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2009.11.
주관연구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3
서 문
13세기 초부터 14세기 중반까지 몽골제국은 강력한 기마대를 이끌고 세계를
지배 하였고, 이어 유럽은 15세기초 포르투갈의 항해왕자 엔리케가 “대항해시
대”를 열었다. 유럽의 선박과 항해 기술은 19세기 제국주의의 시발점이 되었으
며, 2차 대전 이후 세계의 바다와 더 나아가 하늘을 장악하고 있는 미국은 오
늘날 전 세계의 패권 국가로 굴림하고 있다.
과학이 발달하고 문명이 발달 할수록 국가 경쟁력의 근간이 말에서 육상 교
통수단으로, 육상에서 해상으로, 해상에서 대기권으로 변화하였다. 21세기 들어
서며 세계는 바야흐로 우주시대를 열고 있다. 럼스펠드가 '우주를 지배하는 자
가 세계를 지배한다'고 했듯이 세계 각국은 우주분야 투자를 증대하고 1960년
대 미·소 우주경쟁이후 제2의 우주경쟁에 돌입하였다. 이미 육상과 해상 그리
고 항공까지 인공위성의 통제 하에 놓여있다. 또한 우리는 인공위성을 통해 지
구 반대편에서 벌어지는 축구경기를 시청하고, 먼 거리의 태풍을 관찰하여 기
상의 변화를 예측 한다. 우주 기술을 활용하여 만든 가볍고 강한 소재의 자전
거를 타고, 네비게이션을 사용해 어디든지 정확하게 찾아갈 수 있다.
군사적인 목적으로 개발된 인터넷이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일
부분이 된 것과 같이, 인공위성과 우주개발을 통해 얻는 가치 역시 군사적인
교육과학기술부
4
영역을 넘어선지 오래이다. 지상의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핸드폰 서
비스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만들어주는 시각동기화 서비스는 인공위성을 통
해 이루어진다. 또한 금융 거래 시스템 역시 인공위성의 시각동기화 서비스가
중단되면 어마어마한 혼란이 야기되어서 금융 거래가 중단된다. 우리가 집에서
어제 신청한 상품이 어디쯤 오고 있는지 알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도 우주
관련 기술이다. 내차가 어디 있는지, 우리 아이가 어디 있는지, 내가 이용 할
버스가 어디쯤 오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것도 우주기술이 제공하는 부가가치이
다. 우주관련 기술과 서비스는 이미 우리들 생활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
한국은 선진 우주개발국들보다 약 40년 가량 늦은 1990년대에 본격적으로 우
주개발에 뛰어들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가 1992년 8월
11일 남미 꾸르 우주센터에서 우리별 1호를 실어 쏘아 올림으로써 우리나라는
인공위성 보유국이 되었다. 민간분야에서는 1995년 8월 무궁화위성 1호가 발
사되어 첫 상용위성으로 통신방송위성 시대를 열었고, 2008년에는 한국 최초
의 우주인을 배출하였으며, 2009년에는 한국 최초의 발사체인 나로호를 발사
하여 대기권을 벋어나는 절반의 성공을 거두었다. 우리나라는 현재 11개의 인
공위성을 발사하였고, 세계에서 13번째로 우주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인공위성
의 자체 개발 기술을 가지고 있고, 비록 완전한 성공은 아니더라도 발사체의
경험도 보유하고 있다. 아직 20년이 되지 못한 짧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가시
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러한 한국의 성과는 2009년 “항공우주 올림픽”이
라는 국제우주대회(IAC)를 개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 받았으며, 정부는 순수
한 우리기술로 한국형우주발사체(KLSV-Ⅱ) 개발하고, 달 탐사를 추진하겠다는
내용으로 하는 중장기 우주개발 계획을 추진중에 있다.
우주개발은 투자가 선행되어야 하는 장치 산업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
로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은 정부의 투자를 중심으로 민간 기업의 부분 참여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개발 역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중심으로 이
루어지고 있다. 분명 미국이나 일본 등의 선진국에 비해 산업의 규모나 기업들
의 참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5
우주개발의 역사에 비해 현재 만들어 나가고 모습은 긍정적이다. 우주 산업의
규모나 참여 기업의 범위가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산업의 모습을 파악하고, 문
제점을 개선하고, 새로운 계획을 세우는 과정을 통해 미래 국가의 경쟁력을 좌
우하게 될 우주 강국의 모습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본 조사는 우리나라 우주산업의 규모와 참여 기업의 실상을 파악하여 우주산
업 발전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는 정
기조사이다. 계획을 수립하고(Plan), 그 계획에 따라 실행하고(Do), 실행의 결
과를 파악(See)하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우주 산업은 발전할 것이며, 이 조사
의 결과는 우리나라 우주산업의 역사를 정리하는 살아있는 기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학기술부
6
요 약
◎ 2008년 우주산업분야 참여기관은 총 99개로 기업 65개, 연구기관 15개, 대
학 16개(19개 학과)이다. 우주산업분야별 참여현황을 보면 위성본체, 발사
체 2단, 위성관련 지상장비, 원격탐사 등 몇 개 분야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금년 조사에서는 전년도와 비교해 우주산업분야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정부의 우주산업 환설
와 정책을 통해 가속화 될 것으로 예측된다. 2007년 우주산업 참여기관은
기업 34개, 연구기관 11개, 대학 31개 학과(22개 학교)로 총 76개로 조사
되었다.
◎ 2008년 우주산업분야 참여기관의 지역적 분포는 수도권과 충청권에 집중해
있다.
◎ 기업체 매출, 연구기관의 예산, 대학의 연구비를 합한 2008년 우주산업 시
장규모는 1조981억원이다. 이는 전년 대비 13.1% 감소한 수치이지만 이전
조사가 기관별 중복 계상된 부분이 있어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참여기
업의 수적 증가를 고려해보면 우주산업 시장규모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
으로 판단된다.
◎ 기관별로 보면 기업 매출은 8,644억원으로 전년보다 2.6% 감소하였으나,
네비게이션 관련 기업의 매출(약7,411억원)을 합할 경우 1조392억원에 이
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업 및 해외로 배분된 연구비를 제외한 연구기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7
관의 예산은 2,243억원이고, 대학의 연구비는 94억원 규모인 것으로 나타
났다.
◎ 우주산업분야별 규모는 기업은 우주활용서비스가 72.1%로 큰 비중을 차지
하고 있고, 연구기관과 대학은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와 같은 우주기기
제작이 절대적으로 큰 비중(각각 87.2%, 90.7%)을 차지하고 있다. 우주활
용 분야의 경우 민간기업의 참여가 확대되고 있지만, 우주기기제작 분야는
여전히 정부 및 공공기관의 예산에 의존하고 있다. 우주기기제작 분야의 매
출은 2,409억원으로 전년 대비 2배가 증가하였다.
◎ 2008년 우주산업분야의 수출액은 총 145억원, 수입은 1,126억원으로 981억
원의 무역적자가 발생하였다. 전년도에 비해 무역적자 규모가 증가한 것은
세계적인 경제악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특히 전년도 수출의 큰
비중을 차지하던 위성휴대폰 수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
로 분석되었다.
◎ 우주산업분야의 총 투자액은 722억원으로 전체의 71.6%가 R&D 분야에
투자되었고, 설비투자는 25.6%로 나타났다. 기관별로는 기업은 설비투자에,
연구기관은 R&D분야에 상대적으로 많은 투자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08년 기업, 연구기관, 대학에서 우주산업분야와 관련된 업무나 연구를 담
당하고 있는 인력은 3,008명으로 전년도 대비 11.2% 증가한 것으로 나타
났다. 특히 민간기업의 우주산업분야 참여확대에 따른 기업체의 참여인력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9
교육과학기술부
10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1
교육과학기술부
12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3
교육과학기술부
14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5
교육과학기술부
16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7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9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21
제1절 우주산업의 개념 및 범주
우주산업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우주산업실태조사에 앞서 "우주산업"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사전 정의함으로써 자료수집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국어사전에 우주산업에 대한 정의는 “우주선
이나 인공위성의 개발을 포함하여 우주 개발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기를 만드
는 산업"이라고 나와 있다. 이러한 정의는 과거 로켓, 위성과 같은 하드웨어적
인 요소가 중심을 이뤘던 시기의 협의적 정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산업을 정의할 때는 물적 재화 뿐 아니라 서비스까지를 포함한다.
우주산업 역시 세계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물적 재화 및 응용서비스를 포함하
고 있다.
우주산업은 우주선이나 인공위성 등 우주개발에 필요한 기기 및 설비 등을
제조하는 '우주기기제작산업', 위성통신, 위성방송, GPS 네비게이션 등 우주개
발을 통해 창출되는 '우주서비스산업'과 같은 직접 우주산업도 있고, 기존 산업
중 산업의 원천적인 기술이나 서비스를 바탕으로 우주기술을 접목시켜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는 간접 우주산업군도 존재하고 있다.
우주산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우주를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우주를 개발함으
로써 인간들이 얻는 혜택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현재 우리나라의 국어사
전에 나와 있는 “우주산업”의 정의는 우주를 개발함으로써 인간들이 얻을 수
있는 부가가치에 대한 개념이 형상화 되지 못했던 시절에 만들어진 정의로 볼
수 있으며, 우주의 개발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우주기기제작산업”의 정의로
보아야 타당 할 것이다.
교육과학기술부
22
"위성방송이나 위성영상, 위성방송 등은 명확히 우주 산업이다. 위성 방송 중에도 Set-Top
Box는 엄밀히 말하면 전자 산업이다. 그러나, 이 Set-Top Box는 위성이 없으면 쓸모가
없으므로 위성방송에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우주 항법이다. 위성항
법은 GIS와 GPS가 거의 대등한 관계이다. 현재 가치는 대등하다. 네비게이션의 경우는
GPS가 없으면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GIS 자체로 만들어 지는 산업이 있지만 네비게
이션의 경우는 GPS를 이용하기 위해 GIS를 사용하는 것임으로 우주산업으로 보는 것이 타
당할 것이다."
"하나의 기술로 산업이 만들어지지는 않는다. 네비게이션의 경우만 보더라도 GPS에 GIS
기술이 포함된다. 이 경우 GIS를 모두 우주산업에 포함시킬 수는 없다. GPS에 의해 파생되
는 효과만을 보아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단말기와 단말기에 포함되는 Software 정도
를 포함해야 하지 않을까?"
자료: 전문가 인터뷰1) 내용 중 일부 발췌
그러므로, 현재의 “우주산업”에 대한 새로운 정의는 “우주기기제작산업”과 우
주자산을 바탕으로 창출된 “우주서비스산업”을 모두 포괄해야 하며, 더 나아가
서는 기존 산업군 중에서도 원천적인 기술이나 서비스의 근간을 우주산업으로
바뀌고 있는 산업군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우주산업이란 "우주개발을 위한 산업 및 우주개발을 통해
창출되는 재화와 서비스"로 정의하기로 한다.
[주]
--------------------
1)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에서 사용된 우주산업의 정의와 범위 규정을 위해 기업체, 연구기관, 대학에서 우
주산업분야의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In-depth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23
그림설명. "여기는 고용한 바다" 아
폴로 11호가 굉음과 함께 하늘로 솟
아오른 것은 1969년 7월16일이었
다. 그리고 달에 도착한 것은 20일
이었다. 아폴로 프로젝트의 5번째 유
인비행, 달을 향한 3번째 유인항해
시도 끝에 이뤄진 성공이었다.
제2절 우주산업의 현황 및 발전동향
1. 해외 우주산업의 발전 동향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는 최첨단 항공우주시대이다. 20세기말 이후 인터넷
과 위성통신 등 IT와 통신기술의 발달, 그리고 교통운송 수단의 발전에 힘입어
지구촌 시대는 이미 실현되었고, 이제는 국가와 기업과 개인의 활동무대가 지
상의 한계를 뛰어 넘어 드넓은 창공과 우주로 향하고 있다.
우주산업은 1957년 구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인공위성 발
사와 1958년 미국의 익스플로러 1호 인공위성 발사로 시작되
었고, 특히 냉전체제 하에서 미국과 구 소련의 군비경쟁으로
첩보위성과 같은 군용위성의 경쟁적인 개발로 단기간내 눈에
띄는 성과를 이룩할 수 있었다. 미국 TRW사는 1958년 미
NASA의 첫 위성인 파이어니어1호를 제작함으로써, 민간기업
으로 우주개발 초창기부터 우주개발의 큰 역할을 담당했다.
그리고 1969년 7월 마침내 인류는 달착륙에 성공하였고, 60
년대 중반부터 70년대 중반까지 미국과 구 소련은 유·무인
탐사선을 달에 65차례 착륙시켰다. 71년에는 한 해 동안에만
10차례 탐사선이 달에 내렸다. 냉전체제의 붕괴 이후 우주산
업은 미국, 유럽 연합 및 일본 등 소수 선진국이 주도하고
있으며, 러시아, 중국을 비롯한 구 사회주의 국가의 가격 파괴 전략에 의한 우
주산업의 시장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아시아의 약진
이 두드러져 2007년 일본이 가구야 달 궤도선을 발사하며 아시아 우주경쟁에
첫 신호탄을 쏘아올린 이후, 중국과 인도가 창어 1호와 찬드리얀 1호를 발사하
였다. 중국은 2008년 선저우 7호를 발사해 세계 3번째로 우주유영에 성공했고,
교육과학기술부
24
그림설명. 항공우주산업 분야에 다기능
합성복합재료로 활용되는 실리콘 카바
이드(SiC)
최근에는 이란까지 인공위성을 자력 발사하며 우주경쟁에 합류했다.
우주산업은 기계, 전자, 소재 등 다양한 분야의 첨단 기술이 집약된 종합 시
스템산업으로 투자비용이 엄청나고 기술개발에 상당히 오랜 기간이 소요된다.
현재 우주산업의 강대국으로 자리매김한 대부분의 국가들이 정부주도하에서 우
주개발 육성정책에 의해 발전해 왔고, 군비경쟁이 우주산업 기술개발의 원동력
이었다. 실제로 1990년대 구 소련의 붕괴로 인한 군비경쟁이 약화되고, 주요
우주개발국가의 정부투자 예산이 감소하면서 2000년 초까지 우주산업은 정체
현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군비감축은 우주산업 민간업체들이 군수시장
에서 민간 상용시장으로 눈길을 돌리면서 우주개발 과정
에서 나온 신기술을 응용한 첨단의료기술과 다양한 신소
재제품, 위성서비스와 같은 민간 상용화 시대가 시작되었
다. 우주산업 시장은 전체 제조업 시장에서의 비중은 적
어도 제품 단위별 시장규모를 따지자면 가장 큰 고부가
가치 창출이 가능한 부문이다. 우주산업 경쟁력강화를 위
해 보잉사, 록히드마틴, EADS 등 민간 기업들의 합병,
흡수나 구조조정을 통해 거대화 및 독점화가 진행 중이
며 보다 공격적인 연구개발로 기술격차를 벌이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주 개발 경험이 없는 국가들이 앞 다투어 자국의 위성을 확보하고 우주기
술력을 배양하려는 노력도 우주산업의 시장성장과 발전 가능성 뿐 아니라, 과
거 군사력이 국력을 대변하듯 지금은 우주기술이 곧 국력인 시대가 되었기 때
문이다. 알제리, 이집트, 말레이시아, 나이지리아, 스페인, 태국 등 29개 국이
위성 보유를 계획 중이거나, 최근 신규로 위성을 보유하였다. 우주 개발 선도
국들은 이들 국가를 우주분야 신흥시장으로 구분하고 위성, 지상장비, 위성영
상등의 판매를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우주기술의 활용분야도 군사분야를 탈
피해 인공위성을 이용한 GPS, 위성방송, 인터넷통신, 지리정보 서비스와 같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확대되었고, 지구관측위성을 통해 이전보다 효율적으로
동식물 자원관리나 재해 예방도 가능하게 되었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25
그림설명. 우리별 1호가 발
사된지 두달이 지나 처음으
로 한반도를 촬영한 영상
그림설명. 다목적실험용 위성
아리랑2호와 지구상공 685km
에서 찍은 두바이 지역 영상
2. 국내 우주산업의 동향
지금까지 우주개발은 우리 구민의 관심사로 그리 주목받지 못했지만, 2008년
최초의 우주인 배출과 2009년 8월 25일 소형위성발사체 나로호(KSLV-I) 발사
를 통해서 전 국민의 관심과 지지의 대상이 되었다. 비록 탑재위성의 궤도진입
에는 실패 했지만, 나로호 발사 인지도가 100%라는 조사결과가 말
해주 듯 우주산업을 범국민 이슈화하는 계기가 되었고, 본격적인
우주개발의 첫발을 내딛는 사건이었다.
우리나라가 본격적으로 우주개발에 착수한 것은 소형 과학실험위
성 '우리별 1호'의 개발을 시작한 1990년대 초부터라고 볼 수 있다.
미국, 러시아와 같은 선진 우주강국이 1950년 이후, 일본과 중국이
196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우주개발에 나섰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30~40년 가량 늦은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우주산업의 국제적 위상은 규모는 미미하지만, 정부는 항공우
주산업을 21세기 국가 기반산업으로 육성해 나간다는 방침 하에 미래 중점 육
성산업 중 하나로 지정하고 산업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시행하는 등 많은 투
자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은 1992년 과학위성 ‘우리별 1호’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11
기의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며 위성 기술은 상당한 수준에 도달
하였다.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우주기술은 해상도 1m
의 고해상도를 가지는 '다목적 실용위성 2호'를 세계에서 7번째로
국내 주도로 개발하는 등 최근 비약적인 발전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2013년 개발이 완료될 다목적실용위성 3A호의 본체개
발을 민간에 이전키로 결정하고, 2009년 말까지 민간기업 선정
을 추진 중에 있다. 다목적실용위성 개발을 통해 축적한 한국항
교육과학기술부
26
그림설명. 2009년8월 나로우주센
터에서 소형위성발사체 나로호 발
사순간
공우주연구원의 기술을 기업에 이전할 계획으로 기업의 역량강화가 기대된
다.
2009년 우리나라는 나로우주센터의 완성, 소형위성 발사체의 성공적 발사를
통해 인공위성, 우주센터, 우주 발사체(로켓) 등 위성발사를 위한 3대 요건을
모두 갖추게 되었다. 하지만 나로호는 순수 한국 기술로만 만
들어진 것이 아니다. 러시아와 합작을 통해 만들어졌으며 1단
엔진은 러시아에서 도입해 발사체 기술의 자립도는 낮은 편이
다. 현재 정부는 2020년경까지 자체 기술로 만든 발사체를 제
작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2010년 한국형 발사체 사업에 착
수할 예정이다. 한국형 발사체의 국내개발을 목표로 산업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어 우주산업분야의 산업활성화가
빠르게 촉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27
▶ 우리나라 우주개발 현황
2025년 달탐사선(착륙선) 발사(예정)
2021년 달탐사선(궤도선) 발사(예정)
2019년 한국형 발사체 발사(예정)
2017년 정지궤도복합위성 발사(예정)
2017년 다목적실용위성 7호 발사(예정)
2015년 다목적실용위성 6호 발사(예정)
2013년 다목적실용위성 3A호 발사(예정)
2011년 과학기술위성3호 발사(예정)
2011년 다목적실용위성 3호 발사(예정)
2010년 다목적실용위성 5호(SAR) 발사(예정)
2010년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예정)
2010년 소형위성 발사체(KSLV-I) 2차 발사(예정)
2009년 소형위성 발사체(KSLV-I) 1차 발사
2009년 과학기술위성 2호 발사
2009년 한국 우주센터(나로우주센터) 준공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배출
2006년 KT, 통신방송위성 무궁화5호 발사
2006년 실용급 위성 다목적실용위성 2호 발사
2003년 소형위성 과학기술위성1호 발사
2002년 액체추진 과학로켓(KSR-III) 발사
1999년 실용급 위성 다목적실용위성 1호 발사
1999년 KT, 통신방송위성 무궁화3호 발사
1999년 소형과학위성 우리별3호 발사
1998년 과학로켓(KSR-II)발사
1996년 KT, 통신방송위성 무궁화2호 발사
1995년 KT, 통신방송위성 무궁화1호 발사
1993년 소형과학위성 우리별2호 발사
1993년 과학로켓(KSR-I)발사
1992년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 우리별1호 발사
교육과학기술부
28
제3절 우주산업의 구조와 분류체계
1. 우주산업 분류 재정립 접근방법
본 절에서는 앞서 정의한 우주산업을 국내 산업현황에 맞도록 분류하기 위해
아래 <그림1.3-1>과 같은 절차를 거쳐 체계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 우주산업 분류의 재정립 과정은 1차로 2008년 우주산업실태에 활용되었
던 우주산업 분류와 해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유사한 조사를 참고로 우주
산업 분류(안)을 구성하고, 2차로 기업, 연구기관, 대학의 전문가를 대상
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분류체계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림1.3-1> 우주산업 분류 재정립 접근방법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29
2. 전년도 조사에서의 우주산업 분류
현재 국내외적으로 우주산업에 대한 표준분류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
황이며, 2008년 우주산업실태조사에서는 아래 <표1.3-1>과 같이 국내 우주산
업을 크게 우주기기제작과 우주활용분야로 구분하였다.
<표1.3-1> 기존 우주산업 분류2)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내용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위성시스템
시스템 엔지니어링, 발사체/탑재체 접속, 총조립 및
시험 등
위성본체
위성본체 및 부품
탑재체
광학, SAR, 광역관측, 통신, 해양, 기상, 과학관측 등
발사체
발사체 시스템
시스템 엔지니어링, 발사체/탑재체 접속, 총조립 및
시험 등
추진기관
액체/고체 엔진
추진기관 외
서브시스템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등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인공위성 추적/통제/운영/시험 등을 위한 지상장비 및
소프트웨어, 위성 데이터 처리장비 및 소프트웨어
발사체 관련
발사체의 발사/관제/통제/시험 등을 위한 지상장비 및
소프트웨어
우주활용
원격탐사
위성영상, 데이터, 지도제작 관련 서비스
위성항법
서비스제공
항법위성 관련 서비스
서비스이용장비
(네비게이션)
(자동차 네비게이션)
위성방송
위성방송 관련 서비스
위성통신
서비스제공
위성통신 관련 서비스
서비스이용장비
(통신기기)
(GPS 수신 장비)
우주과학
우주과학, 유인우주, 우주탐사 등
[주]
--------------------
2) 2008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30
2008년 조사에 사용된 우주산업 분류도 국내외 우주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정
의되었지만, 우주산업의 범위, 우주활용분야의 조사 여부, 우주산업 분야의 분
류 등에 관한 논의가 꾸준히 있었다. 그러나 우주산업 분야도 다른 분야와 마
찬가지로 다른 산업과의 연관성을 가지고 얽혀있고, 보는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명확하게 구분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태조사에 앞서 기존 실태조사에 사용하던 분류체계
를 보다 체계적인 접근 방법을 통해 국내 우주산업 환경에 맞는 분류체계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3. 우주산업분류 해외사례
1) 미국
우주산업의 선진국인 미국에서는 Futron사와 Space Foundation사에서 유사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 Futron사 분류
Futron사에서 진행하는 조사방법은 대기업 중심으로 e-mail, 2차 자료를 활
용하여 세계 시장을 추정하고 있고, 조사범위를 Satellite Service, Launch
Industry, Satellite Manufacturing, Ground Equipment로 구분하고 있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31
<표1.3-2> Futron사의 우주산업 분류
구분
내용
Satellite Service
DBS(Direct Broadcast Satellite),
DARS(Digital Audio Radio Services),
FSS(Fixed Satellite Services): Voice, Video, Data,
VSATs(Very Small Aperture Terminal):
Remote Sensing,
Transponder Agreements Mobile Satellite Services,
Mobile Phone, Mobile Data
Launch Industry
Launch Services, Vehicle Manufacturing,
Component and Subsystem Manufacturing
Satellite
Manufacturing
Satellite Manufacturing, Component and Subsystem
Manufacturing
Ground Equipment
Mobile Terminals, Gateways, Control Stations, VSATs,
DBS Dishes, Handheld Phones, DARS Equipment
○ Space Foundation사의 Space Report 분류
Space Foundation사는 조사범위를 Space Infrastructure, Space Products and
Services, Government Space Budgets 3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Space
Foundation사의 자료에는 국제적인 우주산업의 규모를 추정하는 내용이 포함
되어 있으며, 자료수집에 있어서도 다른 사례와 달리 직접적인 자료수집 없이
2차 자료와 영향력 있는 인사들의 인터뷰 등을 활용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32
<표1.3-3> Space Foundation사의 우주산업 분류
구분
내용
Space Infrastructure
- Launch Industry
- Satellite Manufacturing
- In-Space Platforms
- Ground Equipment
- Infrastructure Support Industries
- Aerospace Infrastructure International Trade Statistics
Space Products and
Services
- Commercial Satellite Services
Communication(FSS, MSS, Radio Services, DTH, VSAT)
Remote Sensing,
Satellite Positioning(GPS Equipment & chipsets)
- In Space Activities(Platform-Based, Transportation-Based,
Personal Spaceflight)
Government
Space
Budgets
- U.S Government Space Budgets
- International Government Space Budgets
2) 일본
일본에서는 (사)일본항공우주공업회(SJAC)가 우리나라의 우주산업실태조사와
같은 산업통계를 통해 우주산업 규모를 파악하고 있다. 현재 일본에 사용하고
있는 우주산업 분류체계는 아래와 같이 우주기기산업, 우주이용 서비스산업,
우주관련 민생기기산업 및 유저 산업군의 4개로 분류하고 있다. 자료수집 방법
은 우주기기산업에 대해서는 직접 조사를 통해, 우주기기산업과 우주이용 서비
스산업은 2차 자료를 활용하여 시장추정에 이용하고 있다. 일부 자료수집이 불
가능한 경우는 유추하여 활용하고 있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33
<표1.3-4> 일본항공우주공업회의 우주산업 분류
구분
내용
우주기기산업
로켓 등의 비행체와 지상설비 등의 제조
우주이용 서비스산업
위성통신, 방송 등의 우주 인프라를 이용한 서비스
위성통신, 리모센데이터 제공, 측위서비스, 우주환경 이용 등
우주관련 민생기기산업
네비게이션, 위성휴대전화 단말기 등의 제조산업
유저 산업군
통신, 방송, 교통, 자원개발, 환경관측, 기상관측, 농림업, 어업,
국토개발 등
3) 프랑스
프랑스항공우주협회(GIFAS)는 우주산업분류를 Space System Manufacturers,
Propulsion System Manufacturers, Equipment Manufacturers으로 크게 3개로
구분하고 있다. 프랑스항공우주협회의 경우 "우주산업조사"의 목적보다는 전체
회원사나 국가적인 입장에서 국내산업과 수출의 증가 추이 및 방위 산업과 사
기업의 규모 추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항공, 우주, 정부의 방위산업 등을
포함하는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하고 있다.
<표1.3-5> 프랑스항공우주협회의 우주산업 분류
구분
내용
Space System
Manufacturers
Telecommunication, Observation, Navigation,
Scientific 등의 위성 활용 산업
Propulsion System
Manufacturers
Equipment
Manufacturers
교육과학기술부
34
4. 2009년 우주산업 재분류
앞서 살펴본 2008년 기존연구에서의 우주산업 분류와 해외사례연구를 통해
인공위성(시스템, 위성본체, 탑재체), 발사체(시스템, 추진기관, 그 외 시스템),
지상설비(인공위성관련, 발사체관련, 위성활용서비스 관련), 우주활용서비스(원
격탐사, 위성방송, 위성통신) 4개의 카테고리로 우주산업 분류(안)을 도출하였
고, 전문가 집단과의 심층면접 인터뷰를 통해 아래 <표1.3-6>과 같이 우주산
업 분류를 체계화하였다.
<표1.3-6> 2009년 우주산업 재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위성체
시스템
설계, 총조립 / 시험, 발사관련
위성본체
전력계, 추진계, 열제어계, 원격측정 명령계, MODCS,
구조계, 자세 및궤도제어계
탑재체
광학탑재체, 레이더(SAR), IR, 기상, 통신탑재체
발사체
시스템
설계, 조립/시험, 발사관련
2단
구조, 추진, 자세제어, 전자탑재, 분리/파이로, 환경제어
상단탑재부
구조, 임무제어, 전자탑재, 환경제어
페어링
구조, 분리/파이로, 환경제어
지상장비
위성관련
위성시험, 위성관제
발사체관련
발사대, 시스템, 시험설비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영상판매, 영상처리 소프트웨어
위성방송통신
위성방송, 위성통신
위성항법시스템
항법, 시각동기, GPS 이용 장비
우주과학
유인우주, 우주탐사, 우주감시, 우주측지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37
제1절 우주산업실태조사 개요
1. 우주산업실태조사 목적 및 법적 근거
본 조사는 우주개발진흥법 제24조에 의거하며 매년 실시되는 조사로써, 국내
우주산업 분야의 관련 기업체, 연구기관, 대학을 대상으로 실태파악을 하여 향
후 정부의 우주개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한다.
<그림2.1-1> 우주산업실태조사 목적
교육과학기술부
38
▶▶ 우주개발진흥법 제24조 원문 ◀◀
제24조 (우주개발 등에 관한 자료수집 및 실태조사)
①교육과학기술부장관은 우주개발을 체계적으로 진흥하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우주개발 및 우주분야
산업에 관한 자료수집 또는 실태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제8852호(정부조직법)]
②교육과학기술부장관은 제1항의 규정에 따른 국내 실태조사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관련
행정기관·연구기관·교육기관 및 기업에 대하여 자료의 제출이나 의견의 진술 등을 요청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제8852호(정부조직법)]
③제1항의 규정에 따른 자료수집 및 실태조사의 내용·시기·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
한다.
2.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수행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의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9월 10일부터 10월 23일
까지 진행하였으며, 설문조사 대상기관3)은 기업체 175개, 대학 28개, 연구기관
14개를 포함하는 총 217개 기관이었고, 네비게이션업체는 D&S사가 조사대상
으로 했던 업체와 신규업체를 포함하여 총 90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대상기관의 자료수집 방법은 전화 컨택 후 이메일을 통해 설문배포
를 하였고, 이메일로 응답된 설문지를 회신하였다. 또한 응답률 제고를 위한
방법으로 응답자의 편의에 맞춰 우편조사와 방문면접조사를 병행하였다. 네비
게이션 업체에 대한 정보는 기업체 홈페이지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관련 부분의 매출 정보를 수집하였다.
[주]
--------------------
3)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를 위한 모집단은 2008년 우주산업실태조사에 참여한 기관(67개)과 나로호 발사
에 참여한 업체, 기업체 정보제공 기관(한국신용평가, 금융감독원) 및 desk research를 통해 수집된 255개
기관으로, 이중 사전 전화 컨택 및 실무자 회의를 통해 217개 기관을 조사대상으로 최종 확정하였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39
<그림2.1-2> 조사설계
2009년도 우주산업실태조사의 회수현황은 총 217개 대상기관 중 회신한 곳이
기업 140개, 연구기관 15개, 대학 23개 학과 총 178개(응답율 82.0%) 기관이
다. 회신한 기관 중 분석 대상은 우주산업 분야에 관련이 없는 기관 79개를
제외하고 총 99개의 기관으로 네비게이션업체 25개를 포함해 총 124개 기관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표2.1-1>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응답현황
구분
설문조사
네비게이션업체
분석
기관수
발송기관
응답기관
분석기관
기업체
174
140(80.5%)
65
25
90
연구기관
15
15(100.0%)
15
-
15
대학
28
23(82.1%)
194)
-
19
전체
217
178(82.0%)
99
25
124
[주]
--------------------
4) 대학의 경우 학과 기준으로는 19개이며, 대학기준으로는 16개 대학임
교육과학기술부
40
3.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설문항목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항목은 기관의 일반현황(기관명, 소재지, 설립년도,
종업원수, 매출 등), 참여 우주산업 분야, 우주분야 매출(예산) 현황, 수출입현
황, 우주분야 투자현황, 우주분야 인력현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본 조사의 응답 내용의 대상기간은 2008년 1월1일에서 12월31일까지로 하였
다.
<표2.1-2>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위성체
시스템
설계, 총조립 / 시험, 발사관련
위성본체
전력계, 추진계, 열제어계, 원격측정 명령계, MODCS,
구조계, 자세 및 궤도제어계
탑재체
광학 탑재체, 레이더(SAR), IR, 기상, 통신탑재체
발사체
시스템
설계, 조립/시험, 발사관련
2단
구조, 추진, 자세제어, 전자탑재, 분리/파이로, 환경제어
상단탑재부
구조, 임무제어, 전자탑재, 환경제어
페어링
구조, 분리/파이로, 환경제어
지상장비
위성관련
위성시험, 위성관제
발사체관련
발사대, 시스템, 시험설비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영상판매, 영상처리 소프트웨어
위성방송통신
위성방송, 위성통신
위성항법시스템
항법, 시각동기, GPS 이용 장비
우주과학
유인우주, 우주탐사, 우주감시, 우주측지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41
4. 용어 해설 및 참고사항
○ 우주분야는 <표2.1-2>에 포함 또는 관련되는 산업, 연구 분야를 말한다.
○ 우주분야 참여인력은 기업과 연구기관은 2008년 조사와 마찬가지로 우주산
업분야에 고용된 인력을 의미한다. 단, 대학의 경우 2008년 조사에서는 석
사학위 이상(박사, 박사후과정, 교수)의 인력을 모두 우주분야 참여인력으로
분류하였으나, 금년 조사에서는 직접 질문을 통해 분야별 참여인력을 계상
하였다.
○ 통계표에 표기된 'NA'는 해당수치가 없는 경우로, 무응답이나 해당되지 않
는 사항으로 집계가 불가능한 수치이다.
○ 금년 조사에서는 우주산업분야를 재분류하여 2008년 조사에서 대분류에 해
당하는 우주기기제작과 우주활용분야를 따로 구분하지 않았다. 그러나 필요
에 따라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를 우주기기제작으로, 우주활용서비스를
우주활용으로 구분하였다.
교육과학기술부
42
5. 본 연구의 유의점 및 한계
○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에서는 전년도 조사까지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온
기업체 매출, 대학의 연구비와 연구기관의 예산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구기관의 예산 작성시 기업과 외국으로 지불된 예산은 제외한 금액
을 기재하도록 하였다.
○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에 앞서 우주산업 분류를 재정립하였지만, 여전히
여러 분야가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 매출, 인력과 같은 내용 응답시 분야별
로 명확히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는 상위 분류까지 구분하였으며, 필요에 의
해 분야별 자료구분이 필요한 경우는 주요 분야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 2008년 우주산업실태조사에서 우주활용서비스 분야의 네비게이션 업체 자
료는 데이코 D&S사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실태와 전망”의 조사결과를 인
용하였지만, 2007년 자료는 2005년 자료를 기준으로 추정된 자료로 정확성
이 뒷받침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각사의 홈페이지와 금융감
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이용하여 25개 업체5)에 대한 매출 자료를 확보하였
다. 단, 제품별 매출구분이 어려운 경우는 자료의 50%만을 반영하였다(조
사 대상 업체가 주 품목이 네비게이션이기 때문에 제품 매출을 그대로 반
영해도 되지만, 전체 시장의 과대추정을 방지하기 위한 것임). 네비게이션
업체에 대한 자료는 매출 자료만 파악된 것으로 타 조사항목에 대해서는
반영하지 못했다.
[주]
--------------------
5) 팅크웨어, 코원시스템, 현대오토넷, 현대유비스, 파인디지털, 만도맵앤소프트, 엑스로드, 디브이에스코리아,
디지피아, 모비딕, 씨에이치테크, 인켈, 유비와이즈, 이노플러스, 제이콤, 자티전자, 시터스, 디지털큐브, 아이
리버, 마이스터, 더맵, 프리넥스, 유티엑스, 아이트로닉스, 카모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43
제2절 우주산업실태조사 결과종합
1. 우주산업분야 참여현황
2008년 우주산업분야 참여기관은 총 99개로 기업 65개, 연구기관 15개, 대학
16개(19개 학과)이다. 우주산업분야별 참여현황을 보면 위성본체, 발사체 2단,
위성관련 지상장비, 원격탐사 등 몇 개 분야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금년 조사에서는 전년도와 비교해 기업의 참여의 증가한 것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이는 정부차원에서 주도하여 우주산업분야에 민간기업의 참여 확대
가 가속화 되고 있음을 나타내주는 중요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2007년 우주
산업 참여기관은 기업 34개, 연구기관 11개, 대학 31개 학과(22개 학교)로 총
76개로 조사되었다.
<그림2.2-1> 우주산업분야별 참여현황
교육과학기술부
44
<표2.2-1> 우주산업분야별 참여현황
(단위: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연구기관
대학
전체
위성체
시스템
4
2
2
8
위성본체
18
4
6
28
탑재체
7
6
3
16
발사체
시스템
2
1
1
4
2단
20
2
9
31
상단탑재부
6
2
0
8
페어링
3
1
0
4
지상장비
위성관련
21
5
4
30
발사체관련
14
2
3
19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12
9
6
27
위성방송통신
6
2
0
8
위성항법시스템
3
3
2
8
우주과학
0
4
3
7
2. 우주산업분야 참여기관의 지역분포
2008년 우주산업분야 참여기관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전체의 52.5%가 수도
권에 집중되어 있고, 나머지 29.3%는 충청권에, 14.1%는 영남권에 분포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업적 지리적 특성상 수도권 집중화 현상은 우주산
업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충청권의 분포가 밀집된 것은 한국항공우
주연구원을 주축으로 대전 연구단지에 관련 기관이 다수 분포하고 있기 때문
이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45
<표2.2-2> 우주산업분야 참여기관 지역분포
(단위: 개)
구분
수도권
강원권
영남권
호남권
충청권
합계
기업
(비율%)
38
0
8
0
19
65
(58.5)
(0.0)
(12.3)
(0.0)
(29.2)
(100.0)
연구기관
(비율%)
8
0
0
0
7
15
(53.3)
(0.0)
(0.0)
(0.0)
(46.7)
(100.0)
대학
(비율%)
6
1
6
3
3
19
(31.6)
(5.3)
(31.6)
(15.8)
(15.8)
(100.0)
전체
(비율%)
52
1
14
3
29
99
(52.5)
(1.0)
(14.1)
(3.0)
(29.3)
(100.0)
3. 우주산업 시장규모
기업체 매출, 연구기관의 예산, 대학의 연구비를 합한 2008년 우주산업 시장
규모는 1조981억원이다. 이는 전년 대비 13.1% 감소한 수치이지만 이전 조사
가 기관별 중복 계상된 부분이 있어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참여기업의 수
적 증가를 고려해보면 우주산업 시장규모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된다.
기관별로 보면 기업 매출은 8,644억원이고, 네비게이션 관련 기업의 매출을
합할 경우 1조392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업 및 해외로 배분된
연구비를 제외한 연구기관의 예산은 2,243억원이고, 대학의 연구비는 94억원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
46
<그림2.2-2> 우주산업 시장규모
<표2.2-3> 우주산업 시장규모
(단위: 백만원)
구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전년 대비
증감율
기업
(네비게이션 포함)
558,536
(N/A)
700,055
(N/A)
887,255
(1,587,255)
864,355
(1,605,448)
▵2.6%
연구기관
(303,565)
(404,369)
(367,302)
224,340*
(435,296)6)
▵38.9%
대학
10,377
11,718
8,441
9,418
11.6%
합계
872,478
1,116,142
1,262,998
(1,962,998)
1,098,113
(1,839,206)
▵13.1%
*기업체로 할당된 예산 제외
[주]
--------------------
6) 기업체에 할당되기 이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예산을 반영한 추정치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47
우주산업분야별 시장규모는 기업은 우주활용서비스가 72.1%로 큰 비중을 차
지하고 있고, 연구기관과 대학은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와 같은 우주기기제
작이 절대적으로 큰 비중(각각 87.2%, 90.7%)을 차지하고 있다.
세부분류로 보면 기업 매출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위성방송통신이 전체 시
장에서도 가장 큰 비중(56.6%)를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지상장비
22.8%, 위성체 12.3%, 발사체 5.5%를 차지하고 하고 있다.
<표2.2-4> 우주산업분야별 시장규모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기업
연구기관
대학
전체
매출
비율
(%)
매출
비율
(%)
매출
비율
(%)
매출
비율
(%)
위성체
시스템
20,053
2.3
29,855
13.3
0
0.0
49,908
4.5
위성본체
7,442
0.9
1,893
0.8
3,489
37.0
12,824
1.2
탑재체
17,556
2.0
54,893
24.5
50
0.5
72,499
6.6
소계
45,051
5.2
86,641
38.6
3,539
37.6
135,231
12.3
발사체
시스템
6,155
0.7
15,621
7.0
0
0.0
21,776
2.0
2단
13,959
1.6
14,555
6.5
4,796
50.9
33,310
3.0
상단 탑재부
180
0.0
3,266
1.5
0
0.0
3,446
0.3
페어링
740
0.1
793
0.4
0
0.0
1,533
0.1
소계
21,034
2.4
34,235
15.3
4,796
50.9
60,065
5.5
지상장비
위성관련
135,213
15.6
24,144
10.8
50
0.5
159,407
14.5
발사체관련
39,616
4.6
50,682
22.6
155
1.6
90,453
8.2
소계
174,829
20.2
74,826
33.4
205
2.2
249,860
22.8
우주기기제작
240,914
27.9
195,702
87.2
8,540
90.7
44,5156
40.5
위성활용
서비스
원격탐사
11,539
1.3
10,705
4.8
835
8.9
23,079
2.1
위성방송통신
610,631 70.6
10,493
4.7
0
0.0
621,124
56.6
위성항법 시스템
1,271
0.1
4,689
2.1
43
0.5
6,003
0.5
우주과학
0
0.0
2,751
1.2
0
0.0
2,751
0.3
소계
623,441 72.1
28,638
12.8
878
9.3
652,957
59.5
우주활용
623,441 72.1
28,638
12.8
878
9.3
652,957
59.5
전체
864,355 100.0
224,340
100.0
9,418 100.0 1,098,113
100.0
교육과학기술부
48
<그림2.2-3> 우주산업분야별 시장규모
4. 우주산업분야 수출입현황
2008년 국내 우주산업분야 참여기관은 총 145억원을 수출하고, 1,126억원을
수입한 것으로 나타나 981억원의 무역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에
비해 무역적자규모가 증가한 것은 전년도 수출의 큰 비중을 차지하던 위성휴
대폰 수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49
<표2.2-5> 우주산업 년도별 수출입현황
(단위: 백만원)
구분
2006년
2007년
2008년
수출금액(A)
52,580
57,348
14,478
수입금액(B)
203,528
123,963
112,626
무역수지(A-B)
▵150,948
▵66,615
▵98,148
세부분야별로 수출현황을 보면 위성체분야에 집중되어 있고, 나머지는 위성활
용서비스분야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역시 위성체 분야가 가장 큰 비중을 차
지하고 있으며, 지상장비, 위성활용서비스 등도 일부 있었다.
<그림2.2-4> 우주산업분야별 수출입현황
교육과학기술부
50
<표2.2-6> 우주산업분야별 수출입현황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수출
수입
금액
비율(%)
금액
비율(%)
위성체
시스템
8,000
55.3
35,769
31.8
위성본체
1,092
7.5
30,928
27.5
탑재체
2,000
13.8
29,781
26.4
소계
11,092
76.6
96,478
85.7
발사체
시스템
0
0.0
0
0.0
2단
0
0.0
1,453
1.3
상단 탑재부
0
0.0
0
0.0
페어링
0
0.0
0
0.0
소계
0
0.0
1,453
1.3
지상장비
위성관련
0
0.0
2,169
1.9
발사체관련
0
0.0
7,165
6.4
소계
0
0.0
9,334
8.3
우주기기제작
11,092
76.6
107,265
95.2
위성활용 서비스
원격탐사
1,913
13.2
2,072
1.8
위성방송통신
1,473
10.2
3,052
2.7
위성항법 시스템
0
0.0
220
0.2
우주과학
0
0.0
0
0.0
소계
3,386
23.4
5,361
4.8
우주활용
3,386
23.4
5,361
4.8
전체
14,478
100.0
112,626
100.0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51
4. 우주산업분야 투자현황
2008년 우주산업 참여기관의 총 투자액은 722억원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투
자액의 71.6%가 R&D 분야에 투자되었으며, 설비투자는 25.6%, 기타 분야는
2.8%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별로는 기업은 설비투자에, 연구기관은
R&D분야에 상대적으로 많은 투자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2.2-7> 우주산업분야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구분
기업
연구기관
대학
전체
금액
비율
(%)
금액
비율
(%)
금액
비율
(%)
금액
비율
(%)
설비투자
14,895
57.9
3,404
7.4
135
42.5
18,499
25.6
R&D
8,956
34.8 42,602
92.6
33
10.3 51,718
71.6
기타
1,854
7.2
0
0.0
150
47.2
2,011
2.8
합계
25,705
100.0
46,006
100.0
318
100.0
72,229
100.0
6. 우주산업분야 인력현황
2008년 기업, 연구기관, 대학에서 우주산업분야와 관련된 업무나 연구를 담당
하고 있는 인력은 3,008명으로 전년도 대비 1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매
년 우주산업이 활성화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민간기업의 우주산업분
야 참여확대에 따른 기업체의 참여인력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52
<그림2.2-5> 우주산업분야 년도별 인력현황
<표2.2-8> 우주산업분야 년도별 인력현황
(단위: 명)
구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전년 대비
증감율
기업
1,301
1,381
1,621
1,899
17.1%
연구기관
695
730
717
747
4.2%
대학
229
261
367
362
▵1.4%
합계
2,225
2,372
2,705
3,008
11.2%
우주산업 참여인력의 성별 구성비는 남자가 88.4%, 여자가 11.6%로 남자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기관별로는 기업체의 남성비율이 높았고, 연구
기관은 여자의 비율이 조금 높은 편이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53
<표2.2-9> 우주산업분야 성별 인력현황
(단위: 명)
구분
남자
여자
합계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기업체
1,713
90.2
186
9.8
1,899
100.0
연구기관
625
83.7
122
16.3
747
100.0
대학
320
88.4
42
11.6
362
100.0
합계
2,658
88.4
350
11.6
3,008
100.0
우주산업분야 참여인력의 학력은 학사가 42.8%로 가장 많았고, 석사가
31.3%, 박사 이상이 14.5%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별로는 연구기관이 기업이
나 대학보다는 학력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2.2-10> 우주산업분야 학력별 인력현황
(단위: 명)
기업체
연구기관
대학7)
전체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박사
76
4.0
268
35.9
92
25.4
436
14.5
석사
470
24.7
366
49.0
104
28.7
940
31.3
학사
1,027
54.1
93
12.4
166
45.9
1,286
42.8
기타
326
17.2
20
2.7
0
0.0
346
11.5
합계
1,899
100.0
747
100.0
362
100.0
3,008
100.0
[주]
--------------------
7) 교수, 박사후과정은 박사로, 박사과정은 석사로, 석사과정은 학사로 분류하였다.
교육과학기술부
54
우주산업분야별 인력은 위성활용서비스 분야가 34.0%로 가장 높았고, 그 다
음으로 위성체 분야가 27.0%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별로는 기업은 위성활용
서비스 분야에 40.7%로 가장 많았고, 연구기관과 대학은 위성체 분야(각각
40.6%, 45.0%)에 가장 많은 인력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제3절부터 제5절까지의 기관별 현황에서 분야별 인력현황은 기타학력을 제
외한 학사이상 인원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림2.2-6> 우주산업분야 분야별 인력현황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55
<표2.2-11> 우주산업분야 분야별 인력현황
(단위: 명)
대분류
중분류
기업
연구기관
대학
전체
인원
비율
(%)
인원
비율
(%)
인원
비율
(%)
인원
비율
(%)
위성체
시스템
168
8.8
114
15.3
7
1.9
289
9.6
위성본체
103
5.4
61
8.2 148
40.9
312
10.4
탑재체
75
3.9 128
17.1
8
2.2
211
7.0
소계
346
18.2 303
40.6 163
45.0
812
27.0
발사체
시스템
38
2.0
69
9.2
14
3.9
121
4.0
2단
153
8.1
54
7.2
69
19.1
276
9.2
상단 탑재부
18
0.9
44
5.9
0
0.0
62
2.1
페어링
1
0.1
0
0.0
0
0.0
1
0.0
소계
210
11.1 167
22.4
83
22.9
460
15.3
지상장비
위성관련
213
11.2
52
7.0
16
4.4
281
9.3
발사체관련
357
18.8
52
7.0
24
6.6
433
14.4
소계
570
30.0 104
13.9
40
11.0
714
23.7
우주기기제작
1,126
59.3 574
76.8 286
79.0 1,986
66.0
위성활용
서비스
원격탐사
169
8.9
70
9.4
41
11.3
280
9.3
위성방송통신
587
30.9
51
6.8
0
0.0
638
21.2
위성항법 시스템
17
0.9
31
4.1
26
7.2
74
2.5
우주과학
0
0.0
21
2.8
9
2.5
30
1.0
소계
773
40.7 173
23.2
76
21.0 1022
34.0
우주활용
773
40.7 173
23.2
76
21.0 1,022
34.0
전체
1,899
100.0
747
100.0
362
100.0 3,008
100.0
교육과학기술부
56
그림설명.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도로 소통정보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최적 경로안내를 제공하고
있는 TU TPEG 서비스 단말기와 영상8)
제3절 산업체 현황
1. 일반현황
1) 우주사업 참여 분야
2008년 우주분야에 매출이 있거나 관련 인력을 고용하고 있는 우주산업 관련
업체 65개 기업9)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응답업체들의 우주사업 참여분야 분포를 보면 지상
장비가 46.2%(30개 기업)로 가장 많은 기업들이 참
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발사
체 분야 38.5%(25개 기업), 위성활용서비스 분야와
위성체 분야는 각각 35.4%(23개 기업), 32.3%(21개
기업)로 나타났다.
[주]
--------------------
8) 자료: TU미디어 홈페이지(http://www.tu4u.com/index.jsp)
9) (주)씨앤스페이스, (주)알앤지월드, (주)픽소니어, (주)솔탑, 대성산업가스(주), 한양이엔지(주), 제이엔티(주),
현대중공업(주), (주)한백전자, (주)대산정밀, (주)비츠로테크, (주)쎄이미지, (주)지아이소프트, (주)유니크,
(주)대한항공, (주)피디케이, 에스엔에스밸브(주), (주)엠티지, 두원중공업(주), 티유미디어(주), 엔솔(주), (주)
쎄트렉아이, 한국항공우주산업(주),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엠앤엠링스(주), 도담시스템스(주), (주)네오스펙,
제우테크, (주)우레아텍, (주)코세코, (주)에스알티, 이엔지정보기술(주), (주)대명기공, (주)선도소프트, 프로메
이트, 케이티엠엔지니어링(주), 중앙항업(주), (주)에이피시스템, 삼성탈레스(주), 하이록코리아(주), (주)카이이
미지, 서울플루이드시스템테크놀로지스, 인디웨어코포레이션, (주)정연시스템, 한국화이바(주), (주)일래스틱
네트웍스, (주)동헌기업, 에이스트로닉스(주), (주)범아엔지니어링, 한국이엔지, (주)싸이택, 엘아이지넥스원
(주), 한진정보통신(주), 단암시스템즈(주), (주)두시텍, (주)마이크로인피니티, (주)하이게인안테나, (주)창우통
상, (주)케이티, (주)한화, (주)스페이스링크, (주)에이알테크놀로지, (주)지오씨앤아이, (주)넷커스터마이즈, (주)
한양네비콤
* (주)지오씨앤아이, (주)넷커스터마이즈, (주)한양네비콤은 참여분야와 인력에 대해서만 전년도 자료 활용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57
<그림2.3-1>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현황
우주산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들의 세부분야는 아래 <표2.3-1>과 같으며,
(주)대한항공이나 한국항공우주산업(주)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들은 참여분야를 모두 기재하였다.
세부분야별로 보면 31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지상장비 분야 중 위성관련
분야가 22개 기업이 참여가 가장 많았고, 전년도와 비교해 보아도 발사체 관련
분야의 참여가 눈에 띄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2009년 8월에 발사
된 나로호 발사와 관련된 기업체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2008년까지 인공
위성 중심으로 편중되어 있던 국내 우주산업 분야가 다각화되고 있는 것을 의
미한다.
2009년도 우주산업실태조사에서 우주활용서비스 분야의 네비게이션 업체분석
은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감사보고서를 기준으로 네비게이션
및 GPS위성 관련 서비스 업체만을 대상으로 했으며, 분석에 포함된 업체는 총
25개이다.
교육과학기술부
58
<표2.3-1>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기업
대분류
중분류
참여기업
위성체
(21)
시스템
(4)
(주)쎄트렉아이,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케이티엠엔지니어링(주),
(주)대한항공
위성본체
(18)
대성산업가스(주), (주)한백전자, (주)대산정밀, (주)피디케이, 엠
앤엠링스(주), 도담시스템스(주), (주)네오스펙, 프로메이트, 서울
플루이드시스템테크놀로지스, (주)정연시스템, 한국이엔지, (주)
하이게인안테나, 한국항공우주산업(주), 두원중공업(주), (주)우레
아텍, 엔솔(주), (주)쎄트렉아이, (주)대한항공
탑재체
(7)
삼성탈레스(주), (주)싸이택, 엠앤엠링스(주), 프로메이트, 한국항
공우주산업(주), (주)쎄트렉아이, (주)대한항공
발사체
(25)
시스템
(2)
(주)대한항공, (주)한양네비콤
2단
(20)
(주)씨앤스페이스, 한양이엔지(주), (주)비츠로테크, 에스엔에스밸
브(주), 두원중공업(주), 제우테크, (주)대명기공, 하이록코리아
(주), 단암시스템즈(주), 대성산업가스(주), (주)한백전자, (주)네
오스펙, 서울플루이드시스템테크놀로지스, 한국이엔지, (주)싸이
택, (주)대한항공, (주)한화, 엔솔(주), 한국화이바(주), 한국항공
우주산업(주)
상단탑재부
(6)
에이스트로닉스(주), (주)범아엔지니어링, 단암시스템즈(주), 한국
화이바(주), 두원중공업(주), (주)쎄트렉아이
페어링
(3)
한국화이바(주), (주)대산정밀, 두원중공업(주)
지상장비
(30)
위성관련
(21)
(주)솔탑, 제이엔티(주), (주)엠티지, (주)우레아텍, (주)에스알티,
이엔지정보기술(주), 엘아이지넥스원(주), (주)스페이스링크, (주)
에이알테크놀로지, (주)쎄트렉아이, 도담시스템스(주), (주)하이게
인안테나, 한양이엔지(주), (주)엠티지, (주)에이피시스템, (주)일
래스틱네트웍스, 엠앤엠링스(주), (주)싸이택, (주)대산정밀, 한국
항공우주산업(주), (주)대한항공
발사체관련
(14)
현대중공업(주), (주)쎄이미지, (주)유니크, 엔솔(주), (주)코세코,
(주)동헌기업, (주)두시텍, (주)정연시스템, 대성산업가스(주), 서
울플루이드시스템테크놀로지스, 한국이엔지, (주)대한항공, 한양
이엔지(주), (주)한화
위성활용서비스
(23)
원격탐사
(12)
(주)알앤지월드, (주)픽소니어, (주)지아이소프트, (주)선도소프
트, 중앙항업(주), (주)카이이미지, 인디웨어코포레이션, 한진정
보통신(주), (주)창우통상, (주)솔탑,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주)
지오씨앤아이
위성방송통신
(6)
티유미디어(주),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주)에이피시스템, (주)
케이티, (주)하이게인안테나, (주)넷커스터마이즈
위성항법시스템
(3)
(주)일래스틱네트웍스, (주)마이크로인피니티, (주)코세코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59
<참고> 기업체별 우주산업 참여분야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
위성활용
서비스
(주)네오스펙
○
○
(주)넷커스터마이즈
○
단암시스템즈(주)
○
(주)대명기공
○
(주)대산정밀
○
○
○
대성산업가스(주)
○
○
○
(주)대한항공
○
○
○
도담시스템스(주)
○
○
(주)동헌기업
○
(주)두시텍
○
두원중공업(주)
○
○
(주)마이크로인피니티
○
(주)범아엔지니어링
○
(주)비츠로테크
○
삼성탈레스(주)
○
서울플루이드시스템테크놀로지스
○
○
○
(주)선도소프트
○
(주)솔탑
○
(주)스페이스링크
○
(주)싸이텍
○
○
○
(주)쎄이미지
○
(주)쎄트렉아이
○
○
○
(주)씨앤스페이스
○
(주)알앤지월드
○
(주)에스알티
○
에스엔에스밸브(주)
○
에이스트로닉스(주)
○
(주)에이알테크놀로지
○
(주)에이피시스템
○
○
엔솔(주)
○
○
○
엘아이지넥스원(주)
○
엠앤엠링스(주)
○
○
(주)엠티지
○
(계속)
교육과학기술부
60
<참고> 기업체별 우주산업 참여분야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
위성활용
서비스
(주)우레아텍
○
○
(주)유니크
○
이엔지정보기술(주)
○
인디웨어코포레이션
○
(주)일래스틱네트웍스
○
○
(주)정연시스템
○
○
제우테크
○
제이엔티(주)
○
중앙항업(주)
○
(주)지아이소프트
○
(주)지오씨앤아이
○
(주)창우통상
○
(주)카이이미지
○
(주)KT
○
케이티엠엔지니어링(주)
○
(주)코세코
○
○
티유미디어(주)
○
프로메이트
○
(주)피디케이
○
(주)픽소니어
○
(주)하이게인안테나
○
○
○
하이록코리아(주)
○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
한국이엔지
○
○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
○
○
○
한국화이바(주)
○
(주)한백전자
○
○
(주)한양네비콤
○
한양이엔지(주)
○
○
한진정보통신(주)
○
(주)한화
○
○
현대중공업(주)
○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61
<그림2.3-2> 지역별 분포
2) 지역별 분포
우주산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의 분포는 수도권에 58.5%(38개 기업)가 집중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지역으로는 대전, 충청지역에
29.2%(19개 기업)의 기업이 소재해 있고,
영남권에 12.3%(8개 기업)가 분포되어 있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지역편중
현상은 2007년 우주산업 실태조사에서도
나타난 것으로 위성활용서비스 업체가 수도
권에 집중되어 있고, 위성체, 발사체 분야
참여기업이 대덕 연구단지 및 영남 사천지
역에 주로 분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표2.3-2> 지역별 분포
(단위: 개)
수도권
강원권
영남권
호남권
충청권
기업수
38
0
8
0
19
비율(%)
58.5
0.0
12.3
0.0
29.2
교육과학기술부
62
3) 기업전체 매출 규모별 분포
기업 전체 매출액10) 규모별 우주산업 참여기업의 절반 정도(33개 기업)가
100억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전체 매출이 100억~500억 미만인 업체
는 21.5%(14개 기업)가 있었고, 1조 이상인 업체도 18.5%(12개 기업)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3-3> 기업전체 매출 규모별 분포
<표2.3-3> 기업전체 매출 규모별 분포
(단위: 개)
10억
미만
10억~
100억미만
100억~
500억미만
500억~
1조미만
1조
이상
NA
기업수
13
21
14
3
12
2
비율(%)
20.0
32.3
21.5
4.6
18.5
3.1
[주]
--------------------
10) 우주산업 분야 뿐 아니라 다른 산업분야를 포함한 기업 전체 매출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63
4) 기업전체 종업원수별 분포
우주산업 참여기업의 전체 종업원11) 규모별 분포는 100인 미만의 업체가
63.1%(41개 기업)로 대부분으로 소규모 업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100인~300
인 미만 기업은 13.8%(9개 기업), 300인~500인 미만은 9.2%(6개 기업), 500
인~1,000인 미만은 3.1%(3개 기업), 1,000인 이상 기업은 10.8%(7개 기업)로
조사 되었다.
<그림2.3-4> 기업전체 종업원수별 분포
<표2.3-4> 기업전체 종업원수별 분포
(단위: 개)
100인
미만
100인~
300인 미만
300인~
500인 미만
500인~
1,000인 미만
1,000인
이상
기업수
41
9
6
2
7
비율(%)
63.1
13.8
9.2
3.1
10.8
[주]
--------------------
11) 우주산업 분야와 타 산업분야의 종업원을 모두 포함한 총 종업원수
교육과학기술부
64
2. 우주산업 분야 매출현황
1) 년도별 매출현황
2008년 우주분야 참여기업의 총 매출액은 약 8,644억 규모로 조사되었다. 전
년도 조사에서 집계된 2007년도 총 매출 8,873억원이었던 것을 기준으로 볼
때 약 2.6% 감소한 규모이다. 이러한 결과는 2007년까지 지속되 오던 국내 우
주산업 분야의 성장세는 지속되고 있지만, 세계적인 경제악화가 수출부분에 영
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분야별 조사결과 <표2.3-6>에서도
국내 기업들의 매출액 중 내수 부문은 전년도보다 약 200억 증가했지만, 위성
핸드폰 등 수출에 있어서는 약 440억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3-5> 우주산업 분야 년도별 매출현황
우주활용서비스 분야의 네비게이션 업체 매출(7,411억원)을 합산할 경우 우주
산업 분야의 기업매출은 약 1조 6천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65
<표2.3-5> 우주산업 분야 년도별 매출현황
(단위: 백만원)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전년 대비
증감율
매출액
(네비게이션 포함)12)
558,536
700,055
887,255
(1,587,255)
864,355
(1,605,448)
▵2.6%
(1.1%)
2008년 우주산업 분야 매출 규모별로는 10억 미만인 기업이 47.7%(31개 기
업)로 나타났고, 1,000억원 이상인 업체는 4.6%(3개 기업13))인 것으로 조사되
었다. 금년 조사에서 100억 이상인 업체는 9개 기업으로 전년도 11개 기업과
비슷한 수준으로 금년 조사에 신규로 조사 대상에 포함된 업체들은 대부분 10
억 미만인 업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3-6> 우주산업 분야 매출 규모별 기업분포
[주]
--------------------
12) 네비게이션 관련 매출은 2007년부터 추가 하였음
13)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티유미디어(주), 엘아이지넥스원
교육과학기술부
66
<표2.3-6> 우주산업 분야 매출 규모별 기업분포
(단위: 개)
10억 미만
10억~
100억 미만
100억~
1000억 미만
1,000억 이상
NA
기업수
31
12
7
3
12
비율(%)
47.7
18.5
10.8
4.6
18.5
2) 분야별 매출현황
국내 기업의 우주산업분야의 총 매출 중 우주활용 분야의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72.4%로 우주기기제작 분야보다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우주활용 분야의 매출은 6,249억원으로 전년도와 비교해 17.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수출부문의 매출이 절반으로 감소한 영향에 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를 제작하는 우주기기제작 분야의 매출은 2,409억원
으로 2006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목적실용위성, 과학기술위성, 소형위성발사체의 개발에 따른 참여기업의 매
출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우주기기제작의 전체우주산업 대비 비중은 2008년
27.9%로 전년대비 2배로 증가하였다. 이는 정부의 우주산업활성화 정책에 따
라 우주기기제작분야 산업체의 참여가 증대되었기 때문이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67
<그림2.3-7> 우주산업분야별 매출현황
<표2.3-7> 우주산업분야별 매출현황
(단위: 백만원)
구분
2006년
2007년
2008년14)
전년 대비
증감율
위성체
NA
42,156
45,051
6.9%
발사체
NA
14,570
21,034
44.4%
지상장비
NA
70,098
174,829
149.4%
우주기기제작
(비율%)
56,928
(8.1)
126,824
(14.3)
240,914
(27.9)
90.0%
우주활용서비스
643,127
760,431
623,441
▵18.0%
우주활용
(비율%)
643,127
(91.9)
760,431
(85.7)
623,441
(72.1)
▵18.0%
합계
(비중%)
700,055
(100.0)
887,255
(100.0)
864,335
(100.0)
▵2.6%
[주]
--------------------
14)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에서는 우주산업 분류를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 위성활용서비스 4개로 대분류
교육과학기술부
68
우주기기제작 분야에서는 지상장비 분야의 매출이 1,748억원으로 가장 높았
고, 그 다음으로 위성체 450억원, 발사체 21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금년 조사
에서 발사체분야와 지상장비 분야의 전체 매출은 증가하였지만, 해외 수출 없
이 모두 국내에서 매출이 발생되었다. 세부 분야별로는 위성활용서비스 분야의
위성방송통신 분야의 매출이 6,106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고, 해외보다는 국내에서 높은 매출을 거두고 있다. 그러나 위성활
용서비스 분야의 위성항법 시스템매출에 네비게이션 업체 매출(7,411억원)을
포함할 경우 위성항법 시스템 분야가 위성방송통신 분야보다 큰 시장으로 추
정된다. 지상장비 분야에서는 발사체보다는 위성관련 매출이 여전히 높은 것으
로 나타났고, 위성체 분야에서는 시스템 분야의 매출이 201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였다. 그래서 전년도와 우주산업 분야별 매출액 비교를 위해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 분야는 우주기기제
작으로 포함시켰고, 우주활용분야는 우주활용 서비스 분야만 포함시켜 분석하였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69
<표2.3-8> 우주산업 세부분야별 매출현황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내수
수출
합계
위성체
시스템
12,053
8,000
20,053
위성본체
6,350
1,092
7,442
탑재체
15,556
2,000
17,556
소계
33,959
11,092
45,051
발사체
시스템
6,155
0
6,155
2단
13,959
0
13,959
상단 탑재부
180
0
180
페어링
740
0
740
소계
21,034
0
21,034
지상장비
위성관련
135,213
0
135,213
발사체관련
39,616
0
39,616
소계
174,829
0
174,829
우주기기제작
229,822
11,092
240,914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9,626
1,913
11,539
위성방송통신
610,351
280
610,631
위성항법 시스템
(네비게이션 포함)
1,271
0
1,271
(742,364)
소계
(네비게이션 포함)
621,248
2,193
623,441
(1,364,534)
우주활용
(네비게이션 포함)
621,248
2,193
623,441
(1,364,534)
전체
(네비게이션 포함)
851,070
13,285
864,355
(1,605,448)
교육과학기술부
70
3) 거래대상별 내수현황
2008년 우주산업 분야 국내 매출은 8,511억원으로 전체 우주산업 분야 매출
의 98.4%에 해당되는 규모이며, 전년도 8,300억원 보다 2.5% 증가하였다.
금년 조사에 응답한 우주산업 관련 기업의 70.8%가 민간 대상으로 매출이 이
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부기관은 16.5%, 공공기관은 12.8%로 거래 대상별
매출 비중은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우주산업 분야 중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를 제작하는 우주기기제작 분야는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의 매출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우주산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고 초기 투자규모가 큰 분야에 대해서는 정부주도로
우주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반면, 위성활용 서비스와 같은 간접 우주산업 분야
는 위성방송통신을 중심으로 민간기업의 참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
로 조사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71
<표2.3-9> 거래대상별 내수현황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정부기관
공공기관
민간기업
내수 합계
위성체
시스템
30
11,953
70
12,053
위성본체
0
5,999
351
6,350
탑재체
13,600
1,916
40
15,556
소계
13,630
19,868
461
33,959
발사체
시스템
0
6,155
0
6,155
2단
0
13,959
0
13,959
상단 탑재부
0
180
0
180
페어링
0
740
0
740
소계
0
21,034
0
21,034
지상장비
위성관련
114,795
16,909
3,509
135,213
발사체관련
0
37,913
1,703
39,616
소계
114,795
54,822
5,212
174,829
우주기기제작
128,425
95,724
5,673
229,822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512
7,454
1,660
9,626
위성방송통신
10,497
5,028
594,826
610,351
위성항법 시스템
800
343
128
1,271
소계
11,809
12,825
596,614
621,248
우주활용
11,809
12,825
596,614
621,248
전체(비율)
140,234
(16.5%)
108,549
(12.8%)
602,287
(70.8%)
851,070
(100.0%)
교육과학기술부
72
3. 수출입현황
2008년 우주산업 분야 수출액은 133억원으로 전년도 573억원보다 약 440억
원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년 수입액 역시 150억원으로 전년도 275억보
다 감소하였지만 감소폭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세계 경제악
화로 인한 수출입 환경이 좋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표2.3-10> 년도별 수출입현황
(단위: 백만원)
수출
수입
2007년
2008년
2007년
2008년
금액
57,303
13,285
27,455
14,962
2008년 해외로 수출한 기업들의 대상국가는 중동국가가 99억원 규모로 가장
컸고, 그 다음으로 유럽국가들이 34억원으로 큰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 전년도
와 비교했을 때 중동국가의 수출액이 전년도의 1/5수준으로 감소한 것과 전년
도에 수출액 2위였던 미국 대상 수출이 거의 없었던 것이 가장 큰 원인인 것
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년도 수출액 중 가장 비중이 컸던 중동지역 위성휴대폰
수출이 금년 조사에서는 실적이 없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8년 주요 수출품목으로는 소형인공위성(UAE), 위성영상(UAE), 전자광학
탑재체(터키), 위성부품(터키) 등이 있었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73
<표2.3-11> 국가별 수출현황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미국
러시아
유럽
아시아
중동
수출
합계
위성체
시스템
0
0
0
00
8,000
8,000
위성본체
0
0
1,080
12
0
1,092
탑재체
0
0
2,000
0
0
2,000
소계
0
0
3,080
12
8,000
11,092
발사체
시스템
0
0
0
0
0
0
2단
0
0
0
0
0
0
상단 탑재부
0
0
0
0
0
0
페어링
0
0
0
0
0
0
소계
0
0
0
0
0
0
지상장비
위성관련
0
0
0
0
0
0
발사체관련
0
0
0
0
0
0
소계
0
0
0
0
0
0
위성활용
서비스
원격탐사
0
0
0
0
1,913
1,913
위성방송통신
0
0
280
0
0
280
위성항법 시스템
0
0
0
0
0
0
소계
0
0
280
0
1,913
2,193
전체
0
0
3,360
12
9,913
13,285
수입대상 국가는 전년도 수입 1위 국가였던 미국에서 수입한 금액이 110억원
으로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입품목으
로는 다목적실용위성 3호·5호 제작을 위한 자재, 위성영상, 위성방송장비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
74
<표2.3-12> 국가별 수입현황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미국
러시아
유럽
아시아
기타
수입
합계
위성체
시스템
100
0
0
0
0
100
위성본체
3,478
0
1,622
89
0
5,189
탑재체
100
0
170
0
0
270
소계
3,678
0
1,792
89
0
5,559
발사체
시스템
0
0
0
0
0
0
2단
1,203
50
200
0
0
1,453
상단 탑재부
0
0
0
0
0
0
페어링
0
0
0
0
0
0
소계
1,203
50
200
0
0
1,453
지상장비
위성관련
2,134
0
35
0
0
2,169
발사체관련
373
0
69
0
0
442
소계
2,507
0
104
0
0
2,611
위성활용
서비스
원격탐사
552
0
1,489
12
16
2,068
위성방송통신
3,052
0
0
0
0
3,052
위성항법 시스템
20
0
200
0
0
220
소계
3,624
0
1,689
12
16
5,340
전체
11,011
50
3,585
101
16
14,962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75
4. 투자현황
2008년 우주산업 관련 기업의 투자규모는 257억원으로 전년도 223억원보다
30억정도 증가한 나타났다. 그 중 설비투자가 129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R&D
투자비용은 85억원, 기타 투자는 19억원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비투자와 R&D투자는 소성장비 관련, CCD 이미지센서공정 관련, 지상기계
설비 제작장비, 로켓엔진 연소시험장치 등이 있었다.
<그림2.3-8> 우주산업분야 투자현황
<표2.3-13> 우주산업분야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설비투자
R&D
기타
합계
투자금액
14,895
8,956
1,854
25,705
교육과학기술부
76
5. 인력현황
2008년 조사응답 업체의 우주산업 관련 분야 인력은 1,899명으로 전년도
1,621명보다 1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15) 우주산업에 대한 정부와 기업
의 투자가 확대됨에 따라 우주관련 분야의 종사자수의 증가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 된다.
<그림2.3-9> 우주산업 참여 인력현황
<표2.3-14> 우주산업 참여 인력현황
(단위: 명)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전년 대비
증감율
종업원수
1,301
1,381
1,621
1,899
17.1%
[주]
--------------------
15)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의 대상기업은 63개로 2008년 34개 기업보다 29개 기업이 많기 때문에 인력의
증감을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2007년과 2008년 모두 응답한 업체 24개 기업만을 비교했을 때 1,457
명에서 1,483명으로 26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77
1) 성별/학력별 인력현황
성별 인력현황은 전체 1,899명 중 남자가 90.2%(1,713명), 여자가 9.8%(186
명)로 남자의 비율이 절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학사가
54.1%(1,027명)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석사는 24.7%(470명), 박사는
4.0%(76명)로 나타났다. 2008년 우주산업 참여인력의 성별, 학력별 분포는 전
년도와 비슷한 구성을 보이고 있다.
<그림2.3-10> 성별/학력별 인력현황
<표2.3-15> 성별/학력별 인력현황
(단위: 명)
구분
남자
여자
전체(비율)
박사
71
5
76(4.0%)
석사
438
32
470(24.7%)
학사
908
119
1,027(54.1%)
기타
296
30
326(17.2%)
전체
(비율)
1,713
(90.2%)
186
(9.8%)
1,899
(100.0%)
교육과학기술부
78
2) 직능별 인력현황
직능별 인력현황은 연구직이 947명으로 전체 인력의 49.9%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리직 28.4%(540명), 생산직 16.3%(309명), 영업직
5.4%(103명)로 나타났다.
직능별 학력분포를 보면 연구직은 석사 이상이 비중이 46.7%로 다른 직능보
다 높게 나타났고, 영업직과 관리직은 학사의 비중이, 생산직은 학사 이하 학
력자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3-11>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현황
<표2.3-16> 우주산업 분야별 인력현황
(단위: 명)
연구직
영업직
관리직
생산직
인원
947
103
540
309
비율(%)
49.9
5.4
28.4
16.3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79
3) 분야별 인력 현황 및 향후 필요인력 현황
우주산업 관련 기업의 학사 이상 인력 1,573명 중 우주산업 분야별 인력분포
는 위성활용서비스 분야에 705명으로 가장 많았고, 지상장비 분야에 392명, 위
성체 분야 297명, 발사체 분야 179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향후 5년간 신규
채용계획은 현재 인원의 약 1/3수준인 554명인 것으로 응답되었다.
<표2.3-17> 분야별 인력 현황 및 향후 필요인력 현황
(단위: 명)
대분류
중분류
2008년
현재 인력
(A)
향후 5년간
신규 채용 인력
(B)
B/A
위성체
시스템
162
43
0.27
위성본체
91
66
0.73
탑재체
44
3
0.07
소계
297
112
0.38
발사체
시스템
36
32
0.89
2단
127
98
0.77
상단 탑재부
16
22
1.38
페어링
0
10
NA
소계
179
162
0.91
지상장비
위성관련
185
51
0.28
발사체관련
207
109
0.53
소계
392
116
0.30
우주기기제작
868
390
0.45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127
77
0.61
위성방송통신
561
29
0.05
위성항법 시스템
17
14
0.82
소계
705
164
0.23
우주활용
705
164
0.23
전체
1,573
554
0.35
교육과학기술부
80
제4절 연구기관 현황
1. 일반현황
1) 우주산업 참여 분야
금년 우주산업실태조사 결과 총 15개 연구기관16)이 우주산업 분야에 매출이
있거나 관련 인력을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연구기관들이 참여
하고 있는 우주산업분야는 위성활용서비스 분야로 15곳 중 2곳을 제외한 13곳
이 참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참여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위
성체 8곳, 지상장비 6곳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4-1>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현황
[주]
--------------------
16) 한국해양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인공위성연구센터, 국방과학연구소, 기상청,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토지리정보원, 국립산림과학원, 국립기상연구
소, 한국기계연구원, 국립방재연구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국립방재연구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전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분야와 인원현황만 포함하여 분석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81
국내 우주관련 연구기관별로 참여하고 있는 세부분야는 아래 <표2.4-1>과 같
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가장 많은 분야의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고, 그 다음으로 많은 분야의 연구를 참여하는 기관으로는 인공위성연구센
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이 있다.
<표2.4-1>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 연구기관
대분류
중분류
참여 연구기관
위성체
(8)
시스템
(2)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본체
(4)
인공위성연구센터, 국립산림과학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탑재체
(6)
인공위성연구센터, 국방과학연구소, 기상청,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
(3)
시스템
(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단
(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상단탑재부
(2)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페어링
(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장비
(6)
위성관련
(5)
인공위성연구센터, 기상청,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관련
(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위성활용서비스
(13)
원격탐사
(9)
국립산림과학원, 기상청,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국립기상연구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립방재연구소
위성방송통신
(2)
기상청,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항법시스템
(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우주과학
(4)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천문연구원, 국토지리정보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82
<참고> 연구기관별 우주연구 분야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
위성활용
서비스
국립기상연구소
○
국립방재연구소
○
국립산림과학원
○
○
국방과학연구소
○
국토지리정보원
○
기상청
○
○
○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
인공위성연구센터
○
○
○
○
한국기계연구원
○
○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한국천문연구원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
○
한국해양연구원
○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2) 지역별 분포
우주산업 분야의 연구기관의 지역분포는 서울, 경기 수도권에 8개(53.3%) 기
관이 소재해 있고, 나머지 기관은 대전, 충청지역(46.7%)에 소재해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우주산업 참여 기업과 마찬가지로 수도권과 충청권에 편중되어
있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83
<표2.4-2> 우주분야 참여 연구기관 지역별 분포
(단위: 개)
수도권
강원권
영남권
호남권
충청권
기관수
8
0
0
0
7
비율(%)
53.3
0.0
0.0
0.0
46.7
3) 예산규모별 분포
기관 전체 예산액 규모별 분포는 1조 이상이 5개 기관으로 가장 많았고, 나
머지 기관은 500억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4-2> 예산규모별 분포
교육과학기술부
84
<표2.4-3> 예산규모별 분포
(단위: 개)
10억
미만
10억~
100억미만
100억~
500억미만
500억~
1조 미만
1조
이상
NA
기관수
1
3
2
0
5
4
비율(%)
6.7
20.0
13.3
0.0
33.3
26.7
4) 인력 규모별 분포
우주분야 참여 연구기관의 전체 인력17) 규모별 분포는 1,000명 이상이 3개
기관(20.0%), 100인~300인 미만이 4개 기관(26.7%), 100인 미만이 3개 기관
(20.0%)으로 나타났다.
<그림2.4-3> 인력 규모별 분포
[주]
--------------------
17) 우주산업 분야와 타 산업분야의 연구인력을 모두 포함한 연구기관의 총 인력 기준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85
<표2.4-4> 인력 규모별 분포
(단위: 개)
100인
미만
100인~
300인미만
300인~
500인미만
500인~
1,000인미만
1,000인
이상
NA
기관수
3
4
2
1
3
2
비율(%)
20.0
26.7
13.3
6.7
20.0
13.3
2. 우주분야 연구비현황
1) 년도별 연구비현황
2008년 우주분야 참여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관련 총 예산은 2,243억원이다.
금년 조사에서는 전년도와 달리 외부 기업체나 해외로 배정된 예산을 제외하
고 조사되었기 때문에 연구소의 예산에서 기업체에 할당된 예산이 중복 계상
되지 않았다.
<그림2.4-4> 우주분야 년도별 연구비 현황
교육과학기술부
86
<표2.4-5> 우주분야 년도별 연구비 현황
(단위: 백만원)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전년 대비
증감율
연구비
(303,565)
(404,369)
(367,302)
224,340*
(435,296)18)
▵38.9%
*기업체로 할당된 예산 제외
2) 우주분야별 연구비 현황
2008년 우주분야별 연구비는 위성체 분야가 866억으로 가장 많았고, 지상장
비 분야가 748억원, 발사체 분야가 342억원으로 조사되었다.
<그림2.4-5> 우주분야별 연구비 현황
[주]
--------------------
18) 기업체에 할당되기 이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예산을 반영한 추정치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87
세부분야별 연구비는 위성체의 탑재체 관련이 24.5%(549억원)로 가장 많았
고, 그 다음으로 지상장비의 발사체관련 분야(22.6%), 위성체 시스템 분야
(13.3%) 순으로 나타났다.
<표2.4-6> 우주 세부분야별 연구비 현황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총 예산
비중(%)
위성체
시스템
29,855
13.3
위성본체
1,893
0.8
탑재체
54,893
24.5
소계
86,641
38.6
발사체
시스템
15,621
7.0
2단
14,555
6.5
상단 탑재부
3,266
1.5
페어링
793
0.4
소계
34,235
15.3
지상장비
위성관련
24,144
10.8
발사체관련
50,682
22.6
소계
74,826
33.4
우주기기제작
195,702
87.2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10,705
4.8
위성방송통신
10,493
4.7
위성항법 시스템
4,689
2.1
우주과학
2,751
1.2
소계
28,638
12.8
우주활용
28,638
12.8
전체
224,340
100.0
교육과학기술부
88
3) 예산출처별 연구비 현황
연구기관의 예산출처별 연구비는 대부분 정부기관과 공공기관에 의존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연구비 2,243억원 중 33억만이 민간의 예산이고 나머
지는 정부기관 781억원, 공공기관 1,429억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2.4-7> 예산출처별 연구비 현황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정부기관
공공기관
민간기관
총 예산
위성체
시스템
29,855
0
0
29,855
위성본체
89
1,764
40
1,893
탑재체
16,608
38,130
155
54,893
소계
46,552
39,894
195
86,641
발사체
시스템
0
15,621
0
15,621
2단
0
14,555
0
14,555
상단 탑재부
0
3,266
0
3,266
페어링
0
793
0
793
소계
0
34,235
0
34,235
지상장비
위성관련
14,928
9,216
0
24,144
발사체관련
0
50,682
0
50,682
소계
14,928
59,898
0
74,826
우주기기제작
61,480
134,027
195
195,702
위성활용
서비스
원격탐사
4,715
5,990
0
10,705
위성방송통신
7,100
300
3,093
10,493
위성항법 시스템
3,300
1,389
0
4,689
우주과학
1,547
1,204
0
2,751
소계
16,662
8,883
3,093
28,638
우주활용
16,662
8,883
3,093
28,638
전체
78,142
142,910
3,288
224,340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89
3. 수출입현황
2008년 연구기관의 총 수출액은 12억 규모로 전년도 4,500만원 대비 증가하
였다. 수출 국가별로는 유럽에 94,600만원, 중동에 24,700만원으로 나타났다.
국내 우주산업 분야의 연구에 참여 중인 연구기관 중 수출은 한국항공우주연
구원이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출품목은 아리랑위성2호 영상이었다.
연구기관의 2008년 수입액은 977억원으로 2007년 482억보다 증가하였고, 전
년도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유럽, 미국, 러시아로부터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2.4-8> 국가별 수입현황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미국
러시아
유럽
아시아
중동
기타
수입
합계
위성체
시스템
0
3,800 31,869
0
0
0
35,669
위성본체
19,614
0
6,069
56
0
0
25,739
탑재체
6,001
0
23,510
0
0
0
29,511
소계
25,615 3,800 61,448
56
0
0
90,919
발사체
시스템
0
0
0
0
0
0
0
2단
0
0
0
0
0
0
0
상단 탑재부
0
0
0
0
0
0
0
페어링
0
0
0
0
0
0
0
소계
0
0
0
0
0
0
0
지상장비
위성관련
0
0
0
0
0
0
0
발사체관련
11 5,072
1,504
0
136
0
6,723
소계
11 5,072
1,504
0
136
0
6,723
25,626 8,872 62,952
56
136
0 97,642
위성활용
서비스
원격탐사
0
0
0
0
0
4
4
위성방송통신
0
0
0
0
0
0
0
위성항법 시스템
0
0
0
0
0
0
0
우주과학
0
0
17
0
0
0
17
소계
0
0
17
0
0
4
21
0
0
17
0
0
4
21
전체
25,626 8,872 62,969
56
136
4 97,663
교육과학기술부
90
4. 투자현황
2008년 우주분야 관련 투자규모는 460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연구개
발비가 426억원으로 기상관측시스템 개발, 우주측지 시스템 관련, 행성지질 자
원 연구 등에 대한 투자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림2.4-6> 우주분야 투자현황
<표2.4-9> 우주분야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설비투자
R&D
기타
합계
투자금액
3,404
42,602
0
46,006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91
5. 인력현황
2008년 국내 우주분야 연구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연구인력은 총747명으로 전
년도 717명보다 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4-7> 우주분야 참여 인력현황
<표2.4-10> 우주분야 참여 인력현황
(단위: 명)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전년 대비
증감율
인력수
695
730
717
747
4.2%
교육과학기술부
92
1) 성별/학력별 인력현황
성별 인력현황은 전체의 83.7%(625명)가 남자로 나타나 기업체와 마찬가지로
남자인력 중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비율은 전년도와 비슷한 수치이다.
학력별 분포는 전체 인력의 35.9%(268명)가 박사인 것으로 나타났고, 석사도
49.0%(366명)인 것으로 나타나, 기업체보다 전반적인 학력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인력으로 봤을 때 15%정도만 학사 이하의 학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4-8> 성별/학력별 인력현황
<표2.4-11> 성별/학력별 인력현황
(단위: 명)
구분
남자
여자
전체(비율)
박사
250
18
268(35.9%)
석사
315
51
366(49.0%)
학사
53
40
93(12.4%)
기타
7
13
20(2.7%)
전체
(비율)
625
(83.7%)
122
(16.3%)
747
(100.0%)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93
2) 직능별 인력현황
직능별 인력현황은 연구·기술직이 677명으로 전체의 90.6%를 차지하고 있으
며, 관리직이 5.9%(44명), 기타가 3.5%(26명)로 나타났다.
<그림2.4-9> 직능별 인력현황
<표2.4-12> 직능별 인력현황
(단위: 명)
연구·기술직
관리직
기타
전체
인원
677
44
26
747
비율(%)
90.6
5.9
3.5
100.0
교육과학기술부
94
3) 분야별 인력 현황 및 향후 필요인력 현황
2008년 우주산업 분야별 연구기관 인력은 위성체 관련 분야가 297명으로 가
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발사체 분야가 166명으로 집계 되었다.
위성체와 발사체 분야의 인력은 대부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소속으로 타 연구
원의 경우는 대부분 우주활용 분야에 참여하는 인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5년간 신규채용 인력은 현재 인원의 약 30% 수준인 202명으로 조사되었
고, 우주활용서비스 분야에 대해 가장 많은 인원(105명)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
했다.
<표2.4-13> 분야별 인력 현황 및 향후 필요인력 현황
(단위: 명)
대분류
중분류
2008년
현재 인력
(A)
향후 5년간
신규 채용 인력
(B)
B/A
위성체
시스템
114
21
0.18
위성본체
61
7
0.11
탑재체
122
25
0.20
소계
297
53
0.18
발사체
시스템
69
10
0.14
2단
54
9
0.17
상단 탑재부
43
7
0.16
페어링
0
0
NA
소계
166
26
0.16
지상장비
위성관련
48
14
0.29
발사체관련
52
4
0.08
소계
100
18
0.18
우주기기제작
563
97
0.17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63
52
0.83
위성방송통신
51
36
0.71
위성항법 시스템
31
8
0.26
우주과학
19
9
0.47
소계
164
105
0.64
우주활용
164
105
0.64
전체
727
202
0.28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95
제5절 대학 현황
1. 일반현황
1) 우주분야 참여 분야
금년 우주산업실태조사 결과 총 16개 대학 19개학과19)가 우주분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주분야별로는 위성활용 서비스 분야 10개 학과, 발사
체 분야가 9개 학과, 위성체 분야 8개 학과가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그림2.5-1> 우주분야별 참여현황
[주]
--------------------
19) 인하대학교 항공우주공학부,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연세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 전북대학교 항공우주
공학과,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과, 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부산대학교 대기과학과, 충남
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조선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경상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한국폴리텍 항공대학 항공
기계과,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경일대학교 위성공학과,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충남대
학교 천문우주과학, 부산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인
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충남대학교 천문우주과학, 부산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
과,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는 전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분야와 인원현황만 포함하여 분석
교육과학기술부
96
대학별로 참여하고 있는 세부 우주분야는 아래 <표2.5-1>과 같다. 대학에서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는 연구분야는 발사체 2단 분야(9개 학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위성체의 위성본체 분야와 위성활용서비스의 원격탐사 분야(각
각 6개 학과)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2.5-1> 우주 세부분야별 참여 대학
대분류
중분류
참여 연구기관
위성체
(8)
시스템
(2)
인하대학교 항공우주공학부, 충남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위성본체
(6)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연세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
전북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과,
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충남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탑재체
(3)
부산대학교 대기과학과, 충남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발사체
(9)
시스템
(1)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과
2단
(9)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조선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경상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한국폴리텍 항공대학 항공기계과,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충남대학교 항공우주공학부,
전북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과,
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지상장비
(5)
위성관련
(4)
부산대학교 대기과학과, 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부산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발사체관련
(2)
경일대학교 위성공학과,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위성활용서비스
(10)
원격탐사
(6)
부산대학교 대기과학과,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위성항법시스템
(2)
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우주과학
(3)
연세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과,
충남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97
2) 지역별 분포
우주분야 연구수행 대학의 소재지는 수도권, 영남권이 6곳(31.6%)으로 나타
났고, 호남권과 충청권에 각각 3곳씩 소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2.5-2> 지역별 분포
(단위: 개)
수도권
강원권
영남권
호남권
충청권
대학수
6
1
6
3
3
비율(%)
31.6
5.3
31.6
15.8
15.8
2. 우주분야 연구비 현황
1) 년도별 연구비 현황
2008년 우주분야 참여 대학의 총 연구비는 약 94억원으로 전년 84억보다
1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의 예산의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5-2> 우주분야 년도별 연구비 현황
교육과학기술부
98
<표2.5-3> 우주분야 년도별 연구비 현황
(단위: 백만원)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전년 대비
증감율
연구비
10,377
11,718
8,441
9,418
11.6%
2) 분야별 연구비 현황
2008년 우주분야의 대학 연구비 94억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
는 발사체 분야로 48억원으로 조사되었고, 위성체 분야는 35억원으로 조사되
었다. 위성활용서비스 분야와 지상장비 분야는 각각 9억원과 2억원으로 그 비
중이 크지 않았다.
<그림2.5-3> 우주분야 년도별 연구비 현황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99
3) 연구비 출처별 연구비 현황
2008년 우주분야의 대학 연구비 94억원 중 72억원이 정부기관으로부터, 17억
은 공공기관으로부터 조달된 것으로, 연구기관과 마찬가지로 우주분야 참여 대
학의 연구비는 대부분 정부기관과 공공기관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2.5-4> 연구비 출처별 연구비 현황
(단위: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정부기관
공공기관
민간기관
기타
총 예산
위성체
시스템
0
0
0
0
0
위성본체
3,221
192
76
0
3,489
탑재체
20
30
0
0
50
소계
3,241
222
76
0
3,539
발사체
시스템
0
0
0
0
0
2단
3,846
540
410
0
4,796
상단 탑재부
0
0
0
0
0
페어링
0
0
0
0
0
소계
3,846
540
410
0
4,796
지상장비
위성관련
30
0
0
20
50
발사체관련
30
125
0
0
155
소계
60
125
0
20
205
우주기기제작
7,147
888
485
20
8,540
위성활용
서비스
원격탐사
20
795
0
20
835
위성방송통신
0
0
0
0
0
위성항법 시스템
0
0
43
0
43
우주과학
0
0
0
0
0
소계
20
795
43
20
878
우주활용
20
795
43
20
878
전체
7,167
1,683
528
40
9,418
교육과학기술부
100
3. 수출입현황
2008년 수입현황은 연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에서 영국으로부터 GPS 시뮬
레이터를 도입한 7,700만원이 전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4. 투자현황
2008년 대학은 우주산업 연구와 관련 투자규모는 3억2,000만원으로 조사되었
다.
<그림2.5-4> 우주분야 투자현황
<표2.5-5> 우주분야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서비투자
R&D
기타
합계
투자금액
135
33
150
318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01
5. 인력현황
1) 우주관련 전공학과 학생현황
국내 우주산업 전공학과의 총 학생수는 2,825명20)으로 남자가 2,365명, 여자
가 460명으로 대부분 남자 학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 분포는 전체 학생의 12.2%(344명)이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인 것으로
나타났고, 현재 석사과정인 학생은 13.5%(380명)로 나타났다.
<그림2.5-5> 성별/학력별 학과학생 현황
[주]
--------------------
20) 우주관련 전공 학과로 본 조사대상이 되는 학과의 전체 학생수로 우주분야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을
포함한 수치임
교육과학기술부
102
<표2.5-6> 성별/학력별 인력현황
(단위: 명)
구분
남자
여자
전체
인원수
비율(%)
인원수
비율(%)
인원수
비율(%)
교수
139
5.9
4
0.9
143
5.1
박사/박사후과정
177
7.5
24
5.2
201
7.1
석사과정
310
13.1
70
15.2
380
13.5
학부과정
1,739
73.5
362
78.7
2,101
74.4
전체
(비율)21)
2,365
(83.7%)
100.0
460
(16.3%)
100.0
2,825
(100.0%)
100.0
2) 우주분야 연구참여 학생현황
2008년 국내 대학의 우주분야 인력22)은 전년 대비 1.4% 감소한 362명인 것
으로 조사되었다.
<그림2.5-6> 우주분랴 연구참여 인력현황
[주]
--------------------
21) 우주관련 전공학과의 성별 구성비율
22) 2008년 조사에서는 우주분야 관련 전공학과의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를 우주분야 참여인력으로 구분하였으
나, 금년 조사에서는 직접적으로 연구분야 참여인력 현황을 질문하여 파악하였다.
2009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
103
<표2.5-7> 우주분야 연구참여 인력현황
(단위: 명)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전년 대비
증감율
인력수
229
261
367
362
▵1.4%
3) 우주 세부분야별 연구 참여인력 현황
2008년 국내 대학의 우주분야 연구인력의 분야별 참여를 보면 위성체 분야가
153명(48.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발사체 29.7%(93명), 위성활용서비
스 분야 18.8%(59명)으로 조사되었다.
<표2.5-8> 우주 세부분야별 연구 참여인력 현황
(단위: 명)
대분류
중분류
2008년
현재 인력
비중(%)
위성체
시스템
7
1.9
위성본체
148
40.9
탑재체
8
2.2
소계
163
45.0
발사체
시스템
14
3.9
2단
69
19.1
상단 탑재부
0
0.0
페어링
0
0.0
소계
83
22.9
지상장비
위성관련
16
4.4
발사체관련
24
6.6
소계
40
11.0
우주기기제작
286
79.0
위성활용서비스
원격탐사
41
11.3
위성방송통신
0.0
위성항법 시스템
26
7.2
우주과학
9
2.5
소계
76
21.0
우주활용
76
21.0
전체
362
100.0
교육과학기술부
104
4) 2008년 졸업인원 및 우주산업 취업현황
2009년 2월 기준으로 우주관련 국내 학과의 졸업생수는 534명23)으로 조사되
었고, 그중 42.3%인 226명이 우주항공분야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박사는 25명 중 24명이 관련분야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나 고학력자 일수록 관
련분야 취업률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표2.5-9> 졸업 및 취업현황
(단위: 명)
구분
졸업생수
(A)
취업생수
(B)
취업률(%)
(B/A)
정부기관
공공기관
민간기업
박사
25
24
0
7
17
96.0
석사
127
67
3
5
59
52.8
학부생
382
135
2
3
130
35.3
전체
534
226
5
15
206
42.3
[주]
--------------------
23) 졸업생 및 취업생현황은 총 19개 학과 중 7개 대학은 기재하지 않거나 파악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12개 학과의 인원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