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주개발 프로그램
가. 우주개발 프로그램
(1) 러시아는 1957년 10월에 인류최초로 인공위성 “스푸트니크”를 우주공간에 내
보내고, 1961년에 인간을 처음으로 지구궤도에 올리는 등 우주분야에서 인류
의 새로운 역사를 썼지만 1990년 이후 경제력의 쇠퇴로 우주분야에 대한 정부
의 투자가 많이 줄어들었음.
(2) 러시아의 우주활동은 최근 1990년대의 국가경제 슬럼프로부터 회복하고 있으
며 특히, 고유가는 정부예산의 균형과 증가를 가능하게 만들었음.
(3) 2005년 10월에 러시아 정부는 2006-2016의 연방우주프로그램을 승인하였는
데 이것은 세계에서 우주분야에서 러시아의 리더십을 유지하며, 통신, 지구탐
사, 과학 및 기상관련 위성의 개발을 지속하는 것을 포함함. 또한 “소유주”우주
선을 “Clipper”라는 왕복선으로 대체하며 친환경 발사체인 “Angara”를 개발하
는 것을 포함함.
(4) 러시아는 증가된 예산과 새로운 개발 프로그램으로 특히, 발사체 개발과 지구
탐사 및 통신에서 능력을 확대하고 현대화 하는 일에 우선권을 분명히 두고 있
음.
(5) 연방우주청(FSA 또는 Roscosmos)은 2004년에 광범위한 정부 구조조정의 일
부로서 보고체계를 변경했는데 이는 2004년 9월에 대통령령으로 “연방체의 시
스템과 구조가 실행력을 가진다”라고 하여 우주청을 산업에너지부의 산하가
되었으며 총리에게 직접 보고하도록 함. Roscosmos 는 단일 정부 기관으로
민간 우주프로그램의 시행에 책임을 짐. 다른 어느 정부기관보다 군대와 가까
운 위치에 있음.
(6) 연방우주청은 모든 활동을 100% 스스로 재정 지원하는 "Federal Task
Programs(FTP) 2006-2015"에 기초하여 진행함. 하지만 다른 FTP에 부분적으
로 참여하기도 함.
프로그램
주 담당기관
주요내용
Angara
TsSKB
- Proton 발사체의 후속모델
- 8t급 탑재체를 GTO로 진입
- Plesetsk에 발사장 건설 중
Dialog
Khunichev
- 7기의 정지궤도 통신위성 중 첫 번째 시리즈
- 위성(500kg)당 10~12개의 트랜스폰더 장착
Elektro-2
VNII
Elektromekaniki
- 정지궤도 기상위성
Glonass-K
NPO PM
- 차세대 경량급 항행위성(745kg)
- Proton 또는 Soyuz 발사체를 이용
- 1회 발사당 6기 인공위성 궤도진입
- 수명 10년
Meteor-3M
VNII
Elektromekaniki
- 정지궤도 기상 위성
Radioastron
NPO Lavochkin
- 궤도 선회 전파망원경
Resurs-01-5
VNII
Elecktromekaniki
- 극지방 궤도 선회 기상위성
Resurs-DK
TsSKB
- Resurs-F의 후속모델
- 전자광학장비 탑재
- 해상도 1m pancromatic
- 수명 3년
Spektr
NPO Lavochkin
- 천문과학위성
- 2기: Specktr-RG & Specktr-UFT
- 자외선 및 감마선 관측
Strela
NPO
Machinostroenie
- RS-18 탄두 미사일에서 파생된 소형발사체
- 600~1,700kg의 위성을 고도 300~1,500km의 궤도에 진
입시킴
Nikha
TsSKB
- Foton 우주선의 후속 개발 계획
<표 46> 러시아 주요 우주 프로그램
1) 국가 주요 프로그램
프로그램
참여율
주요내용
Global Navigation System
48.48%
Industrial Decommission of Weapons and Military Materials 2005-2010 11.84%
Ocean
2.95%
Drugs Abuse and Illicit Traffic Prevention 2005-2009
2.65%
National Technological Basis 2007-2011
1.15%
Habitat 2002-2010
0.11%
<표 48> 러시아 부분참여 우주 프로그램
프로그램
2010년 이전
주요내용
통신 방송 정지위성
Express-AM 7 SC
Bonum-1 1 SC
Horizon, Express-A 2 SC
Express-AM 11 SC
Express-AT 2 SC
Express-AMU 2 SC
Express-MDP 4 SC
이동 우주 통신 시스템
Gonets-M 3 SC
Gonets-M, Gonets-M1 22 SC
정보 중계 우주시스템
Lutch-5 3SC
Lutch-5 2SC
Lutch-4 1SC
기상 모니터링 시스템
Electro-L 1 SC
Meteor-M 2 SC
Electro-L 2 SC
Electro-L 1 SC
Meteor-M 2 SC
Meteor-M 1 SC
지구 관측 시스템
Resurs - DK 1 SC
Kanopus - V 1 SC
Resurs - P 1 SC
Kanopus - V 4 SC
Resurs - P 2 SC
Kartograph 1 SC
Arkon - 2M 2 SC
기초우주과학 위성
천체 물리관측 1
태양-지구 연결 연구 2 S
Spektr-UV SC
Specktr-RG SC
태양-지구 연결 연구 7 SC
Phobos-Grunt 1SC
Luna-Glob 1 SC
생의학적연구 SCs
COSPAS-SARSAT system
"Sterh" 2 SC
"Sterh" 2 SC
물질과학 기술
Vozvrat-MKA, KA OKA-T
<표 47> 러시아 주요 사업계획
2) 사업 계획
(7) 부분 참여 Federal Task Programs
3) 통신·방송·측위
(8) 구 소련시대인 1965년이래, 광대한 국토를 커버하는 통신·방송망의 정비를 위
해 통신·방송위성을 개발, 운용해 왔음. 그러나 통신 인프라스트럭처는 대체로
빈약하여, 소련 붕괴 때에는 적어도 비군사 부문의 위성통신이 후진 지역에 있
었음.
(9) 위성의 종류로서는 장타원궤도(몰니아궤도) 통신위성의 몰니아(Molniya), 정지
통신위성으로는 라두가(Raduga), 골리존트(Gorizont), 엑스프레스(Express)가,
정지방송위성의 에크란(Ekran), 갈스(Gals)가 있음.
(10) 우정통신성은 우주통신서비스업무를 주관하고 있지만, 고정통신서비스업무와
방송위성의 소유권은 1992년에 국유기업 RSCC(러시아위성통신회사)에 양도
되었음.
(11) 러시아의 통신 및 텔레비전 방송위성의 운영자는 RSCC로서 100% 국영기업
체로서 정보기술통신부 산하에서 2006년 현재 10개의 위성을 운영하고 있으
며 2000년 이래로 위성의 현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12) 방송통신분야에서의 최우선 과제는 정지궤도 방송통신 위성시스템을
up-grade 하는 것으로서 연방프로그램에 의하면 2016년까지 30기의 위성을
발사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6기는 “Express MD”라고 불리는 8기의 새롭고
소형의 위성과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24기의 저궤도 위성군을 포함하고 있음.
(13) 러시아는 3개의 측위위성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데 2개의 저궤도 위성군인
“Parus”와 “Tsikada”(군사용 측위 및 탐색/구조)과 고궤도이고 비싼 진보된
“GLONASS” 위성군으로 나뉘어져 있음.
(14) 1990년대에는 연방우주청은 “Glonass”위성의 예산감축을 할 수 밖에 없는
제한예산에 직면해 있었는데 2001년에 러시아 정부는 국가측위시스템을 유지
시키고 개발시키기 위한 “Global Navigation System”로 불리는 서류를 승인
하였고, 그 프로그램은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총24기의 위성군을 가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현재 16기로 운영되는 러시아의 측위시스템인
Glonass는 두 가지의 신호를 제공함으로서 민간 및 군용으로 서비스를 지속
할 수 있는데 민간을 위한 표준 정확도 신호와 군용으로 쓰일 고정확도의 신
호가 그것임.
4) 지구관측
(15) 2006년에 러시아연방 프로그램은 1억 42백만불을 지구탐사에 배정했음. 연
방우주청은 다양한 지구탐사 위성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고, 이 분야에 상당
한 전문성을 가지고 있지만 지금까지 지속적이고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시
스템을 우주궤도에 운영하는데 실패했으며 많은 노력들이 분산되고 있는 상
태임. 현재는 적어도 5개 프로젝트가 개발 중이나 장기계획을 위한 명확한 전
망이 불투명한 상태임.
(16) 연방우주청은 2007년에 발사를 목표로 민군겸용 위성인 Arkon-2 레임 위성
을 개발하고 있는데 이 위성은 정밀 사진, 정찰 사진 및 경로 탐색을 위하여
사용될 예정임 .
(17) 러시아의 지구관측위성은 대부분이 군사위성기술의 전용으로 민간이용자에게
데이터의 일부를 배포하는 형태로 진전해 왔음. 다만, 이들 데이터의 배포에
있어서는 제약이 있어 서쪽 제국(諸国)의 지구관측데이터와 같은 무차별배포
를 원칙으로 하고 있지는 않음.
(18) 러시아의 위성관측데이터는 다른 제국보다도 약간 낮은 가격설정으로 분해능
이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지만, 노이즈에 의한 데이터의 품질이나 데이터의 포
맷이 국제적 표준에서 크게 떨어져 있는 등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음.
<그림 1> 러시아 인공위성
(19) 고분해능 광학센서 탑재위성(레술스 : Resurs)
(가) 레술스에는 필름 회수식인 레술스-F시리즈와 CCD탑재형 디지털신호 전송
타입의 레술스-O1이 있음. 레술스-F에는 F1, F2, F3의 3개의 타입이 있
어, F1의 궤도상수명은 반달, F2는 1개월임 1979년 이후 70기 근처에 발사
되고 있는 레술스-F의 분해능은 미션에 의해 다른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3~30m로 폭이 넓음.
(20) 합성개구 레이더(SAR) 탑재위성 (알마즈 : Almaz)
(가) 알마즈-1은 1991년 3월에 발사되어 분해능 15~30m의 S밴드SAR에서 취
득한 관측 데이터를 정지궤도상의 데이터 중계위성으로 전송했음. 30개월
이상의 운용을 목표로 하고 있었지만, 태양활동이 활발했기 때문에 1992년
10월에 대기권으로 재돌입시켰음.
(21) 해양관측위성 (오케안 : Okean)
(가) 오케안-O는 분해능 1.5km의 레이더에 의한 전 기후형의 해양관측위성으
로, 1998년 이후, 오케안-O1이 4기, 오케안-O가 1기 발사되어 있음.
(나) 위성은 러시아(RASA)가 조립하고, 주 센서인 해양관측레이더는 우크라이나
(NSAU)가 개발하고 있음.
(22) 주회형 기상위성(메테오르 : Meteor)
(가) 메테오르는 미국의 NOAA위성과 같이 극궤도 기상위성으로 통상 2~3기의
위성을 운용하고 있음 .
(나) 가시근적외영역에서는 NOAA위성과 같은 레벨의 능력을 가지지만, 열적외
영역에서는 채널 수·분해능 모두 약간 뒤떨어짐.
(다) 미국의 지구관측용기기인 TOMS(오존전량분광계)를 탑재한 메테오르-3-N5
가 1991년 8월에 발사되었음. 또 SAGE(성층권에어로졸 및 가스 실험장치)
가 메테오르-3M에 탑재될 예정임.
(라) 러시아 기상위성시스템은 우주청의 예산문제로 심한 몸살을 앓았는데 러시
아가 소유하고 있던 유일한 기상위성인 Meteor-3M-1은 기능 이상으로 더 이
상 운영되고 있지 않음. 결과적으로 러시아는 기상자료를 미국과 일본 등의 해외
위성으로부터 공급받고 있는 상황임.
(23) 정지기상위성(일렉트로 : Electro)
(가) 러시아 최초의 정지기상위성 일렉트로는 1994년 10월말에 세계기상감시계획
(WWW)의 일환으로서 처음으로 발사되어, 인도양 위에 정지하여 1996년 6월부
터 정상운용을 개시했음.
(나) 구 소련은 1975년에 정지기상위성의 발사계획을 공표했음. 일본, 미국, 유
럽의 위성과 함께 전세계의 기상관측망의 일익을 담당하는 구상이었지만,
실제의 발사는 기술적인 문제와 예산부족으로 대폭적 연기되었음.
(다) 러시아 자체의 기상위성시스템을 갖추기 위하여 2007-2008년에 2기의 정
지궤도 위성인 Electro-2 및 Electro-3와 3기의 극궤도위성인 Meteor-M
을 2006-2009동안 발사할 계획임.
<그림 2> 정지궤도 위성
5) 환경 감시, 지구 관측위성(Kanopus-5)
<그림 3> 지구관측위성
(24) 재난 감시, 환경 감시, 지구 관측
6) 우주환경이용
(25) 우주정거장「미르」에서는 1986년의 발사이래, 생물과학, 재료과학의 각 분
야의 미소중력환경을 이용한 실험이 진행되어 왔음. 1971년에 발사된 사류트
에서 통산 29년간의 우주환경이용의 실적을 자랑하고 있음.
(26) 세계 최초의 유인우주선(워스토크)을 베이스로 개발된 무인의 회수형 우주선
(페톤)은 총 중량 6.2t으로 15~30일의 비행 후에 회수되었음. 1988년 이후,
10기 가깝게 발사되어, 유럽우주기관(ESA), 프랑스국립우주연구센터(CENS),
독일항공우주센터(DLR)등 해외우주기관의 페이로드도 수많이 탑재하여, 수많
은 실험기회를 제공해 왔음.
(27) 또, 캡슐 회수형 지구관측위성(레술스-F)에 소형의 미소중력실험 페이로드를
탑재한 후의 실험도 행해져 왔음.
(28) 회수형 생물실험위성「바이온」은 1999년까지 11기 발사되었음. 바이온
-11(1996년 12월 발사) 및 12는 러시아, 프랑스, 미국의 공동 미션이 되었지
만, 지금은 바이온-12의 발사예정 목표는 서있지 않음.
7) 우주과학
(29) 예산압력으로 인해 러시아 우주프로그램에서 우주과학은 우선순위가 밀려났
으나 2004-2006 연방우주예산 증액에서 가장 혜택을 받은 부분이기도 함.
이러한 경향은 연방우주프로그램에 의해서 굳혀졌는데 이는 다양한 우주과학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하여 국가수준에서의 프로그램과 NASA, ESA 및
JAXA와의 국제협력을 통한 계획도 포함하고 있음.
(30) 주요 우주과학 프로그램을 보면 다음과 같음.
(가) 천문분야 : Spectre-R과 Spectre-RG 프로그램으로 천체물리학 연구실 설
립
(나) Fobos-Grunt program : Russia Academy of Science와 Lavochkin 사가
공동으로 수행하는 대형과제로서 태양계의 행성 및 위성의 탐사를 목적으로
하며 이밖에 Luna-Globe 및 Venera-D 프로그램이 Coronas-Foton,
Resonance 및 Intergelic-zond : 태양과 지구사이의 관계연구 프로젝트
(31) Koronas - Photon 프로그램은 태양과 우주 기상의 모니터링에 많은 기여를
함.
(32) 10개의 실험이 실행되었음.
<그림 4> Koronas - Photon 인공위성
8) 우주인프라스트럭처
(33) 구소련 이래 러시아를 중심으로 프로톤, 소유즈, 코스모스, 몰니아, 사이크론,
제니트 등의 소비형로켓(ELV)가 건재하고 있고, 세계에서 최다의 발사 수(누
적)를 자랑하고 있음.
(34) 재사용형인 우주왕복기 브랜은 1988년에 에너지아에 장착되어, 에너지아의 2
번째의 미션으로서 발사되었음. 브랜은 무인 비행하여 지구를 2바퀴 돌아 바
이코눌(츄라텀)기지에 착륙했음. 그 후, 재정난에 의해 계획은 중지되었음.
(35) 신형로켓으로서는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의 전용을 진행하고 있어 SS-5에
고체 제 4단을 추가한 스탈트는 1993년 3월에 첫 비행에 성공했음. SS-19에
액체 제 3단을 추가한 로코트는 1994년 12월에 첫 비행에 성공했음.
(36) 위성발사는 현재의 러시아에서의 가장 해외수주가 많은 분야임. 그러나 발사
서비스의 마케팅은 해외기업과의 공동으로 진행되고 있는 경우가 많음. 프로
톤은 미국과 러시아의 공동사업인 인터내셔널·론치·서비시즈(ILS)사가, 소유
즈는 프랑스와 러시아의 공동사업인 스타셈사가 제니트는 미국·러시아·우크
라이나·노르웨이의 4개국이 참가하고 있는 씨·론치사가, 그리고 로코트는 독
일과 러시아의 공동사업인 유로코트사가, 발사서비스의 판매를 하고 있음.
(37) 프로톤 로켓의 후계기가 되는 앙가라 로켓은 ILS 사가 마케팅을 하고, 2003년
의 발사를 목표로 하여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38) 또, CIS는 엔진의 수출에서도 외화를 적극적으로 취득하고 있음. ILS 사가 판
매하는 미 록히드·마틴(LM) 사의 아틀라스3 및 아틀라스5 (함께 개발 중)에는
RD-180이라는 러시아 엔진을 미국기업이 개수한 것이 사용되고 있음.
9) 주요센터
(39) 바이코눌기지(별칭 츄라텀기지)
(가) 1957년부터 운용개시, 1991년 말기에 카자흐스탄의 주권 하에 편입되었음.
발사대 12기. 북위 45°
(나) 카자흐스탄공화국 내(아랄해 동방의 남쪽근처)에 위치하고 있고, 유인우주
비행 및 정지위성의 발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다) 구소련 붕괴 후도 러시아중심의 발사를 실시하고 있음
(라) 사장(射場)의 운용을 둘러싸고 러시아와 카자흐스탄간에 많은 문제를 일으
키고 있지만, 1993년 12월에 양국은 발사장의 리스협정에 동의하고, 리스
요금은 카자흐스탄 측의 부채에서 감하는 것으로 했음
(마) 1994년 3월의 양국대통령의 합의에 의해 연1억1,500만 달러로 20년간에
걸쳐서 사장과 그 직원에 대해서 러시아의 주권을 인정하게 되었음
(바) 1999년 7월의 프로톤발사실패에 따른 배상금으로서 러시아는 카자흐스탄
에 27만 달러를 지불했음. 또 1999년 10월의 프로톤발사실패가 환경악화
및 주민에게 해를 끼친 배상금으로서 러시아는 카자흐스탄에 대해 37만 달
러의 배상금을 지불하는 것에 합의하고 있음
(사) 이와 같이 바이코눌의 이용 상황이 나빠지고 있기 때문에 러시아는 이미 군
사위성발사를 대체할 프레세츠크로 이관하는 작업을 개시하고 있음. 완료하
면 바이코눌은 비군사 미션 발사만으로 이용되게 됨
(아) 바이코눌 발사장에 사용하는 주된 로켓은 프로톤, 제니트, 소유즈, 사이클
론, 코스모스, 로코트임
(40) 러시아 국내의 발사장
(가) 프레세츠크와 카자흐스탄·얄에 더해서 극동의 아무르주의 스바보도누이
(Svobodny)발사장이 정비되고 있음
(나) 프레세츠크는 1959년경에 설치. 발사대 7기. 북위 62°.
(다) 프레세츠크는 러시아에서의 고 경사각 미션용으로서는 중심적 발사장임
(라) 프레세츠크 발사장에서 사용하는 주된 로켓은 제니트, 소유즈, 사이클론, 코
스모스임
(마) 카프스틴·얄은 카스피해 연안의 북위 48°에 있고, 원래는 미사일의 시험발
사장이지만, 상업이용을 위한 검토가 진행되고 있음
(바) 스바보도누이는 중국의 국경에서 100km의 북위 51°에 위치하고, 구 탄도미
사일기지였지만, 탄도미사일의 사정을 참작할 로코트 등이 소형로켓발사시
설의 정비가 진행되고 있음. 1997년 3월에 스바보도누이에서의 첫 발사로
서 스탈트가 발사되었음. 또 대형 앙가라 로켓의 발사장정비도 생각하고 있
음
(41) 유인/무인비행관제센터(TsUP)
(가) 모스크바주 카리닝라드에 있고, 1973년부터 운용되고 있음
발사체
주 담당기관
설
명
Cosmos
AKO Polyot
- 1964년 첫발사
(42) Star City
(가) 모스크바의 북동 30km에 있고, 1960년에 가가린 우주비행사 훈련센터
(TsUP)가 설립되어, 지금까지 300명 이상이 훈련을 받고 있음
(나) 현재, RASA와 러시아전략미사일군(RSMF)이 공동 관리하고 있음
(다) 시설로서는 원심가속기, 열 쳄버, 소유즈TM과 소유즈T의 시뮬레이터, 미르
의 목업, 선외활동 훈련용 풀, 탄도비행훈련용 항공기(일류신76) 등이 있음
(라) 2007년 3월에 한국 최초의 우주인을 선발된 2명이 이 훈련소에 입소하여
훈련을 받음
(마)
<그림 5> 러시아 우주발사장
(43) Vostochny 우주 발사장 건설 시작
- 1.5t/200km 궤도 진입 능력
- 마케팅: Puskovie Uslugi 발사서비스
Molniya
TsSKB
- Soyuz의 다른 버전
Proton
Khrunichev
- 1965년 첫발사
- Proton K(4.7~4.9t to GTO) & Proton M(5.5t to GTO)
- 2010년부터 Angara로 대체
- 마케팅: International Launch Service
Soyuz
TsSKB
- 1963년 첫발사
- 5t급 탑재체 고도 450km 궤도 진입
- Soyuz/ST: 1.5t to GTO, 2006년부터 Kourou 발사장 이용
- 마케팅: Starsem
Start
NII Teplovy
Tekniki
- 1993년 첫발사
- SS-25 탄두미사일 파생물
- 소형위성 발사용(600kg to 400km 궤도)
- 마케팅: Puskovie Uslugi 발사서비스
<표 49> 러시아 발사체 현황
10) 우주산업
(44) 1991년 이래, 러시아의 우주산업은 크게 변혁하였음. 대부분의 기업은 의연
하게 자금의 대부분을 나라의 예산으로 계속 의지하고 있지만, 오늘날 러시아
기업은 자금의 상업차입이나 제품의 수출, 감독관청이외의 고객에 대한 판매
등을 할 수 있음
(45) 특히, 발사서비스수주나 로켓엔진 수출의 견실한 신장을 반영하여, 해외매상
고가 순조롭게 증대하고 있음
(46) 후르니체프 국립과학산업우주센터
(가) ISS의 모듈이나 대형위성의 발사에 사용하는 프로톤로켓의 제조자임
(나) 앞으로 프로톤을 대체함고 할 수 있는 앙가라 로켓의 개발도 담당하고 있음
(47) RSC 에네르기아사
(가) ISS의 러시아 모듈이나 소유즈TM우주선이라는 유인시스템의 제조자임
(나) 위성을 소정의 궤도에 투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단로켓도 제조하고 있음
(48) NPO 에넬고마슈사
(가) 프로톤, 소유즈, 제니트의 제 1단에 사용하는 엔진의 제조자임
(나) 미국 프랫&휘트니(P&W) 사와 공동으로 미국 아틀라스3 시리즈 및 아틀라
스5 시리즈의 제 1단 엔진인 RD-180을 제조하고 있음
11) 지속되고 있는 민간 프로그램의 현대화
가) 2016년까지 최대 32대의 GEO 위성 발사
(49) SatCom 프로그램은 2009년 정부 투자액의 10%인 88억 6,000만 루블(US$2
억 7,200만 달러)을 받음.
(50) 연방 우주 프로그램에서는 2016년까지 32대의 GEO 위성을 발사할 계획인
데, 여기에는 새롭고 더 작아진 Express MD 모델 8대와 이동 위성 서비스용
으로 쓰이는 24대의 LEO 위성군이 포함되어 있음.
(51) 러시아 통신 위성은 정보기술통신부 관할인 국유 기업, 러시아 위성 통신 회
사(RSCC)가 운영하고 있음. 2000년부터 정부에서는 통신 위성단을 현대화하
고 확대하는 데 전력을 다함. RSCC는 GEO 위성 11대를 운영하고 있으며,
2011~2013년에 8대의 위성을 추가 발사할 계획임.
(52) 이뿐만 아니라 러시아 최대의 천연가스 거대 복합 기업 가즈프롬(Gazprom)
이 소유한 가즈프롬 위성 시스템(Gazprom Satellite Systems)은 GEO 위성 3
대를 운영하고 있으며, 2015년까지 위성 7대를 추가 발사할 계획임. 핵심 활
동은 회사에 필요한 것을 공급하는 데 전념하는 것이지만, 가즈프롬의 위성
능력은 정부에서도 이용함.
위성
수량
궤도
질량(kg)
대역
용도
운영자
Express-AM
7
GEO
2,600
C, Ku, L
FSS, MSS, TV, 첨단
멀티미디어 서비스
RSCC
Express-MD
4
GEO
600
C, L
FSS, MSS, TV
RSCC
Express-AM
U
2
GEO
3,200
C, Ku, L
FSS, MSS, TV
RSCC
Express-AT
2
GEO
1,600
Ku, Ka
Direct TV, 첨단 위성
서비스
RSCC
Express-MD
P
4
GEO
600~800
C, L
MSS
RSCC
Express-RV
3
HEO
2,800
S, Ku, L
다이렉트 TV, 위성
방송
RSCC
Luch-5
2
GEO
950
S, Ku, P, L 자료 중계
로스코스모
스
Gonets
24
LEO
250
P
MSS
Gonets
Yamal-GK
8
GEO
400-3,000
C, Ku, Ka,
P
FSS, TV, 자료 중계,
첨단 멀티미디어 위성
서비스 시스템
가즈프롬
위성
시스템
Polar Star
4
HEO
2,000
S, L
디지털 위성 방송, MSS
가즈프롬
위성
시스템
Sadko
1
GEO
2,650
C, L
MSS
Express-Mol
niya
4
HEO
1,000
S, Ku, L
디지털 위성 방송,
Telemedicine
Express-V
2
GEO
830
C, Ku
FSS, TV
RSCC
<표 50> 러시아의 미래 SatCom단
나) 글로나스 위성군의 완성을 가속화하기 위한 추가 자금 지원
(53) SatNav는 2009년 305억 3,000만 루블(US$9억 3,700만 달러)의 예산을 지출
하는 정부에서 두 배로 증가된 예산을 받아 이 적용 분야가 러시아 우주 프로
그램에서 최대 규모의 투자를 받는 분야가 됨.
(54) 러시아의 항행 위성군인 글로나스(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은
1980년대 초에 개발되었음. 러시아가 특수 군사 항법 시스템인 Parus을 보유
하고 있기는 하지만, GPS와 비슷하게 위성 시스템은 두 가지 유형의 신호, 즉
모든 민간 사용자들이 전 세계에서 연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표준 정밀 항
법 신호(SP) 및 군사 분야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고정밀 항법 신호(HP)를 전
송함. 시스템은 두 세대의 위성, 즉 글로나스 시스템의 업그레드 버전인 글로
나스-M과 글로나스-K로 구성되어 있음. 글로나스-K 위성은 비가압 플랫폼
및 증가된 위성 수명(10~12년) 같은 현대화된 기능을 갖추고 2010~2011년
에 발사될 예정임.
(55) 러시아의 SatNav 프로그램에는 다음의 네 가지 목표가 있음.
(가) 2010년까지 글로나스 위성군 완성
(나) 시스템 성능(정확성, 가용성, 신뢰성) 개선
(다) 새로운 신호를 도입해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글로나스 서비스 품질 개
선
(라) 국가 경제와 특히 수송 체계에 satvan SatNav 기술 도입
(마) 글로나스의 국제적인 위상 강화
(56) 현재 글로나스는 궤도에서 러시아의 전 영토에 도달할 수 있는 19대의 위성
으로 구성되어 있음. 글로나스 서비스는 러시아 이외의 예상 서비스 이용 지
역 중 최대 93%의 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음.
(57) 초기 계획은 글로나스를 2009년에 완전히 배치(위성 24대)하는 작업을 완료
하는 것이었지만, 3대의 위성만 발사되어 위성군을 완전히 배치하는 작업은
2010년까지 지연되었음.
(58) 새로운 세대의 글로나스는 GPS 및 갈릴레오 시스템과 모두 호환되며 상호 운
용이 가능할 것임.
다) 러시아 지구 관측 시스템의 중추인 Resurs 위성
(59) 2009년 러시아 지구 관측 작업에 할당된 예산은 133억 루블(US$4억 800만
달러)로 추산되었음. 러시아가 자국의 기상 프로그램을 부활시켜 투자 규모를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자금은 Meteor와 Electro 기
상 위성에 투자됨.
(60) 러시아 지구 관측 프로그램은 매우 광범위한 지구 관측 및 기상 위성을 갖춘
것이 특징임. 러시아의 주요 민간 지구 관측 시스템은 NTs OMZ(지구 정보
모니터링 연구 센터)가 운영하는 Resurs 시리즈로, 그 자료는 영리적으로 이
용하기도 함. 2012년까지는 Resurs 위성 3대를 추가 발사할 예정임.
(61) 러시아는 Ekola, Kanopus 및 Smotr로 구성된 미니 위성 프로그램을 실행하
고 있음(2009~2016년에 모두 12대의 위성이 계획되어 있음). 후자는 비록
연방 우주 프로그램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기는 하지만 가즈프롬 위성 시스
템에서 운영할 예정이며, 특히 러시아 전 영토에 걸친 대규모 가스 수송관 네
트워크를 모니터하기 위한 민간 기업의 필요성을 충족하는 데 활용될 것임.
2010년에 발사될 예정인 Arkon은 겸용 레이더 위성임.
라) 천문학 및 탐사, 과학 프로그램의 주요 동력
(62) 오랫동안 과학 분야는 예산이 극히 한정되어 어려움을 겪었지만, 최근에는 새
로워진 정치적 관심에 따른 주요 자금의 지원이 증가(62억 1,000만 루블,
US$1억 9,000만 달러)되어 혜택을 얻고 있음.
(63) 현재 러시아의 과학 프로그램에는 계획 단계이거나 개발 중인 것을 포함해 많
은 수많은 임무가 포함되어 있음. 현재는 16개의 임무가 계획 단계(국가적인
차원 및 국제 협력 차원(특히 NASA 및 ESA와))에 있음. 과학 프로그램은 다
음과 같은 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가) 천문학, 특히 천체 물리학 연구소를 건설할 계획을 세워 두고 있는
Spectre-R 및 Spectre-RG 임무
(나) 계획 중인 대규모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인 Fobos-Grunt 프로그램을 이용
한 태양계 행성 및 소형 물체 탐사 작업. 이 프로젝트는 러시아 과학원과
Lavochkin사가 공동으로 수행할 것임. 이 임무와 관련된 "이행 협정"에 기
초를 둔 두 기관, ESA와 로스코스모스가 2008년 6월에 공동 서명한 "우주
탐사 협정"에 따라 진행됨. 협정에 따라 ESA는 여러 임무 단계에 대한 원격
측정, 추적 및 명령 서비스를 제공함. 그 대신 로스코스모스는 임무에서 발
생하는 과학 자료를 이용할 수 있는 접근권을 ESA에 제공할 것임.
(다) 2006~2016년 연방 우주 프로그램의 체계 내에서 수립된 다른 두 가지 임
무는 Luna-Globe와 Venera-D임.
(라) Coronas-Foton, Resonance 및 Intergelic-Zond 등의 프로젝트를 이용한
태양-지구의 관계에 대한 연구
(64) 그 외에 러시아는 달 극지방에서 얼음을 탐사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 달 탐사
궤도선(LRO) 임무와 화성 과학 실험실(MSL) 임무를 통해 NASA와 협력할 것
임.
마) 인류의 우주 비행을 위해 건설 중인 새로운 발사대
(65) 인류의 우주 비행은 2009년의 예산이 141억 8,000만 루블(US$4억 3,500만
달러)로 세 번째 큰 투자 분야임.
(66) 러시아는 2018년까지 보스토치니에서 러시아 영토에 있는 새로운 발사대를
건설할 계획인데, 이를 통해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Baikonur) 시설을 임대해
이용하지 않고 인류가 우주 비행을 할 수 있도록 사용할 예정임.
(67) 러시아의 인류 우주 비행 프로그램의 핵심은 노후된 유인 수송 발사체인 소유
즈를 교체하는 데 전념하는 것임. 후계 위성인 유인 우주 수송 시스템(CSTS)
은 2018~2020년(새로운 발사 기지의 이용 가능성에 따라 좌우됨)까지 운영
할 수 있을 것이며, ISS 서비스 및 달 탐사 같은 LEO 운영에 사용될 것임. 이
위성에서는 수송 능력이 확대(3인이 아닌 4인)될 것임. 초기에는 ESA가 프로
그램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이 프로그램은 2008년 장관회
의의 승인을 받지 못함.
(68) 러시아는 우주 수송에 우선순위를 두었기 때문에 ISS에 대한 출자가 지연됨.
러시아는 2010년에 2개의 소형 연구 모듈을 발사할 계획이며, 2011년에 다목
적 연구실 모듈을 발사하고 2014~2015년에 2개의 에너지 모듈을 발사할 계
획임.
(69) 국제 협력이란 관점에서 러시아와 ESA는 ESA 우주 비행사들을 위해 추가적
으로 ISS 비행 기회를 확보할 수 있는지, 그리고 구체적인 조건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를 시작함. 로스코스모스에 대한 보상은 바터 무역 협정의 형태로
일부 해결될 수 있을 것임. ISS에 대한 비행 기회의 확대를 통해 유럽은 미래
우주 탐사 인프라에 대해 의미 있는 형태로 출자하기 위해 더욱 잘 준비하고
인식을 개선할 수 있게 될 것임.
12) 러시아 발사체 프로그램에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우선 사업
(70) 발사체 프로그램은 러시아 정부의 두 번째 우선 사업임. 프로그램의 예산은
2009년에 정부 전체 투자액의 18%를 차지하는 155억 6,000만 루블(US$4억
7,700만 달러)이었음.
(71) 러시아의 발사체 프로그램은 다음의 세 가지 주요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
음.
(가)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의 첫 번째 발사체인 앙가라 발사체. Proton과
Rockot를 교체하기 위해 Khrunichev에서 개발하였으며, 해당 프로그램은
2010~2011년에 계획된 앙가라 1.1에 대한 첫 시험 비행과 함께 1990년대
에 시작되었음. 다른 러시아 발사체와 달리 발사체 내 탑재장비는 발사대에
서 결합할 것임.
(나) 바이코누르 시설에 대한 의존성을 줄이기 위해 2010년에 최종 결정을 내리
고 2018년까지 러시아 영토 내 보스코치니에 건설할 새로운 발사대임. 러시
아는 1994년 카자흐스탄과 협정을 체결한 이후 매년 1억 1,500만 달러를
지불하고 바이코누르 시설을 임대했음. 이 발사대와 관련해 카자흐스탄과
체결한 협정은 2050년까지 연장됨.
(다) Khrunichev와 Molniya Corp가 공동 개발하고 있는 재사용 발사체(RLV), 바
이칼 프로그램.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발사체 운영비용과 낙하 면적을 줄이
는 데 있음. 러시아의 발사 기지는 대륙 내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는 중
요한 문제임.
가) 프랑스령 기아나의 소유즈
(72) 2003년 11월 7일, 프랑스와 러시아는 발사체의 개발, 실행 및 사용과 기아나
우주 센터에서의 Soyuz-ST 발사체 설치에 대한 장기간의 협력 협정을 체결.
협정은 발사체에 대해 러시아와의 협력을 공고히 하기 위한 것이었음. 소유즈
프로그램은 프랑스령 기아나에 새로운 발사 기지를 건설하고, 다양한 발사 및
구역 안전 요건에 따라 소유즈 발사체를 변경하며, Soyuz 2-1B 버전 개발에
유럽이 참여하도록 하는 세 가지 요소를 기반으로 함. 프로그램의 주요 파트
너는 다음과 같음.
(가) ESA, 계약 기관(및 프로그램 관리)과 아리안스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는 소
유즈 발사 시설의 제공자
(나) 러시아에서 프로그램의 개발을 담당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러시아 기업의
활동을 조정하는 로스코스모스
(다) CNES, 기아나 우주 센터의 모든 시설에 대한 프로그램의 주요 도급업자 및
시스템 기획자
(라) CSG에 대한 러시아 시스템을 공급하고, 개발 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러시아
활동을 조정, 지원할 책임이 있는 아리안스페이스. 아리안스페이스는 기아
나 우주 센터에서 소유주 발사체를 관리하는 역할을 맡을 예정임. 지금까지
아리안스페이스는 러시아 업계에서 14대의 소유주 발사체를 주문했는데,
이 발사체는 거의 모두 사용이 예약되었음.
(73) 프랑스령 기아나의 소유즈는 유럽과 러시아 간에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협력
의 핵심 프로그램임. 그 중요성 때문에 프로젝트는 정부 차원에서 실행되었
음. 프로그램의 총 비용은 3억 4,400만 유로에 해당하는데, 그중 최대 2억
2,300만 유로는 ESA 회원국이 지원하고 나머지 1억 2,100만 유로는 아리안
스페이스가 유럽 투자 은행을 통해 제공. CSG에서 이루어지는 소유즈 발사체
의 첫 번째 발사는 2010년 초에 실시될 것으로 예상되며, 잠정적으로 매년
2~4대의 위성을 발사할 계획을 세워 두고 있음.
발사체
현황
특성
용량
Kosmos
운영 중/AKO
Polyot
108톤
R-14탄도 미사일에서 파생
최대 1,500kg,
200km
Proton K & M
운영 중/Khrunichev
670~690톤
3단 + Proton M용 Briz-M단
LEO에 20~22톤
Proton K: GTO까지 최대 4.9톤
Proton M: GTO까지 최대 6.3톤
Rockot
운영 중/Khrunichev
107톤
SS-19미사일 파생형
LEO로 최대 1.9톤
SSO에서 1.3톤
Molniya
운영 중/TsSKB
Progress
305톤
소유주 발사체의 HEO용 버전
HEO에 2.5톤
소유즈 U &
FG
운영 중/TsSKB
Progress
305~310톤
3단 소유즈 U & FG + 4단 Fregat
LEO에 4~7.2톤
소유즈 2/Fregat
운영 중/TsSKB
Progress
308톤
2단 FG+ 3단 소유즈 2 + 4단 Fregat
LEO에 4.8~8.5톤
바이코누르에서 GTO에 2.4톤
Start 1
운영 중/NII
Teplovy
Tekhniki
47톤
SS-25 미사일 파생형
최대 600 kg,
400km
SSO에 460kg
Strela
운영 중/NPO
Mashinostroeniya
108톤
SS-19미사일 파생형
200km 궤도에 1.4톤
Voina
운영 중/KB
Makeev
34톤
해상 발사 SS-N18 미사일 파생형
LEO에 최대 120kg
앙가라 1.1
개발 중(2011년)/Khrunichev LxURM + Briz KM
LEO에 2.0톤
앙가라 1.2
개발 중/Khrunichev
LxURM + 2단 + Briz KM
LEO에 3.7톤
앙가라 A3
개발 중
(2012년)/Khrunichev
3xURM + 2단 + Briz M
GTO에 2.4톤, LEO에 14.6톤
앙가라 A5
개발 중/Khrunichev
5xURM + 2단 + Briz M
GTO에 5.4톤, LEO에 24.5톤
앙가라 A5/KVRB
개발 중/Khrunichev
5xURM + 2단 + KVRB
GTO에 6.6톤, LEO에 24.5톤
<표 51> 운영 중이거나 미래에 발사될 러시아 발사체
13) 우주 방위 프로그램 분류
(74) 지난 10년간 러시아는 방위 능력을 증강하기 전념을 다함. 러시아는 현재 아주 중요한
우주 방위 운영 능력을 개발하고 있지만, 투자액을 공개하지는 않음.
가) 분명한 정치적 책임이 결여되어 있는 SatCom 프로그램
(75) 러시아 우주군은 새로운 세대의 통신 위성에 대한 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음.
하지만 비행단의 현대화는 자금 지원이 부족하고 작업의 지연이 되풀이되고 있기 때문
에 탐지 범위에는 심각한 수준의 격차가 있어 전반적인 능력이 첨단 기술 수준에서 뒤
쳐져 있는 상태임. 러시아의 우주 방위 정책은 현재 위성군을 현대화기 위한 노력을 제
한적으로 펼치며 최소한의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 분명함.
러시아는 민간 GEO 통신 및 방송 위성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고
있음.
나) 감시 및 조기 경보 분야의 기존 방위 능력
(76) 주로 로스코스모스의 예산을 통해 자금을 지원받는 SatCom과 SatNav 외에 러시아 방
위 프로그램을 이끄는 것은 감시 및 조기 경보 분야로 생각됨.
(77) 러시아에서 전력을 다한 전용 전자 정보 위성인 Tselina-2는 2007년에 발사되었음.
Tselina 프로그램은 우주 능력을 현대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Liana 시스템이라고
하는 새로운 세대의 ELINT 시설로 대체될 것임.
(78) 또한 러시아는 특수 장착된 선박 및/또는 육상 기지국을 통해 얻는 목표 자료를 거의 실
시간으로 전송해 러시아의 공군 및 해군에 전술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ELINT 해양 정찰
위성(EORSAT) 시스템을 운영함.
(79) 러시아는 HEO 궤도에 2대, GEO 궤도에 1대를 포함해 3대의 조기 경보 위성을 운영하
고 있음. 마지막 위성인 Oko는 2007년 10월에 발사했음.
(80) 이와 동시에 러시아는 새로운 세대의 조기 경보 위성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2009
년에 첫 번째 발사함.
명칭
발사일
위성의 수
주요 도급업체
주요
사용자
적용 분야
특징
개발 중
Nuclon
2010
1
민간
과학
-
Tus-M
2010
1
민간
과학
-
Resurs 01-N5
2010
1
VNIIEM
(Elektromekhanika연구소)
민간
지구 관측 지구 관측 위성, 해상도 1m, 기상학 및 해양학용
Electro-L1(또는
Goms-2)
2010
1
NPO Lavochkin
민간
Meteo
GOMS-2는 GEO 기상 위성임. 1,230kg.
Cospas-Sarsat에 사용하는 가시 카메라(해상도
1km), 적외선 카메라(해상도 4km), 연구 및 구조
트랜스폰더를 운반할 예정.
Ekola
2010
2
RKK Energiya
민간
지구 관측
마이크 위성을 사용하는 첨단 우주 기술의 환경
및 개발에 대한 하이테크 모니터링
Smotr
2010
2
RKK Energiya
민간
지구 관측 러시아 가스 수송관 시스템 모니터링
Kanopus-Vulkan
2010~2015
4
Makeev
민간
Meteo
지진 및 비상 상황 경고
Express-AM
2011~2013
5
Khrunichev, ISS
Reshetnev
민간
Satcorn
텔레콤 위성, 서비스 수명 10~12년
Spektr-R
(Radioastron)
2010
1
NPO Lavochkin,
민간
과학
Radioastron은 VLBI 관측을 실시하기 위한
고타원 궤도의 10m 무선 망원경임. Lavochkin
협회가 개발 중인 위성 SPECTR 사용
Glonass-M
2010~2011
8
ISS Reshetnev
겸용
SatNav
항행 위성(1,400kg),
두 번째 민간 신호 통합,
수명 7년
Arkon-Victoriya
2010~2012
2
NPO Lavochkin
민간
지구 관측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고해상도/중해상도의 영상용 3주파수 레이서가
장착된 레이더 관측 위성. 위성은 군사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음.
Express-MD2
2010
1
ISS Reshetnev
민간
Satcorn
C-밴드 및 L-밴드를 사용하는 FSS, MSS, TV
Meteor-M N2
2011
1
VNIIEM
(Elektromekhanika연구소)
민간
Meteo
극궤도 기상 위성
계획 중
-
Express-AMU
2014~2016
2
미정
민간
Satcorn
C-밴드, L-밴드 및 Ku-밴드를 사용하는 FSS,
MSS, TV
Express-AT
2013~2015
2
미정
민간
Satcorn
Ka-밴드 및 Ku-밴드를 사용하는 다이렉트 TV,
첨단 멀티미디어 서비스
Express-MDP
2011~2015
4
ISS Reshetnev
민간
SatCom
C-밴드 및 L-밴드를 사용하는 MSS
Yamal
2011~2015
7
RKK Energiya,
ISS
Reshetnev
민간
SatCom
C-밴드, Ku-밴드 및 Ka-밴드를 사용하는 FSS,
TV,
자료 중계, 첨단 멀티미디어 서비스
Meteor-MP
2012~2013
2
VNIIEM
(Elektromekhanika연구소)
민간
Meteo
극궤도 기상 위성
Resurs-P
2010~2012
2
TsSKB-Progress
민간
지구 관측 레이더 관측
Glonass–K
2012~2016
27
ISS Rechetnev
민간
SatNav
경량의 차세대 항행 위성(750kg), 제3의 민간
신호 통합, 사용 수명 10년
Electro-M(G0MS-3)
2011
1
NPO Lavotchkin/
민간
기상
정지 궤도 기상 위성
Phobos Grunt
2011
1
NPO
Lavotchkin/러시아
과학원
민간
과학 및
탐사
지면 표본을 가져오기 위해 화성의 쌍둥이 달에
보내는 로봇. 현재 전기 제트 추진 장치를
장착한 경우와 장착하지 않은 경우, 두 가지의
행성 간 정거장을 검토하고 있음.
Spektr-UF
2011
1
NPO Lavotchkin
민간
과학 및
탐사
천체 물리학 연구실.
Spektr-UF는 UV-밴드의
천체 물리학을 연구하기 위한 임무임.
OKA-T MKS
2012~2015
2
미정
민간
기술
우주에서 반산업용(semi-industrial)
재료의
개발 및 실행, 유체 물리학, 재료 과학, 생물
공학 및 생물학의 다기능 연구 프로그램
Express-RV
2012~2015
3
ISS Rechetnev
민간
SatCom
S-밴드, KU-밴드 및 L-밴드를 사용하는 다이렉트
TV 및 위성 방송
Luch-5
2010
2
ISS Rechetnev
민간
SatCom
S-밴드, KU-밴드, L-밴드 및 P-밴드
Gonets
2010~2016
24
ISS Rechetnev
민간
SatCom
P-밴드를 사용하는 MSS 서비스
Polar Star
2010~2015
4
ISS Rechetnev
민간
Satcorn
L-밴드, S-밴드를 사용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MSS
Express-Molniya
2010~2016
4
ISS Rechetnev
민간
Satcorn
S-밴드, Ku-밴드 및 L-밴드를 사용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원격 의료
Express-V
2014~2016
2
미정
민간
SatCom
C-밴드 및 Ku-밴드를 사용하는 FSS 및 lV
서비스
Spektr-RG
2011
1
NPO Lavotchkin
민간
과학
천체 물리학 연구실. X-밴드 및 감마 밴드의
천체 물리학을 연구하기 위한
Spektrum-X(Spektr- RG).
Interball-Procj noz
2012
4
NPO
Lavotchkin(러시아)/
GKB Yuzhnoye
(우크라이나)
민간
과학
지구에서 먼 지역에서 발생하는 태양풍을
관측하기 위한 러시아/우크라이나 프로젝트.
러시아가 주도하는 부분은 라그랑즈
제1지점(Lagrange Point 1)(브라질의 참여
가능)에 위성을 발사하는 반면, 우크라이나는
3대의 위성을 태양 동위상 궤도에 발사할 것임.
Resonance
2012
1
미정
민간
과학
지구의 플라즈마와 전리층에 있는 파동과
입자의 공명 상호 작용 연구
Luna-Glob
2012
1
미정
민간
과학
달의 내부 구조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우주선
Gamma-400
2013
1
NPO Lavotchkin
민간
과학
천체 물리학 연구실
Intergelic-Zond
2014
1
미정
민간
과학
태양과 태양 내부의 태양권에 대한 근접 연구
Vozvrat-MKA
2014
1
미정
민간
과학
초소형 마이크로 가속 환경의 기본 마이크로
중력 연구
Bion-M
2010~2016
3
미정
민간
과학
의학 및 생물학 연구
Venera D
2016
1
NPO Lavochkin
민간
과학
Venera-D 착륙선은 금성의 대기와 표면의 성분
및 물리적 속성을 연구할 것임. 개발 활동은
2016년 발사를 목표로 2006년에 시작됨
Mellimetron
2016
1
미정
민간
과학
-
Astrometriya
2018
1
미정
민간
과학
-
Terion F2
2018
1
미정
민간
과학
-
<표 52> 주요 국가 프로그램
나. 주요 우주개발 프로그램 로드맵
<그림 6> 러시아 우주개발 로드맵
<그림 7> 러시아 우주개발 로드맵
<그림 8> 러시아 우주개발 로드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