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118_보도자료_아리랑2호로 촬영한 아이티(Haiti) 현장.hwp
|
보도자료 2010. 1. 18(월) |
http://www.kari.re.kr홍보실(042-860-2155) |
<자료문의> ☎ 042-860-2159, 홍보협력실(실장․이규수), 담당자 : 임영미 ☎ 042-860-2454, 위성정보연구소 위성운용실장 천용식 |
아리랑 2호가 촬영한 아이티 지진 현장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이주진, 이하 항우연)은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2호)’가 2010년 1월 13일과 1월 16일에 촬영한 아이티의 지진현장 위성영상을 공개하였다.
□ 본 영상은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2호)’가 임무기간 중 촬영한 ‘아이티 지진 전/후’의 영상으로, 이번 영상을 통해 아이티 지진 참사 현장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다.
○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2호)’는 1m급 해상도의 지구 관측 영상을 지원하는 지구 저궤도 정밀 실용위성으로, 2006년 7월 28일 발사 이후 공식 임무기간인 2009년 7월 28일이 지난 현재까지 지구 관측 및 한반도 관측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2호)’는 2006년 8월 검·보정을 위한 첫 촬영을 시작하였으며 2010년 1월 17일까지 총 24,185회의 영상 촬영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획득된 영상(15km×15km) 수는 총 1,237,262장이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전세계를 대상으로 자연재해 또는 인재가 발생 시 자국의 지구관측 위성을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국제협력기구인 International Charter - Space and Major Disaster에 금번 아리랑2호가 촬영한 아이티 영상을 피해규모 산출 및 복구를 위해 제공하기로 하였으며, 2010년 이 기구의 정회원 가입을 추진하여 우리나라의 우주기술을 인도적 차원에서 국제협력에 더욱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보도자료와 같이 제공하는 사진자료는 본 건의 보도목적 외에는 사용하실 수 없으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임을 표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 첨부 1: 아리랑 2호 위성영상 1부.
첨부 2: International Charter - Space and Major Disaster 설명자료 1부. 끝.
첨부 1.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2호)가 촬영한 아이티 지진 참사 전/후 영상
(2009년 4월 13일) (2010년 1월 13일) (2010년 1월 16일)
아이티 지진 발생 전인 2009년 4월 영상과 지진이 발생한 이후인 2010년 1월 13일, 16일 영상으로 지진 발생 후 시민들이 축구경기장에 대피하여 있는 모습을 아리랑2호 위성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09년 4월 13일) (2010년 1월 13일) (2010년 1월 16일)
아이티 지진 발생 이후 Port-au-Prince Cathedral(성당) 건물이 파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첨부 2. International Charter - Space and Major Disaster 설명자료
□ 설립배경
○ 1999년 7월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된 UNISPACE III 회의 뒤에 유럽과 프랑스우주기구(ESA 와 CNES)가 International Charter - Space and Major Disaster의 구성을 제안하였으며, 2000년 10월 20일 캐나다 우주기구 CSA(Canadian Space Agency)가 헌장에 서명하면서 11월 1일 활동개시
□ 설립목적
○ 자연재해 또는 인재가 발생 시 회원기관의 지구관측위성을 이용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자료의 취득 및 전달을 수행하는 일원화된 시스템의 제공
○ 이를 위해 각 회원기관에서는 재해 경감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며 또한 Charter의 규약에 따라 관련 지구관측위성의 자료를 제공
□ 주요활동
○ 2000년 11월 International Charter가 발족한 이후 2009년 7월 10일 까지 100여개 이상의 국가에서 230건 이상의 재난이 발생하여 1개월 평균 2건 정도의 위성정보를 제공하여 재난에 의한 피해 복구지원 등에 기여
□ 회원기관
○ 2000년 11월 헌장 발족이후 점차로 회원이 증가하여 2005년까지 12개 기관이었으나 2007년 5월 중국 항천국이 회원에 가입함으로써 13개 기관이 회원으로 참여
○ 모두 17개의 광학위성과 3개의 레이더위성을 포함
회원 |
가입년도 |
운용위성 |
|
위성명 |
특성, 해상도(흑백/컬러) |
||
유럽 우주국(ESA) |
1999.7 |
ERS |
레이더위성, 26m |
ENVISAT |
레이더위성, 30~1000m |
||
프랑스 우주국(CNES) |
1999.7 |
SPOT-1 |
광학위성, 10/20m |
SPOT-2 |
광학위성, 10/20m |
||
SPOT-4 |
광학위성, 10/20m |
||
SPOT-5 |
광학위성, 2.5/10m |
||
캐나다 우주국(CSA) |
2000.10 |
RADARSAT |
레이더위성,7.6~100m |
미국 국가해양대기국 (NOAA) |
2001.9 |
POES |
기상위성(LEO), 1.1km |
GOES |
기상위성(GEO), 1,4,8km |
||
인도 우주연구소(ISRO) |
2001.9 |
IRS |
광학위성, 5.8/23m |
아르헨티나 우주국(CONAE) |
2003.7 |
SAC-C |
광학위성, 35/175m |
일본 항공우주탐사국(JAXA) |
2005.2 |
ALOS |
광학위성, 2.5/10m |
미국 지질조사소(USGS) |
2005.11 |
Landsat |
광학위성, 15/30m |
DMC International Imaging(DMC) |
2005.11 |
ALSAT-1(Algeria) |
광학위성, 32m |
NigeriaSat(Nigeria) |
광학위성, 32m |
||
BILSAT-1(Turkey) |
광학위성, 12/26m |
||
UK-DMC(UK) |
광학위성, 32m |
||
중국 항천국(CNSA) |
2007.5 |
FY-1 |
기상위성, 1.08km |
SJ-7 |
과학실험위성 |
||
ZY-2C |
군사위성, 2m or le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