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207_보도자료_한국형발사체 시험설비 준공식F.hwp
|
보 도 자 료 |
http://www.msip.go.kr |
|||
담당부서 |
거대공공연구정책과 |
||||
담당과장 |
김대기(010-8615-9707) |
담 당 자 |
황영욱 서기관(010-8609-2208) |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 발사체기획조정팀 진승보 팀장(010-9221-7635) |
한국형발사체 제2막 올라, 독자적인 발사체개발 시스템 구축 - 한국형발사체 엔진을 시험할 수 있는 기반시설인 시험설비 9종 구축 완료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한국형발사체 개발을 위해 구축한 엔진 연소시험설비 3종(3단 엔진 연소시험설비, 엔진 지상 연소시험설비, 엔진 고공 연소시험설비)에 대한 준공식을 12월 7일(월) 전남 고흥의 나로우주센터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독자적인 한국형발사체 개발 시스템을 완성하기 위해 총 10개의 시험설비 구축을 목표로, 현재까지 총 9개 시험설비를 구축하였으며 나머지 1종(추진기관 시스템 시험설비)은 ‘16년에 구축될 예정이다.
<한국형발사체 시험설비 구축 현황>
□ 이번에 준공된 3종의 엔진 연소시험설비는 앞서 구축된 시험설비를 통해 검증된 구성품으로 7톤급/75톤급 엔진을 각각 총조립한 후에, 엔진 연소시험을 수행하는 설비이다.
ㅇ 우주발사체는 매우 높은 신뢰도를 요구하는 분야 중 하나로 한국형발사체의 엔진으로 활용될 7톤급/75톤급 액체엔진은 3종의 연소시험설비에서 각각 약 220회와 약 160회의 시험을 수행하여 엔진의 성능 및 신뢰성․안정성 등을 확보할 계획이다.
□ 3단 엔진 연소시험설비는 한국형발사체 3단에 사용되는 7톤급 액체엔진의 연소시험을 수행하는 설비로,
ㅇ 현재 7톤급 액체엔진은 20초 연속 연소시험까지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7톤급 엔진의 임무 시간인 약 500초까지 점진적으로 늘려 갈 계획이다.
<한국형발사체 액체엔진 조립 및 시험검증 흐름도>
□ 이번에 준공된 나머지 2종의 시험설비인 엔진 지상․고공 연소시험설비는 75톤급 액체엔진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지상 및 고공에서의 연소시험을 수행하는 설비로,
ㅇ 75톤급 엔진의 주요 구성품인 연소기, 터보펌프, 가스발생기 등을 총조립(’15년 말)하여 ’16년 1월부터 총조립된 75톤급 액체엔진에 대한 연소시험에 착수할 예정이다.
□ 이번 준공식에는 미래부 이석준 제1차관과 항우연 조광래 원장을 비롯한 시험설비 구축에 참여한 기업 관계자, 발사체 관련 산·학·연 전문가 등이 참여할 계획이며,
ㅇ 뿐만 아니라,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주요 기업들과 간담회를 개최하여 참여기업들을 격려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한국형발사체를 효율적으로 개발해 나가는데 반영해 나갈 방침이다.
□ 한국형발사체개발 사업은 1단계(’10.3∼’15.7) 목표인 엔진시험설비 구축과 7톤급 액체엔진 개발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2단계 사업(’15.8∼’18.3)을 추진 중이다.
ㅇ 2단계부터 본격적으로 엔진개발과 연소시험을 병행 추진하여 국가우주개발 계획을 위한 한국형발사체 개발에 본격적으로 속도를 낼 전망이며,
ㅇ 구성품을 개발하여 검증하는 설비부터, 엔진 조립과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설비까지 구축되어, 독자적인 발사체개발 시스템을 구축 하는데 한걸음 더 다가가게 되었다.
□ 또한, 구축된 시험설비가 국가 주요 자산인 만큼 향후에도 발사체 개량 및 신규 발사체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철저하게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 국내 산업체 및 연구기관에도 개방하여 공동활용할 계획이다.
붙임 1 |
3단엔진 연소시험설비 7톤급 액체엔진 시험 장면 |
|
<7톤급 액체엔진 장착> |
|
<7톤급 액체엔진 연소시험 정면> |
|
<7톤급 액체엔진 연소시험 후류> |
붙임 2 |
시험설비 조감도 및 구축 사진 |
<3단엔진 연소시험설비>
조감도 |
|
구축 사진 |
|
<엔진 지상 연소시험설비>
조감도 |
|
구축 사진 |
|
<엔진 고공 연소시험설비>
조감도 |
|
구축 사진 |
|
붙임 3 |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계획 |
□ 추진현황
ㅇ 발사체 및 액체엔진 시스템 상세설계 진입
- 시스템설계(‘12.6월) → 단레벨 예비설계(‘13.11월) → 엔진 및 서브시스템 예비설계(‘14.12월) 완료 → 상세설계 진입(’15.1월∼)
ㅇ 7톤급 액체엔진 시스템 총 조립(’15.4) 및 점화/연소시험* 수행(’15.7)
* 7톤급 엔진의 성능시험은 ’19년 초까지 160여회의 시험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엔진 성능(연소시간 500초)을 검증해 나갈 계획임
ㅇ 7톤급/75톤급 액체엔진 구성품 시험․평가 수행 지속
- 연소기, 가스발생기, 터보펌프, 밸브류 등의 구성품 단위 시험을 통한 성능 검증 수행 지속
ㅇ 발사체 개발을 위한 필수 시설인 추진기관 시험설비 9종 구축 완료
- 엔진 구성품 시험설비 5종 및 엔진 시스템 시험설비 4종 구축 완료
※ 엔진, 탱크, 공급계부품 등을 조립하여 총괄적 검증․시험을 할 수 있는 추진기관 시스템 시험설비는 ’16.2월을 목표로 구축 중
□ 계획(’17.12월 시험발사체 발사시까지)
ㅇ 발사체 및 액체엔진 서브시스템 시제품 제작․시험․평가 지속
ㅇ 발사체 및 액체엔진 시스템 상세설계 검토회의(CDR) 개최(‘17.2월)
ㅇ 액체엔진 총조립 및 신뢰도 확보를 위한 성능시험 착수 및 지속
- 75톤급 엔진 140초 전구간(Full Duration) 시험(‘16.6월)
ㅇ 시험발사체 FM 조립 착수(‘17.4월) 및 발사(’17.12월)
※ 시험발사체 개발 종합점검(‘17.10월)
붙임 4 |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사업개요 |
□ 사업 개요
ㅇ 사업목표: 1.5톤급 실용위성을 지구저궤도(600~800km)에 투입할 수 있는 3단형 발사체 개발 및 우주발사체 기술 확보
ㅇ 사업기간: 2010년 3월 ~ 2021년 3월
ㅇ 사업예산: 1조 9,572억원
구 분 |
1단계(’10~’14) |
2단계(’15~’18) |
3단계(’19~’21) |
합 계 |
단계별 예산 |
5,008 |
8,020 |
6,544 |
19,572 |
□ 단계별 개발계획
ㅇ 1단계(‘10.3월~’15.7월): 시스템설계('12년) 및 예비설계('14년)
- 7톤급 액체엔진 개발* 및 시험설비 개발․구축
* 엔진 총조립 및 지상 연소시험을 통한 엔진성능 확인
ㅇ 2단계(‘15.8월~’18.3월): 상세설계 및 제작․시험('17년)
- 발사체 시스템 상세설계 검토회의('17년)
- 75톤급 액체엔진 개발․인증 및 시험발사체 발사('17년)
ㅇ 3단계(‘18.4월~’21.3월): 발사체 인증 및 발사운영
- 액체엔진 4기를 활용한 1단 엔진 클러스터링 기술 개발
- 발사체 인증 및 한국형발사체 2회 발사*('19년, '20년)
* (중․소형)시험위성 발사를 통한 발사체 개발의 성공여부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