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141119)_조간[보도]_[미래부_보도자료]국가_인공위성_영상_특별전_개최_최종.hwp

닫기

보 도 자 료

http://www.msip.go.kr

2014. 11. 19(수) 조간(온라인 11. 18 12:00)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 우주기술과 김현수 과장(02-2110-2440), 전명수 사무관(02-2110-2442)

국립중앙과학관 백운기 과장(042-601-7961), 윤영인 주무관(042-601-7864)

국립과천과학관 유창영 과장(02-3677-1380), 최정원 연구사(02-3677-138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최해진 소장(042-860-2397), 이규수 실장(042-860-2206)

- 우리 인공위성, 우주에서 세계를 품다! -

국가 인공위성 영상 특별전최초 개최

- [1] 11월 22일(토) ~ 30일(일) 국립중앙과학관, [2] 12월 6일(토) ~ 12일(금) 국립과천과학관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와 국립중앙과학관(관장 직무대리 한풍우, 이하 중앙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관장 김선빈, 이하 과천과학관)주최하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조광래, 이하 항우연)이 주관하는 국가 인공위성 영상 특별전(과학관에서 만나는 우주 l* )’[제1차] 11월 22일(토)부터 30일(일)까지 8일간 중앙과학관에서, [제2차] 12월 6일(토)에서 12일(금)까지 6일간 과천과학관에서 열린다.

* ? 우주개발 성과에 대한 다양한 전시(exhibition), 체험(experience), 강연(education), 공연(enjoy) 등 스토링텔링형 우주과학 문화 행사 개최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의 20여년 짧은 우주개발 역사에도 불구하고 국가 우주개발 역량을 총결집하여 우주에 쏘아 올린 다목적실용위성, 천리안 위성 등 국가 인공위성* 개발 성과인 위성영상에 대한 특별전으로,

* 우리나라 인공위성 총 12기 중 6기 임무종료, 6기 임무 수행 중

o 적극적인 개방을 통한 국민편익 극대화 기여하는제1차 위성정보 활용 종합계획(’14.5월)에 따라, 국민이 국가 위성정보에 접근·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적극 제공함으로써 국가 우주개발사업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지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최초로 기획되었다.

이번 특별전은 국민 누구나 보고, 느끼고, 즐기는 다양한 전시, 체험, 강연, 진로 멘토링, 공연 등 다양한 우주과학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그간의 우리나라 우주개발의 성과를 홍보하고 우주개발 사업에 대한 국민의 공감대를 높이는 계기를 마련할 예정이다.

o 전시 프로그램은 다목적실용위성 등 국내 인공위성으로 관측한 국내·외 주요 지역에 심미감을 가미한 체감형 위성영상(중앙과학관 115점, 과천과학관 40점)으로 구성되며,

- 위성영상 전시 주제는 위성정보의 광역성·시계열성 특성을 활용한 위성으로 보는 아름다운 국토(다목적실용위성 2·3호가 촬영한 한반도 전경 및 주요 지역), ▲우주에서 바라 본 세상(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 세계 주요 지역), ▲인간과 도시(위성으로 보는 세계의 건축물), 광학영상과 레이더 영상(다목적실용위성 3호(광학영상) 및 5호(레이더 영상)의 동일지역 영상 비교를 통한 위성영상 특성 이해) 등이다.

- 위성영상 전시 이외도, 다목적실용위성, 한국형발사체, 달탐사 등 국가 우주개발의 과거·현재·미래를 보여주는 다양한 우주개발 모형(중앙과학관 10점, 과천과학관 7점)과 위성정보 활용 기업, 출연연구소 등 위성정보 활용 기관(11개 기관)의 농림, 재해, 통계 등 위성정보 활용 사례, 기술 등 관련 연구성과(중앙과학관)도 함께 전시된다.

o 체험 프로그램은 위성영상 기반의 고품질 미디어 콘텐츠, 달탐사 3D 애니메이션 등 생생한 우주개발 영상 상영과 에어로켓 발사, 우주 트릭아트 등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즐기는 우주과학 맞춤형 체험(주말, 과학관별 상이)으로 구성되며,

o 강연 프로그램으로는 위성, 발사체 등 우주개발 사업의 역사와 미래 비전에 대해 공유하고 논의하는 항우연 전직 원장(채연석, 백홍열, 김승조 등) 등의 우주과학 전문 강연과 항우연 각 분야별 연구원으로 구성된 멘토와 미래 국가 주역인 젊은 학생들과의 진로 상담과 본인 경험·노하우를 공유하는 진로 멘토링을 통해 우주기술에 대해 쉽게 이해하고 공감하는 장을 제공할 예정이다.

o 이 밖에도, 기초과학에 대한 이해 증진 및 흥미 유발을 위한 과학마술쇼와 가족 모두 함께 즐기는 음악공연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이 함께 제공되어 특별전 행사를 더욱 풍성하게 할 예정이다.

특별전 기념 심포지엄으로 정부, 지자체, 산업체, 연구소, 대학 등 위성정보 활용 분야 전문가(150여명) 워크숍을 개최(11월 21일(금))하여, 사회문제 대응 및 해결을 위한 위성정보 활용이라는 주제국가 위성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사례 및 활용기술 현황을 공유하여,

o제1차 위성정보 활용 종합계획(’14.5월, 국가우주위원회 확정)추진과제 일환인, (가칭)GOLDEN Solution*프로젝트의 체계적 추진방안을 마련하고 본 사업의 추진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 지리(GIS), 해양(Ocean), 국토(Land), 재난(Disaster), 환경(Environment) & 안보(National Security) Solution based on Satellite Intelligence(다양한 사회문제에 선제 대응 및 해결을 지원하는 다부처 연계 위성정보 서비스 사업)

o 또한, 본 워크숍을 통해 지난 10월 1일 공공 배포에 착수한 다목적실용위성 5호의 초기운영 결과 및 위성영상 배포 방안에 대해서도 발표하며,

o 워크숍 연계행사로 위성정보 활용 협의체*대상 연례회의를 개최하여 금년도 국가 위성정보 활용 실적 보고와 2015년 활용 계획도 함께 논의할 예정이다.

* 국가적 수요를 목적으로 위성정보를 활용하고자 하는 중앙행정기관 및 그 소속기관(2014.11월 현재 25개 기관 가입)

미래부 최양희 장관이번 특별전을 통한 국가 우주개발 성과의 공개·공유·체험으로 우주개발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우리나라 꿈나무들의 우주로의 도전적 비전과 꿈을 고취하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o 우주발사체, 위성개발 등 우주개발 사업의 과정에서 국민들과 소통할 수 있는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하여 국민 생활 전반에 우주 문화가 지속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1. 국가 인공위성 영상 특별전 행사계획 1부

2. 행사 포스터 1부.

<붙임1>

국가 인공위성 영상 특별전

- 과학관에서 만나는 우주 l 야 기 -

2014. 11

행사 개요

(추진 목적) 국가우주개발사업의 성과물인 인공위성과 이를 통해 획득된 다양한 지구관측 위성사진에 대한 특별 전시회 개최로

o 국가우주개발에 대한 체감형 대국민 홍보를 추진하고, 미래세대에 대한 우주로의 도전적 비전과 꿈을 고취

(행사 주제) 과학관에서 만나는 우주 l* 야 기

* 란? 우주개발 성과에 대한 다양한 전시(exhibition), 체험(experience), 강연(education), 공연(enjoy) 등 스토링텔링형 우주과학 문화 행사 개최

(장소/일시) 국립중앙과학관(11.22 ~ 30, 8일), 국립과천과학관(12.6 ~ 12, 6일)

※ 11.21.(금) 위성정보 활용 전문가 워크숍 2014(기념 심포지엄) 연계

(추진 체계)

o (주 최) 미래창조과학부 / 국립중앙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

o (주 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참가 대상) 고등학생, 학부모, 교사, 일반인 등(약 1만여명 관람 예상)

(행사 내용) 과학관 전시관을 활용하여 누구나 보고, 느끼고, 즐기는 다양한 전시, 체험, 강연/공연 프로그램을 제공

구분

장 소

일 정

행사 내용

입장료

1차

국립중앙과학관

(특별전시관)

11.22(토)~11.23(일)

[전시] 전 세계 주요지역 위성영상, 위성 및 발사체 모형

[체험] 에어로켓 발사, 3D 달탐사 영상관, 공연

[강연] 우주발사체위성개발 강연 및 진로멘토링(우주과학자)

무료

11.25(화)~11.30(일)

[전시] 전 세계 주요지역 위성영상, 위성 및 발사체 모형

2차

국립과천과학관

(상설전시관 중앙홀 1층 및 천체투영관)

12. 6(토)~12. 7(일)

[전시] 전 세계 주요지역 위성영상, 위성 및 발사체 모형

[체험] 3D 달탐사 영상관, 공연

[강연] 우주발사체위성개발 강연 및 진로멘토링(우주과학자)

상설전시관 입장권(유료) 소지 시 무료

12. 9(화)~12.12(금)

[전시] 전 세계 주요지역 위성영상, 위성 및 발사체 모형

주요 프로그램

국가우주개발 성과의 공개·공유·체험을 통한 국민적 이해 및 미래세대에 대한 우주로의 도전적 비전과 꿈을 고취

구분

행사 내용

비고

특별전

전시

(Exhibition)

(국가 인공위성 영상 갤러리) 다목적실용위성 등 국내 위성으로 관측한 다채로운 영상 및 국내외 주요 유명 도시 영상을 이용한 갤러리 전시

중앙과학관

과천과학관

(우주개발 모형) 다목적실용위성, 한국형발사체, 달탐사, 과학위성 등 국가 우주개발 모형 전시

(위성정보 활용 연구성과) 산업계/연구기관/공공기관 등 국가 위성정보를 활용한 기관별 연구성과 전시(11개 기관 예정)

중앙과학관

체험

(Experience)

(우주 영상 상영) 위성영상 기반의 고품질 미디어 콘텐츠 상영, 달탐사 3D 애니메이션 상영 등

중앙과학관

과천과학관

(우주과학 체험) 누구나 쉽고 재미있고 즐기는 참여형 프로그램(에어로켓 발사, 우주트릭아트, 우주뱃지 제작, 포토존, 우주인증 발급 등) 제공

중앙과학관

(주말)

강연/공연

(Education/ Enjoy)

(우주과학자 강연) 학생 대상 위성, 발사체 등 우주개발의 역사, 현황, 미래비젼 전문 강연 진행

중앙과학관

과천과학관

(주말)

(진로 멘토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각 분야별 전문가(4~5명)이 행사 기간 중 상주하여 학생과의 진로상담 및 본인의 경험·노하우 공유

(문화 공연) 과학마술쇼, 음악 공연 등 누구나 즐기는 문화 공연 개최

위성정보 활용

전문가 워크숍 2014

(기념 심포지엄)

중앙부처 및 산하기관, 지자체, 산업체, 연구소, 대학 등 위성정보 활용 분야 전문가(150여명) 워크숍을 개최하여 위성정보 활용 분야 주제 발표 및 의견 공유

중앙과학관

(’14.12.21)

행사장 구성

국립중앙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

세부 프로그램

1

특 별 전

전시(Exhibition)

(전시1) 국가 인공위성 영상 갤러리

o (주제1) 위성으로 보는 아름다운 국토

- 다목적 실용위성 2호가 촬영한 한반도 전경 및 서울, 세종, 평양, 울릉도, 독도, 제주도 등 우리나라 주요 지역 위성영상

- 다목적 실용위성 3호가 연도별(시계열적 변화)로 촬영한 세종시의 변화

o (주제2) 우주에서 바라 본 세상(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

o (주제3) 위성으로 보는 세계의 건축물

o (주제4) 광학영상과 레이더 영상

- 다목적실용위성 3호(광학*)와 다목적실용위성 5호(레이더**)이 촬영한 동일지역에 대한 위성영상 비교

* 반도체 소자를 감지센서로 사용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영상을 획득하며, 해상도가 우수하여 정밀 분석시 사용되나 기상의 영향을 받음

** 마이크로파를 지표면으로 보내고 반사되는 신호의 시간차 등을 측정하여 영상화하여, 구름이 끼거나 어두운 밤에도 전천후 관측이 가능함

국립과천과학관은 전시 장소 규모에 따라 중앙과학관 전체 영상 중 일부 전시(단, 주제는 동일)

(전시2) 우주개발 모형

o 다목적실용위성 3·5호, 천리안 위성, 한국형발사체, 나로호, 달탐사 륙선/궤도선/로버, 과학기술위성 3호, 나로과학위성 등 모형 전시

중앙과학관 10점, 과천과학관 7점 등 개최 장소별 전시 숫자 상이

< 우주개발 전시 모형 현황 >

구분

사진

개발목적

개발기간

전시 기관

다목적실용위성

3호

지구 정밀관측

(광학)

’04.8~

’12.8

중앙과학관

과천과학관

5호

전전후 지구관측

(영상레이더)

’05.6~

’14.12

중앙과학관

과천과학관

정지궤도위성

천리안위성

공공통신/해양/

기상관측

’03.9~

’10.12

중앙과학관

과학기술위성

3호

근적외선 우주연구, 지구관측

’06.12~

’14.2

중앙과학관

나로과학위성

발사체 검증,

국내 기술 점증

’11.1~

’13.2

중앙과학관

발사체

한국형발사체

발사체 기술 개발 및 자립

’10.3~

중앙과학관

과천과학관

나로호

’02.8~

’13.4

중앙과학관

과천과학관

달탐사

착륙선

달표면 모니터링, 지형 및 지질 조사

개발 예정

중앙과학관

과천과학관

궤도선

달 궤도 및 표면 조사

개발 예정

중앙과학관

과천과학관

로버

달 지질 및 자원 탐사

개발 예정

중앙과학관

과천과학관

(전시3) 위성정보 활용 연구성과

o 위성정보 활용 공공기관, 기업, 출연연구소 등 11기관이 참여하여 관련 보유 기술 등 연구 성과를 전시하여 우주기술 지식 저변 확대

< 참여 기관 및 전시 내용 >

구분

기관명

전시 내용

관련 사진

기업

인스페이스

고속 위성영상 컬러정합 기반 객체 검출 시스템

위성정보 신속한 분석 기반 기술 개발

가이아3D(주)

기상청 모바일 기상정보 분석 시스템

에스아이아이에스

다목적실용위성 2·3·5호 위성영상 상용화 사례

지솔루션

국가 우주물체(위성 등) 전자광학 감시체계 시스템

연구

기관

극지연구소

극지 지역의 생물-광학 특성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위성영상의 수자원 분야 활용(수로 등) 사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분광정보(스펙트럼)을 활용한 지질자원 연구

한국해앙과학기술원

천리안 위성영상 해양관측 활용 성과

정부

기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가뭄, 폭설, 해양 기름유출 등 관측 사례 및 분석

농림축산식품부

위성/항공 영상 활용 스마트 팜 맵* 구축 및 활용

* 전국 농경지의 정확한 경계를 구획하여 전자지도 제작

통계청

위성영상 활용 경지 면적 및 재배 면적 조사

체험(Experience)

(체험1) 우주영상 상영

o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고품질의 미디어 콘텐츠, 다목적실용위성·한국형발사체·달탐사 등 홍보영상 상영

< 상영 콘텐츠 현황 >

구 분

내 용

관련 사진

달탐사 3D

개발 예정인 국내 달탐사 사업에 대한 3D 애니메이션 상영(약 7분, 상영관 별도 조성)

우주개발 홍보영상

다목적실용위성 3·5호, 나로호, 한국형발사체, 우주항공미래비전 2040 등 국내 우주개발사업에 대한 홍보물 상영

미디어 콘텐츠

KT 스카이라이프와 업무 협약을 통해 제작한 국내 최초 위성영상 미디어 콘텐츠 우주에서 바라본 지구(3편)상영

(체험2) 우주과학 체험

o 우주과학에 대해 쉽게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중등생 대상 프로그램 운영(중앙과학관 주말 운영)

< 체험 프로그램 >

에어 로켓 발사

우주 트릭아트

우주 뱃지 제작

우주인 포토존

우주인증 발급

강연/공연(Education/Enjoy)

(강연) 우주 발사체·위성 개발 전문 강연

o 우리나라 우주개발의 역사(과거), 현황(현재), 미래비젼(미래)에 대한 전문가 강연으로 우주 전반에 대한 이해와 자긍심 고취

(공연) 과학마술쇼, 음악공연 등 문화 공연 프로그램 제공(주말 일부)

o 과학마술쇼 : 기초과학에 대한 이해도 증진과 흥미 유발을 위한 참여형 과학 실험(10~12종) 공연

o 음악공연 : 어쿠스틱 밴드, 브라스 밴드 등

(진로 멘토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실무자(연구원) 진로 상담

o 위성, 발사체, 위성활용 등 분야별 연구원의 학생 대상 진로 상담 등 멘토링을 통한 소통의 장 마련

< 강연/공연 프로그램 >

구분

일시

시간

주요 내용

비 고

중앙

과학관

11.22(토)

~ 23(일)

13:00

(공 연) 과학 마술쇼

13:30

(강 연) 채연석 교수(UST 교수)

- 신기전과 우주개발

11.22(토)

(강 연) 백홍열 박사(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 원장)

- 우리나라 인공위성 개발과 활용

11.23(일)

14:20

(공 연) 브라스밴드

14:40

(멘토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원과의 만남

과천

과학관

12.6(토)

~ 7(일)

13:00

(공 연) 과학 마술쇼

13:30

(강 연) 심은섭 박사(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원장)

- 하늘과 우주에서 찾는 대한민국 성장 동력

12.6(토)

(강 연) 김승조 박사(서울대 교수)

- 지구를 벗어나 어떻게 우주로 가나?

12.7(일)

14:20

(공 연) 어쿠스틱 밴드

14:40

(멘토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원과의 만남

과학 마술쇼

문화 공연

2

전문가 워크숍

주최 / 주관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일시 : '14. 11. 21(금), 10:00~18:00

* (연례회의) 10:00∼11:40 / (워크숍) 13:00~17:30

장소 : 대전 국립중앙과학관 특별전시관 내 워크숍 회의장

주제 : 사회문제 대응 및 해결을 위한 위성정보 활용

참석 대상

o (연례회의) 협의체 소속기관(25개, 약 30명)

o (워크숍) 정부부처 및 산하기관, 지자체, 산업체, 연구소, 대학 등(약 150명)

세부 일정(안)

o 위성정보활용협의체 연례회의

구분

시간

내용

발표자

연례

회의

10:00-10:05

참석자 소개

사회(항우연 김윤수)

10:05-10:10

환영사

미래부 우주기술과장

10:10-10:30

2014년 위성정보활용협의체 활용실적 및 2015년 계획

항우연 이광재

10:30-11:30

토의 및 질의응답

사회(항우연 김윤수)

11:30-11:40

회의정리

사회(항우연 김윤수)

o 위성정보 활용 워크숍

구분

시간

내용

발표자

12:30-13:00

등록 및 접수

개막식

13:00-14:00

테이프 커팅 등 개막식(약식)

기조

강연

14:00-14:20

위성정보 활용 종합계획

- 위성정보 3.0 실현 -

미래창조과학부 우주기술과장

Session 1

14:20-14:50

Golden Solution 사업 추진 방향

지질자원연구원(김광은 박사)

14:50~15:00

STAR Exploration 추진 방안

항우연(채태병 팀장)

15:00-15:20

아리랑위성 5호 초기운영 결과 및 배포방안

항우연(이선구 팀장)

휴식

15:20-15:30

coffee break(10분)

Session 2

15:30-16:00

환경·생태 분야 위성영상 활용 발전 방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이명진 박사)

16:00-16:30

레이더 위성을 활용한 지형변화 탐지

세종대(김상완교수)

16:30-17:00

위성영상을 활용한 군 GIS 기술 동향

국방지형정보단(전경민 실장)

17:00-17:30

국가재난안전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위한 위성정보의 역할과 활용 방안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박영진 팀장)

폐회식

17:10

폐회사

항우연 위성정보연구소장

<붙임2> 행사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