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우주백서
『2006년 중국의 우주항공사업(中国的航天)』
(http://japanese.china.org.cn/politics/archive/baipishu/node_7008538.htm 의 일본어판에서)
목 차
머리말
1. 발전의 의미와 원칙
2. 과거 5년간의 진전
3. 금후 5년의 발전목표와 주된 임무
4. 발전의 정책과 조치
5. 국제교류와 협력
머 리 말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세계 우주항공 활동은 눈부시게 발전하여 새로운 국면을 맞
이하고 있다. 우주항공 활동을 전개하는 주된 국가들은 우주항공의 발전전략, 발전
계획, 발전목표를 잇달아 제정 또는 조정하고, 우주항공사업은 국가 전체의 발전전
략 차원에서 더욱 주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며, 우주항공활동은 인류의 문명과 사회
의 진보에 한층 더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의 우주항공사업은 1956년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50년의 빛나는 실적을 남
겨 왔다. 반세기동안 중국은 우주항공사업을 독립·자주적으로 발전시켜, 일부 중요
기술 분야에서 세계 선진국 대열에 들었으며, 세계의 주목을 받는 성과를 올렸다.
중국은 확고하고 지속적으로 평화적 발전의 길을 걸었으며, 우주공간은 전인류의
공동의 자산임을 일관되게 주장하였으며, 우주공간을 평화적으로 이용하는 다양한
활동을 지지하고, 우주공간을 적극적으로 탐구, 이용하여 인류의 우주항공사업의 발
전에 끊임없이 새로운 공헌을 하고 있다.
중국은 21세기 최초의 20년간에 샤오캉(小康)사회를 전면적으로 건설하여 혁신적
인 국가군에 참가하는 전략적 목표를 세웠고, 이 때문에 중국의 우주항공사업의 발
전은 새로운 기회와 보다 높은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새로운 발전단계에 있어서
중국은 과학적 발전관을 길안내로 삼아 국가의 전략적 목표에 관하여 자주적 이노
베이션을 강화하고 우주항공사업을 보다 빠르게, 보다 잘 발전시키도록 노력할 것
이다.
2000년에 중국정부가 「중국의 우주항공사업」백서를 발표한 이래, 중국의 우주항
공사업은 또 다시 장족의 발전을 이루었다. 이에 과거 5년간 및 앞으로 일정 기간
의 중국 우주항공사업에 대한 세인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여기에 관계 사항을 소
개·설명하는 바이다.
1.발전의 의미와 원칙
중국이 우주항공사업을 발전시키는 의미는 우주공간의 탐구, 지구와 우주에 대한
인식의 심화, 우주공간의 평화적 이용, 인류문명과 사회진보의 촉진을 통해 전인류
의 행복에 기여, 경제건설, 과학기술발전, 국가의 안전, 사회진보 등의 필요성을 충
족하고, 국민 전체의 과학적 자질을 높여서 국가의 권익을 지켜서, 종합적 국력을
강화하는 것에 있다.
중국의 우주항공사업발전은 자주적 혁신, 중점적 도약, 발전지지, 미래 지향이라는
국가의 과학기술사업 발전의 지도방침을 관철한다. 새로운 발전 단계의 중국 우주
항공사업의 발전 원칙은 아래와 같다.
국가 전체의 발전전략에 따르고, 이에 봉사하여, 국가의 요구에 응하고 그 의지
를 구현한다. 중국은 우주항공사업의 발전을 국가의 경제력, 과학기술력, 국방
능력, 민족결집력을 증강하여 국가를 강대하게 하고, 흥륭시키는 전략적 조치로
삼아, 국가 전체의 발전전략의 중요한 구성체로서 장기에 걸친 안정적 발전을
유지한다.
독립자주, 자주적 혁신을 견지하여, 비약적 발전을 실현한다. 중국의 우주항공
사업은 자력갱생에 의하여 시작되어, 자주적 혁신의 틀안에서 끊임없이 발전하
였다. 따라서 자주적 혁신능력을 고양하는 것은 우주항공사업 발전의 전략적
기점이다. 국가의 사정과 필요에 따라, 역량을 기울여야 할 곳에 집중하고, 목
표를 선택하고 역량을 결집하여 난관을 돌파하여 비약적 발전을 이룬다.
전면적인 협조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견지하고, 우주항공과학기술에 국가의 과
학기술과 경제·사회발전을 촉진·지지하는 역할을 다할 것이다. 전략적 계획
을 강화하고, 우주기술, 우주응용, 우주과학의 발전을 통일적으로 계획한다. 우
주항공과학기술의 진보를 선도역으로 하여 하이테크와 산업의 발전을 이끌며,
재래 산업의 개조와 향상을 촉진한다. 우주환경을 보전하고, 우주자원을 합리적
으로 개발·이용한다
대회개방을 견지하고, 우주분야에 있어서 국제교류와 협력을 적극적으로 전개
한다. 중국은 우주공간의 평화이용에 관한 다양한 활동을 지지하고, 호혜평등,
평화이용, 공동발전의 원칙에 서서 우주분야에 있어서 세계 각국과의 교류와
협력을 강화한다.
2. 과거 5년간의 진전(進展)
2001년부터 2005년에 걸쳐 중국 우주항공사업은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고, 아래에
서술하는 일련의 새로운 성과를 이루었다. 세계 선진레벨의 개발·실험기지를 건설
하고, 연구·설계·생산·실험시스템을 더욱 정비하여 우주항공과학기술의 기초능
력을 현저히 향상시켰다. 전체적인 우주기술이 크게 발전하여 많은 핵심기술의 중
대한 기술적 난관을 극복하고, 유인우주비행에서 역사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달
표면 탐사 프로젝트가 전면적으로 시작되었다. 초보적 우주응용 시스템을 만들었고,
응용분야를 더욱 넓혀 응용의 효과를 크게 높였다. 우주과학의 실험과 연구가 중요
한 성과를 올렸다.
우주기술
1. 인공위성:과거 5년간에 상이한 유형의 인공위성 22개를 자주적으로 개발·발사
하여 전체적으로 수준을 크게 향상시켰다. 초보적으로 제작된 4개의 위성 시리
즈를 기초로 하여 귀환식원격탐사위성 시리즈, 「동팡훙(東方紅)」통신방송위성
시리즈, 「펑윈(風雲)」기상위성 시리즈, 「시지안(實踐)」과학탐사·기술실험위
성 시리즈, 「지유안(資源)」지구자원탐사위성 시리즈, 「베이더우(北斗)」항공
유도위치측정위성시리즈의 6개 위성 시리즈를 개발·제작하였다. 이외에 행양위
성 시리즈가 곧 만들어져 「환경·재해 모니터링예보 소형위성 성좌」계획의 실
시가 서둘러지고 있다. 많은 신형 고성능 위성의 유효탑재량의 개발에 성공했다.
각종 응용위성의 운행업무가 초보적으로 개시되었고, 그 중 「펑윈1호」와 「펑
윈2호」기상위성이 세계기상기관(WMO)에 의해 국제업무기상위성 시리즈에 편
입되었다. 지구정지궤도에 오르는 대형 위성공공 플랫트 홈의 열쇠가 되는 각종
기술에서 중요한 개발이 이루어졌다. 대용량 통신방송위성의 개발은 단계적인
성과를 거두어, 미소(微小)위성의 개발과 응용이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다.
2. 운반로켓: 과거 5년간에 자주적으로 개발한 「창정(長征)」시리즈 운반로켓에
의한 위성 발사는 24회 연속 성공하였고, 운반 로켓의 주된 기술성능과 신뢰성
은 현저하게 높아졌다. 1996년 10월부터 2005년말에 걸쳐 「창정」시리즈 로
켓의 발사는 46회 연속 성공하였다. 신세대의 로켓 개발에 관건이 된 기술의 많
은 부분이 해결되었고, 추력 120톤급의 액체산소·석유엔진과 추력 50톤급의
산수소엔진의 개발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3. 우주항공기발사장: 지우쿠안(酒泉), 시창(西昌), 타이유안(太原)의 3개 우주항공
기발사장의 건설은 새로운 진전을 이루어 종합적인 실험·발사 능력을 향상시켰
으며, 각종 운반 로켓, 인공위성, 실험용 무인우주선, 유인우주선의 발사 임무를
수 차 달성하였다.
4. 우주항공의 관측·제어: 우주항공관측·제어시스템의 전체적 기능이 크게 증
강·확장되어 각종 궤도에 오를 인공위성, 실험용 무인우주선, 유인우주선의 발
사·궤도운행·귀환착륙을 관측·제어의 측면에서 지원하였다.
5. 유인우주비행: 1999년 11월20일과 21일, 중국은 최초의 실험용 무인우주선
「선저우(神舟)」호의 발사에 성공하였다. 이후 다시 3기의 실험용 무인우주선
「선저우」호의 발사와 회수에 성공하였다. 2003년 10월15일과 16일, 유인우
주선 「선저우 5호」를 발사, 회수하여 중국 최초의 유인우주비행에 성공하였으
며, 유인우주비행의 기본적 기술을 달성하여 세계 3번째의 유인우주비행을 독자
적으로 실행한 국가가 되었다. 2005년 10월12일부터 17일에 걸쳐 유인우주선
「선저우 6호」는 「2인 5일」의 유인우주비행을 실현하여, 최초로 인간에 의한
우주과학실험을 했으며 유인우주선 분야에서 또 다시 중요한 성과를 올렸다.
6. 우주의 심층(深層) 탐측. 달 표면 탐사 프로젝트에 관한 사전 연구를 하고, 프로
젝트를 실시하여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다.
우주 응용
1. 위성 원격탐사: 위성 원격탐사의 응용분야와 규모를 끊임없이 확대하고, 많은 상
황의 주요 해결책인 응용기술 개발상의 난관을 극복하였으며, 기초시설을 강화
하고, 응용시스템의 기술 수준과 업무화 운행능력을 현저히 높여, 전국 위성 원
격탐사 응용시스템의 초보적 형성을 이루었다. 국가 원격탐사센터, 국가위성기상
센터, 중국자원위성응용센터, 국가위성해양응용센터, 중국원격탐사위성지상국
및 국가의 관계부문과 다수의 성(省)·시(市)의 위성원격탐사응용·논증기구를
설립 및 정비하였다. 광학원격탐사 위성검보정장의 건설을 완성하여, 이를 사용
하고 있다. 국내외의 원격탐사위성을 이용하여 커버 범위가 넓고, 시간 서열이
긴 멀티밴드(multi band)위성의 지구관측 데이터 자원을 생성하고, 다양한 종류
의 원격탐사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일부 중요 분야에서는 위성 원격탐
사 응용시스템은 이미 업무화 운영을 시작하여 특히 기상, 지질 조사·광물 탐
사, 측량·제도, 농업, 임업, 토지, 수리, 해양, 환경보전, 방재, 교통, 구역과 도
시계획 등의 면에서 널리 응용되어, 국토자원의 대규모 조사, 생태건설, 환경보
전 및 「서기동륜(西氣東輪)」(서부의 천연가스를 동부에 보냄), 「남수북조(南
水北調)」(남부의 물을 북부에 끌어 들임), 장강 삼협(三峽)프로젝트 등 중요한
프로젝트의 건설에서 주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2. 위성통신·방송: 위성통신 및 방송기술이 급속히 발전하여 더욱 널리 응용되고,
응용산업이 초보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2005년말 현재 중국은 국제·국내 통신
방송기지국 80여개 소, 위성방송 업링크국34개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의 수
십 부문 관련 기관과 약간의 대기업이 100여개의 위성전용통신망, 5만여의 각
종 VSAT(초소형위성통신국)을 설치하였다. 위성방송테레비 사업의 전개와 응
용은 전국 방송과 텔레비, 특히 광대한 농촌지구의 방송과 텔레비의 효과적인
커버 범위를 넓혀, 질적 수준을 높였다. 위성에 의한 통신·방송기술은 「어떤
마을에서도 방송을 들을 수 있고, 텔레비전의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젝
트와 「어떤 마을에서도 전화를 걸 수 있도록」하는 프로젝트로 바꿀 수 없이
귀중한 역할을 달성하였다. 위성에 의한 원격 교육 브로드밴드와 위성에 의한
원격의료망은 일정한 규모를 가지게 되었다. 중국은 국제해상위성기구(IMSO)
의 가맹국으로서, 이미 세계를 커버하는 행상위성통신망을 만들어 국제 이동위
성 통신응용분야의 선진국에 진입하였다.
3. 위성에 의한 항행유도와 위치측정: 「위성에 의한 항행유도 응용산업화」등 중
요 프로젝트를 실시, 내외의 항행유도·위치측정위성을 이용하여 위성에 의한
항행유도와 위치측정기술의 개발·응용·서비스의 면에서 장족의 발전을 이루었
다. 위성에 의한 항행유도와 위치측정의 응용범위와 업종은 끊임없이 확대되어,
전국의 위성에 의한 항행유도응요의 시장 규모는 2년마다 배증되는 속도로 급속
히 성장하고 있다. 위성에 의한 항행유도와 위치측정기술은 이미 교통운수, 기초
측량·제도, 프로젝트 탐사·측량, 자원조사, 지진모니터링, 기상관측, 해양탐
사·관측 등의 분야에서 폭넒게 응용되고 있다.
우주과학
1. 태양지구간의 우주탐측: ESA와 협력하여 지구우주공간 쌍성(雙星)탐측계획을
실시하여, ESA의 우주공간탐측위성 4기와 공동으로 세계 최초로 지구와 우주공
간의 6개소에 대하여 동시합동 탐측을 실시, 중요 탐측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달
표면과 태양계 탐사의 사전연구를 실시하였다.
2. 미소중력과학실험과 우주천문관측:「선저우」호 우주선과 귀환식 위성을 이용하
여 우주생명과학, 우주재료과학, 미소중력과학 등의 분야에서 다수의 실험과 연
구를 전개, 농작물의 우주이변유도 육종(育種)에 관한 연구와 고에너지 우주의
천문관측을 실시, 중요한 성과를 올렸다.
3. 우주환경연구: 우주환경 모니터링·예보연구를 실시, 우주 데브리에 대한 관측과
감소, 예보의 면에서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고, 우주환경을 실험적으로 예보하는
초보적 능력을 갖추었다.
3. 금후 5년의 발전 목표와 주된 임무
2006년, 중국정부가 제정한 「국민경제·사회발전 제11차 5개년기획요강」과
「국가중장기과학기술발전기획요강(2006~20년)」은 우주항공사업의 발전을 중요
한 지위에 놓고 있다. 이상의 2개 기획요강에 기초하여 중국정부는 새로운 우주항
공사업의 발전계획을 제정하고, 금후 5년 및 그 소폭 연장 가능한 장기간의 발전
목표와 주된 임무를 명확하게 하였다. 국가는 이 발전계획에 기초하여 유인우주비
행, 달표면 탐사, 고해상도의 지구관측 시스템, 새로운 운반 로켓 등 중요한 우주항
공과학기술 프로젝트 및 다수의 중점 분야의 우선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기초연구를 강화하고, 우주항공분야의 많은 첨단 기술을 새로이 배치·발전시켜 우
주항공과학기술의 진보와 혁신을 촉진할 것이다.
발전의 목표
운반로켓이 우주공간에 진입하는 능력과 신뢰성 수준을 현저하게 개선시킨다. 장기
에 걸쳐 안정적으로 운행하는 위성의 지구관측시스템과 협조하여 셋트화한 전국위
성원격탐사응용시스템을 확립한다. 상대적으로 정비된 위성에 의한 통신·방송시스
템을 확립하고, 위성에 의한 통신·방송산업의 규모와 효과를 크게 향상시킨다. 단
계적으로 응용의 필요성을 충족하는 위성에 의한 항행유도와 위치측정시스템을 확
립하여, 위성에 의한 항행유도와 위치측정 응용산업을 우선 실현시킨다.
우주비행사의 선회활동과 우주비행기기의 회합·도킹을 실현시킨다. 달탐사를 실현
한다. 우주과학연구에서 중요하고 독창적인 성과를 올린다.
주된 임무
새로운 무독, 무오염, 고성능, 저코스트, 대추력의 운반 로켓을 개발하여 최종적으
로는 근지구궤도의 운반능력이 25톤에 달하며, 지구동기 이동궤도의 운반능력이
14톤에 달하도록 한다. 추력 120톤급의 액체산소·석유엔진과 추력 50톤급의 산
수소(酸水素)엔진의 개발을 전면적으로 완성한다. 현재 보유중인 「창정」시리즈
운반로켓의 신뢰성과 발사 적응성을 높인다.
고행상도의 지구관측 시스템 프로젝트를 실시한다. 새로운 타입의 극궤도와 정지
궤도 기상위성, 해양위성, 지구자원위성, 환경과 재해모니터링 예보 소형위성을
개발하여 발사한다. 입체측량·제도위성 등 신형의 원격탐사위성의 열쇠가 되는
기술 연구를 추진한다. 안정적으로 운행하는 전천후, 전시기, 멀티 스펙트럼, 상이
한 해상도의 지구관측 시스템의 초보적 형성을 이룩하여, 육지, 대기, 해양에 대
한 입체관측과 동태 모니터링을 실현시킨다.
위성원격탐사 지상시스템과 업무응용시스템을 통일적으로 발전시킨다. 현재 보유
중인 원격탐사위성의 지상시스템을 정비하여 완전하게 하고, 국가 수준의 원격탐
사위성 데이터 센터를 설립·정비하여 원격탐사위성의 검보정장 등의 정량화 응
용을 밑받침하는 시설을 건설·정비하여 사회공익봉사 분야의 원격탐사 데이터
공동 향유를 기초적 시스템을 실현시킨다. 위성환경응용기구와 위성방재응용기구
를 설립하여 소수의 중요업무용 응용시스템을 만든다. 위성원격탐사의 주된 응용
분야에서 획기적인 진전을 이룬다.
수명이 길고, 신뢰성이 높은 대용량 지구정지궤도 통신위성과 텔레비 생중계 위
성을 개발하여 발사한다. 위성실황 방영, 브로드밴드 멀티미디어, 위성응급통신,
공익적 통신·방송 등의 기술을 발전시킨다. 위성에 의한 통신·방송의 일반적인
서비스 기능을 계속하여 발전시켜 완성의 영역에 이르도록 하고, 위성통신분야의
부가가치 서비스 업무를 증가시킨다. 위성에 의한 통신·방송의 상업화 진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통신·방송위성과 해당 응용산업 규모를 확대한다.
「베이더우(北斗)」항행유도시럼위성시스템을 완성, 「베이더우」위성에 의한 항
행유도시스템계획을 실시한다. 위성에 의한 항행유도, 위치측정, 시간통지의 자주
적 응용기술과 제품을 발전시켜, 위성에 의한 항행유도·위치측정과 관계있는 위
치서비스를 지탱하는 규범적인 시스템, 대중화 응용시리즈 단말을 확립하고, 응용
분야와 시장을 확대한다.
새로운 기술을 실험하는 위성을 개발하고, 발사, 신기술, 신소재, 신부품, 신설비
의 우주비행검증을 강화하여, 자주적 개발의 수준 및 제품의 질과 신뢰성을 높인
다.
「육종」위성을 개발하여 발사, 우주기술과 농업육종기술의 통합을 추진하고, 농
업과학기술연구분야에서의 우주기술응용을 확대한다.
우주망원경, 신형귀환식 위성 등의 과학위성을 개발한다. 우주천문, 우주물리, 미
소중력과학, 우주생명과학의 기초연구를 전개하여 중요하고 독창적인 성과를 획
득한다. 우주환경과 우주데브리에 대한 모니터링 능력을 강화하여, 초보적인 우주
환경모니터링 경보시스템을 확립한다.
유인우주비행은 우주비행사의 선외활동을 실현하고, 우주비행기기의 회합·도킹
실험을 실시한다. 응용 규모가 일정한 정도에 달하면, 단기간 인간이 관리하고 장
기간 자주적 항행이 가능한 우주실험실을 개발하여 유인우주비행 프로젝트의 후
속작업을 전개한다.
달표면 탐사를 실현시켜 달표면 탐사의 기본적 기술을 획득하고, 중국 최초의 탐
사위성 「청어(嫦娥)1호」를 개발하여 발사하고, 주로 달표면에 대한 과학적 탐
사, 달표면 자원에 대한 탐사와 연구를 실행한다. 달표면 탐사 프로젝트의 후기작
업을 전개한다.
우주항공발사장의 종합적 실험 능력과 효과를 높여, 우주항공발사장의 배치를 한
층 더 최적화시켜, 우주항공발사장의 시설, 설비의 자동화 수준을 높인다.
우주항공관측·제어망의 기술수준과 능력 및 관측·제어의 커버율을 한층 높여,
우주탐측의 필요를 초보적으로 채우는 관측·제어능력을 갖춘다.
4. 발전의 정책과 조치
중국정부는 과학적 발전관에 따라 우주기술, 우주응용, 우주과학의 3분야를 통일
적으로 계획하고, 우주항공과학기술의 자주적 혁신을 추진하여 우주항공활동이 보
다 커다란 경제·사회효과를 발휘하도록 촉진하고, 우주항공활동이 질서있게 규범
적이고도 건전하게 발전하도록 보증하여 정해진 발전 목표를 실현시킨다.
당분간 금후 일정 기간 중국의 우주항공사업 발전의 주된 정책과 조치는 다음과 같
다.
각종 우주항공활동을 통일적으로 계획하고, 합리적으로 배치한다. 응용위성과 위
성응용의 발전에 우선적으로 손을 쓰고, 유인우주비행과 우주의 심층탐측을 적정
하게 발전시켜, 우주과학의 탐구를 적극적으로 지지한다.
역량을 집중하여 중요한 우주항공의 과학기술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기초연구를
강화하며, 첨단기술의 채용을 선행하여 준비한다. 우세한 분야의 역량을 집중하여
핵심기술의 획득과 자원의 축적을 통해 우주항공과학기술의 중점적인 확보를 이
룬다. 우주항공분야의 기초연구와 소수의 첨단기술의 선행적 연구를 강화하여 우
주항공과학기술의 지속적 혁신 능력을 고양한다.
우주응용을 강화하고, 우주항공의 산업화의 진전을 추진한다. 우주응용기술의 개
발을 강화하고, 자원의 공동 향유를 추진하며, 업무 응용을 확대한다. 통신위성과
위성통신, 위성에 의한 원격탐사, 위성에 의한 항행유도, 운반 로켓을 중점으로
하여 위성제조, 발사 서비스, 지상설비 제조, 운영서비스의 우주항공산업 체인을
적극적으로 구축한다. 우주기술의 보급·전화(轉化)와 2차 개발을 강화하고, 재
래산업을 개조하여 향상시킨다.
우주항공과학기술공업의 기초능력 건설을 중시한다. 우주항공기기, 운반 로켓의
개발, 생산, 실험을 실행하는 기초시설의 건설을 강화한다. 우주항공과학기술중점
실험실과 프로젝트 연구센터의 건설을 지지하고, 정보화, 지적소유권, 우주항공기
준화 등 각종 작업을 강화한다.
우주항공기술 혁신건설을 추진한다. 우주항공과학기술공업의 개혁·조정과 전
환·업그레이드를 이끌어 내어, 국제적으로 일류의 거대 우주항공기업의 설립을
가속화한다. 우주항공과학기술기업과 국가과학연구기관을 주로 하는 산업·대
학·연구기관이 통합된 우주항공기술혁신시스템을 적극적으로 구축한다.
우주항공활동의 과학적 관리를 강화한다.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발전에 적응하여
과학적 관리 체제와 메카니즘을 적극적으로 혁신하고, 품질과 효과의 의식을 강
화하여 시스템 엔지니어링 등의 현대화한 관리수단을 이용, 과학적 관리를 강화
하고 시스템의 질을 높이며 리스크를 줄여 총합적 효과를 높인다.
정책·법률 건설을 강화한다. 우주항공활동관리의 법률·법규와 우주항공산업정
책을 연구, 제정하여 각종 우주항공활돌을 지도하고 규범화시켜 법에 의한 행정
수준을 높이고 우주항공사업의 발전에 유리한 정책·법규 환경을 만들어 낸다.
우주항공활돌에의 경비 투입을 보장한다. 중국정부는 계속하여 우주항공에의 투
입을 늘리고, 동시에 다원화되고 다양한 루트를 가진 우주항공투자시스템 확립을
장려하여, 우주항공사업이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발전을 하도록 지킨다.
사회 각계의 우주항공활동으로의 참여를 장려한다. 공업기업, 과학연구기관, 상업
기업, 대학, 사회단체가 국가의 우주항공정책의 지도 아래 각자의 장점을 살려서
적극적으로 우주항공활동에 참여하고, 우주분야의 국제교류와 협력에 참여하도록
장려한다. 위성경영기업과 응용부문이 우선적으로 국산 위성과 위성응용제품을
사용하도록 장려한다.
우주항공의 인재 양성을 강화한다. 교육사업을 대대적으로 발전시키고, 혁신의 실
천 안에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중시하며, 특히 젊은 과학기술인대의 양성을 중
시하고, 합리적 구조로 우수한 자질의 우주항공인재를 양성한다. 우주항공지식을
보급시켜 우주항공문화를 선전하여 보다 많은 우수 인재가 우주항공사업에 종사
하도록 한다.
중국 정부는 끊임없이 우주항공활동에 대한 관리와 거시적 지도를 강화하고 있다.
중국국가우주항공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민수용 우주항공관리 및 국제우주협력을
주관하는 정부기관이며, 정부로부터 상응하는 관리감독을 받고 있다.
5. 국제교류와 협력
중국정부는 우주공간은 전인류 공동의 자산이며, 세계 각국은 모두 우주공간과 천
체를 자유롭게 탐구, 개발, 이용할 수 있는 평등한 권리를 가지고 있고, 세계 각국
의 우주활동은 각국의 경제발전과 사회진보, 인류의 안전·생존·발전, 각국 인민의
우호적 협력에 공헌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우주를 둘러싼 국제협력은, UN의 「우주공간의 탐구, 이용의 국제협력 전개, 모든
국가의 복지와 이익 촉진, 특히 발전도상국의 필요 고려에 관한 선언」(「국제우주
협력선언」)안에서 명확히 내새워진 기본적 원칙에 따라야 한다. 중국은 호혜평등,
평화이용, 공동발전의 원칙에 입각하여 우주공간 분야의 국제교류와 협력을 강화해
야함을 주장한다.
기본적 정책
중국정부는 국제우주교류와 협력을 전개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기본적 정책을 취
하고 있다.
독립자주의 방침을 견지하고, 국가의 현대화 건설 필요성에 대응하여 내외의 시
장과 자원을 합리적으로 이용하고, 적극적·실무적인 국제협력을 전개할 것을 종
합적으로 고려한다.
UN 및 관련기관에서 우주공간의 평화이용에 관한 각종 활동을 펼치는 것을 지지
한다. 정부간 또는 비정부간의 우주기구가 우주기술, 우주응용, 우주과학의 발전
을 촉진하기 위해 펼치는 각종 활동을 지지한다.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지역적 우주협력을 중시하고, 다른 세계 각 지역의 우주협
력을 지지한다.
발전도상국과의 우주협력을 강화하고, 선진국과의 우주협력을 중시한다.
국내의 과학연구기관, 공업기업, 대학, 사회단체가 국가의 관계 정책과 법규 아래,
다단계, 다형식의 국제우주교류와 협력을 전개하는 것을 장려하고 지지한다.
주된 활동
과거 5년간에 중국은 다수의 국가와 양국간 국제우주협력을 실시하였다. 전후하
여 13개국, 우주기관, 국제기구와 16건의 국제우주협력협정 또는 양해각서에 조
인하고,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우주기술과 응용분야의 다국간 협력과 우주협력조
직화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UN 및 관련 기구가 펼치는 관계 활동에 참여하고, 국
제 우주상업활동을 지지하여 적극적인 성과를 올렸다.
1. 양국간 협력: 과거 5년간에 중국은 아르헨티나, 브라질, 캐나다, 프랑스, 말레시
아, 파키스탄,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의 국가 및 ESA, EC(유럽위원회)와 우주공
간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협력협정, 우주공간 프로젝트의 협력 결정에 조인하고,
그 중 브라질, 프랑스,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의 국가들과 우주항공협력의 소위
원회 또는 합동위원회의 협력 체제를 구축하였고, 인도, 영국 등의 국가우주항공
기관과 우주협력 양해각서를 조인하였으며, 아르헨티나, 칠레, 독일, 이탈리아,
일본, 페루, 미국 등의 국가우주항공기관과 교류를 맺었다.
중국은 이어서 브라질과 지구자원 탐사위성협력을 맺었다. 2003년 10월, 중국
과 브라질이 지구자원을 탐사하는 02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한 후, 중국과 브라
질 양국정부는 다시 지구자원탐사위성 02B위성, 03위성, 04위성의 공동개발제
작 및 데이터응용시스템 협력 등의 보충의정서에 조인하였고, 중국과 브라질의
지구자원탐사위성의 데이터의 연속성을 계속 지킴과 함께, 동 위성 데이터의 지
역적 응용성을 확대했다.
중국과 프랑스는 우주공간분야에서 광범위한 교류와 협력을 실시하고 있다. 중불
(中佛)우주항공합동위원회의 협력 체제 아래, 쌍방은 우주과학, 지구과학, 생명
과학, 위성응용, 위성에 의한 관측·제어 등의 분야에 있어서 교류와 협력의 중
요한 진전을 이루었다.
중국과 러시아는 우주공간분야에서 효과를 높이는 협력을 하고 있다. 양국총리정
기회견위원회 우주항공협력소위원회의 틀 아래에서 장기협력계획이 확립되었다.
이 외에 우주비행사의 양성 등 유인우주비행의 면에서 교류와 협력을 전개하고
있다.
중국과 우크라이나는 우주공간분야에서 교로와 협력을 실시하고 있으며, 중국·
우크라이나 우주항공합동위원회의 협력 체제 아래에서 쌍방은 협력계획을 확정
하였다.
중국과 ESA는 중국과 유럽이 협력하는 「지구우주공간쌍성(雙星)탐측계획」을
실시하고 있다. 중국의 관계부문은 ESA와 지구관측 분야의 「드래곤 프로젝
트」협력을 실시하고 있으며, 농업, 임업, 수리(水利), 기상, 해양, 재해 등의 분
야에서 16건의 원격탐사 응용프로젝트의 협력을 실시하고 있다.
2. 다국간 협력: 2005년 10월, 중국,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이란, 몽골, 파키스
탄, 페루, 타이의 8개국 정부 대표가 북경에서 「아시아태평양우주협력기관
(APSCO)공약」에 조인하였고, 다시 2006년 6월에 터키 정부의 대표도 같은
조약에 조인하였다. 본 기관의 본부는 북경에 설치된다. 이것은 APSCO가 정식
성립을 향해 중요한 일보를 내디딘 것을 나타내고 있다.
중국은 「아시아태평양지역의 다국간협력의 다용도 소형위성」프로젝트를 계속
하여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방글라데시, 이란, 한국, 몽골, 파키스탄, 타이 등의
국가와 공동으로 다용도 소형위성을 개발, 제작, 응용하고 있고, 본 위성은
2007년 발사 예정이다.
중국은 UN우주공간평화이용워원회(COPUOS) 및 산하 과학기술소위원회와 법
률소위원회의 각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가하고, UN이 제정한 「우주조약」,
「우주구조(救助)반환협정」, 「우주손해책임조약」과 「우주물체등록조약」에
가입하여 관계 책임과 의무를 엄격하게 이행하고 있다.
중국은 UN 우주공간평화이용위원회가 제3회 UN우주회의(UNSPACEⅢ)의 각
제안을 실행으로 옮기는 관계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특히 캐나다, 프랑스
와 같이 공동의장국으로서 UN우주공간평화이용위원회 40개 가맹국과 15개 국
제기관이 참가한 「우주시스템을 이용한 방재와 재해관리 그룹(제7행동 그룹)」
의 활동을 추진함과 함께 UN우주공간평화이용위원회의 「방재와 재해관리협조
체제의 실행가능성을 연구하는 특설 전무가 그룹」의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가
하고 있다.
중국은 이미 많은 국가들의 우주공간기관으로 구성되는 「중대한 자연재해 또는
기술재해 안에서 우주시설을 협조하여 이용하는 협력헌장」의 방재 체제에 가입
하였다. 중국은 UN과 협력하고, 중국에서 「UN·ESA·중국기초우주과학강습
회」와 「UN·중국·아시아태평양지역의 원격의료발전강습회」를 개최하였고,
또한 수회에 걸쳐 아시아태평양지역우주공간 다각적협력비서처, UN아시아태평
양경제사회위원회(ESCAP) 등과 협력하여 중국에서 우주기술응용에 관한 연수
회와 심포지엄을 개최하였으며, 자금 원조를 하였다. 중국은 UN아시아태평양경
제사회위원회가 실시한 아시아 및 태평양지역의 우주응용과 지속가능한 발전계
획에도 참가하였다.
중국은 국제기관간우주데브리조정위원회(IADC)의 다양한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가하여, 중국「우주데브리행동계획」을 발동시켰으며, 우주데브리 연구분야의
국제교류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국제지구관측위성원회(CEOS)의 관계활
동에 참여함과 함께, 2004년 11월에는 주최국으로서 북경에서 「국제지구관측
위성위원회 제18회 총회 및 20주기 축전」을 개최했다. 2005년 5월, 중국은 국
제지구관측그룹(GEO)의 정식 가맹국이 되었고, 집행위원회에 가입하였다. 2006
년 7월, 북경에서 「제36회 세계우주과학대회」, 「제8회 국제달표면탐사이용회
의」가 개최되었다. 중국은 또한 국제전신연맹(ITU), 세계기상기관(WMO), 국
제우주항공연합회, 국제우주공간연구위원회(COSPAR) 등의 우주기관 관련활동
에 참여하였다.
3. 상업활동: 2005년 4월, 「아시아태평양 6호」통신위성의 발사에 성공하였다.
2004년 12월, 중국은 나이지리아와 통신위성상업계약을 맺었고, 사용자에게 위
성의 궤도상 인도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2005년 11월, 중국은 베네주엘라와 통
신위성상업계약을 맺었고, 사용자에게 위성의 궤도상 인도 서비스 및 이에 대응
하는 지상응용설비를 제공하였다.
우선하는 분야
중국정부는 우주기술, 우주응용, 우주과학 등의 분야에서 국제교류와 협력의 실행을
계속적으로 지지하며, 금후 5년 이내에 이하의 제 분야에서 국제협력을 우선적으로
전개한다.
우주천문, 우주물리, 미소중력과학, 우주생명과학, 달표면 탐사와 혹성탐사 분야
등의 과학연구
지구관측위성 데이터의 공동 향유와 서비스. 자원조사, 환경 모니터링, 재해 방지
와 감소, 지구변화의 모니터링과 예보 등의 방면에서의 응용과 연구.
우주항공관측·제어망의 자원의 공동 향유, 우주항공관측·제어의 상호제공 등.
통신위성과 지구관측위성의 설계와 제작
위성 통신, 위성 원격탐사, 위성에 의한 항행유도와 위치 측정의 지상설비 및 핵
심 부품의 제조
위성통신·방송의 원격교육, 원격의료 등의 응용 및 위성방송, 텔레비의 응용범위
의 확대, 위성에 의한 항행유도와 위치측정의 관련 서비스.
위성의 상업적 발사 서비스, 위성과 부품의 수출, 위성의 지면 관측·제어와 응용
시설의 건설 및 서비스
우주항공활동 각 분야의 인재 교류와 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