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우주기본계획에 입각한 시책의 추진
(1) 우주기본계획에 입각한 시책의 추진계획
우주기본계획에 입각한 시책에 대해서는 내각의 우주개발전략본부 아래, 본부
사무국을 중심으로 관계부성이 하나가 되어 그 추진을 꾀한다. 또한 우주기본
법 부칙 규정에 준하여 내각관방에 설치한 우주개발전략본부 사무국의 기능을
내각부로 이관하고 행정조직 및 JAXA 등 우주개발이용에 관한 기관의 검토결
과를 바탕으로 필요한 법 개정 등을 준비한다.
(2) 시책 실시를 위해 필요한 예산·인원의 확보
검토 중
(3) 시책 실시상황의 follow up과 진척 공표
본 계획에 입각한 구체적인 시책의 실시상황에 대해서는 우주개발전략본부를
사령탑으로서 관계부성의 협력 아래 매년 follow up(시책의 진척상황 등에 관
한 조사)을 실시하고 그 결과는 인터넷 등을 통해 공표한다. 또한 follow up
결과와 연락회의서의 의견 등을 바탕으로 필요에 따라 본 계획을 재검토하고
시책의 실시내용을 재검토한다.
(4) 국제동향의 조사·분석기능의 강화
일본의 우주개발이용 추진에는 재해대응, 지구환경 등에 대한 국제적 요구와
해외 다른 나라의 요구 등을 파악하여 실효성 있는 국제공헌으로 이어져야 한
다. 또한 세계를 리드하는 과학적 성과의 창출과 외국과의 협력 관점에서도 해
외의 우주개발이용 동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인공위성, 로켓, 위성
으로 취득한 데이터의 이용 등 여러 갈래로 뻗은 일본 우주산업의 국제 경쟁
력 강화 관점에서 다른 우주 선진국의 우주개발이용 동향, 우주개발이용의 확
대와 해외로의 전개, 개발도상국의 우주개발이용의 잠재적 요구를 비롯한 국제
동향에 대한 파악도 중요하다.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다른 나라의 우주개발이용 동향의 조사 및 분석
기능을 강화한다.
(5) 우주활동에 관한 법제의 정비
우주기본법의 규정에 준하여 우주활동에 관한 법제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필
요한 법제정비를 준비한다.
(6) 우주이외 정책과의 연계·정합성 확인
본 계획의 추진에는 과학기술 기본계획, 경제성장전략 개요, 해양기본계획,
지리공간 정보활용추진 기본계획 등과 관계부성의 정책 등 우주 이외의 정책
과도 연계하면서 정합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이상
별지1
9개의 주요 요구와 위성 개발이용 등의 현황·10년 정도의 목표
주요 요구
현황
요구에 대응한 앞으로 10년 정도의 목표
[공공의 안전 확보]
아시아 지역의 재해 시
정보파악
[아시아 지역의 재해]
Sentinel Asia 등의 틀을 통해 ‘ALOS’의 화상을
피해국에 제공(지금까지 100회 정도의 실적)
[일본의 재해]
지진 등의 재해발생 후 정보수집위성 ‘ALOS’ 등
의 화상 정보를 활용. 단, ‘ALOS’는 방재기관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때까지 빨라도 재해발생
후 1일 정도 걸리며 초동대응에 대한 활용은 불
충분. 또한 홍수·토사붕괴 등 인가피해나 도로피
해 등의 상세 상황파악이 가능한 화상 해상도에
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정보수집위성은 보
전 상 화상 제공처가 한정되어 있어 모든 요구를
만족하기에는 제약이 있다.
[아시아 지역의 재해]
피해 상정 지역의 파악, 시이 적절한 초동대응 등을 위해 피
해국 등과 연계하여 항공기 등을 이용한 촬영과 함께 지진 등
의 재해발생 후 기본적으로는 3시간 이내에 피해지역 화상을
촬영하여 피해국에 제공하고 일본의 구원활동에 활용한다.
[일본의 재해]
마찬가지로 항공기 등을 이용한 촬영과 함께 재해발생 후 기
본적으로는 3시간 이내에 피해지역의 화상을 촬영하여 과거의
archive로서 계속 관측하고 있다. 최신화상과 함께 정보를 방
재기관에 제공한다. 그 후 며칠에 걸쳐 상세 피해상황, 이차재
해 위험상황, 복귀·부흥상황 파악을 위해 홍수·토사붕괴 등의
인가피해나 도로피해 등 상세상황 파악도 가능하다.
지각변동의 예측·감시
일본은 세계 유수의 지각변동(지면의 움직임)이
활발한 지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진과 화산활동
이 빈발하여 국민의 생명·재산이 위협에 노출되
어 있다. 지각변동을 정확히 포착하기 위해 국토
지리원이 전국 약 1200 곳(평균 약 20km 간격)
에 설치한 전자 기준점(GPS위성 데이터를 수신)
을 이용해 지각변동을 감시하고 있다. 반면 L밴
드 레이더 센서의 위성화상을 이용해 지각변동을
면적으로 파악하는 실증적 노력을 15년 전부터
추진해 왔지만 위성의 갱신에 공백이 생겨 수년
간 관측하지 못한 기간이 있었고 촬영빈도가 적
어 지진발생 직후 대응에 지연이 생기거나 화산
활동의 추이를 충분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아
직 예측이나 감시에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
다.
또한 해저화산의 활동 상황파악에 대해서도 광학
센서의 이용실증을 실시하고 분화와 함께 대규모
해수 변색이 있으면 모니터링에 유효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각변동의 검출, 화산호의 색 검출 및 이들의 지각변동 메커
니즘 해명을 위해 지표면의 정보를 넓고 장기간에 걸쳐 계속
적·고빈도로 취득한다. 이렇게 얻은 화상정보의 해석결과를
전자 기준점 등을 이용한 특정 지점의 정보와 조합하여 활용
함으로써 지각변동을 1cm 정도의 정밀도로 면적으로 조밀하
게 감시하고 특히 대규모 지각변동의 징후가 확인되거나 화산
의 활동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GPS을 이용한 현지에서의 임
시관측 등과 함께 적어도 3시간마다 대상지역을 감시하여 앞
으로의 지각변동이나 화산활동의 추이에 관한 예측 정밀도를
향상 시킨다. 또한 바다색 변화 정보 등을 포함한 화상정보를
가능한 한 빨리 제공함으로써 해저 화산활동의 모니터링 수단
으로서 활용한다.
정밀도가 높은 기상예보 기상예보에 필요한 구름이나 수증기 등의 분포를
관측하여 활용. 강수분포나 해면온도 등의 관측
데이터도 활용하여 기상예보와 태풍의 진로·강도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에 활용. 단, 현재는 국
지적인 큰비나 집중호우 예측 등은 어렵다는 과
제가 있어 전체적인 예보 정밀도 개선이 기대된
다.
생활에 빠질 수 없는 매일의 기상예보를 예보 정밀도를 높이
면서 계속해서 국민에게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정밀
도 향상을 꾀하고 계속적으로 취득한다.
그리고 현재 예측이 어려운 국지적 현상에 대해 구름, 수증기
등의 분포를 현재의 30분마다 관측에서 10분마다 관측으로
고 빈도화 하여 계속적으로 취득하고 센서 분해능을 2배로 향
상함으로써 상세하게 파악하여 기상예보의 정밀도 향상을 도
모하고 국지적인 큰비 등에 대한 방재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참고>
앞으로 10년 정도의 목표를 위해 센서와 위성 등이 달성해야 하는 주요 목표
이용 성청·기관
10년 정도의 상정위성
[공공의 안전 확보]
[아시아 지역의 재해]
○해상도 향상: 홍수·토사붕괴 등의 인가피해나 도로피해 등의 상세 상황파악을 위
해 광학, 레이더 모두 1m 정도(50km 정도의 촬영 폭과 양립)
○관측빈도 향상: 야간·악천후 시에 촬영 가능한 레이더 위성을 이용해 3시간 이내
에 화상을 촬영(화상제공은 4시간 이내). 광학위성은 재해지의 상황을 보다 상세하
게 파악하기 위해 보완적으로 사용.
·주야간을 불문하고 3시간 주기로 실현⇒레이더 4기(광학은 보완적으로 4기)
(주1) ‘ALOS2’의 촬영부터 배신까지의 시간을 1시간으로 단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2) 위 내용은 기수만으로 빈도를 향상 시키는 생각이며 궤도를 기울임으로써
일본 상공의 촬영빈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아시아 지역의 재해]
외무성, 경찰, 소방,
방위 등의 국제 긴급
원조대 관계 행정기관
[일본의 재해]
내각부(방재),
내각
정보 조사실, 경찰청,
총무성(소방청), 국토
교통성, 방위성 등
[아시아 지역의 재해]
‘ALOS 2,3호’(광학, 레이더). 그
후에도 ‘ALOS’ 시리즈로서 계속
해서 2~4기 운용
ASNARO(가칭) 실증기(광학, 레
이더). 그 후에도 계속해서 2~4
기 운용
데이터 중계위성으로서 계속해서
1~2기 운용
○분석방법의 고도화(최신 데이터와의 비교), 처리시간의 단축(1시간 정도)
[일본의 재해]
정보수집위성 및 위 위성을 이용하여 더욱 단시간의 재해지 화상 촬영을 실현한다.
[일본의 재해]
정보수집위성(광학, 레이더) 및
위 위성을 이용
현재보다 아래의 주요 사항을 개선함으로써 예측 정밀도 향상 등에 이바지한다.
○센서 성능 향상 등: 정밀도가 높은 관측을 위해 아래와 같은 센서 성능향상 등을
꾀한다.
① L밴드 레이더 센서의 계속적인 운용
② 광학 센서의 공간 분해능 향상(컬러, 10m→5m 이하)
○관측 빈도의 향상: 화상정보(광학, 레이더)의 신속한 제공 체제의 정비(통상 며칠
이내→1일 1회 이상)
○분석방법의 고도화: 데이터 처리체제의 고도화, 다른 지상관측 수단과 연계한 예
측수단의 고도화
[지진]
국토 교통성(국토 지
리원, 기상청) 및 문
부 과학성(지진 조사
연구 추진본부)
[화산]
국토
교통성(기상청,
해상 보안청, 국토 지
리원)
‘ALOS 2, 3호’(광학, 레이더). 그
후에도 ‘ALOS’ 시리즈로서 계속
해서 2~4기 운용
ASNARO(가칭) 실증기(광학, 레
이더). 그 후에도 계속해서 2~4
기 운용
현재보다 아래의 주요 사항을 개선함으로써 국지적인 큰비나 집중호우 등에 대한 기
사예보 정밀도의 향상을 달성한다.
○관측위성 정비: 예측에 이용하는 데이터 중 하나인 구름·에어로졸 분포 관측은 해
외 위성에 의지했지만 국산위성(보다 높은 정밀도 계측이 가능)을 이용해 계속해서
실시한다.
○센서 성능 향상: 정밀도가 높은 관측을 위해 아래와 같은 센서의 성능향상을 꾀한
다.
① (가시적외 방사계) 구름, 수증기, 해빙의 파악을 위해 가시광역 1km→0.5km
(기상예보)
국토 교통성(기상청)
(이용)
국토 교통성, 방위성,
문부 과학성 등 관계
성청,
지방 공공단체 민간
‘히마와리 8, 9호’
(가시 적외 방사계)
지구환경변동 관측미션
(GCOM-W(마이크로파 방사계).
그 후에도 계속적으로 1기 운용
GCOM-C(다파장 광학 방사계).
그 후에도 계속적으로 1기 운용)
로 개선, 적외역 4km→2km로 개선
② (마이크로파 방사계) 해면수온, 해상풍, 강수량의 파악을 위해 관측 mesh
6km→5km로 개선(미래를 생각해 더욱 고 분해능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실시)
③ (다파장 광학 방사계) 구름, 에어로졸의 양 파악을 위해 관측 mesh 1km→
250m로 개선
④ (이주파 강수 레이더) 2개의 주파수를 이용함으로써 강수 영역의 3차원 관측
에서 관측감도를 0.7mm/h→0.2mm/h로 개선(눈 관측도 가능)
⑤ (구름 프로파일링 레이더) 구름, 에어로졸의 수직분포와 움직임 파악을 위해
최소감도 26dBZ→35dBZ(90% 정도의 구름이 파악 가능)로 약 10배 개선(구름의
움직임도 파악)
○관측 정밀도 향상: 가시 적외 방사계를 이용한 구름, 수증기 관측은 30분 마다→
10분 마다로 고빈도화
○예측 방법의 고도화: 다른 지상관측 데이터와 연계하여 기상예측 방법을 고도화
전구 강수관측 계획
(GPM(이주파
강수
레이더),
NASA와 공동)
구름 에어로졸 방사 미션
(EarthCARE(구름
프로파일링
레이더), ESA와 공동)
주요 요구
현황
요구에 대응한 앞으로 10년 정도의 목표
[공공의 안전 확보]
재해발생 시 통신수단의
확보
재해발생 시의 재해정보 전달과 연락 등을 위해
상업통신위성을 정부·지방공공단체 등을 이용하
고 있지만 위성전용 지상국(수신 안테나와 전용
기재)이 필요하며 휴대전화 등 널리 보급되어 있
는 범용 수단을 이용한 통신은 지상의 휴대 기지
국 등에 피해가 나왔을 경우에 이용할 수 없다.
휴대전화 단말만을 이용해 위성통신이 가능하며 지상 시스템
과 위성 시스템과의 공용을 가능케 하는 연구개발을 실시하여
기술시험위성에 의한 실증을 진행한다.
해양감시
일본 주변 해역에서는 밀수·밀항, 외국 어선에
의한 위법 조업 등 해상범죄, 수상한 선박 사안,
중대 해난사고 등이 발생하고 일본 주변에 이르
는 해역을 포함한 해상 수송로에서의 해적행위
등이 염려되고 있다.
인공위성을 활용한 해양 감시수법을 연구 개발한다(구체적으
로는 예를 들어 위성뿐만 아니라 항공기 등을 이용한 영향을
포함해 상시, 혹은 3시간 정도의 빈도로 화상을 촬영하는 것
과 선박 식별을 위한 지상 시스템과의 연계를 생각할 수 있
다.)
[국토보전·관리]
국토정보의 축적(지도작
성,
국토변화의
파악
등)
국토의 70%가 산림이고 장대한 해안선과 수천
에 이르는 섬을 보유한 일본은 지금도 위성을 이
용해 그 모습을 기록하여 데이터를 축적해 왔지
만 위성의 운용이 단발적이어서 계속적이고 통합
적인 데이터의 축적·제공을 하지 못했다. 때문에
축척 2만 5천분의 1 지형도의 갱신 등이 몇 개
의 실증적 노력을 제외하고 종합적으로 아직 불
충분한 이용 상황이다. 해외에서도 ‘ALOS’을 이
용한 삼림의 위법벌채 감시나 세계유산의 모니터
링 등을 시작하고 있지만 아직 일부 정보밖에 제
공하지 못하고 있다.
국토의 현황을 광범위하고 계속적으로 광학 및 레이더 센서로
관측하고 체계적으로 축적·제공함으로써 국토 개발·보전, 농림
업, 환경 등에 관한 기본적 정보로서 활용한다. 예를 들면 광
학 입체시 센서의 분해능을 2배 이상 높이는 등 화질을 종합
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상세한 지도 작성을 실현하고 삼림관
리와 환경관리 등의 분야와 함께 지방 공공단체, 민간 등에
대한 이용 확대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해외로 화상을 제공하여 일본의 위성화상의 해외 이용
확대를 도모한다.
[안전보장]
정보수집·경계감시
지구 상의 특정지점에 대해 정보수집위성의 소기
의 목표인 광학위성과 레이더 위성의 각각에서
1일 1회 이상의 화상정보 취득에 필요한 체제를
확립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화상 이외의 정보를
위성을 통해 수집하지 못하고 있다.
관심 지역의 촬영기회 증가, 화질의 향상, 정보제공까지의 시
간 단축으로 정보수집 기능 강화와 일본 주변 해공역의 경계
감시 기능 강화를 도모하고 그 중에서 조기경계 기능을 위한
센서의 연구 등 안전보장 목적의 새로운 우주개발이용을 추진
을 목표로 한다.
<참고>
앞으로 10년 정도의 목표를 위해 센서와 위성 등이 달성해야 하는 주요 목표
이용 성청·기관
10년 정도의 상정위성
[공공의 안전 확보]
○휴대전화와 공용이 가능한 위성 휴대전화 시스템의 연구개발
휴대전화 단말기로 지상통신과 위성통신도 이용 가능한 지상/위성 공용 휴대전화 시
스템 실현을 위해 지상 시스템과 위성 시스템에서 동일한 주파수대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연구개발
·간섭회피기술
·지상 시스템과 위성 시스템의 협조기술
·대형전개 안테나 기술
○‘WINDS’을 이용한 고속 인터넷 통신의 아시아와 이도 등에서의 이용 실증실험을
추진한다.
(연구개발)
총무성/NICT,
문부 과학성/JAXA
(상정 운용자)
민간 사업자
지상에서의 연구개발 결과를 바
탕으로 한 기술 시험위성
선박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위성을 활용한 선박의 운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수
법 등을 연구개발
○위성과 지상의 항행 상황파악 시스템과의 연계
국토 교통성(해상 보
안청), 방위성
아시아 지역 등에서도 이용 가능
한 위성의 활용을 검토
[국토보전·관리]
현재보다 아래의 주요 사항을 개선함으로써 국토에 관한 정보가 수시로 제공되며 이
용이 용이한 환경을 정비한다.
○센서 성능향상: 국토정보의 상세한 파악을 위해 입체시 기능을 보유한 광학센서의
공간 분해능 2.5m→1m로 개선
○관측 빈도의 향상: 화상정보(광학, 레이더)의 신속한 제공체제 정비(며칠 이내→1
국토 교통성
농림수산성
환경성
지방 공공단체
민간 등
(위성화상의 해외 이
‘ALOS 2, 3호’(광학, 레이더). 이
후에도 ‘ALOS’ 시리즈로서 계속
적으로 2~4기 운용
ASNARO(가칭) 실증기(광학, 레
이더).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2~4기 운용
일 1회 이상)
○이용체제의 향상: 지금까지의 위성 데이터와 앞으로 취득할 위성 데이터를 계속적
으로 관리하고 국내외 유저에게 계속적으로 쉽게 사용하는 제공체제를 정비
용확대 지원)
외무성
[안전보장]
[정보수집위성]
○해상도 향상: 광학, 레이더 모두 상업위성을 능가하는 화질
○관측빈도 향상: ‘지구 상의 관심지역을 1일 1회 이상’보다도 높은 빈도
○처리시간 단축: 요구 접수부터 프로덕트 배부까지의 시간을 가능한 한 단축
내각 정보 조사실
내각 위성정보센터 등
정보수집위성
(광학, 레이더)
[조기경계기능의 연구]
조기경계기능을 위한 센서와 데이터베이스 등의 연구
○새로운 관측대상: 탄도 미사일 화염(부차적 목적으로서 삼림 화재 등)
○필요한 기술: 고감도 적외선 센서를 구성하는 소자기술, 화염의 종류를 식별하는
기술 등
○필요한 지원설비 등: 식별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데이터 통신 용량의 확
보 등
방위성 등
Dual use(방위 목적의 기능과 다
른 목적의 기능을 함께 갖음)의
가능성 등, 정부 전체로서의 유
효활용을 추진
[전파정보 수집기능의 연구]
우주공간에서의 전파정보 수집기능의 유효성 확인을 위한 전파특성 연구
방위성 등
주요 요구
현황
요구에 대응한 앞으로 10년 정도의 목표
[식료공급의 원활화]
곡물 등의 생육상황과
품질 등의 파악
국내의 농경지 면적과 벼농사 면적의 파악, 재해
시의 수도피해 파악을 위한 준비작업에 활용을
개시한 단계. 쌀의 생육상황 파악에 대해 실용화
되기 시작한 단계. 이 외 작물의 품질과 생육상
황 등의 파악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작물과 품종
마다의 검증 등을 통해 추정 정밀도를 높여야 한
다.
또한 재해 시의 수도피해 손해평가는 현재 눈으
로 보는 것으로 실시하고 있지만 앞으로 농가의
감소에 따라 손해 평가원의 감소가 예상되므로
평가수법의 개선이 과제가 되었다.
위성화상의 해석을 통해 일본의 쌀 등 생육상황과 품질(단백
질, 수분 등의 함유량)을 추정하여 농업 경영의 고도화를 도
모한다.
또한 재해 시의 수도피해 손해평가에 대해서는 농가감소와 함
께 손해평가를 하는 사람의 감소 등에 대응하기 위해 전국의
수도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고해상도 위성화상을 이용한 평가
수법을 확립하고 현재 14도현에서 실증단계에 있는 이 수법
을 전국에서 이용하는 체제 정비를 도모한다.
그리고 세계의 주요 곡창지역의 곡물생산에 관한 상황을 항상
관측하여 일본의 식료공급 전략 상의 기본적 정보로서 활용한
다.
어장 등의 파악
해수 온도, 해류, 바다 색 등을 관측하여 기상위
성과 해상 데이터 등과 통합해 물고기, 바다 상
황 정보를 제공. 실제 이용이 진행 중인 분야이
지만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쉬운 미국·프랑스의
위성 데이터가 주로 활용되며 일본의 위성 데이
터는 연구목적 이외 이용은 불충분.
연안어업 등의 고도화와 수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수산물의 안
정적인 공급을 도모하기 위해 주로 연안어업과 양식업에 유해
한 적조발생 예측의 고 정밀도화에 공헌하는 것을 목표로 한
다. 구체적으로는 광학센서의 분해능 향상과 함께 현재의 도
쿄만을 광역으로 개략적인 적조발생 상황 파악뿐만 아니라 예
를 들어 도쿄만 내의 하구에서의 피해라는 국소적인 상세 피
해 파악도 목표로 한다.
원양어업 등의 고도화를 위해, 현재는 대국적인 해류 등의 상
황파악에 머무르고 있지만 앞으로는 일본의 인공위성 센서의
공간 분해능 향상과 함께 국지적인 어장 정보를 파악하고 데
이터에 대한 접근이 쉬운 체제를 정비하여 어업의 생산성 향
상, 어선의 효율적 운행지원 등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원·에너지 공급의 원활화]
육지 및 해저의 석유·광
물 등의 조사
위성 데이터를 육지의 자원탐사에는 활용하고 있
지만 아직 분석능력이 부족하다.
또한 세계 제6위의 넓이라는 일본의 영해 및 배
타적 경제수역, 200해리를 넘어서 연장 가능성이
있는 대륙붕에는 다양한 자원·에너지가 존재하고
있으며 그 확보가 기대되지만 ‘ALOS’을 이용한
Oil slick(해저에서 나오는 원유가 바다 표면에서
기름 막을 만드는 현상)의 모니터링을 실증하고
있는 등 한정적이다.
석유가 존재하는 지층을 구성하는 광물이나 희유금속 등의 광
물 판별성능을 현행 10종류 정도에서 3배인 30종류 정도로
향상 시킨 보다 분류 능력이 높은 센서를 통한 관측을 계속적
·광범위하게 실시하여 인공위성을 활용한 석유와 광물 등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높은 정밀도이면서 효율적으로
선별, 특정하는 육지 자원탐사 방법의 고도화 등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센서의 고 분해능화를 통해 Oil slick의 판별성능을 높여
일본 주변 해역을 비롯한 해저자원 발견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들을 일본의 자원·에너지 확보 전략 상 기본
적 정보로서 활용한다.
<참고>
앞으로 10년 정도의 목표를 위해 센서와 위성 등이 달성해야 하는 주요 목표
이용 성청·기관
10년 정도의 상정위성
[식료공급의 원활화]
현재보다 아래의 주요 사항을 개선하여 농업의 고도화·지속적 발전에 이바지한다.
○센서 성능향상: 아래와 같은 센서의 성능향상을 꾀한다.
① (경지의 상세 파악) 광학센서의 공간 분해능 향상(2.5m→1m) 및 L밴드 레이
더 센서의 공간 분해능 향상(10m→1~3m)
② (곡물의 생육과 품질의 파악) 보다 많은 주파수를 이용한 관측을 통해 분해
능 향상(하이퍼 스펙트럼, 14밴드→185밴드 정도)
③ (다파장 광학 방사계) 경지의 넓고 상세한 파악을 위해 관측 mesh 1km→
농림 수산성, 지방 공
공단체, 민간
‘ALOS 2, 3호’(광학, 레이더, 하
이퍼
스펙트럼).
이후에도
‘ALOS’ 시리즈로서 계속적으로
2~4기 운용
ASNARO(가칭) 실증기(광학, 레
이더).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2~4기 운용
250m로 개선
○촬영요구: 수확기에 촬영요구를 확실히 받아 들일 수 있는 운용체제
○분석수법의 고도화: 데이터 분석수법의 확립
GCOM-C(다파장 광학 방사계).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1기 운용
현재보다 아래의 주요한 사항을 개선하여 어업의 고도화·지속적 발전에 이바지한다.
○관측위성 정비: 해외위성의 활용과 함께 국산위성(보다 높은 정밀도의 계측이 가
능)을 이용해 계속적인 데이터를 이용한다.
○센서 성능향상: 어장이나 배의 항행에 영향을 미치는 해류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
를 파악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센서의 성능향상 및 확실한 운용을 도모한다.
① 광학센서의 공간 분해능 향상(컬러, 10m→수m)
② 이외 필요한 센서(열 적외, 마이크로파 방사계, 마이크로파 산란계, 바다색,
해면 고도계)의 공간 분해능 향상(수km→1km 정도)
○데이터 제공 체제의 정비: 지방 공공단체에 대한 확실한 배신
농림 수산성/수산 종
합 연구센터
지방 공공단체
지구환경변동
관측
미션
(GCOM-W(마이크로파 방사계)).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1기 운용
GCOM-C(바다색, 열 적외). 이
후에도 계속적으로 1기 운용)
‘ALOS 3호’(광학). 이후에도 계
속적으로 1~2기 운용
해외위성(열 적외, 마이크로파
산란계, 해면 고도계)
[자원·에너지 공급의 원활화]
현재보다 아래의 주요 사항을 개선하여 자원탐사 방법의 고도화에 이바지한다.
○센서 성능향상:
① (지질과 광물의 상세한 파악) 보다 많은 주파수를 이용한 관측을 통해 분류
능력을 향상
(하이퍼 스펙트럼, 14밴드→185밴드 정도)
② (육지와 해저자원의 상세한 파악) L밴드 레이더 센서의 계속적인 운용 및 공
간 분해능의 향상(10m→1~3m)
③ 열 적외 센서의 개발(5밴드, 30m)
○분석수법의 고도화: 자원 등 판별 데이터 분석수법의 확립
경제 산업성
‘ALOS 2, 3호’(광학, 레이더, 하
이퍼
스펙트럼).
이후에도
‘ALOS’ 시리즈로서 계속적으로
2~4기 운용
ASNARO(가칭) 실증기(광학, 레
이더).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2~4기 운용
주요 요구
현황
요구에 대응한 앞으로 10년 정도의 목표
[지구규모의 환경문제 해결(저탄소 사회의 실현)]
이산화탄소, 메탄 등의
온실효과가스에 관한 지
구 전체의 분포·흡수 배
출량 파악
온실효과가스의 농도분포에 대해서는 지상의 한
정된 지점(약 280점)에서 계측하고 있을 뿐이며
2009년 1월에 쏘아 올린 ‘GOSAT’을 이용해 지
구 전체 56000점 관측을 가능하게 하였다. 지구
전체 규모의 망라적인 관측·해석을 앞으로 실시
해 나가는 단계.
또한 ‘ALOS’을 이용해 삼림열화로 인한 온실효
과가스의 배출량 평가수법을 개발하고 있다.
‘GOSAT’을 이용한 지구 전체의 농도분포 관측을 계속적으로
진행하고 온실효과가스 농도의 관측점, 측정 정밀도를 현재의
2배 정도로 하는 센서 성능향상 등을 추진해 보다 상세하고
계속적인 지역마다의 흡수 배출량과 삼림 생태계 등의 흡수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로써 기상조건의 변화나 삼림벌채 등으로 인한 온실효과가
스의 흡수 배출량 변화 등의 보다 정확한 파악이 가능해지고
앞으로의 세계 전체에서 대처하는 온실효과가스 저감에 대한
과학적 뒷받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온실효과가스의 흡수원인 삼림이나 식생의 변화를
‘ALOS’의 분해능 향상을 통해 현재보다 상세히 파악하여 개
발도상국의 삼림감소·열화로 인한 온실효과가스의 배출저감
(REDD) 파악·검증 등에 활용한다.
이상의 노력을 통해 교토 의정서의 다음 단계인 실효성 있는
지구온난화 대책에 공헌한다.
글로벌 물 순환과 지구
환경변동 등의 파악
국제적 틀 속에서 물 순환에 관한 강수분포 등의
관측과 해외위성을 이용한 지구환경 변동에 관한
구름·에어로졸 분포 등에 관한 글로벌 관측을 실
시 중이지만 장기간의 변동을 관찰하기 위해 앞
으로도 계속적인 관측이 필요하며 또한 예측의
더 나은 정밀도 향상이 기대된다.
국제적인 노력 속에서 지구규모의 강수분포에 대해 현재 2배
의 정확함으로 관측, 구름·에어로졸 등의 분포에 대해 현재 2
배 이상의 고정밀도화 등 성능향상을 이루고 계속적으로 범
지구적이고 상세하게 파악함으로써 엘리뇨나 사막화, 집중호
우 등 이상기상 발생의 메커니즘 등 지구환경변동, 물 순환
메커니즘 해명과 예측 수단을 확립하여 재해 예방에 이바지한
다.
저탄소 사회를 지지하는
에너지의 실현
지상에서는 저탄소 사회를 실현하는 재생 가능
에너지 전원(태양광 발전, 풍력발전 등) 이용이
추진되고 있지만 안정성 등의 과제가 있고 이 과
제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우주에서의 에너지 이용
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지정학적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깨끗한 에너지를 이용
할 수 있는 우주에서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대해 실현에 필
요한 기술의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지상에서의 재생 가능한 에
너지 개발의 진척과 비교하면서 10년 정도를 목표로 실용화
를 위한 전망을 세운다.
<참고>
앞으로 10년 정도의 목표를 위해 센서와 위성 등이 달성해야 하는 주요 목표
이용 성청·기관
10년 정도의 상정위성
[지구규모의 환경문제 해결(저탄소 사회의 실현)]
현재보다 아래의 주요 사항을 개선하여 탄소순환모델의 고도화 및 실효성 있는 지구
온난화 감시를 가능하게 한다.
○센서 성능향상:
① (온실효과가스 관측센서) ‘GOSAT’ 데이터의 상세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신규
센서의 검토를 포함한 새로운 연구개발(이산화탄소, 메탄 등의 관측 정밀도 향
상과 관측 mesh의 개선. 현재의 관측 정밀도는 이산화탄소 4ppm, 메탄
환경성/국립 환경연구
소
농림 수산성(임야청)
GOSAT 후속기로서 1기
(Passive 분광계, 이 외 다른 관
측수단)
‘ALOS 2, 3호’(광학, 레이더). 이
후에도 ‘ALOS’ 시리즈로서 계속
적으로 2~4기 운용
0.04ppm)
② (L밴드 레이더, 광학센서(컬러)) 온실효과가스의 흡수원인 삼림과 식생의 변
화를 상세히 파악하기 위해 분해능을 10m→1~3m(레이더), 10m→3m(광학)로
개선. 또한 새로운 센서를 연구개발
③ (다파장 광학 방사계) 식생파악(육지·해양 기초 생산량)을 위해 관측 mesh
1km→250m로 개선
○분석수법의 고도화: 온실효과가스의 농도분석, 흡수 배출량, 삼림흡수의 평가 등
보다 실효성이 높은 해석수법을 목표로 탄소 순환모델, 대기수송 모델 등을 개량
○국제체제의 정비: ‘ALOS’ 데이터를 이용한 평가수법을 이용하는 국제체제의 정비
GCOM-C(다파장 광학 방사계).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1기 운용
현재보다 아래의 주요 사항을 개선하여 지구환경변동 관측 모델 확립과 이상기상의
메커니즘 해명과 재해예방에 공헌한다.
○관측위성 정비: 해외위성이 맡아왔던 구름·에어로졸 분포 관측을 국산위성(보다
높은 정밀도 계측이 가능)을 이용해 계속적으로 실시한다. 또한 새롭게 구름·에어로
졸의 수직분포 관측을 가능하게 하는 센서를 개발·이용한다.
○센서 성능향상: 정밀도가 높은 관측을 위해 아래와 같은 센서의 성능향상을 도모
한다.
① (마이크로파 방사계) 강수량, 수증기량 등의 파악을 위해 현재의 측정오차 ±
70% 정도를 반감한다.
② (다파장 광학 방사계) 구름, 에어로졸의 양 파악을 위해 관측 mesh 1km→
250m로 개선
③ (이주파 강수 레이더) 2개의 주파수를 이용함으로써 강수 영역에서 수직분포
의 비 관측감도를 0.7mm/h→0.2mm/h로 개선
국토 교통성(기상청)
환경성/국립 환경연구
소
문부 과학성
/JAMSTEC
지구환경변동 관측미션
(GCOM-W(마이크로파 방사계).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1기 운용)
GCOM-C(다파장 광학 방사계).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1기 운용)
전 지구 강구관측
(GPM(이주파
강수
레이
더)NASA와 공동)
구름 에어로졸 방사 미션
(EarthCARE(구름
프로파일링
레이더), ESA와 공동)
④ (구름 프로파일링 레이더) 구름, 에어로졸의 수직분포와 움직임 파악을 위해
최소감도 26dBZ→35dBZ(90% 정도의 구름을 파악 가능)로 약 10배 개선. (구
름의 움직임도 파악)
⑤ (L밴드 레이더, 광학센서(컬러)) 온실효과가스의 흡수원인 삼림과 식생의 변
화를 상세하게 파악하기 위해 분해능을 10m→1~3m(레이더), 10m→3m(광학)로
개선
○분석수법의 고도화: 지구환경변동의 해석수법(대기 해양결합 모델 등)을 고도화
‘ALOS 2, 3호’(광학, 레이더). 이
후에도 ‘ALOS’ 시리즈로서 계속
적으로 2~4기 운용
○우주 태양광 발전 시스템 실현의 전망을 세우기 위한 연구개발
·우주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모으는 기술
·우주에서 지상으로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에너지를 전송하는 기술
·우주공간에 대규모 구조물을 구축하는 기술
○당면 과제
·지상에서의 에너지 전송기술 실증 등과 ‘JEM’과 소형위성을 이용한 대기권 영향
등을 확인
(연구개발)
문부 과학성/JAXA
경제 산업성/USEF
대학, 민간 등
우주 태양광 발전 시스템 소형
실증위성
주요 요구
현황
요구에 대응한 앞으로 10년 정도의 목표
[풍요로운 국민생황의 질 향상(건강장수와 편리성 향상 등)]
건강장수사회의 실현
고령자 의료 등에 대한 우주의학연구성과 등의
적용을 통해 골다공증, 요로결석 등의 대책연구
와 우주에서의 고품질 단백질 결정화에 의한 제
약 응용 등이 기대되고 있지만 아직 실용화까지
는 이르지 못했다.
고령자 의료, 간호문제, 제약 등 국민의 생활에 밀착한 과제
등 지상사회의 문제해결에 초점을 맞추고 미소중력 환경을 이
용한 실용성과를 창출.
고정밀 측위의 실현
측위위성을 이용한 자동차 내비게이션 등의 서비
스가 널리 보급되고 측위위성 이용도 확대되고
있지만 사람의 위치를 정확히 특정하는데 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높은 정밀도의 측위를 달성하고 위성과 지상 시스템이 연계한
seamless한 퍼스널 내비게이션 등 새로운 이용 application
창출을 통한 편리성 향상과 ‘공공의 안전확보’ 요구에서 국가
및 국민의 안전·안심 실현에 이바지한다. 그리고 준천정위성
의 기술·능력을 실증하고 3기 체제를 구축함으로써 GPS 등의
보완·보강이 가능해 진다. 또한 7기의 위성을 이용할 경우 동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을 커버하는 자기 완결적인 위성 측위
시스템 구축이 가능해 진다.
[세계를 리드하는 과학적 성과의 창출 등(지적자산의 축적, 인류의 활동영역 확대)]
세계 Top level 과학연
구성과의 계속적 창출
등
우주천문학학과 태양계 탐사 등의 우주과학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성과를 올리고 있으며 태양계
탐사와 국제 우주정거장 활동을 통해 인류의 활
동영역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주과학의 틀을 넘어선 타분야·이분야와의 연계를 포함해 대
학 등 우수한 연구자의 참여를 촉진하여 체제 강화를 바탕으
로 우주과학을 추진하고 세계 최첨단의 성과를 계속적으로 창
출한다. 또한 유인이나 로봇을 활용한 우주활동을 추진하여
인류의 활동영역을 확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장기적으로 로봇
과 유인연계를 고려한 2020년 경의 로봇기술을 활용한 달 탐
사 실현을 목표로 검토를 진행한다.
[지속적인 산업의 발전과 고용의 창출]
농업, 어업 등의 활성화 농업, 어업 등에 관련된 육지, 해역의 모니터링
을 통한 정보의 집약과 상황파악 등으로 활용을
넓혀가고 있다.
곡물 생육상황 파악과 어장파악 등에 의한 작업효율 향상 등
을 통해 농림 수산업의 고도화·지속적 발전에 이바지한다.
신산업과 우주관련산업
의 확대와 고용 창출
우주기기 산업뿐만 아니라 이용산업 등 폭 넓은
산업의 기반 확대가 필요. 우주산업의 국제 경쟁
력은 충분하지 않아 일본의 우주개발이용을 지탱
하는 전략적 산업으로서 경쟁력 향상이 필요.
위성 데이터 등의 새로운 이용개척과 우주과학 등의 최첨단
기술개발 추진을 통해 신산업의 창출에 의한 매상고 증가를
목적으로 하며 우주기기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고용 창
출에 이바지한다.
<참고>
앞으로 10년 정도의 목표를 위해 센서와 위성 등이 달성해야 하는 주요 목표
이용 성청·기관
10년 정도의 상정위성
[풍요로운 국민생황의 질 향상(건강장수와 편리성 향상 등)]
○활동목표: 국제 우주정거장 일본 실험모듈 ‘JEM’ 이용을 착실히 진행하고 국제약
속에 입각하여 국제 우주정거장 운용에 필요한 물자수송(실험장치, 물, 식료품 등)을
연 1기씩 실시한다(2016년 이후에는 이용성과 등을 바탕으로 운용연장을 판단).
○앞으로의 실험 테마: 제약·의료분야와 식료품, 에너지, 나노재료 등 사회요구에 대
응하고 실용화를 목적으로 하는 과제로 중점화 하여 의식주와 고령자 사회에서의 배
설 문제와 같은 보다 쾌적한 생활실현 등 생활에 밀착한 이용을 추진. 이와 함께 아
시아 유일의 국제 우주정거장 계획 참가국으로서 아시아 나라들이 ‘JEM’을 이용해
실험할 기회를 일본이 제공하는 등 아시아 협력을 추진하고 지구관측을 통해 세계의
환경감시에 공헌한다.
문부 과학성/JAXA
대학
민간 등
우주 정거장 보급기(HTV) 초호
기, 운용기 1~6호
측위위성 시스템의 중핵인 준천정위성에 대해 기술실증·이용실증을 하면서 관민이
협력해 새로운 이용을 촉진한다.
○측위 정밀도: 현재 GPS로 10m 정도→1m 정도로 고 정밀도화, 그리고 측량용 등
으로 보완·보강에 활용
○궤도: 받음각은 일본 어디서나 60도 이상을 실현
○이용창출: 지상의 시스템과 연계하여 새로운 이용 요구를 창출
(기술실증·이용실증)
문부
과학성/JAXA,
경제
산업성/AIST,
국토 교통성(국토 지
리원), 총무성/NICT,
민간 등
준천정위성 초호기.
추가 구성기로서 0~6기
(주) 한국 등 동아시아 지역은 동등한 조건에서 대응 가능
[세계를 리드하는 과학적 성과의 창출 등(지적자산의 축적, 인류의 활동영역 확대)]
세계를 리드하는 과학적 성과를 목표로 이공계가 하나가 되어 추진하고 인류의 활동
영역 확대를 위해 노력한다.
○우주 천문학(X선 관측, 적외선 관측, 전파관측)
○태양계 탐사(수성, 금성, 소혹성 탐사)
○미래의 로봇·유인연계 달 탐사를 위한 무인 달 탐사
○소형 과학위성을 이용한 선진적 미션, 새로운 센서나 기술의 실증 등(테마는 과학
커뮤니티에서 선정)
○‘JEM’ 등 미소중력 환경을 이용한 생명과학과 재료·유체과학 등, 우주환경 이용과
학 등
문부 과학성/JAXA
대학
ASTRO-G(전파)와 이 외 우주
천문학
미션(ASTRO-H(X선),
SPICA(적외선) 등), Planet-C(금
성), BepiColombo(수성) 및 이
외 태양계 탐사 미션(SCOPE(자
기권),
소혹성
탐사위성
(MUSES-C 후속기) 등), 월면
착륙·탐사미션, Ikaros 외 소형
과학위성(3기/5년)
[지속적인 산업의 발전과 고용의 창출]
‘식료품 공급의 원활화’ ‘국토 보전·관리’의 항과 같음
○정책 목표
·위성 데이터의 이용촉진에 의한 신산업 창출
·우주과학 미션에서 최첨단 기술의 스핀 오프에 의한 우주과학 이외의 우주개발이
용 분야나 산업으로의 전개
·위성과 센서의 경쟁력 강화(연구개발의 추진, 계획적 조달에 대한 배려 등)와 시장
개척에 대한 노력을 통해 세계시장에 대한 참여 확대
·소형위성 등을 활용한 첨단적 기술실증 등의 추진과 중소기업, 벤처기업, 대학 등
의 초소형 위성에 대한 지원추진을 통해 신산업과 우주관련산업의 확대와 고용창
출
·우주개발이용의 확대를 통한 우주관련산업의 매상고증가와 고용확대를 꾀한다.
(연구개발, 이용촉진)
문부 과학성/JAXA
경제
산업성/NEDO,
AIST, USEF,
총무성/NICT,
국토 교통성(국토 지
리원),
대학, 민간 등
SERVIS-2, SDS-2 외 기술 실
증위성(1기/1년)
별지2
9개의 주요요구에 대응한 5년간의 인공위성 등의 개발 이용계획(10년 정도를 고려)
5
개
의
이
용
시
스
템
구
축
4
개
의
연
구
개
발
프
로
그
램
의
추
진
기타 위성
대
0
1
2
1
2
1
1
2
2
3
4
-
-
-
-
-
-
-
중
0
0
1
3
0
1
1
0
3
4
3
-
-
-
-
-
-
-
위성의 연도
마다의 집계
(주3)
소
2
0
2
1
0
1
1
3
2
3
2
-
-
-
-
-
-
-
(주1) 우주기본계획의 대상 연도는 2009년~2013년
(주2) 위성 발사 전에 필요한 수년 간의 연구개발 기간과 위성 조달기간에 대해서
는 본 그림에는 기재하지 않음
(주3) 기대되는 해외로부터의 위성수주, 발사수주를 포함하며 초소형 위성은 제외
(주4) 점선 안의 발사 기수, 발사 시기 등에 대해서는 시이 적절하게 판단.
(우주기본계획의 대상 연도 안의 위성은 집계에서 제외하였다)
(주5) 방위력 전체의 방식을 검토하는 중이며 방위 개요 및 중기 방위력 정비계획
에서 결정
출처: 우주개발전략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