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111206)항우연보도자료_국제우주연맹 아태총회 개최.hwp

닫기

보도자료

2011. 12. 6(화)

)

보도시점 : 12월 7일 조간

<자료문의> 042-860-2084, 항우연 국제협력팀장 이준

☎ 042-860-2156, 항우연 홍보협력실장 이규수, 담당 : 김홍갑

국제우주연맹(IAF) 아태지역 총회 개최

- 아태지역 우주협력 강화 논의 및 자연재난과 우주교육/문화 특별 컨퍼런스 개최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김승조)은 2011년 12월 12일부터 14일 사이에 국제우주연맹 (IAF; International Astronautical Federation)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회와 특별 컨퍼런스가 대전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한국의 높아진 경제력과 우주개발의 국제위상을 반영하여, 󰋯󰋯일을 포함한 아태지역 12개 국가의 우주 관련 기관과 정부 인사, 우주국제기구 전문가, 연구원, 과학자 그리고, 산업체 종사자가 참여할 예정으로, 약 40여명의 외국인포함하여 약 200여명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날 (12월 12일)에는 IAF 태지역 총회와 태지역 우주협력 강화방안에 대한 패널토론이 있고 둘째 날 (12월 13일)에는 아태지역의 자연재난 관련 그리고 우주교육과 문화 관련 특별컨퍼런스가 국내외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리게 되며, 셋째 날 (12월 14일)에는 항우연과 나로 우주센터 견학이 예정되어 있다.

총회에는, 국내에서 대전 시장, 지역 국회의원, 관련 학회장, 교과부, 항공우주연구원 원장 및 산업체에서 참석할 예정이며, 해외에서 국제우주연맹 (IAF) 회장과 아시아 지역 부회장단, 국제우주과학위원회 (COSPAR; Committee on Space Research) 회장, UN ESCAP, UN ISDR, 중국, 일본, 미국, 러시아, 필리핀, 라오스,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이라크, 태국, 인도네시아 등 아태지역 주요 우주기관 및 산업체에서 참여하여 최근 활동을 발표한다. 미 항공우주청 (NASA)도 옵서버로 참여할 예정이다.

특히 우주관련 양대 국제기구인 국제우주연맹 (IAF)과 국제우주과학위원회 (COSPAR)의 수장들이 참석하는 것은 매우 드믄 일로서 이는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우주협력에서한국이 중심 역할을 담당할 것에 대한 기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전세계 인구의 60%와 세계 면적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자연재해를 겪는 지역이다. 이 번 특별 컨퍼런스에서는 최근 아태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자연 재난에 대한 발표가 있을 예정인 데, 특히 올 3월에 있었던 지난 100년간 최악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 그리고 10월-11월의 태국의 대홍수에 대한 해당 국가 전문가의 생생한 특별 발표와, 이온층을 관측하여 지진을 사전에 예보하는 연구에 대한 러시아 전문가의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그리고, 미래에 동아시아 국가를 위협하고 있는 백두산 대폭발에 대한 발표, 위성을 이용한 지진 예측에 관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대부분의 해외 우주기구들이 우주선진국의 국가 우주기관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것과 달리 한국항공우주학회 등 관련 학회와 우주산업체들도 주요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해외우주기구에 단순 참여에서 벗어나, 이 번 IAF 태지역 그룹 설립을 제청하고 총회를 개최함으로써 아태지역 내에서 우주국제협력의 주도적 역할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 번 IAF 아태지역그룹 총회와 특별 컨퍼런스는, 지금까지 미국, 유럽 그리고 일본과 같은 소수 선진국 중심의 우주개발에서 아태지역과 남미 그리고 아프리카의 다수 국가들이 참여하는 글로벌 네트웍형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정부의 주도에서 민간 산업체와 학계가 주도하며, 공학과 과학우주전문가 일변도에서 일반인과 청소년들이 동참하는 우주문화와 교육도 중요한 분야로 자리 잡는 전기가 되는 의미 있는 회의가 될 것이다.

첨부 : 1. IAF 아태지역그룹 총회 및 특별 컨퍼런스 프로그램 및 참여 국내외 우주기관과 전문가

2. 60차 대전 국제우주대회 대전선언문.

3. IAF 아태지역그룹 운영지침 (TOR).

4. 국제우주연맹 (IAF; International Astronautical Federation)

5. 국제우주과학위원회 (COSPAR; Committee of Space Science Research)

6. IAF 회장 (Prof. Berndt Feuerbacher) 약력

7. COSPAR 회장 (Prof. Giovanni Bignami) 약력

첨부 1; IAF 아태지역그룹 총회 및 특별 컨퍼런스 프로그램 및 참여 국내외우주기관과 전문가

1) 참여 국내외 우주기관과 전문가

국제우주기구 (IAF & COSPAR & UN)

1. Prof. Berndt Feuerbacher, IAF, President

2. Mr. Christian Feichtinger, IAF, Executive Director

3. Mr. Philippe Willekens, IAF, Executive Director

4. Prof. Giovanni F. Bignami, COSPAR, President

5. Mr. Aaron Janofsky, COSPAR, Associate Director

6. Mr. Yousik Kim, UN-ESCAP, Expert

7. Dr. Ram S. Tiwaree, UN-ESCAP, Economie Affairs Officer

8. Mr. Yongkyun Kim, UN-ISDR, Program Officer

9. Mr. Yansong Xu, APSCO, Deputy Director General

10. Ms. Jing Zhao, APSCO, Assistant

11. IAF Vice-President Prof. Tetsuo Yasaka

해외우주기관

1. Mr. Fazlul Haque, Disaster Management Division of Bangladeshi, Joint Secretary

2. Dr. Arturo Daag, PHIVOLCS, Supervising Science Research Specialist, Philippine

3. Dr. Anond Snidvongs, GISTDA, Acting Executive Director

4. Prof. Alexey Romanov, Russian Space Systems Co., Deputy of General Director

5. Ms. Raksina Lekthanoo, GISTDA,

6. Mr. Justin Tilman, NASA/US Embassy Tokyo, NASA Representative in the Pacific Rim

7. Dr. Sergey Cherkas, Russian Space Systems Co., Head of the Aerospace Monitoring Center

8. Mrs. Boua Ngeun Oudomchit, Department of Meteorology and Hydrology of Lao PDR, Chief of Climate Division

9. Mr. Mathieu Grialou, Centre National dEtudes Spatiales(CNES), Representative in Japan

10. Mr. Padma Kumara Withana, Survey Department of Sri Lanka, Provincial Surveyor General

11. Mrs. Ratih Dewanti Dimiyati, LAPAN, Head of Cooperation and Public Relation Bureau

12. Mrs. Anie Retnowati, LAPAN, Head of General Affairs Bureau

13. Mrs. Rosaliza, R., LAPAN, Head of National Cooperation Division

14. Ms. Arum Tjahjaningsih, LAPAN, Head of Land Resources Division

15. Mrs. Fira Marfira, LAPAN, Head of Publication Sub-Division

16. Mr. Johanes Manalu, LAPAN, Head of Administration Sub-Division

17. Mrs. Sudiyanto S, LAPAN, Head of Administration Sub-Division

18. Dr. Kazuya Kaku, JAXA, Planning Manager

19. Mr. Tetsuo Tanaka, JAXA, Director of International Relations Department

20. Ms. Yayoi Miyagawa, JAXA, Associate Administrator

21. Mr. Kazuo Oshio, JAXA, Duputy Manager

22. Dr. Abdulkareem Abd Mohammed, Ministry of Science & Tech, Head of Team, Iraq

23. Mr. Norith Ma, NATIONAL COMMITTEE FOR DISASTER MANAGEMENT (NCDM), Cambodia

국내외 산업체

1. Mr. Jaewon Lee, Hanwha Corporation, Deputy Senior Manager

2. Mr. Wonbok Lee, Hanwha Corporation, Senior Manager

3. Dr. Seung Jun Oh, Space Experiment Laboratory, President

4. Dr. Induk Lee, Space Experiment Laboratory, Application Scientist

5. Mr. Young Bo Sakong, Soletop Co., CEO

6. Mr. Jae Gil Kim, Soletop Co., Assistant Manager

7. Mr. Sang Ho Bang, Soletop Co., Research Engineer

8. Mr. Norizham Hamzah, ATSB, Senior Vice President, Malaysia

9. Mr. Nuril Afzam Kamarudin, ATSB, Chief Technical Officer, Malaysia

항우연

1. Dr. Seung Jo Kim, KARI, President

2. Dr. Joon Min Choi, KARI, Director of Policy and Cooperation Center

3. Dr. Gi-Hyuk Choi, KARI, Director of Aerospace Future Technology Research Division

4. Dr. Hyo-Suk Lim, KARI, Director

5. Dr. Eunhyeuk Kim, KARI, Senior Researcher

6. Ms. Suhyun Ock, KARI, Senior Administrator

7. Mr. Jeong Won Lee, KARI, Manager of Procurement Team

8. Dr. Sang-Hoon Hong, KARI, Senior Scientist

9. Mr. Boyeol Yoon, KARI, Senior Researcher

10. Dr. Younsoo Kim, KARI, Principal Researcher

국내 관련기관

1. Dr. Phil Ho Park, KASI, President

2. Dr. Hong-Kyu Moon, KASI, Research Scientist

3. Dr. Ae-Sook Suh, KMA-NMSC, Director-General

4. Prof. Sung-Hyo Yun, Pusan National University, Dean of College of Education

2) IAF 아태지역그룹 총회 및 특별 컨퍼런스 프로그램

(1일차; 12. 12일)

시간

총회 (General Meeting)

장소

8:30

등록

DCC Grand Ballroom

9:00

Opening Session (사회: 이소연, 항우연)

개회사; 최흥식 IAF APRG 회장

환영사; 대전시장, 교과부 차관, IAF 회장, 이상민 의원

기조연설; 김승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09:40

Session 1; 각국우주기관, 국제 우주기구 활동 소개 (좌장: 최준민,항우연)

한국 KARI, 중국 CASC (항천과기집단공사), 일본 JAXA

인도네시아 LAPAN, 태국 GISTDA, 미국 NASA

11:20

커피 & 휴식

11:30

UNESCAP

COSPAR

APSCO

UNISDR

12:30

13:30

대전시장 주최 오찬

- 건배사; 대전시장, IAF 총회장, COSPAR 회장 (기자 포함)

Press Meeting; IAF 회장/사무총장, 아태지역회장, COSPAR 회장

DCC 식당

14:00

Session 2; 각국 산업체 활동소개 (의장: 최기혁, 항우연)

KAI

Korean Air

ATSB (말레이시아)

Satrec Initative

Hanwha

AP Systems

COSPAR 의장은 천문연 방문

DCC Grand Ballroom

16:00

커피 & 휴식, 패널토론 무대설치

(15:00-16:00; 패널토론 참여자 사전회의, VIP Room)

16:15

Session 3; 패널 토의 (좌장: 최흥식, IAF APRG 회장, 참여자; IAF 회장, 일본 IAF 부회장, KARI 김승조 원장, GISTDA, ATSB)

아태지역 우주협력강화를 위한 IAF 아태지역그룹의 Vision과 역할

18:15

항우연 주최 리셉션 및 환영 만찬 (사회; 최기혁, 항우연)

- 현악 연주

DCC Grand Ballroom

(2일차; 12. 13일 - 분과회의)

시간

아태지역에서의 자연재해, 우주 교육과 문화 증대

장소

9:00

Session 1; 아태지역 최근 자연재난과 위성을 이용한 모니터링 (좌장: 임효숙, 항우연)

Great East Japan Earthquake (Dr. Kaku, Kazuya, JAXA, 일본)

Natural Disasters of Lao PDR (Mrs. Oudomchit, 라오스)

Recent Flood Disaster and Tsunami Experience in 2004 (스리랑카)

Recent Natural Disasters of Bangladeshi (Bangladeshi)

Monotoring Dust Storms in West Asia by Using: CALIPSO, MODIS and METIOSAT9 Images (이라크)

Use of Satellite Techonology in Monitoring Volcanic Activities and other Geologic Disasters in the Philippines (필립핀)

Environmental Monitoring using Space-Based Synthesic Aperture Radar (SAR) Observations (항우연)

DCC

1층 중회의실

10:50

커피 & 휴식

11:00

Session 1; Continued (좌장: 김용승, 항우연)

International Charter and KARI Contribution (항우연)

Sentinel Asia (JAXA, 일본)

The Utilization of COMS SDUS/MDUS Receiving System (솔탑, 한국)

Satellite Radio-Tomography: Prediction and Diagnosis of Ionosphere Earthquakes Precursors (러시아)

Satellite Monitoring of Floods and Landslides in Thailand (태국)

Monitoring Meteorological disasters using COMS (기상청)

The IGMASS Project - New Approach to Disaster Management: Some Recent Results on its Developing (러시아)

13:00

국내산업체 주최 뷔페 오찬 (홍보영상 상영 및 전시부스 운영)

DCC 식당

14:30

Session 2; 잠재적인 위협 (좌장: Prof. Romanov, Russia)

Unrest at the Mt. Baegdusan Volcano (부산대)

Humanitarian Aspects of the IGMASS Project Implementation(러시아)

Threat from the Space: Orbital Debris and NEO (천문연)

Space Weather: Is it time for operation? (한국 SELab)

DCC

1층 중회의실

16:30

Session 3; 아태지역 우주 교육과 문화 증대 (좌장: 이정원, 항우연)

Space Education/Training Program for Emerging Countries in KARI (항우연)

Space Education Activities in Japan including APRSAF, ISEB and Domestic Activities (JAXA, 일본)

The Organizations for Space Education and Outreach Progrmas in the Republic of Korea (항우연)

Space Education and Culture in Thailand (태국)

Activities of "To Space 245" the Society for the 1st Korean Astronaut Project Participants (우주로 245)

Introuduction of Activities of Young Astranauts Korea (우주소년단)

Space Education Activities of KARI (항우연)

18:30

국내 우주산업체 주최 만찬 (홍보영상 상영 및 전시부스 운영)

DCC 중회의실

(3일차; 12. 14일 - 견학 프로그램)

(1조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나로 센터 견학)

시간

행사내용

장소

8:0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도착 및 견학

항우연

9:00

나로 우주 센터로 출발

13:00

나로 우주 센터 도착 및 오찬

나로 우주 센터

14:00

나로 우주 센터 견학

16:00

나로 우주 센터 출발

20:00

대전 도착

첨부 2; 60차 대전 국제우주대회 대전선언문 (Daejeon Declaration)

국제협력과 평화를 위한 우주에 관한 대전선언문

1. 1963년 12월 13일 UN에서 채택된 국가의 우주탐사와 이용활동에 관한 법원칙의 선언 (1962년 UN 총회 결의안 (XVIII))을 상기한다.

2. 1967년 10월 27일 채택된 우주 조약으로 알려진 달과 기타 천체를 포함한 우주의 탐사, 개발에서의 국가활동을 규율하는 제원칙에 관한 조약을 상기한다.

3. 지구 궤도와 심우주에서 성공했던 많은 우주 프로그램들이 집중적인 국제 협력을 통해 이루어 졌음을 인정한다.

4. 우주 기술들의 이점을 이용하려 하는 개발도상국들의 관심이 증대된 점을 주목한다.

5. 1996년 12월 13일 UN에서 채택된 개발도상국의 필요를 특별히 고려한 모든 국가의 혜택과 이익을 위한 우주의 탐사 및 이용에서의 국제협력에 관한 선언을 상기한다. (UN 총회 결의안 51/122)

6. 국제우주연맹 (IAF), 국제우주학회 (IAA)과 국제우주법학회 (IISL)우주 기관들, 우주 산업, 연구소들, UN 기관들, 의사 결정자들을 모아 가장 최근 탐사 개발과 우주사용에 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우주의 평화적 사용에 대해 국제적 협력을 장려한 것을 인정한다.

7. 우리 행성이 인간 활동에 의해 바뀌고 있으며 이런 변화와 또 관련된 영향들은 이해될 필요가 있고, 우주 시스템들이 이러한 변화들에 대한 해석과 관리, 예를 들어 자연 재해 피해 완화나 또는 기후 변화를 불러오는 이유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8. 2009년 10월 9-10일 대한민국 대전에서 열렸던 제19회 유엔/국제우주연맹 워크숍의 기후 변화의 분석과 예측을 위한 통합적 우주 기술과 우주를 기반으로 한 정보의 결과와 결론들을 고려한다.

9. 2009년 10월 11일 대한민국 대전에서 열린 첫 국제우주연맹 국제국회의원회의에서의 권고들을 상기한다.

10. 2009년 10월 대한미국 대전에서 제60회 국제우주대회에 참석하고 있는 국제우주연맹 회원들은 UN 우주 조약들과 그 외 관련 문서들에 따라 우주 활동과 이와 관련된 기술들이 국제적 협력으로 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믿는다.

11. 우주 활동의 관한 이러한 협력적 활동은 우주 기술을 더 잘 사용할 수 있는 능력과 이를 지속 발전케 하는 응용을 통해 평화를 개선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12. 이러한 이유들을 근거로 참가자들은 국제우주연맹 내의 지역그룹의 창설을 지지한다.

첨부 3; 국제우주연맹 (IAF) 아태지역그룹 운영지침 (TOR) (2011년 3월 31일)

2009년 제60회 국제우주대회에서 채택된 대전선언문에 의한 지역그룹 창설을 국제우주연맹은 지지하는 바이며, 이는 그 지역 안의 우주 사업과 우주 프로그램을 협력, 발전시키기 위해 우주 활동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함이다.

1. 국제우주연맹 아태지역그룹은 그 지역 안에 있는 국제우주연맹 회원들의 자의로 구성이 된다. 지역의 어떤 국제우주연맹 회원도 국제우주연맹 지역그룹에서 제외되지 않는다.

2. 국제우주연맹 아태지역그룹은 2010년 9월, 체코 공화국의 프라하에서 열린 제61회 국제우주대회에서 창설되었다.

3. 국제우주연맹 아태지역그룹의 의장은 선출된 이후 3년의 집무기간을 가지며 한 번의 재선이 가능하다.

4. 국제우주연맹 아태지역그룹은 아태지역에 있는 국제우주연맹의 회원들에게 열려있다. 비회원국이나 기구들은 의장에게 신청서를 보내 국제우주연맹 아태지역그룹의 참관인으로 참여할 수 있다.

5. 그룹의 목적은 특히 신흥 우주개발 국가들, 개발도상국의 기관과 기업과 개인들이 서로 이해를 넓히고, 지역 협력을 강화시킬 협력 분야를 알아내며, 지역 안의 우주활동 개발뿐만 아니라 인공위성을 기반으로 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발전, 또 그 회원들을 국제우주연맹의 활동들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데 있다.

6. 국제우주연맹 아태지역그룹은 UN 기구들을 포함한 이미 존재하는 지역 우주 포럼, 기구들과 서로의 업무가 중복되지 아니하고 이들의 활동들을 지원하기 위해 협력한다.

7. 국제우주연맹 아태지역그룹의 의장은 다른 국제우주연맹 지역그룹의 의장들과 세계적으로, 또 지역 간의 국제적 협력을 통해 우주 활동들을 강화하기 위한 대화와 교환의 촉진을 위해 협력을 취해야 할 것이다.

8. 국제우주연맹 아태지역그룹은 국제우주연맹의 부서를 통해 그 지역의 우주 활동 상황과 기술에 관해 보고한다.

* 참고: 첫 의장으로 대한민국의 최흥식대사가 2010년 9월 29일에 있었던 국제우주연맹 아태지역그룹의 설립 회의에서 선출되었다.

별첨 4; 국제우주연맹 (IAF; International Astronautical Federation)

국제우주연맹 (IAF; International Astronautical Federation)세계 최고, 최대의 민간 우주기구로서 우주관련 모든 기관과 분야를 포함하는 우주의 올림픽 조직위원회 같은 기구이다.

□ 1951년 런던에서 창립되었으며, 비정부 기구로서 현재 58개국의 206개 기관이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데, 국가우주기관, 산업체, 학술단체, 정부우주부처, 전문가 개인이 포함되어 있다.

국제 우주 연맹 (이하 IAF) 는 1951년 영국의 런던에서 선진 9개국의 항공 관련 기관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한 비정부기구 (NGO) 로서 현재 본부는 파리에 소재하고 있으며 집행부(선출직 회장 1인, 부회장 10인과 다수의 임명직), 총회, 사무국(프랑스 파리소재)와 다수의 위원회로 구성되어 있다.

IAF의 회원은 각국 혹은 국제 우주항공 관련 학회, 각국의 우주 관련 기관, 국제기구, 우주관련 산업체, 기업, 대학, 연구소, NGO 이며 현재 45개국 155개 회원기관이 가입되어 있으며, 국내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992), 한국 천문 연구원 (2006), (주)세트렉아이 (2006)등 총 3개소가 가입되어 있다.

IAF는 국제우주학술원 (IAA; International Academy of Astronautics)와 국제우주법연구원 (IISL; International Institute of Space Law)와 밀접한 연계가 있으며, 매년 우주의 올림픽 성격인 국제우주대회 (IAC; International Astronautical Congress)를 유럽과 비유럽국가들이 번갈아 개최하고 있다. 2011년에는 남아공 케이프타운에서 62차 국제우주대회가 개최되었으며, 2009년 제 60차 국제우주대회는 한국의 대전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UN과도 밀접하게 협력하는바, 매년 국제우주대회 직전 IAF개도국을 위한 우주활용 UN-IAF Workshop을 매년 개최한다. IAFCOSPAR, IISL 등과 UN을 위한 우주할동조사를 매년 수행하고 있다.

□ 2011년 현재 Prof. Berndt Feuebacher가 회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별첨 5; 우주과학연구위원회 (COSPAR; Committee on Space Research)

□ 1957년 소련의 스프트닉 위성 발사이후 우주시대가 개막되었는데, 우주과학연구위원회 (COSPAR)는 1958년 국제과학평의회 (International Council of Science)에 의해 설립되었다. COSPAR의 첫 번째 우주과학 심포지움은 1960년 프랑스 니스에서 개최되었다.

우주과학연구위원회 (이하 COSPAR)는 1958년 국제 우주의 해 동안 수행된 과학 로켓 및 인공위성 협력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설립된 국제기구로서 우주 비행체, 과학 로켓, 비행선(Balloon)등을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응용과학 연구의 진전을 국제적으로 도모하기 위한 국제기구이다.

□ 2011년 현재 43개국이 가입되어 있으며, 한국도 2011월 11월에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하였다. 매 2년 마다 총회가 개최되며 2010 독일의 브레멘, 최근 아시아에서는 중국 베이징에서 2006년도에 개최되었다.

COSPAR의 회원은 각국의 국립과학위원회, 학술 재단 및 국제 과학 기구이며 1국에 1개의 COSPAR 위원회가 구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하부 조직으로는 Council (각국 위원회의 대표로 구성), Bureau (위원장 1인과 5인의 부위원장)과 사무국이 있다. 현재 한국은 한국 항공 우주 연구원과 한국 천문 연구원 주도로 COSPAR 가입되었다.

COSPAR의 목적은 우주연구에 영향을 미치게 될 문제들에 대한 토의를 위하여, 국제적으로 우주에 대한 연구를 증진하는 것이며 이는 자유로운 자료, 연구결과, 정보, 의견교환과 포럼개최와 모든 과학자에 대한 개방을 통해 추진된다. 이러한 목적은 심포지움 개최, 출판과 다른 방법들을 통해 추구된다.

초기 COSPAR은 냉전시대에 이념을 떠나 동서 진영의 우주협력을 위해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COSPAR는 여러 학문간 협력체인바, 우주를 이용하는 모든 연구에서의 진보를 목적으로 한다. COSPAR는 여러 주제들에 대하여 여러개의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였는데, 그들 중 일부는 국제 우주기구들과 공조를 통하여 추진된다.

COSPAR의 오랜 프로그램인 국제표준대기모델 사업은 1960년에 시작되어, 1978년 국제표준 이온층 모델을 개발하였다.

별첨 6; IAF 회장 베른트 포이에르바하 (Prof. Berndt Feuerbacher) 약력

President of International Astronautical Federation (IAF)

Specialty; 독일 우주청(DLR)의 저명 우주학자로서 2004년 혜성탐사선 로제타 미션의 책임자, 한국을 중심으로 IAF 태지역그룹 창립을 지원, 한국 우주의 국제진출에 핵심적인 지원 인물

□ 1940년 독일 브레멘 출생, 뮌헨 Ludwig Maximilian 대학에서 1968년 박사학위 취득

유럽우주기구 ESAESTEC 연구소 (네덜란드)의 연구원으로 연구경력 시작, 연구주제는 고체와 표면물리학이며 광전자 방출과 원자-표면 산란분야, 우주와 지구에서 먼지와 입자들이 중성 플라즈마와의 상호관계 그리고 혜성과 소형천체에 대한 연구에 업적이 큼

1981년 독일 보쿰대학의 우주물리 학과장과 독일 우주청 (DLR)의 우주 시뮬레이션 연구원의 부장 임명

1990년 독일 통일 후 독일 과학원의 우주연구원의 통합을 지원하였으며, 독일우주청 (DLR) 내의 새로운 2개의 연구소를 설립함

TEXUS, Spacelab1, 그리고 ESA의 혜성탐사선이 로제타 탐사선의 착륙선 탑재체 설계자로서 12권의 저서와 8개의 특허 그리고 180 편의 논문이 있음

은퇴 후 2006년 DLR의 우주시스템 창립 책임자로 임명되었으며, 2008년 국제우주연맹의 회장으로 피선되었음

주소: Bensberger Str. 110-D-51503 Roesrath - Germany

연락처: Tel) +49 2205 82333, Fax) +49 2205 6638,

E-mail)

별첨 6; COSPAR 의장 지오반니 비냐미 (Dr. Giovanni Bignami) 약력

President of Committee on Space Research (COSPAR)

Specialty; 이탈리아 Pavia 고등연구원(대학, Institute of Advanced Studies)의 천문학 교수이며 저명한 천체물리학자로서 2010년 6월 COSPAR 의장에 피선됨

□ 30년 이상 우주천문물리 연구

- 주요연구분야 : 감마선, X

ESAXMM 미션의 Principal investigator로 활동한 바 있음

□ 1990년에 Pavia 대학 교수로 임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

□ 1997년에 이탈리아우주청(ASI)Science director로 임명되어 2002년까지 활동함

□ 2004년 유럽우주기구 ESA의 우주과학 분과위원회 (Space-science advisory committee)의 의장 역임함

2007년 이탈리아 우주청 (Italian Space Agency)의 청장을 역임하였으며, 2008년까지 활동함

□ 2010COSPAR 의장에 피선된 이래 적극적인 대외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주소:

연락처: Tel)+33 1 44 76 75 10 , Fax) +33 1 44 76 74 37,

E-mail) Giovan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