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보 도 자 료 http://www.msip.go.kr
2013. 6. 6.(목) 조간(온라인 6. 5. 15:00)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 우주기술과 박경수 과장(02-2110-2440), 윤희봉 사무관(02-2110-2449)
고품질 위성영상 활용 방송서비스 추진
- 5일, 미래부 ‒ 항우연 ‒ KT스카이라이프 간 MOU 체결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김승조), KT
스카이라이프(대표이사 문재철)와 6월 5일(수) 오후 3시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위성영상 활용 방송콘텐츠 제작을 위한 업무제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 이번 양해각서 체결로 정부 등에서 제한적으로만 활용했던 위성
영상이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방송콘텐츠 제작에 활용하게 되어
방송․미디어 분야의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우주 개발의 저변을
확대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현재 운용중인 지구정밀관측용 저궤도위성인
다목적실용위성 2․3호의 Full-HD급 위성영상을 방송콘텐츠로
시범 제작하기 위해 KT스카이라이프에 제공하고,
o
KT스카이라이프는 자연지형 위주의 고해상도 영상 약 250여장을
활용해 ‘우주에서 바라 본 지구’를 주제로 한 영상미 높은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여 6월중 ‘휴채널(채널26번)’을 통해 송출할 계획이다.
- 2 -
□ 미래부는 항우연과 KT스카이라이프와 협력하여 제작된 방송 콘텐츠를
교육용 CD로 제작해 방송 송출 이후 저소득층 아동 대상 지역공부방
등에 무상으로 배포하고, 해외 판매를 추진하는 등 적극 활용할 계획
이며,
o
금번 방송콘텐츠 제작경험을 바탕으로 위성 영상 및 우주기술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등 보다 다양한 방송콘텐츠 제작 및 미디어
서비스 발굴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인공위성 영상 및 기술의
활용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 미래부 이상목 차관은 “최첨단 과학기술의 대표 성과인 위성영상과
ICT의 대표 서비스인 방송이 결합되어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 낼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번 협약이 우주개발에 대한 국민적 이해를
높이고, 우주산업화를 촉진시키는 비타민이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o
미래부는 현재 마련 중인 ‘우주기술 산업화 육성 전략’에 위성영상 및
우주기술 활용 미디어서비스 융복합 추진방안을 포함시켜 국민의
실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의 우주기술 산업화를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붙임 1. 위성영상을 활용한 방송 프로그램 제작 및 송출 계획 1부
2. 위성영상을 활용한 방송 콘텐츠 제작을 위한 업무제휴 양해각서 1부
3.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2, 3호 촬영 위성영상 1부
- 3 -
붙임 1
위성영상을 활용한 방송 프로그램 제작 및 송출 계획
□ 사업 추진
○ 사업내용 : 위성영상 활용 방송콘텐츠를 KT스카이라이프 채널 송출
○ 추진방법 : 미래부가 주도하여 항우연 및 KT스카이라이프(위성
방송)와 방송콘텐츠 공동개발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보유중인 Full-HD급 영상제공 및 기술 지원
※ 시험방송 제작을 위해 영상제공 및 색상․명암 등 보정 무상지원
- KT스카이라이프
․위성영상 활용 pilot program 제작 및 송출
․시청자 반응분석 등 위성영상의 방송 활용 적합성 검증
□ 시범서비스 계획
○ 프로그램 개요 : 30~60분 분량 3편, 일주일에 3~10회 편성
○ 방영채널 : 스카이라이프 ‘휴(休)’채널(1, 26번)
※ 휴채널 : 자연풍경, 미술작품 등 고화질 영상 및 음악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편성 중인 스카이라이프 직접 운영 채널
○ 첫 회 방영 예정일 : 2013.6.28(금)
□ 향후계획
○ 시범서비스 성과 분석(7월) 후, 우주 분야 교육프로그램 제작 및
방송 송출 추진 (’13.12월 이내)
※ 1단계(’13년, 휴채널 등 송출)→2단계(’14년, 위성 영상 활용 방송콘텐츠 제작․
공급 및 개발 확대)→3단계(’15년 이후, 우주전문방송채널 설립)
□ 참고 자료
○ 다목적실용위성 영상 보유 현황(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구분
영상 분량
화소수
촬영시기 최대해상도 관측 영역
2호기
270만장
15,000×15,000픽셀 ’08.~현재
1m
15km×15km
3호기
2만장
22,800×22,800픽셀 ’13.~현재
0.7m
16km×16km
- 4 -
붙임 2
위성영상을 활용한 방송 콘텐츠 제작을 위한 업무제휴 양해각서
위성영상을 활용한 방송 콘텐츠 제작을 위한
업무제휴 양해각서(MOU)
미래창조과학부-한국항공우주연구원-(주)케이티스카이라이프
미래창조과학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케이티스카이라이프는 신의와
성실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우주산업 발전과 방송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기여
하고, 상호 공동의 이익을 증진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업무제휴 양해각서(이하
‘본 양해각서’)를 체결한다.
제1조 (목적) 본 양해각서는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 한국항공우주연구
원(이하 ‘항우연’)과 ㈜케이티스카이라이프(이하 ‘스카이라이프’)가 한국항공우주연구
원이 보유한 위성사진을 활용한 방송 콘텐츠의 기획 및 제작과 유통 등 관련사
업을 추진하기 위해 전략적 사업제휴 관계를 포괄적으로 규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2조 (협력 범위 및 내용)
본 양해각서에 의해 각 당사자는 다음 각 항에
대하여 상호 협력한다.
1.
항우연이 보유한 위성사진의 제공
2.
항우연이 보유한 위성사진을 활용한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
3.
항우연이 보유한 위성사진을 활용한 방송 프로그램의 공급, 활용 및 수익
창출을 위한 협력
4.
우주산업 및 방송산업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 시너지가 기대되는 기타 비즈니
스 모델의 모색과 협력
- 5 -
제3조 (시범서비스 시행)
1.
각 당사자는 아래와 같은 시범서비스를 추진하는데 합의한다.
2.
시범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의 제작
가. 동 프로그램 제작을 위해 항우연은 무상으로 위성사진을 스카이라이프에
제공하고, 스카이라이프는 동 사진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자체 비용으로
제작, 방영한다.
나. 동 프로그램제작을 위한 항우연과 스카이라이프 간 세부 계약을 별도로
체결한다.
제4조 (유효기간) 본 양해각서의 효력은 서명한 날로부터 발생하며, 유효기간
은 효력 발생일로부터 1년으로 한다. 다만, 당사자 간의 별도 합의에 의하여
유효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제5조 (비밀유지)
1.
각 당사자는 상대 당사자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양해각서와 관련하여
상대 당사자가 대외비로 표시하여 제공한 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는
다.
2.
각 당사자는 법원, 또는 규제기관 및 당국으로부터 법령에 근거하여 상대 당사자가
대외비로 표시하여 제공한 정보에 대하여 제공 내지 공개를 요구 받은 경우
정당한 범위 내에서 이를 제공 내지 공개할 수 있다. 다만, 해당 당사자는 이러한
요구를 받은 즉시 상대방 당사자에게 이를 고지하여야 한다.
제6조 (효력) 본 양해각서는 제5조(비밀유지)를 제외하고 법적으로 당사자들을
구속하지 않는다.
제7조 (계약권리 및 의무의 양도) 각 당사자는 본 양해각서의 권리 또는 의무를
양도할 경우 사전에 동의를 받아 추진할 수 있다.
- 6 -
각 당사자는 본 양해각서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신의 성실 및
호혜의 원칙에 따라 상호 협의해 결정할 것을 약속하며, 양해각서의 성립을 증명
하기 위하여 본 양해각서 3부를 작성하여 각 당사자의 대표자가 기명날인 후 각각
1
부씩 보관한다.
2013
년 6월 5일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
이 상 목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 장
김 승 조
KT 스카이라이프
사 장
문 재 철
- 7 -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2호 영상
Arabian Desert, Saudi Arabia
사우디아라비아의 아라비아 사막 전경(촬영일 :
’13. 4. 8), 오랜 풍화작용으로 인해 침식된 사
막 지형의 자연스러운 전경을 확인할 수 있다.
Quirinopolis, Brazil
브라질 고이아스州의 Quirinópolis 전경(촬영일 :
’10. 5. 30), 브라질 남부 소도시이자 목축․곡물
대량 생산지로 추상화를 연상케 하는 Paranaiba
강 유역의 비옥한 농경지 전경을 볼 수 있다.
Artic Floating Ice, Terra Nova bay
남극 제2 기지로 결정된 테라노바만(Ter a
Nova Bay) 인근의 유빙(촬영일 : ’11. 1. 5),
모습이다. 마치 한겨울 창문에 서린 성에를 연
상케 한다.
Taklamakan Desert, China
중국의 타클라마칸 사막(촬영일 : ’11. 4. 16)은
세계 최대 사막 중 하나로 전체 면적은
270,000km²에 달하며 길이는 1,000km, 폭은
400km이다.
붙임 3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2, 3호 촬영 위성 영상
- 8 -
Namib Desert, Namibia
나미비아의 나미브 사막(촬영일 : ’08. 10. 11)은
나미비아와 앙골라 남부에 걸친 지역으로 전체
면적은 약 80,900km²의 광활한 지역으로 바다
와 사막의 접경지역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아
름다운 지형을 감상할 수 있다.
Toquepala Mine, Peru
페루의 토케팔라(Toquepala) 구리 광산(촬영일 :
’07. 2. 18), 안데스 산맥에 위치한 페루는 지질
학적 이점에 힘입어 은, 구리, 아연 등 풍부한
광물자원을 보유한 자원 부국으로, 본 영상은
토케팔라 광산의 개발 현장을 보여준다.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인천국제공항 전경(촬영일 : ’08. 2. 17), 대한민
국 최대규모의 국제공항이며 관문공항의 역할
을 한다. ’12년 연간 이용객은 약 3천8백만명
이상이며 8년 연속 세계 공항서비스 평가 1위
를 기록하고 있다.
Marado
한국의 최남단 마라도 전경(촬영일 : ’10. 2.
23),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한 섬으로 제주도
로부터는 약 11km 떨어져 있다. 총면적 0.3km2
의 타원형 모양으로 섬 주변 일대는 천연기념
물 제423호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다.
- 9 -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3호 영상
Baekdu-Mountain
눈 덮인 백두산 전경(촬영일 : ’13. 1. 7), 눈으
로 뒤덮인 백두산 전역의 전경과 천지의 모습
을 확인할 수 있다.
Dokdo
독도 전경(촬영일 : ’13. 5. 7)으로 독섬이라고도
하며 울릉도 남동쪽 약 87.4km에 위치한 대한
민국의 영토로 동도와 서도 및 그 주변에 산재
한 89개의 바위섬으로 이루어진 화산섬이다.
Suncheon Bay Garden Expo 2013
2013 순천정원박람회장 전경(촬영일 : ’13. 5.
13), 지난 4월 20일 개장한 2013 순천 정원박람
회장 전경으로, 전 세계의 다양한 정원 문화
양식과 그 발달과정을 전시하기 위한 행사이
다. 아리랑3호를 통해 그림과 같이 정리된 다
양한 정원의 구성 및 장식 조형물을 볼 수 있
다.
Gwangan Bridge
부산 광안대교 전경(촬영일 : ’13. 4. 9), 광안대
교는 부산의 수영구와 해운대구를 잇는 전체
교각길이 7,420m의 대한민국 최대의 해상 복층
교량이다. 약 10만가지 이상의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조명시스템이 구축되어 야간의 경관조
명이 유명하다.
- 10 -
Seoul City Hall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로에 위치한 서울 시청과
주변 전경(촬영일 : ’12. 9. 25), 서울 시청과 광
장 및 좌측의 덕수궁 전경으로 촬영일 당시 아
직 공사 중인 숭례문의 모습을 확인 할 수 있
다.
Seoul Olympics Stadium
88 서울 울림픽 주경기장 전경(촬영일 : ’12. 9.
25)으로 경기장 전면에 배치된 ‘호돌이‘ 문양과
주변의 야구장을 비롯한 실내 경기장의 모습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Sioux Falls, USA
미국의 수폴스(Sioux Fal s)(촬영일 : ’13. 5. 10),
수폴스(Sioux Fal s)는 미국 중북부 사우스다코
다州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이다. 본 영상을 통
해 빅 시외 강(Big Sioux River) 주변에 위치한
공원녹지와 함께 기하학적 형태로 정돈된 주거
지역의 전경을 확인할 수 있다.
Bahia Blanca, Argentina
아르헨티나의 바히아 블랑카(Bahia Blanca)(촬영
일 : ’13. 2. 26), 바이아블랑카는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州 최남단에 위치한 항구도시
로 바이아블랑카시 인근에 넓게 펼쳐진 갯벌과
섬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11 -
Hamamak, Iran
이란의 하마막(Hamamak) (촬영일 : ’13. 3. 25),
테헤란은 이란의 수도로 해발 1200m의 고원에
위치하고 있다. 본 영상은 테헤란 동쪽에 위치
한 하마막(Hamamak) 마을 주변의 자연 지형을
보여준다.
Grand Canyon, USA
미국의 그랜드캐니언(촬영일 : ’13. 3. 12),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그랜드 캐
니언은 미국 애리조나州 북부의 고원지대로 인
근의 콜로라도 강에 의해 침식되어 형성된 거
대한 계곡이다.
Sidoarjo, ndonesia
인도네시아 시도아르조(Sidoarjo)(촬영일 : ’13.
3. 20)는 인도네시아 자바(Java)섬 동쪽에 위치
한 도시로 인근 지역과 달리 진흙 화산(Mud
Volcano) 활동이 활발하다. 본 영상을 통해 스
테인드글래스를 연상케 하는 이른 봄의 경작지
전경을 볼 수 있다.
Schastia, Ukraine
우크라이나의 스챠스티아(Schastia)(촬영일 : ’13.
3. 29)는 우크라이나 남동쪽에 위치한 도시로
중심에 아직도 얼음으로 둘러싸인 둥근 원형의
스챠스티아 호수와 그 주변의 루한시크 발전소
(Luhansk Thermal Power Station) 전경을 보여
준다.
- 12 -
Bangkok, Thailand
태국의 방콕(Bangkok)(촬영일 : ’13. 3. 13),
방콕은 타이 만으로 흘러드는 짜오프라야 강
동쪽에 위치한 태국의 수도이다. 본 영상에서
수로가 발달된 짜오프라야 강 지류를 따라 복
잡하게 조성된 농촌의 전경을 확인할 수 있다.
Kherlen River, Mongolia
몽골 헤르렝 강(Kherlen River)(촬영일 : ’13. 3.
6), 몽골 대부분의 강은 러시아 바이칼 쪽으로
흘러가지만 헤르렝 강은 중국으로 흘러간다.
본 영상은 이른 봄 촬영되었으나 아직 녹지 않
은 눈 덮인 지역, 몽골 초원을 가로지르는 헤
르렝 강과 그 지류 들이 뒤섞여 마치 실타래를
뿌려 놓은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