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151006_보도자료_다목적위성 2호 9년간의 성과.hwp

닫기

보 도 자 료

http://www.msip.go.kr

보도일시

2015. 10. 6.(화) 조간(온라인 10. 5. 12:00)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배포일시

2015. 10. 5.(월) 9:00

담당부서

우주기술과

담당과장

김현수(02-2110-2440)

담 당 자

박영미 사무관(02-2110-2449)

다목적실용위성 2호, 지난 9년간의 임무 성공적 완료

- 9년간 46,800회 지구 회전, 26,600회 교신으로 지구 관측 임무 완수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조광래)지난 10. 2.(금), 제101차 다목적실용위성개발사업 추진위원회 개최하여 ‘06년 7월 발사이후 9년간 지구관측 임무를 수행한 다목적실용위성 2호*(이하 다목적 2호)에 대해 10월부터 임무를 추가 연장하 않고 수명종료 시까지 연구용 등으로 활용한다고 밝혔다.

* 전자광학 1m급, 800kg, ‘99~’06년까지 예산 2,633억원(과기부 1,650억원, 산자부 735억원, 정통부 60억원, 민간 188억원), 항우연 및 두산중공업, KAI 등 약 336명의 연구인력 참여

다목적 2호는 당초 수명 3년으로 설계되었으나, 고 신뢰도 위성기술의 적용을 통해 발사후 설계수명 3년 이외에 매 2년 마다 3차례의 임무연장(6년)으로 총 9년간 한반도 및 세계 주요지역의 영상 획득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현재, 탑재체 모듈 및 센서, 지상국 운영시스템(명령어 전송 및 위성상태 분석) 등 운영기기 노후화로 인해 추가적인 임무연장 없이 수명종료 시까지 차세대 위성기술연구용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다목적 2호는 해외공동개발로 추진된 다목적위성 1호 개발경험을 토대로 ‘99년부터 ’06년까지 총 2,633억원을 투자하여 국내주도 설계, 제작, 조립 및 시험 능력을 확보하는 등 국내독자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 우주산업화의 초석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위성체 설계 및 제작은 항우연과 29개 국내기업의 참여로 수행하였고, 탑재체는 이스라엘 ELOP와 공동(4년간 20명 파견)으로 개발하였다.

2호 개발을 통해 위성체 설계분야 기술자립도는 91.5%(핵심기술 59건 중 54건 확보), 성체 부품제작 기술자립도는 65.2%(핵심부품 46개 중, 30개 확보)를 달성하여 우주기술 자립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저궤도 지구관측 위성인 다목적 2호 개발보유로 인해 우리나라는 계 7번째로 1m급 고해상도 위성 보유국의 지위를 확보함으로써, 해외 우주선진국과의 위성정보 협조 및 공유의 전략적 기점 마련하였다.

다목적 2호는 지난 9년 동안 약 46,800회 지구를 선회하며, 약 26,600회 지구와 교신을 통해 운영되었으며, 영상은 약 국내 75,400장, 국외 2,448,300장을 획득하여 국가 영상자산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특히, 획득된 영상들 중 45,350장이 국토관리, 재해재난 관리, 환경 및 해양오염 분석, 작물재배 및 생산량 분석국민편익 제고 위한 다양한 공공 및 민간수요에 적극 활용됨으로써, 위성정보 활용가치 증명 및 위성정보기반 신산업 창출 등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내에 활용된 영상 45,350장의 수입대체 효과(2호를 개발하지 않고, 동 영상을 해외에서 수입했을 경우)는 약 5,323억원으로 2호 개발비인 2,633억원의 2배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 수입대체 금액=배포장수×장당 단가(해외시장 영상 단가 약 1,175만원, ‘12년 기준)

2007년 6월부터 세계 상용 위성영상 서비스시장에 진출하여 유럽 등 주요국에 영상자료 및 직수신 판매를 통해 약 216억원을 수출하였으며, 위성영상 시장 진입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2011년 7월 국제 재해재난대응 협력 프로그램인 인터내셔널 차터(International Charter)가입을 통해 나이지리아 홍수, 터키 지진 등 해외 재해재난발생시 피해 저감활동 지원을 위해 인도적 차원의 위성영상 제공으로 국제사회에 기여 및 국가 위상제고 큰 역할을 하였다.

향후, 다목적 2호는 탑재체 성능 향상 및 궤도변경 기술연구 등 차세대 위성기술 연구개발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며, 국가 안전 및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구관측 임무도 위성 수명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지속할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시스템, 본체, 체계조립 및 시험 등 국내주도로 개발된 다목적 2호는 대한민국 우주기술의 자부심이며, 장기간의 성공적인 운영을 통해 우리나라 위성기술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입증하였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 함께 운영중인 다목적위성 3호(‘12년5월 발사), 다목적위성 5호(’13년 8월 발사), 다목적위성 3A(‘15년 3월 발사)와의 공조를 통해 국가 위성정보 활용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민간 활용 및 산업 촉진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미래창조과학부 박영미 사무관(☎ 02-2110-2449)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첨부 1

다목적실용위성 2호 주요영상 및 활용 사례

사진 사용 안내

본 사진 사용 시, 사진출처(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를 명시하여 주시고, 워터마크 삽입 등의 임의편집을 제한합니다.

프랑스 파리(촬영일: 2011. 3. 25)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촬영일: 2014. 4. 30)

호주 시드니(촬영일: 2013. 10. 25)

미국 텍사스(촬영일: 2012. 12. 5)

이집트 카이로(촬영일: 2013. 12. 22)

아프가니스탄 카불(촬영일: 2007. 3. 14)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촬영일: 2007. 3. 14)

이탈리아 베니스(촬영일: 2011. 10. 21)

러시아 모스크바(촬영일: 2008. 9. 4)

미국 플로리다(촬영일: 2012. 12. 1)

아랍에미레이트 두바이(촬영일: 2008. 1. 30)

스페인 톨레도(촬영일: 2009. 7. 1)

북한 평양(촬영일: 2013. 9. 2)

대한민국 대전(촬영일: 2014. 6. 27)

다목적실용위성 2호 정부부처 주요 활용사례

브이월드 북한지역 영상 서비스(국토부)

한반도 모자이크영상 제작 및 보급(미래부)

북한지도 갱신(국토지리정보원)

경지면적조사(통계청)

수질분석(국립환경과학원)

접경지역 및 세분류 토지피복도 제작(환경부)

첨부2

다목적실용위성 2호 개발에 따른 기술성과

기술자립도 현황

구분

핵심기술(건)

확보기술(건)

기술자립도(%)

위성체설계

59

54

91.5

탑재체설계

해외기술 습득

N/A

위성체부품제작

46

30

65.2

탑재체부품제작

해외기술 습득

N/A

주요 국산화품목 내역 및 산업체 참여 현황

구분

성능향상 내용

참여기업

탑재컴퓨터

80C386 기반 분산처리 구조의 탑재컴퓨터(1대비 2배 성능 향상) 국내 독자개발

항공우주산업

전력조절장치

800W급의 전력조절기/전력제어분배장치 등의 전력 및 제어 관련 전장품 국내 독자개발

항공우주산업

추진시스템

4.45N 추력기 8개로 구성된 단일추진시스템 설계 및 제작 기술 확보

한화

열제어계

다층박막단열재, 방열판, 히트파이프 등의 설계 및 제작 기술 확보

두원중공업

탑재체제어유닛

고해상도카메라 전체제어유닛 국내 조립 및 시험

KOSPACE

검출기구조체 및 렌즈 하우징

고해상도카메라 검출기구조체 및 렌하우징 제작

항공우주산업

탑재체 열제어부

고해상도카메라 열제어부품 제작

두원중공업

참여분야별 국산화 개발 참여업체 수

시스템개발, 조립 & 시험

본체개발

탑재체개발

지상국개발

소계

9(7)

34(21)

1(1)

-

44(29)

* ( )는 타부문 개발 중복참여 배제시의 실참여업체 수

핵심기술 확보내역

구분

핵심기술 확보내역

위성본체

- 1m급 광학탑재체 운영을 위한 위성 시스템 및 본체 설계 기술 확보

- 위성용 탑재컴퓨터 및 전력계 관련 전장품 국내독자개발 기술 확보

- 추진시스템 및 열제어계 하드웨어의 설계 및 제작 기술 확보

- 150초@30도의 롤/피치 단축 기동 성능 확보

- 800kg 하중지지 구조체 개발

탑재체

- 지구관측용 고해상도카메라(MSC) 설계, 조립, 정렬, 시험 기술(해상도1m) 확보

- 고해상도카메라 조립/정렬/시험을 위한 전자광학 장비/시설 업그레이드

- 대구경 비구면 경량화 반사경 및 복합재 고안정 광구조체 국내제작 시도

참고3

다목적실용위성 2호 개발사업 개요

사업개요

o (사업목적) 지구를 정밀 관측할 수 있는 저궤도 실용급 관측위성 개발을 통한 공공민간의 위성정보 수용 충족(해상도 : 흑백 1m급)

o (주관부처(참여부처)) 과학기술부(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 총괄기관/참여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전자통신연구원

- 참여기업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주)대한항공, 두원중공업(주), 두산인프라코어(주), (주)한화 등

o (개발기간(발사일)) ’99. 12 ~ ’06. 11('06.7.28)

o (총사업비) 약 2,633억원*

* 과기부 1,650억원, 산자부 734억원, 정통부 60억원, 민간 189억원

주요내용

o (추진체계)

- 위성본체 : 국내개발(자문 독일 Astrium사)

- 탑 재 체 : 이스라엘 ELOP(항우연 공동개발 ’97.11~’04.12)

- 발 사 체 : Rockot(독일 Eurokot사)

o (무게) 800kg

o (궤도) 685km 태양동기궤도

o (탑재체) 흑백 1m, 칼라 4m급 고해상도 카메라

o (설계수명) 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