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T문서경영공시_5_기관_업무보고.pptx

닫기

background image

항공우주 ( 연 )  업무현황


background image

2

목 차

일반현황

국가항공우주연구개발계획

주요 연구개발 성과

주요 연구개발 현황


background image

3

I. 

일반현황


background image

임무 및 기능

항공우주 과학기술영역의 새로운 탐구 ,  기술선도 ,  개발 및 보급을 통해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과 국민생활 향상에 기여

항공우주 안전성 및 품질확보 

기술개발 ,  인증 

항공기 ,  인공위성 ,  발사체

종합시스템 및 연구개발

시험평가시설 공동활용 및 

연구개발성과 확산

국가항공우주개발 정책

수립 지원 및 기술정보 보급 

4


background image

연  혁

한국항공우주연구소 

독립 법인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으로 명칭 변경

기초기술연구회

산하로 소속변경

한국기계연구소 부설

항공우주연구소 설립 

5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로 소속변경


background image

조 직

< 5

본부  1 단  4 센터  >

S

B
A

S


background image

연구직 인원

정규직 인원

인 력 

연구직

(607

명 )

행정직

(73

명 )

기능직

(50

명 )

기술직

(65

명 )

임원

(2

명 )

항공우주

(

공력 / 구조 / 추진 / 제어 

등 )

(225

명 )

전기전자 /IT

(165

명 )

자연과학

(

물리 / 화학 / 천문우주 등 )

(14

명 )

여타

(23

명 )

※ 2015.1.1. 

기준

※ 2015.1.1. 

기준

정규직 평균 연령  : 42 세

총인원  : 

907

정규직 인원  : 797 명   /   비정규직 인원  : 110 명

연구직  : 

607

박사  : 371 명 (61%)

기계 / 재료

 (180

명 )

7


background image

총예산

총예산

예 산

정부수탁사업

3,676

억원

출연금사업

1,126

억원

기타수입

36

억원 (1%)

기술지원사업

15

억원 (1%)

기타 연구사업

36

억원 (1%)

민간수탁사업

41

억원 (1%)

15

년도 총 예산 

4,930

억원

’15

년도 예산 

3,676

억원

미래부

2,728

억원

기상청

300

억원

환경부

190

억원

기타부처

458

억원

8


background image

주요 연구시설

위성시험동

지상연소시험장비

위성운영동 관제기반시설

전기체 구조시험설비

회전익기시험동

아음속풍동시험동

KSLV-I 

발사대시스템

발사통제시스템

추적레이더

항공기체계종합성능시험센터 훨타워 & 꼬리로터제어센터

제주 원격자료 수신장비

대 전

본 원

부지면적 (

㎡ ) : 317,942

연면적 (

㎡ ) : 109,379

고흥

항공센터

부지면적 (

㎡ ) : 93,396

연면적 (

㎡ ) : 8,021

제주

추적소

부지면적 (

㎡ ) : 114,811

연면적 (

㎡ ) : 1,297

나로

우주센터

부지면적 (

㎡ ) : 5,379,908

연면적 (

㎡ ) : 38,355

9


background image

10

II.  국가항공우주연구개발계획


background image

하늘과 우주를 향한 대한민국의 꿈과 새로운 가치의 실현

경영목표 및 전략

국책사업의 

성공적 

임무수행

핵심기반기술 

연구역량 강화

항공우주기술 

지식재산화

실질적 ,

상호 호혜적 

체계적 국제협력

산학연 협력

중심체로서의 

역할 강화

항공우주 

과학문화 확산

항공우주 시스템 개발을 통한 삶의 질 향상

핵심기술 확보 및 기반연구를 통한 미래가치 창출

국제수준의 항공우주 인프라 구축

국민에게 다가가는 항공우주

글로벌 위상제고 및 성과확산

선진 전략경영 체제 구축

연구사업

기관운영

경영목표 도출체계

11


background image

국가항공우주연구개발계획

독자적 우주개발 능력 강화를 통한 

국가위상 제고 및 

국가경제발전에 기여

독자 우주개발 추진을 위한 자력발사능력 확보
국가 위성수요를 고려한 인공위성 독자 개발

지속 가능 우주개발을 위한 우주산업 역량 강화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

다가가는 위성정보 '  활용 시스템 구축

미래 우주활동영역 확보를 위한 우주탐사 전개

우주개발 활성화 및 선진화를 위한 기반확충

 (

미래창조과학부 , 2013.11)

2020

년 항공산업  Global 7  도약

(

산업통상자원부 , 2010.1)

완제기 개발로 시장진출 및 기술확보
핵심 부품 / 정비서비스 수출 활성화
항공기술  R&D  투자 효율성 제고
선진국 수준 인프라 구축

12


background image

우주개발 중장기계획 (2013)  로드맵  ]

국가 우주개발 계획

13

2019

아리랑  6 호 

2013

나로과학위성 

2018

정지궤도

복합위성  2B

2018

정지궤도

복합위성  2A

2019(TBD)

차세대 

중형위성  1 호

2012

아리랑  3 호 

2013

아리랑  5 호 

2013

과학기술위성  3 호 

2017

차세대

소형위성  1 호

2020(TBD)

차세대

중형위성  2 호

2027(TBD)

중궤도 / 정지궤도

발사체

2015

아리랑  3A 호 

2006

아리랑  2 호 

2003

과학기술위성  1 호 

2010

천리안

1992

우리별  1 호 

2009/2010

과학기술

위성  2 호 

1993

우리별  2 호 

1993

1

단형 과학로켓 

1998

2

단형 과학로켓 

1999

아리랑  1 호 

1999

우리별  3 호 

2008

최초 우주인

2009/2010

나로호  1/2 차

2013

나로호  3 차

2020(TBD)

아리랑  7 호

2019(TBD)

통신위성

2020(TBD)

차세대

소형위성  2 호

2020(TBD)

차세대

중형위성  3 호

2002

액체추진 과학로켓 

2018

시험용

달궤도선

2017

75

톤급엔진

시험발사체

2020

한국형발사체

본발사

2019

한국형발사체

시험발사

2020

달 궤도선

2020

달 착륙선

2027(TBD)

화성궤도선

2030(TBD)

달샘플귀환선

2030(TBD)

화성 착륙선

2033(TBD)

대형정지궤도

발사체

2035(TBD)

소행성탐사선

국가 우주개발 계획의 변화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 :  최초 (1996), 1 차수정 (1998), 2 차수정 (2000), 3 차수정 (2005)

우주개발진흥법 제정 (2005)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  제 1 차 (2007),  제 2 차 (2011)

우주개발 중장기계획 (2013)


background image

14

III.  주요 연구개발 성과


background image

스마트무인기 개발 성공

세계 두 번째 틸트로터 방식의 항공기 핵심기술 국산화 개발

우리나라와 같은 산악지형이나 함상에서 운용하기에 적합

무인항공기 ,  미래형 수직이착륙 유인항공기 (PAV) 로 발전 가능

15

자율비행 ,  수직이착륙 ,  고속비행 가능한 무인항공시스템 개발

2002. 6 ~ 2012. 3

970

억원 ( 민간  98 억원 )( 지경부 )

동체길이  : 5m,            최대중량  : 1,000kg

최고속도  : 500km/h,   체공시간  : 5 시간

2011. 9. 16(

고흥 항공센터 )


background image

한국형헬기 민 군겸용 구성품의 성공적 개발

16

로터 ,  엔진 등  18 개 구성품 설계 ,  인증 시험 및 지원체계 개발

헬기 핵심구성품 인증시험 평가 설비 및 기술력 확보

국내 헬기 설계 / 제작 / 시험평가 인프라 구축

2010. 3. 10(

사천 비행장 )

민군겸용 한국형 헬기 국산화 부품 개발

2006. 6 ~ 2012. 6

3,332

억원 ( 민간  493 억원 )( 지경부 )

동체길이  : 15m,   동체 높이  : 4.5m 

주임무중량  : 7,858kg,   최대순항속도  : 261km/h


background image

통신해양기상위성 ( 천리안 )  개발 성공

국내에서 개발한 최초의 정지궤도 위성
세계 최초 정지궤도 해양 관측을 통한 한반도 주변해역

실시간 해양환경 감시
독자적인 기상위성 확보를 통한 국가재난 안전관리 체계 구축

(M TSAT(

일본 ) 30 분 단위  ->  천리안 ( 한국 ) 8 분 단위 )

17

정지궤도  128.2E,  해상도 ( 기상 / 해양 ) : 1~4km/500m

무게  :2,460kg,  전력  : 3kw,  임무수명  : 7 년

통신 ,  해양 ,  기상관측을 위한 정지궤도 위성 개발

3,549

억원 ( 교과부 ,  국토부 ,  기상청 ,  방통위 )

2010. 6. 27(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꾸르 발사장 )

2003. 9 ~ 2010. 12


background image

다목적실용위성  3 호 개발 성공

18

태양동기궤도  685km,  해상도 ( 흑백 / 칼라 ) : 0.7m/2.8m 

무게  : 1,000kg,  전력  : 1.3kw,  임무수명  : 4 년

고정밀 전자광학 카메라를 탑재한 지구관측 위성 개발

2,827

억원 ( 교과부 ,  지경부 )

2012. 5. 18(

일본 다네가시마 발사장 )

2004. 8 ~ 2012. 8

세계적 위성영상판매 시장을 주도하는 미국 및 프랑스 (Pleiades) 등과

같은 서브미터급 위성영상 획득할 수 있는 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 개발 
아리랑 2 호에 이어 지속적 광학카메라 영상 공급과 성능 향상으로

선진국과 기술격차 해소
고성능의 급동기동촬영 성능 바탕으로 多 지역 영상을 신속하게 촬영가능


background image

KSLV-I(

나로호 )  발사 성공

발사체 독자개발과 우주기술 자립을 위한 기술 및 경험 확보

19

<1

단 >  러시아 개발 ( 액체엔진 )

<2

단 >  국내 독자 개발 ( 고체엔진 )

총중량  : 140ton,  추진제 중량  : 130ton

총길이  : 33m,  직경  : 2.9m

100kg

급 인공위성을 지구저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는

발사체 개발을 통한 독자개발 기술 및 경험 확보

5,025

억원 ( 교과부 )

2002. 8 ~ 2013. 4

1

차 시험 발사  2009. 8    

2

차 시험 발사  2010. 6

3

차 시험 발사  2013. 1. 30 ( 성공 )

(

고흥 나로우주센터 발사장 )


background image

다목적실용위성  5 호 개발 성공

국내 전천후 영상레이더 지구관측위성 개발기술 확보
광학영상과의 융합가공을 통한 원격탐사 및 정밀관측 

고부가가치 창출

20

전천후 관측영상레이더 (SAR)  탑재

태양동기궤도  550km

해상도 / 관측폭  :  고해상도  1m/5km

                       표준해상도  3m/30km

                       광역관측  20m/100km

무게  : 1,400kg,   전력  : 1.4kw,   임무수명  : 5 년

전천후 관측이 가능한 지구관측위성의 개발

2,381

억원 ( 미래부 ,  산업부 ,  수요부처 )

2013. 8. 22(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 )

2005. 6 ~ 2014. 12


background image

과학기술위성  3 호 개발 성공

21

적외선 우주망원경 (M IRIS)  탑재

분광영상 카메라 (COM IS)  탑재

태양동기궤도  600km

M IRIS 

공간해상도  : 52 arcsec

COM IS 

해상도 / 관측폭  :  중해상도  26m/26km

무게  : 170kg,   전력  : 300w,   임무수명  : 2 년

국내 최초 적외선 우주관측이 가능한 소형위성의 개발

278

억원 ( 미래부 )

2013. 11. 21(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 )

2006. 12 ~ 2014. 2

국내 최초 적외선 우주관측위성 개발기술 확보

태초 우주 기원 연구 활성화 및 수질오염 조기경보에 따른 

국가재난 방제에 기여  


background image

22

IV.  주요 연구개발 현황


background image

소형무장헬기연계민수헬기 핵심기술개발사업

최종조립장 유치 및 국산부품 독점공급을 통한 세계 민수헬기시장 진출 (20 년부터  15 년간 

370~640

대 판매전망 ,  생산유발효과 약 4.4 조원 등 )

로터설계 ,  자동비행조종장치  S/W  등 핵심기술 확보로 헬기 독자개발역량 확보

23

최대이륙중량  : 4.5 톤급 ,  승객탑승인원  : 10 명 이상 

최대순항속도  : 259km/h 이상 @ 해면고도 ,  표준대기 ,  쌍발엔진

소형무장헬기 연계 민수헬기 국제공동개발을

통한 국산 민군겸용구성품 세계시장진출 및 

헬기 독자개발역량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개발

5,500

억원 ( 민간  2,000 억원 ,  약 4,000 억 국외투자유치 )

2014. 12 ~ 2020. 8

항우연 ( 핵심기술 ), KAI( 체계종합 ),  부품업체 / 학계 ,  국외업체 ( 협상중 )


background image

고속 -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시스템 개발

고속 - 수직이착륙무인기 세계 최초 실용화로 글로벌 수직이착륙 무인기 시장 선점 가능

(2034

년까지 세계시장 총 누적판매  3,134 대  (21 조원 )  예상 )

고속 - 수직이착륙 무인기 기술은 미래 개인용항공기 (PAV)  산업의 기반 기술로 연계

24

1

단계  :  탑재중량  30kg,  체공시간  6 시간 ,  최대속도  250km/h,  운용반경 

200km
2

단계  :  탑재중량  50kg,  체공시간  8 시간 ,  최대속도  280km/h,  운용반경 

200km

수직이착륙 및 고속비행이 가능한 틸트로터무인기 체계개발을 

통해 국내 민 / 군 수요에 대응하고 ,  선도형 고속 -

수직이착륙무인기 개발로 글로벌 무인기시장 선점

2,573

억원 ( 산업부  1,868 억원 ,  미래부  150 억원 ,  민간  535 억원 ,  지방비  20

억원 )

2016 ~ 2023 (2

단계  8 년 )

국내 산 / 학 / 연


background image

다목적실용위성  3A 호 개발사업

광학영상 (3 호 ),  레이더영상 (5 호 ) 과 더불어

IR

영상 (3A 호 )  확보로 상호 보완적인 지형정보

기술의 융합적 발전 촉진

25

태양동기궤도  528km

해상도 ( 흑백 / 칼라 / 적외선 ):0.55m/2.2m/5.5m

무게  : 1,100kg,  전력  : 1.4kw

임무수명  : 4 년

주 야간 지상 해양 관측을 위한 전자광학 및 

적외선 카메라를 탑재한 지구관측위성 개발

2,355

억원 ( 미래부 ,  수요부처 )

2015 

예정

2006. 12 ~ 2015. 6


background image

다목적실용위성  6 호 개발사업

26

태양동기궤도  500∼600 km

해상도 : 0.5m/3m/30m

무게  : 1,400∼1,800kg,  전력  :  약  2kw

임무수명  : 5 년

고해상도 영상레이더 위성을 국내독자

(

탑재체 국내주도 )  개발

3,385

억원 ( 미래부 ,  산업부 ,  수요부처 )

2019 

예정

2012. 12 ~ 2019. 11

국가수요  SAR  영상의 지속적 확보 
전천후 영상레이더 탑재 위성 국내주도 개발 기술 

확보 


background image

정지궤도복합위성 개발사업

국내 정지궤도위성 수요에 대한 자체 공급능력 확보

기후 ,  해양 ,  환경  24 시간 상시 관측 감시체계 구축

27

정지궤도

해상도  :  기상 1km/ 해양 250m/ 환경 2.5km

무게  : 2A  약 3.2ton, 2B  약  3ton

전력  : 2A  약 3.1kw, 2B  약  3.1kw

임무수명  : 10 년

중형급 정지궤도 복합위성 국내 주도 개발 및 핵심기술 자립화

6,697

억원 ( 미래부 ,  해수부 ,  환경부 ,  기상청 )

2A

호  / 2B 호 발사 (2018  예정 )

2011. 7 ~ 2019. 9


background image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

위성 자력발사 능력 확보로 국가우주개발계획의 안정적 / 독자적 수행 

28

추진기관  : 1 단  75ton  액체엔진  4 기  Clustering

                2

단  75ton  액체엔진  1 기

                3

단    7ton  액체엔진  1 기 

총길이  :  약  47m,       직경  :  약  3.3m

중   량  :  약  200ton,   탑재 중량  : 1.5ton

600~800km 

투입 ( 태양동기궤도 )

1.5

톤급 실용위성을 지구저궤도에 발사할 수 있는 

발사체 개발 및 우주발사체 기술 확보 

1

조  9,572 억원 ( 미래부 )

75ton 

액체엔진  1 기 시험발사 (2017  예정 )

한국형발사체 (3 단형 )  발사 (2019, 2020  예정 )

2010. 3 ~ 2021. 3

발사체 개발을 통한 우주분야 국내 산업활성화 및 기술력 증대


background image

차세대 중형위성 개발

29

500kg

급 표준 플랫폼 국내독자개발 기술 확보

우주산업 역량 강화를 통한 국내 위성산업 육성 토대 마련

E/L 

등에 대비한 핵심부품 국내 개발 기술 자립화 도모

 50cm

급 고해상도 위성 탑재체 및 위성 영상 활용 기술의 국내 독자 개발로 기술 자립화

고품질 국토공간정보 갱신 주기 단축으로 기후 ,  지구 환경 변화 등에 대한 원천 고급 데이터 

확보 및 활용 기술 개발 기대

지상관측위성  2 기 (E/O  정밀 2 기 )

2,240

억원 ( 안 ) ( 미래부 ,  국토부 )

2014 ~ 2019

500kg

급 차세대 표준형 위성 표준플랫폼 확보 및 정밀 지상관측용 

중형위성 국내독자개발


background image

우주센터 (2 단계 )  구축사업

실용위성급 자력발사 능력 보유 및 향후 세계 위성발사 서비스 시장 진출의 교두보 확보

30

국내 지구저궤도 우주발사장 건설

총  면  적  : 5,494,719 ㎡

시설면적  :    396,342 ㎡

[1

단계 ] 2000. 12 ~ 2009. 12

              (2009.  6. 11 

준공 )

[2

단계 ] 2009.  1 ~ 2019. 12

[1

단계 ] 3,314 억원 ( 교과부 )

[2

단계 ] 2,127 억원 ( 미래부 )

[1

단계 ] 100kg 급 저궤도 위성발사 능력 보유

[2

단계 ]  한국형발사체 발사 시설 및 장비 추가 구축


background image

한국형발사체 추진기관 시험설비

31

액체엔진 개발을 위한 엔진구성품 ,  엔진 ,  추진기관 개발 시험 및 수락 시험 수행 
향후 ,  정지궤도 및 대형 저궤도 발사체용 액체엔진 및 추진기관 개발을 위한 시험평가 수행 

’14

완공

연소기 

연소시험 설비

TP 

실매질 시험설비

추진공급계 /TP

대형상사 시험설비

엔진 조립 / 기능 

시험설비

’15

완공

엔진지상

연소시험설비

엔진고공 

연소시험설비

3

단엔진 

연소시험설비

추진기관시스템 

시험설비

 나로우주센터 설비

 본원 설비

 협력업체 설비  ( 삼성테크윈  /  창원 )


background image

달 탐사선 개발사업

한국형 우주발사체 상용화 및 세계 발사체 시장 조기 진출

국정과제 성공적 추진을 통한 우주기술강국 실현

국가과학기술의 우수성 과시 ,  우주관광 및 미래자원 확보

시험용 궤도선 (200/550kg) :  국제협력을 통한 

                                          국내 주도 개발

달 궤도선 및 착륙선 (550kg) :  국내 독자 개발

달 탐사를 실현하여 미지의 가치를 창출하고

안전하고 풍요로운 미래를 구현

[1

단계  2015 ~ 2017] 2,590 억원 ( 미래부 )

[2

단계  2018 ~ 2020] 4,767 억원 ( 미래부 )

2017 

시험용 궤도선  ( 해외 발사체 )

2020 

궤도선 / 착륙선  ( 한국형 발사체 )

2015 ~ 2020

<

달 궤도선 >

<

달 착륙선 >

32


background image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