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92718210_1.hwp
과학기술부 |
보도자료 □□□□□□□□□ |
보 도 시 점 |
‘06.9.27(수) 조간부터 |
||||
자료배포일 |
'06. 9. 26 |
매 수 |
총 5 매 |
||||
담 당 |
기초연구국 우주기술협력팀 |
과 장 사무관 |
강병삼 이창선 |
031) 436-8680 031) 436-8681 |
|||
정책홍보 담당관실 |
|||||||
항우(연) 사업단장 |
최기혁 |
042) 860-2217 |
한국우주인이 수행할 과학실험 선정 돌입 - 산․학․연에서 21개 과제 제안 - |
과학기술부(부총리겸 장관 김우식)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백홍열)은 한국 우주인이 2008년 4월경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수행할 과학실험 제안과제에 대한 선정평가를 9월 28일(목)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실시한다. 이번 선정 평가회에서는 제안된 과제에 대한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할 계획이다. 한국우주인이 실행할 과학실험은 러시아와 협의를 거쳐 금년 말에 최종 선정한다.
산업체, 대학, 출연(연) 등 많은 연구기관에서 한국 최초의 우주인이 수행 할 과학실험이라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보였으며, 지금까지 산․학․연에서 21개의 과학 실험과제가 제안되었다. 제안된 과학실험에는 생물, 의학, 물리, 화학, 지구(대기)과학, 우주과학, 전자/기계 등 다양한 분야가 포함되어있다.
제안된 과제 중 초파리를 이용한 노화 유전자의 탐색, 초고집적/초경량 분자메모리 소자 개발, 무중력 상태를 이용한 공정합금 성장 및 사파이어 성장 실험 등은 과학적 의미가 높고 산업적으로도 유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선정 평가회 당일에는 제안된 과학실험을 만화로 쉽게 표현한 실험내용 포스터 전시가 예정되어 있으며, 과학실험 장비, 우주식품 등도 선보인다.
항우(연) 우주인사업단은 이번 선정 평가회를 계기로 2008년 4월 한국우주인이 수행할 과학실험이 구체화되고, 향후에 우주를 활용한 무중력 과학실험에 대한 국내 연구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참고 1>
한국 우주인 과학실험 선정 평가회
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
Ⅰ. 개요
○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인이 2008년 4월경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수행할 과학실험에 대한 선정 평가 및 과학실험 전시
○ 일 시 : 2006년 9월 28일 목요일 09:00~18:00
○ 장 소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발표 : 연구 1동 국제회의실, 대회의실
- 전시 : 연구 1동 로비(포스터 전시, 전시부스 운영)
Ⅱ. 진행 순서
시 간 |
주요내용 |
비 고 |
09:00 ~ 10:00 |
등록 |
|
개 회 |
|
|
10:00 ~ 10:10 |
국민의례 / 개회사 등 |
|
10:10 ~ 10:30 |
한국우주인배출사업 소개 |
|
10:40 ~ 12:20 |
(국제회의실) 물리/지구과학/대기과학 등 (대회의실) 생명공학/우주음식 |
(세션1) |
12:20 ~ 13:30 |
오찬 |
|
13:30 ~ 15:40 |
(국제회의실) 기계/전자/우주 등 (대회의실) 의학/운동/미용 등 |
(세션2) |
15:40 ~ 17:10 |
(국제회의실) 기계/전자/우주 등 (대회의실) 화학 |
(세션3) |
폐 회 |
< 참고 2>
제안된 과학실험 목록
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ꌄ
번호 |
연구내용 |
제안자 |
소속기관 |
연락처 |
1 |
지구관측 휴대용 분광기 |
진호 |
천문(연) |
042-865-3224 jinho@kasi.re.kr |
2 |
우주선 탑재 식물발아 생장 및 변이 관찰실험 |
강시용 |
원자력(연) |
063-570-3310 sykang@kaeri.re.kr |
3 |
미소질량 측정용 우주저울 개발 |
김연규 |
항우(연) |
042-860-2565 ykkim@kari.re.kr |
4 |
등고선 촬영장치를 이용한 미세중력에서의 한국 우주인 얼굴의 형상변화에 대한 연구 |
조용진 |
한서대 |
02-752-1767 chouyj@empal.com |
5 |
극한대기현상 관측망원경과 MEMS 기술 TEST |
박일흥 |
이화여대 |
02-3277-3412,4195 ipark@ewha.ac.kr |
6 |
무중력 상태에서 제올라이트 필름 형성 연구 |
윤경병 |
서강대 |
02-715-2569 yoonkb@ccs.sogang.ac.kr |
7 |
국제우주정거장용 소음방지 이어폰 개발 |
이덕주 |
KAIST |
042-869-3716 djlee@kaist.ac.kr |
8 |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이용될 소형생물 배양기 개발 |
장규호 정봉현 |
바이오트론 /생명(연) |
032-326-5555
정봉현 chungbh@kribb.re.kr |
9 |
우주인 메디컬 모니터링 연구 |
정기영 |
공군 |
043-290-5400 spacechung@hotmail.com |
번호 |
연구내용 |
제안자 |
소속기관 |
연락처 |
10 |
첨단 식품가공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우주 식품 개발 및 실증 시험 |
김성수 |
식품(연) |
011-446-9067 sung@kfri.re.kr |
11 |
미세중력 모델에서의 체수분감소와 운동 강도가 발한과 체액 조절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이대택 |
국민대 |
016-284-6245 dtlee@kookmin.ac.kr |
12 |
무연솔더의 젖음성 개선을 위한 중력의 영향 연구 |
강남현 |
생기(연) |
032-850-218 nhkang@kitech.re.kr |
13 |
무중력 화염 나노입자 제조 및 정전 제어 특성 파악 |
한방우 |
기계(연) |
bhan@kimm.re.kr |
14 |
한국 우주인에 의한 초소형위성 수동발사 및 임무 수행 |
장영근 |
항공대 |
02-300-0286 ykchang@hau.ac.kr |
15 |
한국의 최초 우주인이 찍은 황사현상 |
전영신 |
기상(연) |
02-832-6347 yschun@metri.re.kr |
16 |
금속-유기 다공성 물질 결정 성장 실험 |
김기문 |
포항공대 |
054-279-2113 kkim@postech.ac.kr |
17 |
우주 공간에서 초파리를 이용한 중력반응 및 노화 유전자의 탐색 |
조경상 |
건국대 |
02-450-3424 kscho@konkuk.ac.kr |
18 |
우주시대를 대비한 초고집적, 초경량 분자 메모리 소자 기술 |
이효영 |
ETRI |
042-860-1165 hyoyoung@etri.re.kr |
19 |
무중력 상태를 이용한 공정합금 성장 및 사파이어 성장실험 |
김기배 석현광 |
KIST |
02-958-5454
|
20 |
무중력 상태에서의 뇌파와 염력과의 관계 실험 |
김재수 |
KIST |
011-214-3456 kimjsoo@kist.re.kr |
21 |
우주에서 유비쿼터스 휴머노이드의 임무 수행능력 실험 |
김병수 |
로보티즈 |
011-716-6974 paul@robotic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