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2181359_115.hwp
[별지 제1-2호 서식] 특정연구개발사업 계획서 준용
통신해양기상위성개발사업 위탁과제 계획서
① 사 업 구 분 |
|||||||||||||||||
② 연구(개발)분야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
③ 위탁 과제명 |
|||||||||||||||||
④ 위탁연구기관 |
⑥ 과 제 성 격 기초( ), 응용( ), 개발( ) |
||||||||||||||||
⑤ 협동연구기관 |
- |
||||||||||||||||
⑥-1 실용화 대상여부 실용화( ), 비실용화( ) |
|||||||||||||||||
⑦ 위탁연구책임자 |
소속및부서명 |
직위 |
|||||||||||||||
성 명 (한문) |
전공 |
||||||||||||||||
연 구 개발비 |
⑧총 연구비 |
⑨연도별 연구개발비 |
|||||||||||||||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
정 부 출 연 금 |
천원 |
천원 |
천원 |
천원 |
|||||||||||||
정부이외출연금 |
- 천원 |
천원 |
천원 |
천원 |
|||||||||||||
기업체 부담금 |
- 천원 |
천원 |
천원 |
천원 |
|||||||||||||
상대국 부담금 |
- 천원 |
천원 |
천원 |
천원 |
|||||||||||||
계 |
- 천원 |
천원 |
천원 |
천원 |
|||||||||||||
총 연 구 기 간 |
. . - . .( 년 월) |
연도별 참 여 연구원수 |
1차년도 |
총: 명 |
|||||||||||||
다년도 협약연구기간 |
- |
2차년도 |
총: 명 |
||||||||||||||
당해년도 연구기간 |
. . - . . (년 월) |
3차년도 |
총: 명 |
||||||||||||||
⑩참여 (신청) 기업 |
기업체명 |
- (⑪기업유형) |
대표자(성명) |
- |
|||||||||||||
주 소 |
- |
- |
|||||||||||||||
실무연락 책 임 자 |
- |
- |
|||||||||||||||
국제 공동 연구 |
상대국 연구기관명 |
- |
상대국 연 구 개발비 |
- |
|||||||||||||
상대국 연구책임자 |
- |
상대국 연구개 발기간 |
- |
||||||||||||||
관계규정과 제반지시사항을 준수하면서 본 연구사업을 성실히 수행하고자 별첨과 같이 제출합니다. ⑫ 첨부 : 위탁연구개발과제 계획서 3부 년 월 일 위탁연구책임자 : (인) 위탁연구기관장 : (직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귀하 |
210mm×297mm
※ 신청서 작성요령[1-9번]
1. ①은 당해년도『특정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에 따른 사업명을 기재
2. ②는 아래 분야중 관련도가 가장 많은 분야를 기재함
대분류 : 대분류 기술분야중 해당분야 코드기재
중분류 : 중분류 기술분야중 해당분야 코드기재
소분류 : 소분류 기술분야중 해당분야 코드기재
예시) 대 - 중 - 소(100 - 110 - 111)
※ *표준분류체계는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표상의 분류코드임
분류체계 |
표준분류체계* |
분류체계 |
표준분류체계 |
||
100. |
정보산업 |
||||
110. |
컴퓨터기술 |
120. |
통신기술 |
||
111. |
컴퓨터 본체기술 |
J11 |
121. |
전송기술 |
K1 |
112. |
주변기기 기술 |
J12 |
122. |
교환기술 |
K2 |
113. |
시스템 소프트웨어 기술 |
J2 |
123. |
통신망기술 |
K3 |
114. |
소프트웨어 생산기술 |
J33 |
124. |
이동/위성통신 |
K5, K76 |
115. |
응용 소프트웨어 기술 |
J31 |
125. |
초고주파/레이다 기술 |
K4 |
119. |
기타 |
126. |
단말/통신부품 기술 |
K6, I34 |
|
129. |
기타 |
||||
130. |
반도체기술 |
140. |
산업전자기술 |
||
131. |
집적회로 기술 |
I42 |
141. |
전자제품기술 |
I2 |
132. |
개별소자/신소자 기술 |
I41 |
142. |
계측제어/자동화 기술 |
I11, I12 |
133. |
반도체 공정/장비/재료 기술 |
I43, I44 |
143. |
전력계통/기기/전자 기술 |
I5 |
134. |
화합물 반도체기술 |
I46 |
144. |
전기전자 응용기술 |
I6~I8 |
135. |
주문형 반도체기술 |
I42 |
149. |
기타 |
|
139. |
기타 |
||||
150. |
요소기술 |
199. |
기타 |
||
151. |
표시장치 기술 |
I31 |
|||
152. |
광기술 |
I32 |
|||
153. |
센서기술 |
I35 |
|||
154. |
신호처리 기술 |
I30 |
|||
159. |
기타 |
||||
200. |
기계설비 |
||||
210. |
설계 엔지니어링 기술 |
220. |
단위기계 핵심부품 기술 |
||
211. |
전산이용 최적설계 기술 |
F13 |
221. |
열 유체기기 기술 |
F3 |
212. |
플랜트 엔지니어링 기술 |
F14~H17 |
222. |
내연기관 기술 |
F21 |
213. |
강도설계/피로파괴 기술 |
F12 |
223. |
산업기계 기술 |
F4 |
214. |
유체 해석 기술 |
F33 |
224. |
환경보전 설비 기술 |
F3 |
215. |
열전달 해석 기술 |
F31 |
225. |
수송기계 기술 |
F2 |
216. |
동역학 해석 기술 |
F22 |
226. |
정밀기계 기술 |
F42 |
217. |
소음/진동 해석 기술 |
F24 |
227. |
전기기계 기술 |
I13 |
219. |
기타 |
229. |
기타 |
분류체계 |
표준분류체계 |
분류체계 |
표준분류체계 |
||
230. |
기계자동화 기술 |
240. |
생산기반기술 |
||
231. |
CAD/CAM 기술 |
F13 |
241. |
금형 기술 |
F84 |
232. |
감시/진단/제어 기술 |
F12 |
242. |
가공 기술 |
F84 |
233. |
FA Network 기술 |
F17 |
243. |
주물 기술 |
F84 |
234. |
생산제어소프트제어 기술 |
F15 |
244. |
용접 기술 |
F85 |
235. |
생산공정자동화시스템 기술 |
F15 |
245. |
열처리기술 |
F84 |
239. |
기타 |
246. |
표면 처리 기술 |
F84 |
|
249. |
기타 |
||||
250. |
표준 측정 시험평가 기술 |
299. |
기타 |
||
251. |
측정표준 기술 |
F91 |
|||
252. |
분석 및 시험평가 기술 |
F92 |
|||
253. |
산업안전 기술 |
F0 |
|||
259. |
기타 |
||||
300. |
소재․물질․공정 |
||||
310. |
금속소재 기술 |
320. |
세라믹소재 기술 |
||
311. |
기계 기능재료 기술 |
G1 |
321. |
기계 및 열 기능재료 기술 |
G2 |
312. |
열 기능재료 기술 |
G1 |
322. |
광기능재료 기술 |
G2 |
313. |
화학 기능재료 기술 |
G1 |
323. |
생화학 기능재료 기술 |
G2 |
314. |
전자기 기능재료 기술 |
G1 |
324. |
전자기 기능재료 기술 |
G2 |
319. |
기타 |
325. |
복합 기능재료 기술 |
G2 |
|
329. |
기타 |
||||
330. |
고분자소재 기술 |
340. |
정보전자소재 기술 |
||
331. |
기계 기능재료 기술 |
G3 |
341. |
정보처리 기능재료 기술 |
G33 |
332. |
광전자 기능재료 기술 |
G3 |
342. |
정보저장 기능재료 기술 |
G33 |
333. |
복합 기능재료 기술 |
G3 |
343. |
정보표시 기능재료 기술 |
G33 |
334. |
분리 기능재료 기술 |
G3 |
344. |
정보통신 기능재료 기술 |
G33 |
339. |
기타 |
349. |
기타 |
||
350. |
정밀화학 기술 |
360. |
공업화공정 기술 |
||
351. |
생리활성 의약소재 기술 |
H5 |
361. |
석유 석탄산업 공정 기술 |
H1, H2, H3, H5 |
352. |
생리활성 농약소재 기술 |
H5 |
362. |
기초산업공정 기술 |
H1~H7 |
353. |
생리활성 향장소재 기술 |
H5 |
363. |
소비산업공정 기술 |
H8, H9 |
354. |
기능성 무기재료 기술 |
H5 |
364. |
산업화 공정 기술 |
H8, H9 |
355. |
특수 기능소재 기술 |
H5 |
365. |
기타 |
|
370. |
특성평가분석 기술 |
399. |
기타 |
||
371. |
소재특성평가분석 기술 |
G5 |
|||
372. |
정밀화학 특성평가 분석 기술 |
H5 |
분류체계 |
표준분류체계 |
분류체계 |
표준분류체계 |
||
400. |
생명과학 |
||||
410. |
생명공학 기술 |
420. |
생물자원 생산이용 기술 |
||
411. |
분자 세포공학 기술 |
D4, D57 |
421. |
식물자원 생산 이용 기술 |
D81 |
412. |
단백질 및 탄수화물 공학기술 |
D3 |
422. |
동물자원 생산 이용 기술 |
D82 |
413. |
미생물 이용기술 |
D83 |
423. |
식품 생명공학 기술 |
D51 |
414. |
생물공정 기술 |
D52, D53 |
429. |
기타 |
|
419. |
기타 |
||||
430. |
안전성 평가 관리 기술 |
499. |
기타 |
||
431. |
안전성 평가 관리 기술 |
D91, D92 |
|||
439. |
기타 |
||||
500. |
원자력․자원․에너지 |
||||
510. |
원자력 기술 |
520. |
자원기술 |
||
511. |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 |
P8 |
521. |
지질조사 기술 |
O6 |
512. |
에너지 생산 및 이용 기술 |
P1, P5 |
522. |
자원탐사 기술 |
O6 |
513. |
방사선 이용 기술 |
P6 |
523. |
자원개발 기술 |
O7 |
514. |
원자력 안전관리기술 |
P3 |
524. |
자원이용 기술 |
O8 |
519. |
기타 |
525. |
환경/방재 기술 |
O8, N8 |
|
529. |
기타 |
||||
530. |
에너지 기술 |
599. |
기타 |
||
531. |
에너지 수송 절약 저장 공정기술 |
O2, O3 |
|||
532. |
신 재생 에너지 이용 기술 |
O4, O5 |
|||
533. |
화석에너지 이용기술 |
O1 |
|||
534. |
폐자원 활용기술 |
O5 |
|||
539. |
기타 |
||||
600. |
대형․복합 기술 |
||||
610. |
항공 기술 |
620. |
우주․천문 기술 |
||
611. |
시스템 기술 |
R41 |
621. |
시스템 엔지니어링 |
R2, R3 |
612. |
구조 및 재료기술 |
R45 |
622. |
위성체 기술 |
R2, R3 |
613. |
공력 설계기술 |
R40 |
623. |
발사체 기술 |
R2, R3 |
614. |
비행제어 기술 |
R44 |
624. |
위성탑재체 기술 |
R2, R3 |
615. |
항공전자 기술 |
R44 |
625. |
지상관제 기술 |
R2, R3 |
616. |
엔진 기술 |
R42 |
626. |
지상설비 기술 |
R2, R3 |
619. |
기타 |
628. |
천문 |
R5, R6 |
|
629. |
기타 |
분류체계 |
표준분류체계 |
분류체계 |
표준분류체계 |
||
630. |
해양 기술 |
640. |
선박․해양장비 기술 |
||
631. |
해양 기초기반 기술 |
R7 |
641. |
시스템 통합 설계 기술 |
R91 |
632. |
해양 환경 보전 기술 |
R7 |
642. |
유체성능 해석 기술 |
R92, R93 |
633. |
해양자원 이용 기술 |
R8 |
643. |
설계 및 생산자동화 기술 |
R90, R92 |
634. |
해양공간 활용 기술 |
R8 |
644. |
운항 안전 및 자동화 기술 |
R94 |
639. |
기타 |
645. |
해양장비 기술 |
R96~R98 |
|
649. |
기타 |
||||
650. |
로봇 및 메카트로닉스 기술 |
699. |
기타 |
||
651. |
시스템 기술 |
F14 |
|||
652. |
구조설계 기술 |
F14 |
|||
653. |
인식 기술 |
F14 |
|||
654. |
인터페이스 기술 |
F14 |
|||
655. |
인공지능 기술 |
F14 |
|||
656. |
MEMS 및 재료 기술 |
F6 |
|||
659. |
기타 |
||||
700. |
공공복지 |
||||
710. |
환경기술 |
720. |
보건의료 기술 |
||
711. |
환경보전관리기술 |
N4, N6 |
721. |
의과학 기술 |
M1 |
712. |
환경오염방지기술 |
N1, N2 |
722. |
의료용 생체공학 기술 |
M3 |
713. |
폐기물 처리기술 |
N25, N33 |
723. |
의료정보시스템 기술 |
M5 |
714. |
환경보전 생태 관리기술 |
N5, N42 |
724. |
안전성 평가 관리 기술 |
M4 |
719. |
기타 |
729. |
기타 |
||
730. |
교통 기술 |
740. |
건설(주택) 기술 |
||
731. |
교통설계시스템 기술 |
Q8 |
741. |
건설설계 및 엔지니어링 기술 |
Q1 |
732. |
교통계획 기술 |
Q8 |
742. |
건설시공 기술 |
Q2 |
733. |
교통운영 기술 |
Q9 |
743. |
시설물 유지관리 기술 |
Q3 |
734. |
물류 기술 |
Q84, Q96 |
744. |
건설관리 기술 |
Q2 |
739. |
기타 |
749. |
기타 |
||
750. |
기상 기술 |
799. |
기타 |
||
751. |
기상관측예보기술 |
E31, E35 |
|||
752. |
기후역학 기술 |
E32, E34 |
|||
753. |
기상정보 이용기술 |
E30 |
|||
759. |
기타 |
||||
800. |
원천요소 기술 |
||||
810. |
기반 기술 |
820. |
미래원천 기술 |
||
811. |
극한기술 |
F7 |
821. |
핵융합 기술 |
P15 |
812. |
측정 및 계측기술 |
F12 |
822. |
초전도 기술 |
B68 |
813. |
파동 및 입자 빔 기술 |
B5 |
829. |
기타 |
|
819. |
기타 |
||||
899. |
기타 |
||||
900. |
연구개발생산성 |
S2 |
|||
1000. |
기타 |
3. ④는 신청과제를 주관하여 추진할 연구기관을, ⑤는 주관연구기관과 협동 또는 공동으로 연구개발을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기관을 기재함
4. ⑥은 현재의 기술수준에서 신청과제의 성격에 따라 가장 관련도가 높은 곳에 ○표
○기초연구 |
: |
특별한 응용,용도를 직접적으로 고려하지 않고 가설이나 이론을 형성하기 위하거나 또는 형성과 관찰가능한 사실에 관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하여 행하는 이론적, 실험적 연구 |
○응용연구 |
: |
기초연구에서 얻어진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특정한 목표를 정해서 실용화의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와 이미 실용화되어 있는 방법에 관해서 신응용법을 탐구하는 연구 |
○개발연구 |
: |
기초연구,응용연구 및 실제의 경험에서 얻어진 지식을 이용하여 신재료,장치,제품,시스템,공정 등의 도입 또는 개량을 목표로 하는 기업화 탐구 연구 |
5. ⑧-⑨는 신청과제의 연구개발 수행에 따른 연구비의 충당재원으로서, ⑧에는 총 연구개발비로서 1차년도부터 종료시까지의 연구비 총액을 기재하고 ⑨에는 연도별 연구개발에 소요되는 연구비를 기재함.
6. ⑩은 기업이 연구개발비의 일부를 부담하여 연구개발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한하며, 확인이 될 수 있는 서류를 첨부함.
7. ⑪은 중소기업, 연구조합, 대기업 등 해당되는 유형을 기재함
8. 기업이 신청하는 경우에는 희망하는 주관연구기관과 연구책임자를 ④와 ⑦에 기재하고, ⑫에 다음을 추가 첨부하여 제출함
○ |
참여기관의 연구책임자 및 소속기관 대표의 확인서 1부 |
○ |
주관연구기관이 기업부설연구소인 경우 기술개발촉진법에 의한 인정서 1부(산업기술연구조합인 경우 설립인가서 사본 1부) |
○ |
참여기업이 중소기업 또는 중소기업 연구조합인 경우 이를 증명하는 서류 1부 |
9. 내용별 세부요령 : 해당항목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개조식으로 작성함
1. 연구개발의 필요성
○ |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개발과제와 관련되는 국내․외 기술개발현황 및 문제점과 전망 등에 관하여 기술하고 국내연구개발의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서술함 |
가. 연구개발의 과학기술, 사회경제적 중요성
◦ 기술적 측면
◦ 경제․산업적 측면
◦ 사회․문화적 측면
나. 연구개발하려는 기술(또는 연구개발내용)의 세계적 수준이 다음의 기술발전주기(technology life cycle)중 현재 어느 단계에 해당되는가?
□ 개념정립 단계 □ 기업화 단계 □ 기술의 안정화 단계
다. 지금까지의 연구개발 실적
◦ 국내․외 타연구기관 및 당해 연구기관이 본 연구개발과 직접 관련하여 수행한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를 요약 명기함
라. 현기술상태의 취약성
◦ 국내․외 연구기관의 계량화된 수치비교, 기술격차 또는 선진국 100%대비 수준 등을 제시함
마. 앞으로의 전망
바. 국내에서 연구개발하는 대신 기술도입을 한다면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기술료(Royalty) 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경제성에 비추어 높은지, 낮은지?
사. 산업체 참여시기 및 방법
2.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 |
연구개발의 최종목표와 연차별 목표를 기술적 측면에서 명확성이 유지되도록 과제별로 계량화하여 개조식으로 기술함 |
○ |
개발하고자 하는 기술(또는 공정, 제품)의 수준, 성능, 품질 등을 가능한 한 정량적으로 기술함 (예시) - 압력범위 : 10 ~ 115 kPa - 동작온도 범위 : -30~120℃ - 비선형성 : ±0.5%FS 이하 - 센서감도 : 0.1~1.2mV/kPa - 출력단 감도 : 44.75 mV/kPa - 공급전압 : 5±0.25V - 다이어프램 두께오차 : ±5% 이하 |
가.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나. 연구개발목표의 성격 : 아이디어 개발 ( ), 시작품 개발 ( )
제품 또는 공정개발 ( ), 기타 ( )
※ 해당되는 곳에 ○표 하되 기타의 경우에는 기입
다.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단위 : 천원)
구분 |
연구개발목표 |
연구개발내용 및 범위 |
연구비 |
1차년도 (20 ) |
|||
2차년도 (20 ) |
|||
3차년도 (20 ) |
*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과 그 연구개발 범위를 구체적으로 기술함
(가능한 한 정량화된 수치로 제시)
* 연구개발 범위는 연구개발 내용에 대한 자료수집, 모델정립, 시작품제작 등으로 서술하고, 추가되는 주요내용은 밑줄로 표시
라. 기술경로도
※ 국가기술지도(NTRM)를 기초로 하여 연구개발 과제(세부과제)별로 작성
3. 연구평가의 착안점 및 척도
◦ 당해 연구개발결과의 객관적인 평가에 있어 이용될 수 있는 기준 또는 주안점을 가시적이고 정량적으로 기술함(연구개발 종료후에 당해 연구개발과제는 여기에서 제시된 기준에 따라 평가될 것임)
◦ 세부과제별로 세부연구목표 제시와 함께 세부연구목표별 가중치(100%중 몇 %)를 기재함
◦ 세부과제별 및 연차별로 작성
년도 |
세부연구목표 |
가중치 |
평가의 착안점 및 척도 |
1차년도(20 ) |
◦ |
||
◦ |
|||
2차년도(20 ) |
◦ |
||
◦ |
|||
최종평가 |
◦ |
||
◦ |
4. 추진전략 및 방법
○ 기술정보수집, 전문가확보, 타기관과의 협조방안 및 연구개발목표 달성과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개발방법론(접근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기술함 ○ 기업이 참여하는 과제는 기업의 입장에서 기술정보 수집, 전문가 확보, 연구개발방법론(접근방법) 등에 대해 서술함 |
5. 연구개발 추진체계
○ 국내․외 기술수준과 우리의 여건을 종합평가한 후 연구개발 최종목표의 달성을 위해 연구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개발내용(기술,공정,제품 등)에 대한 기술적 측면에서의 추진체계를 도식적으로 표시함 |
6. 국제공동연구개발 추진계획(해당되는 경우에 한하여 기재함)
가. 추진 배경
(국내 단독연구개발의 한계,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수행할 경우의 잠정적 조치사항 또는 관련 국제협약, 협정체결 등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기술함)
나. 성공가능성
(국제공동연구가 수행될 경우 성공할 수 있는 기본여건을 구체적으로 기술함)
다. 상대국 공동연구기관 및 공동연구책임자의 실적․연구능력(연구시설, 기자재, 자료 등) 등
라. 연구개발비, 연구개발인력, 연구시설 등의 이용 및 분담내용
마. 추진일정 및 국내․외 현지체재 일정(수행연구내용별로 기술함)
7. 기대성과
○ 연구자 입장에서 기대되는 결과를 기술적 측면과 경제․산업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간단명료하게 기술함 |
가. 기술적 측면
(당해기술의 향상, 다른 기술향상에의 파급효과 등을 상세히 기술함)
나. 경제․산업적 측면
(당해기술의 개발에 따른 경제적 효과로서 예상수익, 생산성 향상에 따른 비용절감, 수입대체, 수출기대, 당해기술의 시장성 등을 기술하고, 산업적효과로서 산업발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항을 서술함)
8. 활용방안
○ 예상되는 활용분야 및 활용방안을 상세히 기술하고 이에 따른 기업화, 추가연구, 기술이전 등을 서술함 |
9. 연구원 편성표
주관연구책임자 |
|||||||||||||||||||||||||||||||||||||||||||||
직 급 별 참여연구원 |
소속기관별 참여연구원 |
||||||||||||||||||||||||||||||||||||||||||||
책 임 급 명 선 임 급 명 원 급 명 기 타 명 계 명 |
출 연(연) 명 국공립(연) 명 대 학 명 산 업 계 명 기 타 명 계 명 |
||||||||||||||||||||||||||||||||||||||||||||
세부과제명 |
세부과제명 |
세부과제명 |
세부과제명 |
||||||||||||||||||||||||||||||||||||||||||
연구책임자 |
연구책임자 |
연구책임자 |
연구책임자 |
||||||||||||||||||||||||||||||||||||||||||
직급별참여연구원 |
직급별참여연구원 |
직급별참여연구원 |
직급별참여연구원 |
||||||||||||||||||||||||||||||||||||||||||
책 임 급 명 선 임 급 명 원 급 명 기 타 명 계 명 |
책 임 급 명 선 임 급 명 원 급 명 기 타 명 계 명 |
책 임 급 명 선 임 급 명 원 급 명 기 타 명 계 명 |
책 임 급 명 선 임 급 명 원 급 명 기 타 명 계 명 |
||||||||||||||||||||||||||||||||||||||||||
소속기관별 참여연구원 |
소속기관별 참여연구원 |
소속기관별 참여연구원 |
소속기관별 참여연구원 |
||||||||||||||||||||||||||||||||||||||||||
출 연(연) 명 국공립(연) 명 대 학 명 산 업 계 명 기 타 명 계 명 |
출 연(연) 명 국공립(연) 명 대 학 명 산 업 계 명 기 타 명 계 명 |
출 연(연) 명 국공립(연) 명 대 학 명 산 업 계 명 기 타 명 계 명 |
출 연(연) 명 국공립(연) 명 대 학 명 산 업 계 명 기 타 명 계 명 |
||||||||||||||||||||||||||||||||||||||||||
가. 주관연구책임자(해당항목만을 기재함)
1) 인적사항
성 명 |
국 문 |
(한문) |
직위(급) |
|
영 문 |
||||
주 소 |
자 택 |
(전화 : |
) |
|
직 장 |
(전화 : |
) |
||
(Fax : |
) |
|||
(E-mail: |
) |
|||
주민등록번호 |
(만 세) |
2) 학 력
연도(부터-까지) |
학 력 |
전 공 |
학 위 |
최종학위논문제목 |
3) 경 력
연도(부터-까지) |
기 관 |
직위(직명) |
비 고 |
4) 주요연구업적(대표적 업적을 10개 이내로 작성)
연구 제목 |
주요내용 |
연구 기간 |
발표서적또는학술지명(년호권호 포함) |
연구수행당시의 소속기관 |
역할(연구책임자또는연구원) |
연구비 지급기관 |
비고 |
* 비고란에는 산업재산권 출원, 취득 등 특기할 만한 사항을 기술함
5) 연구논문 발표실적 등(아래와 같이 구분하여 최근 3년간 본 과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대표적 실적을 5개 이내로 작성)
가) 저 서
나) 국내전문학술지
다) 국외전문학술지
라) 대학 학술지
마) 학술회의 발표
바) 특 허
사) 기 타
6) 참여실적
가) 타 연구과제(수행중, 수행예정, 신청중) 내용
구분 |
과제명 |
지원기간 |
연구비(원) |
연구기간 (부터-까지) |
역할(연구책임자또는연구원) |
* 구분란에는 수행중, 수행예정, 신청중을 기재함
나) 본 연구개발과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과제를 타기관에 신청하였을 경우
과제명 |
신청대상 기 관 |
신 청 연구비(원) |
연구기간 |
역할(연구책임자 또는 연구원) |
비고 |
나. 협동연구책임자
과 제 명 또는분야 |
성명 |
소속기관 및 부서 |
직위 성명 |
전공 및 학위 |
비고 |
|||
학위 |
연도 |
전공 |
학교 |
|||||
나. 연구원
분야 |
성명 |
소속기관 및 부서 |
직위 |
전 공 및 학 위 |
|||
학위 |
연도 |
전공 |
학교 |
||||
※ 성명 우상단에 위촉연구원은 *로 표기하고 참여기업 연구원은 **로 표기함
10. 전문가 초청활용 및 연구원의 해외훈련 내용
가. 전문가 초청 활용
구 분 |
세 부 연구내용 |
성 명 |
국명 |
소속및 직 위 |
전공및 학 위 |
초청활용기간 |
활용 내용 |
소요경비 (천원) |
재원 |
* 구분란에는 국내․국외로 구분하여 기재함
나. 연구원의 해외훈련
세 부 연구내용 |
성 명 |
소속및 직 위 |
훈련기관 |
훈련기간 |
훈련내용 |
소요경비 (천원) |
재원 |
11. 주요연구 기자재 및 시설
연구기자재 및 연 구 시 설 명 |
규 격 |
수량 |
활용 용도 |
보유기관 |
확보방안 |
비 고 |
* “보유기관”란에는 당해연구개발 수행기관을 포함한 보유기관의 기관명을 기재함
* “확보방안”란에는 구입, 임차 등을 기재함
12. 연구추진계획
연 구 내 용 |
연 구 책임자 |
추 진 일 정 |
연구비 (천원) |
비 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사업진도(%) |
|||||||||||||||
연구비(천원) |
※ 다년도협약시 연도별로 작성
13. 연구비 소요명세서(해당되는 비목만 선택하여 기재)
가. 총괄표
(1) 연구비 소요내역 (단위 : 천원)
비목 번호 |
구분 비목 |
1차년도(20 . . .) |
2차년도(20 . . .) |
3차년도(20 . . .) |
비고 |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
1 |
인건비 ․내부인건비 ․외부인건비 |
|||||||
2 |
직접비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재료비 및 전산처리․관리비 ․시작품제작비 ․여 비 ․수용비 및 수수료 ․기술정보활동비 ․연구활동비 ․연구홍보비 |
계상불가 계상불가 |
||||||
3 |
위탁연구개발비 |
|||||||
4 |
간접비 ․간접경비 ․연구개발준비금 ․산업재산권 출원․등록비 |
계상불가 계상불가 |
||||||
연구사업비 총액 |
주) 비목별 경비는 과학기술부의 “특정연구개발사업비 산정․사용 및 정산지침”을 적용하여 작성함.
(2) 민간부담 연구비중 참여기업별 부담금액
기 업 명 |
기업유형 (대기업, 중소기업) |
민간부담액(단위 : 천원) |
||
현 금 |
현 물 |
계 |
||
|
||||
합 계 |
나. 비목별 연구개발비 소요명세
(1) 인건비
(가) 내부인건비 원
(내부인건비가 당해 연구사업에서 지급되지 않는 연구원도 관련경비의 산출근거로서 작성함)
(단위 : 천원)
기관명 |
성 명 (주민등록번호) |
부서명 (직급) |
월급여 |
참여기간 (개월) |
참여율 (%) |
총액 |
*타연구사업 참여현황 |
비고 |
|
사업명 |
참여율 (%) |
||||||||
주관연구기관 소계 |
|||||||||
합 계 |
(나) 외부인건비 원
(단위 : 천원)
기관명 |
성 명 (주민등록번호) |
부서명 (직급) |
월급여 |
참여기간 (개월) |
참여율 (%) |
총액 |
비고 |
주관연구기관 소계 |
|||||||
합 계 |
※ 참여기업 현물부담 인건비의 경우 비고란에 ‘현물’표기를 하며 필요시 외부인건비 기준단가 책정의 근거를 기재
(2) 직접비 원
(가) 연구기자재 및 시설비 원
※ 계상불가
(나) 재료비 및 전산처리․관리비 원
① 시약 및 재료비 원
품 명 |
규 격 |
단 위 |
수 량 |
단 가 |
금 액(원) |
비 고 |
합 계 |
※ 참여기업이 부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 란에 ( )로 기재함
② 전산처리비 원
③ 시험분석료 원
(다) 시작품 제작비 원
※ 계상불가
(라) 여 비 원
① 국내여비(지역과 기간별로 기재함) 원
- 책임급 00인 ×00원×00회 = 원
- 선임급 00인 ×00원×00회 = 원
- 원 급 00인 ×00원×00회 = 원
② 국외여비(지역과 기간별로 기재함) 원
- 책임급 00인 ×00원×00회 = 원
- 선임급 00인 ×00원×00회 = 원
- 원 급 00인 ×00원×00회 = 원
(마) 수용비 및 수수료 원
․ 인쇄/복사/인화비 원
․ 공공요금 원
․ 수수료 및 제세 공과금 원
(바) 기술정보활동비 원
①정보활동비 원
- 세미나개최비 원
- 학회․세미나 참가비 원
- 정보 DB사용료 원
- 도서 등 정보자료 구입비 원
- 기술정보수집비 원
② 해외훈련비(훈련기관(국)과 훈련기간별로 기재함) 원
- 책임급 00인 ×00원×00회 = 원
- 선임급 00인 ×00원×00회 = 원
- 원 급 00인 ×00원×00회 = 원
③ 전문가초청․자문비 원
․국내전문가 원
- 자문료 00원/월×00월×00인 = 원
․국외전문가 원
- 항공료 00원×00인 = 원
- 체재비 00원/월×00월×00인 = 원
- 자문료 00원/월×00월×00인 = 원
④ 기술도입비 원
기술도입명 |
도입국 |
금 액(원) |
관련되는 세부연구내용 |
비 고 |
합 계 |
※ 비고란에는 기술도입의 형태(예 : Know-How 등)을 기재함
⑤ 해외연구소 설치 및 운영비(해외연구소명을 기재) 원
- 설치비 00원/개소×00개소 = 원
- 운영비 00원/월×00월×00개소 = 원
(사) 연구활동비 원
․연구원 인센티브
(인건비×( )%이내) 원
․하위단위 세부과제 관리비
※ 계상불가
(아) 연구홍보비 원
(3) 위탁연구비 원
※ 계상불가
(4) 간접비
(가) 간접경비 원
기관명 |
산 정 기 준 |
금액 |
원 |
※ 특정연구개발사업비산정․사용및정산지침에 따라 작성
(나) 연구개발준비금
※ 계상불가
(다) 산업재산권출원․등록비 원
※ 계상불가
과제 참여자 내․ 외부 인건비 확인서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ㅇ주관과제명:
ㅇ주관과제 책임자:
□ 협동(위탁)연구기관
ㅇ기 관 명 :
ㅇ과 제 명 :
ㅇ과제책임자 :
ㅇ과 제 기 간: 20 . . ~ 20 . .
ㅇ내,외부 인건비 내역
[단위:원]
참여자 성 명 |
20 년 연봉* [A](당해년도) |
20 년 월급여 [B=A/12] |
참여율 [%] |
과 제 계상인건비 [C] |
20 년도 연봉 (전년도) |
합계 |
[작성방법]
ㅇ해당년도 연봉: 해당기관에서 기관장이 인정하는 인건비
ㅇ참여율: 해당협동(위탁)과제의 참여율
ㅇ전년도 연봉: 전년도 소득원천징수영수증에 기입된 연봉
ㅇ참여인원이 많은 경우 별지 사용가능
상기 참여자의 20 년도 인건비가 사실과 다름이 없음을 확인함.
기관명:
기관장: [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