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319조간_[보도]_한국형발사체_7톤_연소기_연소시험_성공.hwp
국민이 행복한 변화가 시작 됩니다!
|
보 도 자 료 |
http://www.msip.go.kr |
2014. 3. 19(수) 조간(온라인 3. 18. 12:00)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문의 : 우주정책과 고서곤 과장(02-2110-2430), 이병수 사무관(02-2110-243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단 박균제 팀장(042-860-2919) |
한국형발사체, 7톤 연소기 연소시험 성공 - 3단 엔진 연소기, 지상시험 성공적으로 수행 - |
□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 장관 최문기)는 한국형발사체 3단 엔진에 적용될 7톤 액체엔진 연소기에 대한 지상연소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고 밝혔다.
o 우주발사체 액체엔진의 주요 구성품은 연소기, 터보펌프, 가스발생기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중 연소기는 고온, 고압의 가스를 노즐을 통해 분출시켜 추진력을 얻는 역할을 하는 액체엔진의 가장 중요한 구성품 중의 하나이다.
- 우주발사체가 높은 추력을 내기 위해서는 발사체 엔진의 정상적인 연료 공급(케로신+산화제)과 이를 연소하는 연소기의 내구성*이 필요하다.
* 연소기는 3,000℃ 이상의 초고온에서 견딜 수 있어야함
※ 한국형발사체는 나로호 개발의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주도의 기술로 개발되는 3단형 우주발사체로, 1단은 75톤 액체엔진 4기, 2단은 75톤급 액체엔진 1기, 3단은 7톤급 액체엔진 1기로 구성됨 |
□ 이번 연소기 시험은 한국형발사체 3단 엔진에 적용될 7톤급 연소기의 헤드부 성능 검증 및 연소실 벽면의 내구성 검증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o 시험결과, 연료와 산화제가 정상적으로 공급되었으며, 연소기를 보호하기 위한 단열 코팅 또한 별다른 손상없이 시험을 마쳤다.
- 설계점 10초, 20초, 60초, 180초, 230초의 총 5회 시험을 통해 누적시간으로 해당 엔진의 실제 사용 시간인 500초를 달성하였고, 5회 시험 모두 안정적인 연소를 나타내었다.
- 또한, 연소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주요 인자인 연소특성속도에서도 목표값을 상회하는 결과를 확보하였다.
□ 이번 시험은 3단형 고공엔진의 연소기에 대해 지상시험을 실시한 결과이며, 향후에도 발사체 엔진 주요 구성품(연소기, 터보펌프, 가스발생기)의 연계시험, 엔진조립 시험, 엔진 고공시험 등 많은 단계의 시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해야 하는 절차를 남겨두고 있다.
o 이번 연소시험을 통해 요구조건을 상회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앞으로의 시험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과 함께 연구원들이 충분한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 미래부는 한국형발사체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시험을 실시하여, 신뢰도 높은 발사체 액체엔진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o 특히, 올해 상반기에 나로우주센터에 구축완료되는 연소기 연소시험설비 및 터보펌프 실매질 시험설비를 통해 75톤급 액체엔진 구성품에 대한 시험도 실시할 예정이다.
첨부 1. 연소기 연소시험 사진
2. 한국형발사체 형상 및 액체 엔진 구성
별첨 1. 발사체 연소시험 동영상
첨부 1 |
연소기 연소시험 사진 |
o 한국형발사체 7톤 연소기 연소시험 장면 : 연료가 헤드부로 공급되어 연소됨으로써 헤드부 성능 및 내구성 검증
첨부 2 |
한국형발사체 및 액체 엔진 구성 |
발사체시스템 : 1, 2, 3단 및 탑재부, 페어링 등으로 구성 |
||||
|
||||
액체엔진 시스템 : 연소기, 터보펌프, 가스발생기, 공급계 부품 등으로 구성 |
||||
|
||||
(엔진시스템) |
(연소기) |
(터보펌프) |
(가스발생기) |
(공급계 부품) |
o 발사체 액체엔진 구성
- 연소기 : 연료와 산화제의 연소반응으로 생성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를 노즐을 통해 분출 시켜 추진력을 얻는 장치
- 터보펌프 : 연소실에 고압으로 연료와 산화제를 공급해주는 장치
- 가스발생기 : 고압가스 연소반응을 통해 터보펌프의 터빈을 구동
- 배관 등 공급계 부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