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42516228_1.hwp
과학기술부 |
보도자료 □□□□□□□□□ |
보 도 시 점 |
‘07. 4. 26 조간부터 |
||||
자료배포일 |
'07. 4. 25 |
매 수 |
총 매 |
||||
담 당 |
기초연구국 우주기술개발과 |
과 장 주무관 |
이기성 박영미 |
02) 509-7794
|
|||
정책홍보 담당관실 |
|||||||
항우(연) 과학위성 총괄책임자 |
이승우 |
042) 860-2447 011-401-5253 |
과학기술위성 3호 대학의 기술력으로 만들다 - 과학기술위성 3호 본체, 탑재체 개발기관 선정 - |
□ 과학기술부(부총리겸 장관 김우식)는 '07. 4. 25일 과학기술위성 3호의 위성본체, 우주핵심기반기술, 주‧부 탑재체 개발기관을 최종 선정하였다.
□ 금번 과학기술위성 3호 개발기관 선정은 대학 및 연구기관 주축으로 개발하기 위해 공모를 추진하였으며, 총 12개의 공모과제에 대해 23개의 과제가 제안이 되었고,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과학기술위성 선정평가단」에 의해 1차 및 2차 평가(현장실사 포함)를 거쳐 총 2개의 연구기관과 4개의 대학이 최종 선정되었다.
※ 협동/위탁기관으로 7개의 대학 및 연구기관이 참여
○ 위성본체, 부분체 및 우주핵심기반기술 개발기관으로는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센터(김형명)와 충남대(김형신), 우석대(정규범) 그리고 한국과학기술원(이대길, 임종태, 방효충, 문건우, 최원호)이 선정되었으며,
○ 주‧부 탑재체 개발기관으로는 천문연구원(한원용)과 공주대(이준호)가 각각 선정되었다.
○ 특히, 금번 선정에는 선정된 개발기관과 함께 전북대․항공대․군산대․계명대․기초(연)․기계(연)․표준(연)) 등의 총 7개 대학 및 연구기관이 협동 또는 위탁 연구 기관으로 참여 함으로써,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의지를 자극하여 차별화된 핵심우주기술의 연구역량 집중화 및 대학 등으로 우주기술의 연구 저변 확대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 우주/지구과학 실험용 주탑재체로 선정된 “다목적 적외선 영상 시스템(천문연)”은 우주에서 방출되는 근적외선을 이용한 우리은하계 관측과 한반도 지역의 적외선 영상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국가 재난 감시용 기반 기술 개발에 활용될 수 있으며, 부탑재체로 선정된 “초소형 영상 분광기(공주대)”는 대기관측, 환경 감시등의 목적에 활용이 기대된다.
□ 우주핵심기반기술은 우주선진국으로부터 기술이전이 어렵고,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며, 실용급 위성의 독자 개발 능력 확보를 고려한 핵심기술로써, 선정된 개발기관이 제작한 부품을 과학기술위성 3호에 탑재하여 우주환경에서 검증할 예정이다.
□ 또한, 과학기술위성 3호는 차세대 실용위성급에서 적용 가능한 핵심우주기반기술을 선행 개발하여 이를 우주에서 검증함으로써, 다목적실용위성 등 실용위성의 국산화 자립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과학기술위성 3호 개발사업은 과학기술부의 주관 하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총괄주관기관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금번 선정과정을 통하여 각 대학 및 연구기관들이 공동설계팀을 구성하여 개발하게 된다.
붙임 : 1. 공모과제 및 선정기관
2. 과학기술위성 3호 개발사업 개요
3. 과학기술위성 3호 형상도
붙임 1 |
【 선정기관 】
공모과제 |
선정기관(과제책임자) |
||
본체개발 |
• 본체 체계종합 개발 |
과제1 |
과기원 인공위성센터(김형명) |
부분체 개발 |
• 열/구조계 개발 |
과제2 |
과학기술원(이대길) |
• 전기/전자/통신계 개발 |
과제3 |
과학기술원(임종태) |
|
• 전기추력기 추진계 개발 |
과제4 |
과기원 인공위성센터(김형명) |
|
• 자세제어계 개발 |
과제5 |
과학기술원(방효충) |
|
우주핵심기반 기술개발 |
• Li-Ion 배터리 개발 |
과제6 |
과학기술원(문건우) |
• 다기능 복합재 구조체 개발 |
과제7 |
과기원 인공위성센터(김형명) |
|
• 고성능 탑재컴퓨터 개발 |
과제8 |
충남대학교(김형신) |
|
• 소형 태양전력조절기 개발 |
과제9 |
우석대학교(정규범) |
|
• 전기추력기 개발 |
과제10 |
과학기술원(최원호) |
|
탑재체개발 |
• 주탑재체:다목적적외선영상시스템 |
과제11 |
천문연구원(한원용) |
• 부탑재체: 소형영상분광기 |
과제12 |
공주대학교(이준호) |
【 우주핵심기반기술 】
• Li-Ion 배터리 개발 |
상용화된 2차 전지 기술을 차세대 국내 위성에 탑재하는 배터리 핵심기술 |
• 다기능 복합재 구조체 개발 |
위성의 크기와 무게 감소를 위한 차세대 위성 구조물 핵심기술 |
• 고성능 탑재컴퓨터 개발 |
고성능 CPU를 사용하여 차세대 실용위성에서 적용할 탑재컴퓨터 핵심기술 |
• 소형 태양전력조절기 개발 |
우주에서의 전력 공급원인 태양전력을 디지틀 제어 방식으로 구현하는 핵심기술 |
• 전기(Hall) 추력기 개발 |
차세대 위성제어 및 행성탐사선에 탑재할 이온방식의 추력기 핵심기술 |
붙임 2 |
과학기술위성 3호 개발사업 |
□ 사업개요
○ 첨단 소형위성 기술개발을 통한 핵심 위성기술의 선행연구 및 전문인력 양성
○ 실용위성과 연계될 차세대 고성능 핵심기반기술 개발을 위한 과학기술위성 3호 개발
○ 총 사업기간 : 2006. 12 ~ 2010. 11 (4년)
○ 총 사업비 : 180억원
○ 총괄주관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과학위성 3호 제원
○ 구 조 : 경량 복합재 위성 구조체
○ 무 게 : 150kg 내외 (본체 + 탑재체)
○ 크 기 : 1m×1m×1m 내외
□.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
○ 과학기술위성 3호 기획연구 수행(‘05.8~‘06.3)
※ 김원철 (한국통신 네트워크)
○ 과학기술위성 3호 사업착수 (‘06.12)
○ 과학기술위성 기술위원회 구성 완료 (‘07.1)
○ 과학기술위성 3호 핵심기반기술항목 도출 (‘07.3)
○ 과학기술위성 3호 본체, 탑재체, 지상국 개발기관 공모/선정('07.3~4)
○ 과학기술위성 3호 시스템 기본설계 수행 (’07.12)
○ 과학기술위성 3호 시험인증모델 설계 및 제작 착수 (’07.12)
붙임 3 |
《 과학기술위성 3호 상상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