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150818_보도자료_달탐사_융합연구_성과발표회_개최.hwp

닫기

보도자료

2015. 8. 19(수)

http://www.kari.re.kr홍보실(042-870-3656)

<문의> ☎ 042-860-2217 달탐사연구단장 최기혁

☎ 042-870-3656 홍보실장 이규수, 홍보담당 노형일

달 탐사 융합연구 성과 발표회

- 출연(연) 달 탐사 융합 연구 및 우주핵심󰋯초연구 성과 발표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오는 8월 20일 (목) 10시 30분 서울 양재동 엘타워 6층 그레이스홀에서 한국형 달 탐사 출연(연) 융합연구 및 우주핵심󰋯기초연구 성과 발표회 개최한다.

성과 발표회는 달 탐사 연구를 수행하는 국내 17개 출연(연)과 대학교의 연구책임자 등이 모여 그동안 진행해 온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상호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다.

국내에서는 그동안 출연연과 대학을 중심으로 달 탐사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달탐사선분야, 탑재체분야, 심우주지상국분야와 로버분야 포함 4개 분야에 21개 세부 과제를 구성하여 융합 연구를 수행해 왔다.

성과 발표회에서는 주요 연구 성과에 대한 발표와 전시가 진행된다.

주요 발표 내용으로는 달 궤도선 임무 성공을 위한 달 탐사선 기본 형상의 개념설계결과(항우연) 끊김과 지연을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우주통신 기술을 이용한 우주인터넷 구현 가능성 연구결과(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달 탐사용 무인 로버(Rover)의 작동성능검증(Proof of Concept: POC) 모형 개발 연구결과(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로버의 자율주행에 관한 연구 결과(항우연) 등이다.

아울러 한국천문우주연구원(KASI)은 달 표면을 광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소형 광시야 카메라를,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는 2주간 계속되는 영하 180도의 혹한인 달의 밤 기간에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원자력전지 연구결과를 각각 전시할 예정이다.

이날 성과 발표회에는 달탐사 융합연구에 참여하는 연구기관들의 관련 부서장들 모임인 출연(연) 달 탐사 협력협의회 위원을 포함한연 관계자 약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첨부 : 1. 분야별 연구성과 발표내용

2. 달 탐사 융합연구 성과 발표회 일정

[첨부1] 분야별 연구성과 발표내용

1

달 탐사선 소요 융합기술 연구

달 탐사선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융합기술 개발을 위하여 항우연이 주도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기계연, 화학연, 에너지기술연, 원자력연, 전기연이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다.

항우연은 달탐사선 기반기술 연구를 통하여 한국형 달 탐사 설계 및 검증도구를 개발하였으며 달탐사 종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한국형 달탐사를 위한 국제협력 기반 구축 연구를 수행중이다.

화학연은 우주용 초경량 2차전지 소재 개발 연구를 수행중이며 리튬 기반 전극소재를 개발하여 특성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충전과 방전의 효율 극대화를 위한 격리막 기술을 개발하였다.

에너지기술연은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박막 태양전지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우수한 내방사선을 갖는 고효율 태양전지구조를 고안하여 태양전지 광흡수층을 제조하였다.

2

달 과학용 과학탑재체 기반 연구

달 궤도선 및 착륙선, 로버에 탑재될 과학탑재체 개발을 위하여 한국천문연구원(KASI)의 주도하에 항우연, 지질연, 기초연, 표준연, 기계연 및 원자력연이 공동으로 다양한 목적의 과학탑재체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 2015년 달 탐사 융합연구 탑재체 분과의 연구 목표는 달 탐사 및 과학연구를 위하여 실제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달 탐사에 있어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고해상도 저중량 광학카메라를 설계하여 실리콘탄소 반사경(SiC mirror)를 이용한 시제품을 제작하였고 달의 전표면 관측을 목표로 하는 광시야 광학카메라용 신호제어보드를 독자 개발하였다.

달의 영구음영지역에 존재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물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3μm의 물 흡수선 관측이 가능한 중적외선분광기 지상모델을 개발하여 달 뿐만 아니라 행성의 대기 및 지표 연구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중성미자(Neutrino)를 이용하여 달 내부구조 탐색을 가능하게 하는 중성미자 검출을 위한 요소기술 연구를 수행하여 점접촉형 P-형 게르마늄(Ge) 검출기 제원 설계를 수행하였다.

3

달 탐사를 위한 우주인터넷 통신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주도로 수행되고 있는 달 탐사용 우주 인터넷 통신기술 개발 과제의 연구목표는 국제표준인 CCSDS 기반의 달 탐사용 끊김과 지연극복 우주인터넷 (DTN*) 통신 네트워크 구축이다.

연구의 세부 목표는 우주인터넷 통신을 위한 DTN 프로토콜 개발과 DTN 통신탑재체 개발이다.

현재 시험용 달 궤도선에 탑재할 DTN 탑재체의 예비설계를 수행하였고 DTN 시험을 위한 지상인프라 구축방안을 수립하였다.

동시에 달 탐사선 사이의 무선통신 기술을 개발 중이며 Proximity-1 광대역화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향후 한국형 달탐사선에 DTN 탑재체를 실어 미국 NASA와 협력하여 DTN 프로토콜 연동 시험을 수행할 예정이다.

* DTN: Disruption-Tolerant Network

4

달 탐사 로버의 기반기술 연구

달 표면 착륙선에 탑재될 달 탐사 로버 연구는 한국형 달 탐사 로버의 기구부 및 제어 시스템의 작동성능실증(POC; Proof of Concept), 센서 및 제어 알고리즘 개발과 로버 주행을 위한 시험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하여 KIST의 주도하에 5개 출연(연) (KIST, 자동차부품연, 생기원, 항우연, 건설연)이 참여하고 있다.

현재 관성측정장치(IMU: Inertia Measurement Unit), 경사측정장치(Inclinometer), 태양센서(Sun Sensor)등이 포함된 초소형 저전력 자율주행 핵심센서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착륙선과 로버사이의 통신 장애를 견뎌내는 로버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또한 달 표면 지형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바퀴와 지면의 접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로버 자체의 영상 센서를 이용한 위치 추정 알고리즘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달 표면에서의 원활한 주행을 위해 월면토 및 극한환경을 고려한 월면에 최적화된 구동 바퀴 형상을 설계하였고 로버의 구동 바퀴의 작동 해석 기술을 개발하였다.

로버의 주행성 시험시설 구축을 위하여 기존 한국형 인공 월면토의 소재를 고도화하였고 달 극한환경 모사 고진공 챔버시설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5

달 탐사용 한국형 원자력전지 개발 기술연구

달 탐사용 한국형 원자력전지 개발은 원자력연구원(KAERI)과 전기연구원(KERI)이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원자력전지의 연료 확보 방안을 구체적으로 수립하였다.

원자력전지의 주요 구성품인 열전소자를 사용하는 ETG (Electric-Thermal Generator) 시제품 제작 및 평가를 수행하였고 효율 향상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중이다.

세부 기술로 중온용 열전모듈 개발 및 평가, 우주용 3세대 열전발전 반도체의 적용 가능성 평가와 더불어 원자력전지용 열전발전 소자 개발 및 물성 평가를 완료하였다.

이와 더불어 원자력전지 관련 국내외 규제 요건에 대한 세부 내용을 검토하였고 최적의 대응방안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상업구매 가능한 연료 (Sr-90/Y-90)를 확보하였고 열전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으며 고효율의 ETG 제작 및 평가를 완료하였다.

[첨부2] 달 탐사 융합연구 성과 발표회 일정

내 용

시간

발표

환영사

10:30∼10:35 (5분)

항우연

인사말씀

10:35∼10:40 (5분)

미래부

2015년 협력융합연구 진행경과

10:40∼10:45 (5분)

항우연

융합연구 및 우주핵심과제 총괄 발표 및 토론회

탐사선 분과: 달 탐사선 소요 융합기술 개발

10:45∼10:55 (10분)

항우연

탑재체 분과: 기술검증 및 과학 탑재체 기반연구

10:55∼11:05 (10분)

천문연

지상국 분과: 심우주 지상국 기반연구

11:05∼11:15 (10분)

전통연

로 버 분과: 달 탐사 로버 기반연구

11:15∼11:25 (10분)

과기연

KAIST: 시험용 궤도선의 달 탐사임무를 위한 유도항법제어 기술 및 관제용 비행동역학 시스템 개발과 관련 지상 검증 플랫폼 구축

11:25∼11:35 (10분)

방효충 교수

전북대: 플라즈마 풍동을 이용한 달탐사용 원자력 전지의 열 보호 시스템 기본 모델 개발

11:35∼11:45 (10분)

홍봉근 교수

달탐사 학󰋯연 연구방안 종합토의

11:45∼12:30 (45분)

사회:

최기혁 단장

점 심 (12:30∼13:30)

분과별 협력융합연구 성과 발표

항우연: 달 탐사선 기반기술연구

13:30∼13:40 (10분)

탐사선 분과

기관별 발표자

기계연: · 형상기억 고분자 복합소재를 활용한 우주용 전개구조물 구동기술

: · 원자력 전지용 열전소자 설계 및 신뢰성 평가 기반기술개발

13:40∼13:50 (10분)

13:50∼14:00 (10분)

화학연: 달탐사용 초경량 고에너지 밀도 이차전지 핵심소재 기술개발

14:00∼14:10 (10분)

에기연: 우주용 저가·경량 화합물 박막 태양전지 핵심 원천기술 개발

14:10∼14:20 (10분)

원자력/전기연: 달탐사용 한국형 원자력전지 개발 기반연구

14:20∼14:30 (10분)

Break 14:30∼14:40 (10분)

천문연: 달 과학 핵심탑재체 개발

14:40∼14:50 (10분)

탑재체 분과

기관별 발표자

항우연: 중적외선 분광기 지상모델 개발 및 달 환경 연구

14:50∼15:00 (10분)

지질연: 달 지질/광물자원 지화학 탐사 기초기술연구

15:00∼15:10 (10분)

기초연: 달표면 감시 및 과학임무를 위한 우주용 저중량 광학탑재체 개발

15:10∼15:20 (10분)

표준연: 달 탐사용 고해상도 카메라 기술개발

15:20∼15:30 (10분)

기계연: · 달표면 성분 분석을 위한 레이저 유도 플라즈마 분광 시스템 개발

: · 우주용 적외선 열 영상 장비용 고효율 소형 극저온 냉동기 기술개발

15:30∼15:40 (10분)

15:40∼15:50 (10분)

원자력: 포터블 뫼스바우어 분광기 중성미자 검출기 선행기술 개발

15:50∼16:00 (10분)

Break 16:00∼16:10 (10분)

항우연: 심우주 안테나/심우주 항법 및 관제 기반기술 개발

16:10∼16:20 (10분)

지상국/

로버 분과

기관별 발표자

전통연: · 달탐사를 위한 우주인터넷 통신기술 개발

: · 달탐사를 위한 탐사선 데이터 처리 및 관제기술 개발

16:20∼16:30 (10분)

16:30∼16:40 (10분)

과기연: 원격제어 기반 달탐사 로버 고신뢰성 주행 알고리즘 개발

16:40∼16:50 (10분)

생기연: 한국형 달탐사 로버를 위한 자율 주행용 핵심센서 시스템 기반기술연구

16:50∼17:00 (10분)

항우연: 달 탐사 로버 임무 시나리오 및 위치인식 기법 연구

17:00∼17:10 (10분)

건기연: 달환경에서의 안정적인 임무수행을 위한 월면지반 재현 및 실증환경 조성기술 개발

17:10∼17:20 (10분)

자부연: 달환경을 고려한 주행거동 메커니즘 개발 및 고신뢰성 확보 방안 연구(II)

17:20∼17:30 (10분)

만 찬 (17:30∼1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