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71385639_1.hwp
www.kari.re.kr
|
보도자료 □□□□□□□□□□□ |
보 도 시 점 |
※ |
|||||
자료배포일 |
'06. 7. 12 |
매 수 |
총 3 매 |
|||||
담 당 |
위성총괄사업단 |
총괄사업단장 |
이주진 |
042) 860-2450 |
||||
홍보실 |
종합관리 그룹장 |
황도순 |
042) 860-2448 |
다목적실용위성 2호, 오는 28일 러시아에서 발사 예정 |
- 해상도 1m급으로 세계 6, 7위권의 원격탐사위성 보유 앞둬 -
□ 과학기술부(부총리겸장관․金雨植)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白鴻悅)은 오는 28일(금) 러시아에서 오전 11시 5분(한국시간 동일 오후 4시 5분)에 다목적실용위성 2호를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다목적실용위성 2호는 1m급 고해상도 영상자료를 촬영하고 송신할 수 있는 성능을 지니고 있으며, 국토모니터링, 국가지리정보시스템 구축, 환경감시, 자원탐사, 재해감시 및 분석 등의 활용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다목적실용위성 2호는 모스크바에서 북동쪽으로 약 800km 거리에 위치한 플레세츠크 발사기지에서 로콧(ROCKOT) 발사체에 실려 발사될 예정이다.
○ 다목적실용위성 2호는 지난 6월 20일 대전 항우연을 출발, 발사장에 안전하게 도착한 후 현재까지 위성의 기능점검, 연료주입, 로콧(ROCKOT) 발사체와의 접속시험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지 발사장에는 항공우주연 기술진 약 20여명이 위성의 최종 발사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 다목적실용위성 2호는 발사 이후 약 48분 후에 발사체로부터 분리되고 그로부터 7분 후에 태양전지판을 전개 시작하여 정상적으로 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발사 후 약 80분이 경과한 후에는 아프리카 케냐에 위치한 독일 소유의 말린디(Malindi) 지상국과의 첫 교신을 시도하게 된다.
□ 국내지상국과의 첫 교신은 발사 후 6시간 55분 후인 한국시각으로 28일 밤 11시경에 대전 항공우주연의 위치한 위성운영센터에서 이루어질 예정이다.
○하지만 첫 교신은 위성의 궤도 진입의 정확도 및 궤도 정보의 산출 등에 따라 1~2일의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다.
□ 첫 교신 후 다목적실용위성 2호는 위성 초기 운영에 들어가게 되며, 위성으로부터의 첫 영상은 위성체 건전성 평가, 위성본체 기능 검증, 탑재카메라 오염 방지 작업이 끝나는 2개월 뒤 쯤으로 예상하고 있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지난 해 7월 프랑스의 스팟이미지(Spot Image)사와 다목적실용위성 2호 위성영상 판매대행 계약을 체결한바 있으며, 국내 및 미국, 중동 일부지역은 (주)한국항공우주산업과 계약 체결 판매하게 된다. 프랑스 스팟이미지는 본 계약을 통해 영상판매 및 직수신을 포함하여 계약기간(3년)내에 최대 2,700만불의 판매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다목적실용위성 2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되면 우리나라는 다목적실용위성 1호에 이어 2기의 실용급 위성을 보유하게 되며 우리별 1, 2, 3호, 과학기술위성 1호, 무궁화위성 1, 2, 3호에 이어 9기의 위성을 가진 국가가 된다.
○ 또한 다목적실용위성 2호의 발사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세계 6, 7위권의 고정밀 위성 보유국이 된다.
□ 다목적실용위성 2호는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등의 지원을 받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중심이 되어 지난 1999년 12월부터 개발해 왔으며,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주)대한항공, 두원중공업(주), (주)한화 및 두산인프라코어(주) 등이 부품개발에 참여하여 국내 우주기술 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하였다.