과학
연구를 목적으로 한 많은 천문학 관측 위성과 행성 탐사선을 발사
(나) 중층 대기 및 우주 플라즈마 같은 연구를 위해, S 310 - 로켓과 S - 520
로켓 등의 관측 로켓 발사
(61) 주요시설
(가) 뮤로켓토 발사 시설
(나) 60 ㎝ 천체 망원경 카메라
(다) S밴드 및 X밴드 추적 안테나
(라) KS 센터 (발사센터)
사) 지구관측센터
(62) 1978년 10 월 하토야마에 설립
(63) 4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위성으로부터 정보를 수집
아) 카쿠다 우주센터
(64) 역할
(가) 인공 위성을 대기권 밖까지 운반하는 로켓의 핵심이 되는 엔진 연구 개발을
담당
(나) H - IIA 등 로켓에 탑재하는 액체 로켓 엔진의 연구 개발 및 시험
(다) 미래 우주 운송 시스템에 적용을 목표로 재사용가능한 로켓 엔진과 대기 비
행시 공기를 이용하는 복합 엔진 연구
자) 노시로 시험 센터
(65) 1962년 도쿄 대학 생산 기술 연구소 (현재 우주 과학 연구 본부)의 부속 연구
시설 중 하나인 노시로 로켓 실험장으로 개설
(66) 역할
(가) 과학 위성 및 우주 탐사선 발사에 사용되는 M 형 로켓이나 관측 로켓 로켓
모터 개발을 위한 각종 지상 연소 시험을 실시
(나) 엔진의 성능을 확인하기위한 시험 등을 실시
(다) 고체 추진제 로켓을 위한 시험 설비 외에, 미래고성능 엔진의 연구 개발 관
련 시험 시설이 완비
(라) 실험 센터는 JAXA의 우주 수송 임무 본부의 관리를 받음
(67) 주요시설
(가) 대형공기연소시험동
(나) 진공연소시험동
차) 그 외 지상장비센터
(68) 우수다 우주센터
(69) 카츠우라 우주통신센터
(70) 오키나와 우주통신센터
(71) 오가사와라 우주통신세터
카) 사가 미하라 캠퍼스
(72) 우주과학연구소의 핵심 부분으로서, 1989년 4 월에 개설
(73) 연구 관리동, 연구 센터, 그리고 로켓 인공 위성 탑재 기기의 기초 개발 및 시
험을 실시하는 특수 실험동 등이 설치
(74) 과학 위성과 행성 탐사선을 발사, 태양 활동과 월 행성, 블랙홀, 은하의 형성
등 우주에 관한 수수께끼의 풀이에 초점
타) 타네가시마 우주센터
(75) 일본 남단 종자도의 동남단 260만평의 부지로 우주발사장의 기본 시설들을
갖추고 있음. 소형, 중·대형 로켓 발사대 및 통신소, 레이더 추적소 및 EOTS
등이며 항시 근무인원은 JAXA에서 60명, 관련업체 400명임.
8) 종합 우주 프로그램
가) 이동 장치에 집중될 가능성이 있는 SatCom 관련 투자
(76) 2008년 초 WINDS 위성을 완성해 발사한 후 SatCom은 JAXA 전체 예산의 적
은 부분(2%)을 차지했음.
(77) 지난 10년간 일본은 실험 통신 위성, 자료 중계를 위한 2002년의 DRTS 발
사, 2005년의 광학 위성 간 통신을 위한 OICETS, 초고속 데이터 통신을 위한
WINDS(155Mbps)에 초점을 맞췄음. 이 통신은 ETS-8 기술 위성(2006년 12
월에 발사) 및 Quasi-Zenith 위성 항법 시스템과 함께 의료/교육 부문에 적용
된 초고속 데이터 전송 멀티캐스팅 서비스를 위한 기술 개발 및 검증을 목표
로 하는 i-Space 프로젝트의 일부임. 또한 이는 기본 우주 계획에서 우선순
위가 높은 재난 및 위기 관리 부문에 사용될 수도 있음.
(78) 현재의 활동은 36가지 기술 실험과 53가지 응용 실험을 포함한 WINDS 사용
에 집중되어 있음. 위성은 아시아 전역에 걸쳐 고속 인터넷 접근권(최대
1.2Gbps)을 제공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음. 이동 통신에 대한 실험은 ETS-8
을 이용해 실행되는 반면, NICT는 양방향 레이저 기술을 이용해 독일
TerraSAR-X 위성 및 지상 기지국 간 자료 교환을 연구하고 있음.
(79) 미래 활동은 이동 통신을 우선시할 가능성이 있음. 미래 작전상 MSS 임무에
필요한 궤도 내 기술을 검증하기 위해 발사된 ETS-8 이후 ETS-9를 10년 안
에 배치해 재난 발생 시 통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임. 한 가지 가능한 방법이
지상 이동 통신 시스템을 실행할 수 있는 STICS 임무(위성/지상 통합 이동 통
신 시스템, S-밴드)임.
(80) 2013년에는 DRTS의 교체도 계획되어 있음.
나) 여전히 불확실한 QZSS의 실행
(81) JAXA는 2007년에 QZSS(Quasi-Zenith 위성 시스템)에 30억 엔의 자금을 지
원하기 시작했음. 2009년에는 예산이 90억 엔으로 늘어났는데, 이 금액은 우
주국 예산의 5%를 차지함.
(82) 정부에서는 QZSS와 미국 GPS를 결합해 위치 확인을 고도로 정확하게 증진
시키고 개인 항법 시스템 같은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 예정임. 시스템 설계는
일본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사용자들에게 최적화되어 있음.
(83) 프로그램은 정치적 논쟁에 휘말려 자금 지원이 불확실했음. 프로그램에 참여
한 4개 부처 가운데 재정 책임을 맡겠다고 동의한 곳은 한 곳도 없었으며, 정
부는 프로젝트에 자금을 공동 지원할 민간 파트너를 찾을 수 없었음. 결국 첫
번째 QZSS 위성 및 관련 지상 부문은 100% JAXA에서 자금을 지원해 개발했
음. 위성은 2010년에 발사될 것임. 위치 확인 연구 센터 컨소시엄은 시스템의
상업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업무를 담당할 예정임.
(84) 하지만 일본 정부가 첫 번째 검증 위성에 대해서만 자금을 지불하기로 약속했
기 때문에 QZSS의 실행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임. 계획된 위성군의 나머지
위성(운영 위성 6대 중 2대)에 대한 자금 지원은 2011년에 결정될 것임. 3개
위성으로 이루어진 위성군은 12년 동안 운영하는 데 필요한 자금 500억 엔을
포함해 2,100억 엔(US$22억 달러)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됨.
(85) 항공 교통 관제의 경우, 교통성 민간 항공국이 2개의 MTSAT 위성에 대한 항
행 탑재장비를 관리함.
다) 환경 문제를 우려하고 있는 일본
(86) 지구 관측 부문의 예산은 2004~2009년(1% CAGR)에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
했으며, 2009에는 JAXA의 전체 예산 가운데 10%를 차지했음. 지구 관측은
우주국의 세 번째 투자 분야임.
(87) 지구 환경 문제와 나아가 재난 관리에 대한 출자는 일본 우주 정책의 주요 관
심 사항임. 지구 관측 프로그램의 10개년 목표는 식량, 자원 및 에너지의 안
정적인 공급과 재난 관리, 토지 보호 및 관리 같은 아시아의 공공 안전에 기여하
는 것임.
(88) 2009년에 온실효과 가스를 관측하기 위해 GOSAT를 발사한 후, JAXA는
GCOM(지구 변화 관측 임무) 및 포스트-ALOS 프로그램에 대해 연구하고 있
음. GCOM는 ADEOS 프로그램의 연속선상에서 2011년과 2014년에 발사될
2대의 위성과 함께 GEOSS(전 지구 관측 시스템)에 대한 일본의 출자가 될
것임. 각 위성의 비용은 180억 엔(US$1억 8,900만 달러)이 될 것임. 포스트
-ALOS는 재난을 모니터링하고 예방하기 위해 2004년 발사된 ALOS-1의 연
속 발사체로, 2013년과 2014년에 발사될 위성 2대(레이더 및 광학 위성 각 1
대)로 구성될 것임. 두 프로그램은 모두 선행 위성보다 규모가 작은 위성을 사
용할 것임.
(89) JAXA 외에 MITI도 EO 프로젝트에 대해 연구하고 있음. 동남아시아 지역의 농
업, 자연 자원 보호, 환경 보호 및 삼림 자원 관리 분야에 잠재적인 응용력이
있는 ALOS-3 광학 센서를 2대 개발하고 있음. 이뿐만 아니라, 해당 부처에서
는 일본 최초의 상업 영상 위성(ASNARO)의 개발에 대한 자금을 지원(NEDO
개발을 통해)하고 있음.
(90) 일본은 적극적인 협력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음.
(가) 기후 변화를 연구하기 위한 Sentinel Asia(자연재해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APRSAF 프로그램) & Safe에 참여. STAR 프로그램의 일환(기술 부문 참고)
으로, 육지와 해양을 모니터하기 위해 EOSTAR 임무(300~500kg)를 연구
중임.
(나) 위성 지원 재난 모니터링에 대한 독일 DLR와의 협력(DLR 및 JAXA 위성 시
스템 사용)
(다) TRMM의 연속선상에 놓인 GPM(글로벌 강수 임무)에 대해 NASA와 협력.
일본은 핵심 우주선에 필요한 레이더 장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2013년
에 H2를 통해 발사됨.
(라) 구름 프로파일링 레이더를 제공하는 EarthCARE(2013년)에 대해 ESA와 협
력.
(91) 기상은 일본 기상청(JMA)을 통해 일본 교통성이 책임을 맡고 있음. 이 교통성
의 예산은 2009회계연도에 115억 엔이었는데, 이 금액은 2008년의 44억 엔
에서 증가한 것임. MTSAT 정지 궤도 위성 2대가 2005~2006(MTSAT-1R &
MTSAT-2)년에 발사되었으며, 이 위성들은 항법 서비스도 제공함. 시스템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30개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자료는 재난 관리 및 환경
보존을 위한 Sentinel Asia 아시아 네트워크에서 이용할 수 있음. MTSAT-1R
는 2010년에 교체될 예정임. 그 이후 위성의 수명이 연장(5년이 아닌 8년)될
것이며, 이 위성들은 2014~2016년에 발사될 것임.
라) 다양한 과학 프로그램
(92) 지난 6년간 우주 과학 분야의 예산은 안정적(1% GAGR)이었으며, 2009년에
는 JAXA 예산의 9%를 차지했음.
(93) 일본은 국립천문대와 대학교에 대규모 과학 공동체를 보유하고 있으며, 천문
학, 행성 탐사 및 로봇공학 분야에 핵심적인 역량을 갖추고 있음. 향후 몇 년
간 JAXA는 주요한 과학 임무(예: 금성 및 수성 탐사)와 천문학적 X선 관측 작
업을 실행할 예정임.
(94) 행성 탐사에서 이룩한 업적에는 2003년의 뮤지스-C(Muses-C) "하야부사
(Hayabusa)"(소행성)와 2006년의 솔라 B(Solar B)(태양), 2007년의 셀레네
(Selene)(달) 등이 있음. 해당 프로그램은 2010년의 플래닛-C(Planet-C),
2014년의 베피콜롬보(BepiColombo), ESA(수성)와 함께 계속될 것임. 다음
10년 가운데 절반 5년 동안에는 하야부사와 SCOPE(지구 자기권에 대한 다척
도(multi-scale) 관측) 후속 프로그램(소규모 임무)의 실시를 고려하고 있음.
(95) 천문학 임무는 2003년에 ASTRO A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그 뒤를 이어 네 가
지 다른 x선 임무가 진행되었음(마지막 임무가 2005년에 있었던 ASTRO E).
2006년의 ASTRO F는 적외선 임무(다음 10년 중 절반인 5년 동안 SPICA와
함께 계속될 수 있음)였으며, ASTRO G(2012년)는 무선 천문 위성이 될 것
임. 또 다른 x선 임무는 ASTRO H를 이용해 2013년에 실시할 계획임.
(96) 일본의 과학 프로그램은 태양 범선을 이용해 목성 탐사 시 성취 가능한 임무
를 준비하기 위해 이카로스(Ikaros)와 함께 2010년에 시작되는 소규모 임무를
통해 실행할 예정임. EXCEED(2012년)와 FFAST(2014년)를 포함해 5년마다
3가지 임무가 이어질 것임. 이러한 임무에는 NEC에서 개발, 200kg의 탑재장
비를 운반할 수 있는 소형 플랫폼(SPRINT, 200kg)을 사용할 예정임. 소형 위
성 시리즈를 계속해서 생산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서는 기본 우주 계획에 분
명히 나와 있음.
(97) 탐사는 일본 과학 프로그램의 새로운 주제이긴 하지만 장기적인 우선 과제에
서 높은 순위를 점하고 있음. 2009년에 우주부 장관 산하로 설립된 달 탐사
위원회는 2010년에 발표될 장기 전략을 연구하고 있음. 받아들이게 될 여러
가지 주요 결정 사항에는 미래 탐사 임무의 체계(국내외) 등이 포함되어 있음.
마) 달 탐사를 위한 일본의 예비 계획
(98) 일본의 달 탐사는 다음과 같은 4단계로 실행될 것임.
(가) 셀레네-2(2015년): 기술(착륙, 로버...) 시험 및 달 연구(자원의 탐사 가능성
포함). 동시에 정확하게 착륙(100m 범위 이내)한다는 목표에 따라 실험 착
륙선(SLIM)을 연구 중임.
(나) 2020년경, 사람인 우주 비행사 대신 다리가 2개 달린 로봇을 이용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지는 로봇 탐사. 가능한 표본은 셀레네-X와 함께 되돌아옴.
(다) 2020년 이후 달 전초지를 이용해 사람인 우주 비행사와 로봇이 함께 실시
하는 공동 탐사
(라) 2030년: 국제 협력을 통해 건설하는 극지 기지
바) 소형 위성을 이용한 기술 검증
(99) 기술 프로그램(항공 우주 R&D 제외)은 우주 적용 분야에 부여된 우선순위가
낮아 최근 몇 년간 자금을 적게 지원받았음. 2009년에는 이러한 예산 항목이
JAXA 예산의 7%를 차지함.
(100) 현재 JAXA 전략은 위험을 최소화하고 협력을 발전시키기 위해 소형 위성을
이용, 궤도에서 신속하게 기술을 검증하는 것임.
(101) 궤도 검증은 2009년에 발사된 첫 번째 위성과 SDS(소형 검증 위성)을 통해
실현됨. 또한 USEF(METI의 일부)를 사용해 SERVIS와 함께 우주에서의
COTS(Components Off The Shelf) 이용 가능성을 시험함. 2003년에
SERVIS-1이 발사되었으며, 그 뒤를 이어 SERVIS-2가 2010년에 발사될 예
정임. 전반적으로 소형 기술 검증 위성은 2013년부터 매년 발사될 계획임.
또한 정부가 H-IIA에서 자유롭게 발사하도록 대학교와 일본 SME에 권고하
고 있기 때문에, 매년 마이크로/나노 위성이 몇 대 발사되었음. 해당 프로그
램은 JAXA 산업 협력 부서가 주도함.
(102) 일본은 저탄소 사회로 변화하려는 노력에 맞춰 우주 태양력 프로그램을 검
토 중임. 이 프로그램은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목표
를 두고 있음. 우주에 저장된 전기를 지구 네트워크로 무선 전송하는 기술의
궤도 내 검증은 JEM 또는 미니 위성을 사용해 2012년부터 시작할 계획임.
(103) 2009년 중반 JAXA가 기술 지식을 이전하기 위해 시작한 STAR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아시아 여러 국가1와의 협력을 증진하고 있음. 공동으로 실시 가능
한 지구 관측 소형 임무를 시작하기 전에 다목적 마이크로 위성(마이크로
-STAR, 50~100kg)을 제작, 2012년경에 발사할 예정임.
사) 아직 결정되지 않은 독자적인 유인 비행
(104) 유인 우주 비행은 정부가 민간 우주 활동에 지출하는 첫 번째 분야로, 그 규
모는 2009년 JAXA 예산의 21%에 해당했음.
(105) ISS에 대한 일본의 출자금은 주로 일본 실험 모듈(JEM) 또는
"Kibo"(2008~2009년, 세 개 부분에서 조립된 최대 규모의 단일 모듈) 및
H-II 수송체(HTV, 재공급 임무에 쓰이는 화물 수송 발사체)를 개발하는 일로
구성되어 있었음. JEM에는 US$10억 달러의 비용이 소요되고, 1997년에 시
작된 HTV 프로그램에는 US$6억 8,000만 달러의 비용이 소요됨. 각 HTV 비
용은 US$2억 2,000만 달러에 이름. HTV는 우주 정거장에 최대 6톤의 보급
품을 운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음. 첫 번째 비행은 2009년에 실시했으
며, 2015년까지 매년 1회의 비행이 계획되어 있음. 2015년 이후에도 계속
운영될 가능성이 있음.
(106) 일본이 독자적인 유인 비행 활동을 하기로 결정한 것은 아니지만, JAXA에서
는 핵심 관련 기술을 연구하고 있음. 회수형 캡슐이 장착된 유인
HTV(HTV-R)는 2015~2020년을 목표로 연구 중임.
(107) JEM에 대한 실험은 자재, 생명 과학, 우주 의학 및 단백질 결정 성장의 네
가지 우선 사업과 함께 2008년 8월에 시작되었음. JAXA는 2016년 이후에도
JEM를 계속 운영해 회수율을 극대화하고 기술 개발(미래의 유인 활동을 위
한 기술 검증 및 자료 입수, 차세대 우주선을 위한 첨단 기술 검증)을 위한
시험대로 사용하고자 함.
(108) JEM 외에 대기 재진입 기능을 갖추고 있고 USEF가 운영하는 자동 플랫폼인
USERS 실험을 실시할 가능성이 있음. 비행은 2002년에 한 번 있었음.
아) 발사 시스템의 비용 감축 목표
(109) 발사체 개발은 민간 우주 부문에 관한 일본의 두 번째 투자 분야임. 이 분야
는 H-IIB의 개발과 관련해 지난 6년간 12% CAGR를 사용, 2009년 JAXA 예
산의 19%를 차지했음.
(110) 기본 우주 계획에서는 우주에 대한 접근에 관해 제안하고 있지 않지만,
H-IIA 신뢰성에 대해서는 보다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 발사체는 2007년에
민영화되어 지금은 MHI가 운영하고 있지만, JAXA는 계속해서 개선하고 현
대화하는 작업에 자금을 지원해 상업화를 돕고 있음. 우주국 및 업계의 노력
은 현재의 시스템 비용과 발사체의 주문에서 발사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단
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 2009년 1월에는 H-IIA가 피기백(piggyback)
탑재장비로 2011년에 Kompsat-3을 발사하기 위한 첫 번째 계약을 체결했
음. 해당 발사체는 2008년부터 보조 탑재장비에 이용할 수 있게 되었음.
(111) H-IIA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H-IIB의 목표는 ISS에 HTV를 발사하는 것과 발
사체의 범위를 확대하는 두 가지임. H-IIB는 HTV-1과 함께 2009년 9월에
첫 비행을 했음. H-IIB는 LEO(H-IIA의 11~12톤과 비교)의 경우 16.5톤,
GTO(H-IIA의 경우 5.7톤)에서는 최대 8톤을 발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음.
(112) JAXA의 다음 단계는 일본 과학 위성(LEO까지 1.8톤)을 발사하는 데 사용된
고체 추진 발사체 M-V의 후계 위성을 개발하는 것임. 대체 발사체는 ASR
(첨단 고체 로켓)이므로, 발사 절차를 간소화(신속하기 발사하기 위함)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 ASR는 US$3,000만 달러의 비용
(발사당 약 1/3의 비용으로 선행 발사체인 MV의 1/3)으로 LEO까지 1.2톤을
발사할 수 있도록 설계될 것임. 완전한 개발은 2012~2013년에 처녀 비행을
목표로 2010년에 시작할 예정임.
(113) 또한 JAXA는 중간 규모 시장에 겨냥해 Galaxy Express가 개발한 상업용 발
사체인 GX에도 전력을 다했음. 일본 정부는 2/3에 해당하는 비용을 제공하
려고 했지만, 2009년에 프로젝트를 동결하기로 결정했음. 2010회계연도에
는 이 프로그램을 위한 자금이 지원되지 않고 있음.
9) 새로운 방위 프로그램
가) IGS를 이용해 안보 강화
(114) 정보 수집 위성(IGS) 시스템의 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예산은 지난 6년간 매
년 약 600억 엔으로 안정적이었음. 프로그램은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내각
사무처에서 자금을 지원받고 있지만 주요 기술 도급업자는 JAXA임. JAXA
내부에는 IGS 개발팀이 있음.
(115) 해당 프로그램은 북한이 일본 영토 위에 탄도 미사일을 발사한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1998년에 시작되었음. IGS 위성은 주로 국가 방위에 사용되지만
평화 유지 및 재난 구제 활동에 이용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음.
(116) IGS 위성군은 현재 광학 위성 2대와 레이더 영상 위성 2대로 구성되어 있
음. 광학 위성에 소요되는 비용은 발사를 포함해 약 580억 엔(US$6억 900
만 달러)임.
(117) MoD는 영상 해상도 및 수집 빈도를 기준으로 지상에 대한 광학 감시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우선순위를 두고 있음. IGS 위성은 24시간 이내에 지구의 일
정한 지점에 다시 도달할 수 있을 것임. 해상도는 IGS-Optic 5(2014년에 시
작)를 이용해 0.4m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해상도는 현재의 0.6m
에서 개선된 것임.
나) 새로운 관심 분야로서의 조기 경보 능력
(118) 기본 우주법을 통해 MoD는 “비공격적인” 경우에 제공되는 우주 방위 프로
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하고 있음. 일본은 국가 안보에서 위성이
수행하는 역할을 현재의 IGS 시스템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강화하려고 하고
있음.
(119) 주요 관심 분야는 조기 경보임. 독자적인 능력을 개발하는 경우 일본은 일정
수준 미국 시스템을 보완해 독자적으로 실행할 수 있을 것임. 조기 경보 센
서의 개발은 기본 우주 계획에서 두 가지 용도의 적용 분야로 권장됨.
(120) MoD가 언급한 다른 능력에는 전용 통신 위성과 신호 정보, 위성 보호 및 우
주 상황 인식이 포함됨. 현재 일본의 상업용 트랜스폰더 임대 계획은 외국의
평화 유지 배치 임무에 부적합한 것으로 여겨짐.
명 칭
발사일
위성의
수
주요
도급업체
주요
사용자
적용 분야
특
징
개발 중
플래닛-C
2010
1
JAXA
민간
과학
비너스 기후 궤도선(500kg)
SERVIS-2
2010
1
MELCO
민간
기술
기술 검증(980kg)
QZS-1
2010
1
MELCO
민간
SatNav
ETS-8 버스 기반의 검증 위성, 4,100kg
MTSAT-7
2010
1
MELCO
민간
기상학
MTSat-1R 교체
이카로스
2010
1
JAXA
민간
과학
태양 범선 검증 위성(직경 20m, 300kg)
SDS-2
2011
1
JAXA
민간
기술
기술 실험 위성(약 100kg)
ASNARO-1
2011
1
NEC
민간
지구 관측
전정색 촬영기(해상도 50cm)와 멀티스펙트럼
촬영기(해상도 2m)를 운반하는 광학 위성(450kg)
GCOM-W
2011
1
MELCO
민간
지구 관측
물의 순환을 연구하기 위한 ADEOS의 확장
IGS 광학-4
2011
1
MELCO
겸용
지구 관측
광학 정찰 위성(850kg), 해상도 60cm
IGS 레이더-3
2011
1
MELCO
겸용
지구 관측
레이더 정찰 위성(1,200kg), 해상도 3m
ASTRO G
2012
1
JAXA
민간
과학
전파 천문학. ETS-8와 유사한 안테나 사용
EXCEED
2012
1
JAXA
민간
과학
행성 관측(금성, 화성, 목성)용 소형 망원경
IGS 레이더-4
2012
1
MELCO
겸용
지구 관측
레이더 정찰 위성, 해상도 3m
IGS 시험
2012
1
MELCO
겸용
지구 관측
미래 위성을 위한 차세대 기술 검증
ALOS-2
2013
1
MELCO
민간
지구 관측
다양한 모드에서 작동하는 L-밴드 SAR. 해상도
1~3m. 225억 엔(US$2억 3,600만 달러)
(121) 주요 국가 프로그램
ALOS-3
2014
1
MELCO
민간
지구 관측
스테레오 전정색 촬영기(해상도 0.8m, JAXA 공급),
멀티스펙트럼 촬영기(해상도 5m) 및 초다분광
센서(해상도 30m)를 운반하는 광학 위성.
멀티스펙트럼 촬영기와 초다분광 센서는 METI가
공급할 예정임.
베피콜롬보(MMO)
2014
1
아스트리움
위성
민간
과학
ESA와 협력 사업인 화성 임무. 일본은 MMO(화성
자기권 궤도선)를 공급함.
GCOM-C
2014
1
MELCO
민간
지구 관측
기후 변화를 연구하기 위한 ADEOS의 확장
MTSAT-8&9
2014~2016
2
MELCO
민간
기상학
ETS-8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GEO의 기상
위성(3,500kg). 미국 기업인 ITT 스페이스
시스템즈가 제작한 센서를 운반할 예정임.
IGS 광학 -5
2014
1
MELCO
겸용
지구 관측
광학 정찰 위성, 해상도 0.4m
계획 중
ASTRO H
2013
1
미정
민간
과학
X-선 천문학(2.6t)
중계 위성
2013
1
미정
민간
Satcorn
DRTS 교체
ASNARO-2
2014
1
NEC
민간
지구 관측
레이더 위성
GOSAT-2
2014
1
미정
민간
지구 관측
GOSAT 후계 위성
FFAST
2014
2
미정
민간
과학
공식 비행 중인 X-선 위성(각각 200kg의 위성 2대)
하야부사-2
2014
2
미정
민간
과학
궤도선 및 임팩터 탐사선을 갖춘 소행성 탐사. 표본
반송
셀레네 2
2015
1
미정
민간
과학
로버를 갖춘 달 탐사
QZS-2&3
2015~2016
2
미정
민간
SatNav
작전 항행 위성
ETS-9
2017
1
미정
민간
Satcorn
MSS 임무(STICS)가 될 수 있을 것임.
멜로스
2017~2018
2
미정
민간
과학
착륙선-궤도선 공동 기능을 갖춘 화성 탐사
<표 1> 주요 국가 프로그램
가. 주요 우주개발 프로그램 로드맵
<그림 6> 일본 우주개발 로드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